KR102577284B1 -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 - Google Patents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7284B1
KR102577284B1 KR1020220128443A KR20220128443A KR102577284B1 KR 102577284 B1 KR102577284 B1 KR 102577284B1 KR 1020220128443 A KR1020220128443 A KR 1020220128443A KR 20220128443 A KR20220128443 A KR 20220128443A KR 102577284 B1 KR102577284 B1 KR 1025772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eawater
longitudinal direction
evaporation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8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운
Original Assignee
유성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운 filed Critical 유성운
Priority to KR1020220128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0011Heating features
    • B01D1/0029Use of radiation
    • B01D1/0035Solar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00Evaporating
    • B01D1/30Accessories for evaporators ;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된 해수(海水)를 태양열과 바람을 통해 증발시켜 소금을 석출하되, 해수의 증발속도를 향상시켜 소금의 석출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설치되는 장소에 대응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사용 중 교체 등과 같은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출입공간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 일단에 상기 출입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출입구가 형성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길이 방향 타단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인접하게 배치된 타 메인바디의 출입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돌부; 상기 메인바디에 복수 개가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되되, 각각이 상기 메인바디의 외주면에 인입되거나 외측으로 확장되는 지지수단; 및 상기 지지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며 공급된 해수(海水)를 증발시키는 증발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Seawater evaporator that can be adjusted in height through an independent module}
본 발명은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급된 해수(海水)를 태양열과 바람을 통해 증발시켜 소금을 석출하되, 해수의 증발속도를 향상시켜 소금의 석출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설치되는 장소에 대응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사용 중 교체 등과 같은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은 바닷물, 즉 해수를 도자기 타일이나 플라스틱 깔판 등으로 편평한 바닥을 가지도록 형성된 염전에 공급한 후 이를 건조하여 천연 소금을 석출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염전을 이용한 소금 석출은,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대략 사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염전에 해수를 공급한 후 태양열에 의해 바닷물이 증발하면 염전의 결정에 소금이 침전되는 것으로, 해수를 증발시켜 제조된 천연소금은 칼슘, 마그네슘 및 다양한 종류의 미네랄을 미량 함유하고 있어 건강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이 염전을 이용한 소금 제조방법은 해수가 증발하는 염전을 서로 이웃하게 복수 개 배치하여 일정 농도를 가지도록 증발한 해수를 이웃한 염전으로 이동시킴으로 복수 개의 염전을 설치해야 하고, 이를 위해 넓은 설치 면적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해수의 원활한 공급 및 공급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주로 해안가 근처에 염전이 설치되었으나, 염전 용지가 제한된 지역에서는 염전을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해안가의 개발에 의해 염전 용지의 확보가 점점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의 소금 제조방법으로는, 증발 시트지를 공중에 설치된 와이어에 상호 간격을 두고 여러 단으로 배치하여 표면적을 넓힌 상태에서 해수를 증발 시트지에 공급하여 태양열과 바람을 통해 해수를 증발시키고, 상부에 호이스트와 같은 승강장치를 설치하여 증발 시트지의 위치를 조절하여 증발 시트지의 하부에 배치되는 저장조에 저장되는 해수의 농도를 높이는 소금 제조방법이 제안되었다.
한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3565호(2014.04.03., 등록)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고효율 해수 증발 장치 및 증발로프 모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염전에 설치된 샤워링 유닛과, 홀더에 의해 복수 개의 증발로프가 그룹으로 모아지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증발로프들은 서로간에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샤워링 유닛에 의해 해수를 상기 각각의 증발로프에 공급하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서로 간에 간격이 확보되도록 이격된 증발로프를 타고 해수가 흘러내리면서 해수의 증발이 가속화되도록 하는 증발로프 모듈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기술은 샤워링 유닛을 통해 공급된 해수가 증발로프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증발되도록 하고, 이때 증발로프의 표면적을 넓혀 증발 효율을 높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기술은 설치된 증발로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최초 설치된 길이로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해수, 즉 염분이 포함된 해수에 의해 증발로프가 부식되거나 오염되는 경우 부식 또는 오염된 증발로프를 교체하는 과정에서 증발로프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 및 보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3565호(2014.04.03.,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해수를 증발시키기 위한 표면적을 넓혀 해수 증발 효율을 높여 소금의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되는 장소 및 증발을 위한 태양열, 바람 등의 환경에 대응하여 최적의 높이로 증발수단의 제공할 수 있는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호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메인바디와 결합돌부를 구성하고, 상기 메인바디에 복수 개의 지지수단을 독립적으로 배치하여 사용 중 손상 또는 부식된 증발수단 또는 지지수단 또는 메인바디를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출입공간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 일단에 상기 출입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출입구가 형성된 메인바디;
상기 메인바디의 길이 방향 타단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인접하게 배치된 타 메인바디의 출입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돌부;
상기 메인바디에 복수 개가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되되, 각각이 상기 메인바디의 외주면에 인입되거나 외측으로 확장되는 지지수단; 및
