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4477Y1 -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4477Y1
KR200454477Y1 KR2020100003385U KR20100003385U KR200454477Y1 KR 200454477 Y1 KR200454477 Y1 KR 200454477Y1 KR 2020100003385 U KR2020100003385 U KR 2020100003385U KR 20100003385 U KR20100003385 U KR 20100003385U KR 200454477 Y1 KR200454477 Y1 KR 200454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late
clamp
tension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3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주
박찬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호컴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호컴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호컴넷
Priority to KR20201000033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44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4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44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16L3/0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and pressing it against a wall or other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engaging it by snap a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는 판에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로서, 케이블의 상측에 위치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서 판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며, 판에 형성된 고정구에 끼워져 판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을 구비하고, 케이블의 양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와 함께 케이블이 통과하는 케이블통과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끼움체; 및 상기 케이블통과면의 앞 쪽과 뒤 쪽으로 각각 상기 몸체에서 판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판 방향으로 개방된 케이블통과구멍을 구비하며, 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에 힘을 가하는 한 쌍의 텐션체;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Clamp for holding cable}
본 고안은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텐션부의 위치를 케이블의 진행방향에 위치하도록 하여 케이블의 고정 성능을 향상시킨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나 산업용 컨트롤 박스 등에는 여러 전자 부품이 설치되고, 이것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각종 케이블이나 배선이 그 내부의 좁은 공간에 복잡하게 얽혀 있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렇게 복잡하게 얽혀 있는 각종 케이블이나 배선은 미관을 해칠 뿐 아니라, 작업의 능률도 저하시키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통 클램프 등을 통해 간결하게 정리한다.
도 1은 종래의 클램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클램프는 케이블홀더(4)과 탄성발(5)과 클립(6)을 구비한다. 케이블홀더(4)는 케이블(3)을 내측에 위치시켜 케이블(3)의 위치를 잡는 부분이고, 클립(6)은 판(1)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빠지지 않도록 걸림턱을 구비한다. 또한, 탄성발(5)은 클립(6)이 판(1)의 구멍에 끼워진 후 걸림턱에 걸려서 위아래로 흔들리지 않도록 판(1)의 위쪽으로 힘을 가하는 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클램프는 케이블을 클램프에 고정하기 위한 부분과 클램프 자체를 판에 고정하기 위한 부분을 별도로 구비한다. 이는 클램프의 구조를 복잡하게 한다.
또한, 클램프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탄성발이 클립의 상측을 덮고 있으므로 클램프가 설치된 위치의 반대편에서 클립을 조작하여 판의 구멍으로부터 빼내어야 하므로 번거러운 작업 수행을 야기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로 케이블을 클램프에 고정하기 위한 부분을 두지 않고, 끼움부와 텐션부가 자체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케이블을 고정하는 기능도 수행하여 간단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는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는 판에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로서, 케이블의 상측에 위치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서 판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며, 판에 형성된 고정구에 끼워져 판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을 구비하고, 케이블의 양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와 함께 케이블이 통과하는 케이블통과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끼움체; 및 상기 케이블통과면의 앞 쪽과 뒤 쪽으로 각각 상기 몸체에서 판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판 방향으로 개방된 케이블통과구멍을 구비하며, 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에 힘을 가하는 한 쌍의 텐션체;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텐션체는, 상기 끼움체가 판의 고정구에 끼워지기 전에 상기 텐션체의 말단이 판에 접촉하는 제1 위치와, 상기 끼움체가 판의 고정구에 끼워진 후에 상기 텐션체의 말단이 판에 접촉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탄성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 텐션체의 말단이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텐션체 자체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몸체에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블을 고정될 판 위에 올려놓고, 그 위에 고정구로 클램프를 눌러 끼우는 간단한 조작으로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생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제거 시에 파손의 염려가 없으므로 제거 후에도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의 진행 방향을 90도로 꺾을 수 있어 활용성이 높다.
도 1은 종래의 클램프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를 장착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의 다른 사용 방법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를 장착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의 다른 사용 방법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100)는 몸체(10)와, 한 쌍의 끼움체(20)와, 한 쌍의 텐션체(30)를 구비한다.
몸체(10)에는 상측으로 케이블(3)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11)이 형성되며, 후술할 끼움체(20) 및 텐션체(30)가 각각 한 쌍씩 연결되어 있다.
끼움체(20)는 몸체(10)로부터 판(1) 방향으로 연장되어 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되며, 말단에는 걸림턱(21)을 구비한다. 한 쌍의 끼움체(20)는 몸체(10)와 함께 케이블(3)이 통과하는 케이블통과면을 형성한다. 또한, 한 쌍의 끼움체(20)는 서로 가까워지도록 내측으로 구부린 경우, 외측으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끼움체(20)는 클램프(100)를 판(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케이블(3)을 고정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텐션체(30)는 끼움체(20)와 마찬가지로, 몸체(10)로부터 판(1) 방향으로 연장되어 몸체(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케이블(3)이 통과하는 구멍(31)을 구비한다. 이러한 한 쌍의 텐션체(30)는 케이블(3)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몸체(10)와 끼움체(20)가 형성하는 케이블통과면의 앞쪽과 뒤쪽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텐션체(3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끼움체(20)가 판(1)의 고정구(2)에 끼워져서 고정된 경우, 복원력을 이용해 몸체(10)에 판(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함으로써 클램프(100) 자체의 흔들거림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케이블(3)이 통과하는 구멍(31)을 구비하여 케이블(3)의 위치를 한 번 더 고정시키는 역할도 수행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100)의 사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과 같이, 판(1)의 고정구(2) 위로 케이블(3)을 위치시키고, 케이블(3)이 몸체(10)와 한 쌍의 끼움체(20)가 형성하는 케이블통과면과 텐션체(30)에 형성된 구멍(31)을 통과하도록 하면서, 끼움체(20)를 고정구(2)에 삽입한다. 삽입시 걸림턱(21)에 의해 일시적으로 끼움체(20)가 내측으로 구부러졌다가 걸림턱(21)이 완전히 고정구(2)에 삽입되면 복원력에 의해 원 상태로 복귀하여 고정구(2)에 걸림턱(21)이 걸려 클램프(100)는 고정구(2)로부터 빠질 수 없게 된다. 도 4는 판(1)에 클램프(100)가 완전히 고정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클램프(100)가 판(1)에 고정되기 전과 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끼움부(20)가 고정구(2)에 삽입되면서 텐션체(30)는 외측으로 휘어지게 된다. 텐션체(30)는 휘어지면서 다시 원상태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는 몸체(10)를 판(1)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으로 작용한다. 이로 인하여, 클램프(100)는 판(1)에 강하게 고정되며, 판(1)과의 상대적 움직임이 제한되어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사용 방법으로 몸체(10)에 형성된 구멍(11)을 활용할 수도 있다. 도 6에서와 같이, 케이블(3)을 몸체(10)에 형성된 구멍(11)과 텐션체(30)에 형성된 하나의 케이블 통과 구멍(31)을 각각 통과하도록 할 경우, 90도로 꺾인 케이블(3)의 진행 경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클램프(100)를 판(1)에서 제거하는 것은 외측으로 노출된 끼움체(20)의 양측면을 눌러서 걸림턱(21)을 고정구(2)로부터 빠지게 하는 간단한 조작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텐션체(30)를 끼움체(20)와 다른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얻어지는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케이블(3)을 고정될 판(1) 위에 올려놓고, 그 위에 고정구(2)로 클램프(100)를 눌러 끼우는 간단한 조작으로 케이블(3)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생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제거 시에 파손의 염려가 없으므로 제거 후에도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의 진행 방향을 90도로 꺾을 수 있어 활용성이 높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1...판 2...고정구
3...케이블 10...몸체
11...몸체의 케이블 통과 구멍 20...끼움체
21...걸림턱 30...텐션체
31...텐션체의 케이블 통과 구멍
100...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Claims (3)

