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815Y1 -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 - Google Patents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815Y1
KR200453815Y1 KR2020090000998U KR20090000998U KR200453815Y1 KR 200453815 Y1 KR200453815 Y1 KR 200453815Y1 KR 2020090000998 U KR2020090000998 U KR 2020090000998U KR 20090000998 U KR20090000998 U KR 20090000998U KR 200453815 Y1 KR200453815 Y1 KR 2004538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etachable
small
power connection
pow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9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7887U (ko
Inventor
오태준
Original Assignee
오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태준 filed Critical 오태준
Priority to KR20200900009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815Y1/ko
Publication of KR201000078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8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8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소형가전(SE) 일측에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가동하도록 형성된 전원접속부(100)와; 일측에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플러그(210)가 형성되고, 타측에 회전전원접속부(220)가 마련되어 소형가전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전원케이블(200)과; 일측으로 상기 전원케이블(200)의 회전전원접속부(220)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는 전원접속핀(310)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상기 전원접속부(100)에 걸림접속결합되어 탈부착 가능하도록 일단 일면에 텐션탈착편(330)이 마련된 탈착전원접속부(320)가 형성되어 상기 전원케이블(20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소형가전(SE)으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꼬임방지수단(300);을 포함하는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전원케이블, 소형가전, 헤어드라이어, 고대기.

Description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Power cable having attachable or detachable of small size household electric appliance}
본 고안은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형가전을 작동하기 위해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케이블을 탈부착가능하도록하여 보관이 용이하고, 전원케이블의 접속부측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사용시 전원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며, 이를 통해 사용이 편리한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소형가전이 출시되고 있고, 이러한 소형가전은 다양한 분야에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가정이나 이미용 업체에서 주로 사용하는 헤어드라이어, 헤어고대기, 유선면도기 등의 소형가전은 사용자가 직접 손에 파지하여 사용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헤어드라이어, 헤어고대기, 유선면도기 등의 소형가전은 사용자가 손에 파지하여 사용하는 제품의 특성상 전원이 계속해서 공급되어야만 작동이 원활 하게 이루어지고, 특정시간동안 올바르게 작동되어야만 그 기능을 다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헤어드라이어, 헤어고대기, 유선면도기 등의 소형가전의 전원공급구성을 살펴보면 외부전원과 접속되는 전원플러그가 형성되고, 상기 전워플러그의 일측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된 전원케이블이 형성되어 헤어드라이어, 헤어고대기, 유선면도기 등의 소형가전에 전원케이블의 일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헤어드라이어, 헤어고대기, 유선면도기 등의 소형가전에 일체로 결합된 종래의 전원케이블은 사용자가 모발의 건조, 스타일링, 면도 등의 특정작업을 수행시, 전원케이블이 꼬이게 되고, 전원케이블의 꼬임에 따라 헤어드라이어, 헤어고대기, 유선면도기 등의 소형가전과 접속된 전원케이블의 일단이 연결상태가 손상되는 등의 불량이 발생되어 넓게는 합선 등에 따른 화재의 위험과 좁게는 헤어드라이어, 헤어고대기, 유선면도기 등의 소형가전을 재구매해야하는 비용의 낭비가 초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욱이, 헤어드라이어, 헤어고대기, 유선면도기 등의 소형가전과 일체로 결합된 종래의 전원케이블은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소형가전을 사용완료한 후, 보관시에 전원케이블을 헤어드라이어, 헤어고대기, 유선면도기 등의 소형가전 몸체에 감아 보관하여야 함으로써, 번거로운 일련의 과정을 거쳐야 하고, 보관시, 깨끗하 게 정리정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소형가전과 전원케이블의 접속구조를 개선하여 탈부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관시 용이하고, 전원케이블의 접속부측을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시 전원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여 사용이 편리한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원케이블의 접속불량시 전원케이블만을 교체가 가능하여 별도의 소형가전을 재구매할 필요가 없어 불필요한 비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은 소형가전(SE) 일측에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가동하도록 형성된 전원접속부(100)와; 일측에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플러그(210)가 형성되고, 타측에 회전전원접속부(220)가 마련되어 소형가전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전원케이블(200)과; 일측으로 상기 전원케이블(200)의 