상기 지지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며 공급된 해수(海水)를 증발시키는 증발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수단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메인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길이 방향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바는, 상기 메인바디에 복수 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각각에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증발수단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이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증발수단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수단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와, 상기 와이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공급된 해수를 흡수한 후 증발시키는 증발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부는, 상기 메인바디의 출입구에 출입하는 선단부에 상기 지지수단의 단부가 출입하는 출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기존 염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에서도 해수 증발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어 소금 제조 시간을 단축시켜 소금 제조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되는 장소 및 외부 환경에 따라 배치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사용 중 손실 또는 부식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면 문제가 발생한 해당 구성만을 교체할 수 있어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메인바디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결합돌부 및 결합돌부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지지수단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증발수단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증발수단이 지지수단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지수단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지지수단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출입공간(11)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 일단에 상기 출입공간(11)과 외부를 연통하는 출입구(12)가 형성된 메인바디(10)와, 상기 메인바디(10)의 길이 방향 타단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인접하게 배치된 타 메인바디(10)의 출입구(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돌부(20)와, 상기 메인바디(10)에 복수 개가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되되, 각각이 상기 메인바디(10)의 외주면에 인입되거나 외측으로 확장되는 지지수단(30) 및 상기 지지수단(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며 공급된 해수(海水)를 증발시키는 증발수단(4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바디(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출입공간(11)이 형성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원통형의 관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삼각 또는 사각 등 다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바디(1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다단으로 이루어져 상호 출납 가능한 텔레스코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바디(10)에 형성된 출입공간(11)은 메인바디(10) 자체의 무게를 감량하는 효과를 기대하고, 후술하는 결합돌부(20) 및 지지수단(30)의 일부가 인입된다.
상기 출입공간(11)의 일단, 즉 메인바디(10)의 하단에는 상기 결합돌부(20)가 출입하는 출입구(12)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부(20)가 출입구(12)를 통해 출입한다.
한편, 상기 메인바디(10)의 외면에는 후술하는 지지수단(30)이 인입되는 인입홈(13)이 형성되는데, 상기 인입홈(13)은 메인바디(10)의 외면에서 요입 형성되되 인입되는 지지수단(30)의 형태, 폭, 길이에 대응하는 형태, 폭,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수단(30)이 인입홈(13)에 인입된 상태에서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하여 보관 또는 이동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입홈(13)에는 인입된 지지수단(30)이 상기 결합돌부(20)와 맞닿을 수 있도록 상기 출입공간(11)과 연통된 동작공(14)이 형성된다.
상기 동작공(14)은 상기 인입홈(13)의 하단부에서 상기 출입공간(11)과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지지수단(30)의 지지바(31)의 일단이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인입홈(13)은 상기 메인바디(10)에서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배치되되 배치되는 지지수단(30)의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바디(10)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부(20)는 상기 메인바디(10)의 외측 일단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되, 상기 메인바디(10)의 출입공간(1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메인바디(10)를 상호 결합한다.
이러한 결합돌부(20)의 선단부는 상기 출입구(12)의 출입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선단으로 돌출된 반구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돌부(20)에는 상기 지지수단(30)의 지지바(31)가 출입하는 출입홈(21)이 형성되는데, 상기 출입홈(21)은 상기 지지수단(30)이 배치된 위치 및 개수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기 지지수단(30)은 상기 메인바디(10)에 복수 개가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메인바디(10)에 형성된 인입홈(13)에 인입된 상태로 보관 또는 대기하거나, 메인바디(10)의 외측으로 펼쳐져 후술하는 증발수단(40)이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수단(3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메인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바(31)와, 상기 지지바(31)의 길이 방향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바디(1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3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바(31)는 복수 개가 상기 메인바디(10)에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되, 각각이 메인바디(10)에 형성된 인입홈(13)에 회전축(311)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지지바(31)의 길이 방향 일단, 즉 상기 회전축(311)이 배치되는 일단은 상기 메인바디(10)의 동작공(14)에 배치되어 상기 출입구(12)에 삽입되어 상방으로 이동하는 결합돌부(20)와 맞닿아 회전하는 회전부(3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바(31)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결합공(33)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공(33)은 후술하는 증발수단(4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지지바(31)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바(31)는 서로 다른 직경 또는 폭을 가지는 다단으로 이루어져 외부로 펼쳐질 때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텔레스코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바(31)는 도면 주 사각의 막대 형태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원형 또는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변경이 가능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지지바(31)는 길이 방향 중앙부에 회전핀(314)이 배치되어 배치된 회전핀(314)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외측에 배치된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각각이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회전핀(314)을 상호 이격된 위치에 복수 개 배치한 다관절 형태로 구성되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태양열 또는 바람에 노출되는 면적을 최대로 하여 증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31)는 회전 가능한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결합돌부(20)의 출입홈(21)에 일정 간격으로 마찰용돌기(22)가 구비되고 상기 마찰용돌기(22)는 자체 탄성복원력을 가진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과 같은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찰용돌기(22)가 결합돌부(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지바(31)의 회전부(312)와 맞닿아 이를 이동시킴으로써 지지바(31)를 회전시키고, 이때 상기 마찰용돌기(22)의 배치 위치에 따라 지지바(31)가 회전되는 각도가 조절된다.