  1. 판에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로서,
    케이블의 상측에 위치하는 몸체;
    상기 몸체에서 판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며, 판에 형성된 고정구에 끼워져 판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을 구비하고, 케이블의 양측부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와 함께 케이블이 통과하는 케이블통과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끼움체; 및
    상기 케이블통과면의 앞 쪽과 뒤 쪽으로 각각 상기 몸체에서 판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판 방향으로 개방된 케이블통과구멍을 구비하며, 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에 힘을 가하는 한 쌍의 텐션체; 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체는,
    상기 끼움체가 판의 고정구에 끼워지기 전에 상기 텐션체의 말단이 판에 접촉하는 제1 위치와, 상기 끼움체가 판의 고정구에 끼워진 후에 상기 텐션체의 말단이 판에 접촉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탄성 변형이 가능하며,
    상기 텐션체의 말단이 제2 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텐션체 자체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몸체에 힘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KR2020100003385U 2010-04-01 2010-04-01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KR2004544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385U KR200454477Y1 (ko) 2010-04-01 2010-04-01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385U KR200454477Y1 (ko) 2010-04-01 2010-04-01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4477Y1 true KR200454477Y1 (ko) 2011-07-07

Family

ID=49299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385U KR200454477Y1 (ko) 2010-04-01 2010-04-01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44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5764A (zh) * 2012-07-13 2014-01-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固线夹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963U (ko) * 1995-01-28 1996-08-17 전선고정장치
KR970013118U (ko) * 1995-09-20 1997-04-25 자동차 와이어하네스 및 케이블 고정장치
KR970039139A (ko) * 1995-12-28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의 후드용 보우든 케이블 고정 브라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963U (ko) * 1995-01-28 1996-08-17 전선고정장치
KR970013118U (ko) * 1995-09-20 1997-04-25 자동차 와이어하네스 및 케이블 고정장치
KR970039139A (ko) * 1995-12-28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의 후드용 보우든 케이블 고정 브라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5764A (zh) * 2012-07-13 2014-01-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固线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80587B1 (ja) 固定具
US7674129B1 (en) Clamping device for DIN rail
JP2015504240A5 (ko)
JP2014149822A (ja) 拡張ボード固定装置
KR200454477Y1 (ko)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TWI597898B (zh) 特別用於汽車控制裝置的直接插接元件
JP4023685B2 (ja) 固定具
JP6463046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クランプ
CN103688604A (zh) 固定在盖移除夹具上的保持基底的设计
JP6839432B2 (ja) ケーブル保持具
JP4170382B1 (ja) クリップ着脱工具
JP2004218762A (ja) 固定具
JP4928121B2 (ja) ノックアウト構造
JP2014171275A (ja) プロテクタ
JP2004278703A (ja) 固定具
JP2016143819A5 (ko)
KR101062424B1 (ko) 간판용 프레임
RU2018140340A (ru) Крепежный узел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их и/или электронных устройств, которые могут быть встроены
JP5331647B2 (ja) クリップ
KR20160004861A (ko) 전자부품 장착장치
JP3133424U (ja) 結束保持具
JP5916538B2 (ja) 端子ボックス
RU2367071C2 (ru) Зажимы для крепления анкерных захватов вложимых электрических устройств
JP5598042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操作盤
KR101820594B1 (ko) 프린트 기판 및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