상기 고정부(32)는 상기 지지바(31)의 길이 방향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바디(10)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상기 메인바디(10)의 인입홈(13)에 배치되는 고정용자석(131)과 자력에 의해 결합하는 대응용자석(32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32)를 통해 지지바(31)를 인입홈(13)에 인입, 즉 수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보관 및 이동시 부피를 최소화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지지수단(30)은 보관 및 이동시에는 메인바디(10)에 형성된 인입홈(13)에 수납된 상태가 되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후술하는 증발수단(40)이 배치되어 해수를 증발시키는 과정에서 다양한 각도로 외부로 회전되어 후술하는 증발수단(40)이 결합되어 공급된 해수를 증발시킨다.
상기 증발수단(40)은 상기 지지수단(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급된 해수(海水)를 증발시키는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와이어(41)와, 상기 와이어(41)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수단(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42)와, 상기 와이어(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공급된 해수를 흡수한 후 증발시키는 증발구(43)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4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후술하는 결합구(42)와 증발구(43)가 결합되고 공급된 해수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강성이 높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와이어(41)가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공급되는 해수에 포함된 염분에 의한 부식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합금, 니켈 합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방식(防蝕)을 위한 방식청이 외면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결합구(42)는 상기 와이어(41)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지지바(31)의 결합공(3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결합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일 예로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구(42)가 상기 결합공(33)에 삽입된 후 결합볼트를 통해 지지바(31)와 결합하거나 다른 예로 탄성 복원력을 가진 쐐기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결합공(33)에 삽입될 때 압축되었다가 결합공(33)을 관통한 후 복원되면서 결합공(33)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증발구(43)는 공급된 해수를 흡수한 이후 태양열 및 바람에 의해 해수를 증발시켜 소금을 석출한다.
이러한 증발구(43)는 태양열 및 바람에 노출되는 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 및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일 예로 상기 와이어(41)를 감싸는 구(球) 형태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가 상기 와이어(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호 간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바람이 통과하면서 해수 증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증발구(43)의 다른 예로는 여러 가닥의 로프로 이루어져 상기 와이어(41)를 감싸되 상호 꼬이는 형태로 배치되어 공급된 해수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되 꼬인 형태로 배치된 증발구(43)를 따라 이동하면서 태양열과 바람에 노출되도록 하여 해수 증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바디(10)를 상호 결합하는 결합돌부(20)를 통해 상하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결합돌부(20)를 상호 결합한다.
이때 상방에 배치된 메인바디(10)의 출입구(12)에 인입되는 결합돌부(20)가 상방에 배치된 메인바디(10)의 지지바(31)를 메인바디(10)의 외측으로 펼쳐지도록 회전시킨다.
이후 상부 메인바디에서 회전된 지지바와 하부 메인바디에서 회전된 지지바에 증발수단(40)을 결합한 후 해수를 공급하여 태양열 및 바람을 통해 해수를 증발시켜 소금을 석출한다.
도 7은 상기 지지바(31)가 메인바디(10)에 대해 90°의 각도로 각각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상기 지지바(31)가 메인바디(10)에 대해 대략 50~60°의 각도로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배치된 위치 및 태양열, 바람 등의 증발 요인을 고려하여 지지바의 펼침 각도를 조절한 것으로, 상기의 실시예 이외에도 다양한 각도로 펼쳐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
10 : 메인바디
11 : 출입공간 12 : 출입구
13 : 인입홈 14 : 동작공
20 : 결합돌부
21 : 출입홈
30 : 지지수단
31 : 지지바 32 : 고정부
33 : 결합공
40 : 증발수단
41 : 와이어 42 : 결합구
43 : 증발구

Claims (5)

  1.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출입공간(11)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 일단에 상기 출입공간(11)과 외부를 연통하는 출입구(12)가 형성된 메인바디(10);
    상기 메인바디(10)의 길이 방향 타단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며, 인접하게 배치된 타 메인바디(10)의 출입구(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돌부(20);
    상기 메인바디(10)에 복수 개가 각각 독립적으로 배치되되, 각각이 상기 메인바디(10)의 외주면에 인입되거나 외측으로 확장되는 지지수단(30); 및
    상기 지지수단(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며 공급된 해수(海水)를 증발시키는 증발수단(40);을 포함하되,
    상기 증발수단(4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와이어(41)와,
    상기 와이어(41)의 길이 방향 양단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수단(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42)와,
    상기 와이어(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공급된 해수를 흡수한 후 증발시키는 증발구(43)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3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 일단이 상기 메인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바(31)와,
    상기 지지바(31)의 길이 방향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바디(1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3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31)는,
    상기 메인바디(10)에 복수 개가 상호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각각에 상하로 관통되어 상기 증발수단(4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공(33)이 상호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
  4. 삭제
  5.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부(20)는,
    상기 메인바디(10)의 출입구(12)에 출입하는 선단부에 상기 지지수단(30)의 단부가 출입하는 출입홈(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
KR1020220128443A 2022-10-07 2022-10-07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 KR102577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443A KR102577284B1 (ko) 2022-10-07 2022-10-07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8443A KR102577284B1 (ko) 2022-10-07 2022-10-07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284B1 true KR102577284B1 (ko) 2023-09-08

Family

ID=88018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8443A KR102577284B1 (ko) 2022-10-07 2022-10-07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28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7217A (ja) * 2000-11-27 2002-06-11 Yukinobu Kowatari 海塩製造システム
KR200454519Y1 (ko) * 2011-02-28 2011-07-08 정태진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
KR101085446B1 (ko) * 2011-06-29 2011-11-21 김형은 태양열을 이용한 소금생성장치
KR101383565B1 (ko) 2013-03-21 2014-04-09 박용희 고효율 해수 증발 장치 및 증발로프 모듈
KR20160026294A (ko) * 2014-08-29 2016-03-09 권오근 염전용 황토천일염 제조장치
KR20160107867A (ko) * 2015-03-06 2016-09-19 윤현수 해수를 이용한 소금제조장치
KR102344981B1 (ko) * 2021-03-05 2021-12-31 당두 1호 농업회사법인 (주) 해수 증발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7217A (ja) * 2000-11-27 2002-06-11 Yukinobu Kowatari 海塩製造システム
KR200454519Y1 (ko) * 2011-02-28 2011-07-08 정태진 염전 증발수로 조립체
KR101085446B1 (ko) * 2011-06-29 2011-11-21 김형은 태양열을 이용한 소금생성장치
KR101383565B1 (ko) 2013-03-21 2014-04-09 박용희 고효율 해수 증발 장치 및 증발로프 모듈
KR20160026294A (ko) * 2014-08-29 2016-03-09 권오근 염전용 황토천일염 제조장치
KR20160107867A (ko) * 2015-03-06 2016-09-19 윤현수 해수를 이용한 소금제조장치
KR102344981B1 (ko) * 2021-03-05 2021-12-31 당두 1호 농업회사법인 (주) 해수 증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8328B2 (en) Floating wind turbine with a floating foundation, and method for installation of such a wind turbine
CN105705415B (zh) 在外海中漂浮且经由拉紧机构与锚连接的、用于风力发电设施、服务站或变流器站的承载结构
JP6213794B2 (ja) 高効率海水蒸発装置及び蒸発ロープモジュール
JP5738203B2 (ja) オフショア風力発電パーク
JP7417000B2 (ja) テンションレグ装置を備えた浮体式風力発電プラットフォーム
US11173988B2 (en) Water floating-typ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ES2447767T3 (es) Dispositivo fotovoltaico flotante
TW201920833A (zh) 具有波浪及風力負載之最佳化轉移之浮動風力渦輪機平台結構
CN106416056A (zh) 水上光伏发电装置浮体及浮体之间的连接方法
BR112013028971B1 (pt) Estrutura de suporte offshore para instalações de energia eólica
JP2020507516A (ja) 浮体式設備のためのフレーム構造体
JP2004176626A (ja) 洋上風力発電設備
KR102577284B1 (ko) 독립된 모듈을 통해 높이 조절이 가능한 해수 증발장치
CN206602480U (zh) 走道浮体跨接支撑组件式水面光伏发电系统
KR20150133746A (ko) 수중양식 격납 울타리
DK2690221T3 (en) A supporting structure for offshore facilities
EP2435691B1 (de) Energiewandlungseinrichtung zur umwandlung von wellenenergie
DE102015121794B3 (de) Ankervorrichtung und Schwimmvorrichtung
CN105262420B (zh) 一种可以调整轴倾斜角度的单轴跟踪支架
CN211223767U (zh) 用于漂浮式基础的系泊系统结构
CN207897489U (zh) 一种城市消落带景观装置
EP2466223A3 (de) Speicher zur speicherung von thermischer energie
CN114135446A (zh) 海上浮式风力发电系统
CN207939177U (zh) 一种折叠式桥架收缆器
KR101204992B1 (ko) 부유식 풍력발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