회전전원접속부(220)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는 전원접속핀(310)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상기 전원접속부(100)에 걸림접속결합되어 탈부착 가능하도록 일단 일면에 텐션탈착편(330)이 마련된 탈착전원접속부(320)가 형성되어 상기 전원케이블(20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소형가전(SE)으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꼬임방지수단(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접속부(100)는 소형가전(SE)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텐션탈착편(330)이 마련된 탈착전원접속부(320)가 접속결합되도록 형성되되, 내측에 적어도 2개이상의 전원단자핀(104)이 형성된 접속공(102)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공(102)의 내측 일면으로 가이드홈(106)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106) 일측 좌우에 걸림단턱(10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텐션탈착편(330)은 상기 전원접속부(100)의 가이드홈(106)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어 상기 걸림단턱(108)에 계속적으로 탄성력에 의해 걸림결합되도록 좌우 대칭형성된 탈착걸림후크(332)와; 탄성력이 상기 걸림단턱(108)으로 계속적으로 작용되어 걸림결합된 상기 탈착걸림후크(332)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탄성력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도록 마련된 가압해제편(33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꼬임방지수단(300)의 전원접속핀(310) 외연 일측에 원주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전원접속부(220)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는 회전걸림후크(3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회전전원접속부(220)는 상기 꼬임방지수단(300)의 전원접속핀(310)측 일측이 걸림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된 걸림회전부(222)와; 상기 걸림회전부(222)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꼬임방지수단(300)의 전원접속핀(310)과 전기적으로 접속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선(226)이 마련된 회전접속공(2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소형가전과 전원케이블의 접속구조를 개선하여 탈부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관시 용이하고, 전원케이블의 접속부측을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사용시 전원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여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원케이블의 접속불량시 전원케이블만을 교체가 가능하여 별도의 소형가전을 재구매할 필요가 없어 불필요한 비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의 전체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의 요부확대 측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은 헤어드라이어, 헤어고대기 등의 소형가전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도록 하여 보관이 용이하고, 전원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도록 하여 사용시, 케이블의 꼬임으로 인한 사용상 불편한 점을 개선하여 형성한 것으로, 전원접속부(100), 전원케이블(200), 꼬임방지수단(300)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접속부(100)는 앞서 잠시 상술한 바와 같이, 헤어드라이어, 헤어고대기 등의 소형가전(SE) 여기서,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헤어드라이어를 예를 들어 도시하여 설명하면 헤어드라이어의 손잡이 부분의 하단으로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사용자의 모발의 건조 및 스타일링이 가능하도록 상기 전원접속부(100)가 구성된다. 여기서, 전원접속부(100)는 외부전원을 공급받도록 후술되는 전원케이블(200)과 꼬임방지수단(300)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헤어드라이어 손잡이 하단에 요입된 형태로 내측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전원단자핀(104)이 형성된 접속공(102)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접속공(102)은 후술되는 꼬임방지수단(300)의 탈착전원접속부(3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탈착전원접속부(320)의 형상에 대응되어 상기 접속공(102)의 형상이 사각형상으로 헤어드라이어 손잡이 하단에 요입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접속부(100)의 상기 접속공(102)의 내측 일면에는 후술되는 텐션탈착편(330)에 의해 후술되는 꼬임방지수단(300)이 상기 전원접속부(100)로부터 끼움결합시 이탈을 방지하도록 안내되어 걸림결합되도록 걸림단턱(108)이 형성된 가이드홈(10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단턱(108)은 가이드홈(106) 좌우로 대칭형성되어 후술되는 꼬임방지수단(300)의 텐션탈착편(330)의 탈착걸림후크(332)가 걸림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즉, 헤어드라이어, 헤어고대기 등의 소형가전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전원접속부(100)에 후술되는 꼬임방지수단(300)이 탈부착가능하도록 하여 종래 소형가전의 보관시, 전원케이블을 소형가전 외연에 휘감아 보관하지 않고, 별도로 소형가전(SE)을 케이블로부터 분리하여 소형가전(SE)과 케이블을 각각 따로 보관이 가능하다. 따라서, 보관시 깨끗하게 정리정돈이 가능하고, 소형가전과 케이블의 접속부분이 오랜사용으로 인한 접속불량 등 고장에 따른 케이블만의 교체를 통해 유지비용이 절감되고, 전기제품의 특성상 접속불량 등의 고장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원케이블(200)은 외부전원을 헤어드라이어, 헤어고대기 등의 소형가전(SE)으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일측에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플러그(210)가 형성된다. 그리고, 타측에는 후술되는 꼬임방지수단(300)과 전원연결되는 회전전원접속부(220)가 마련되어 소형가전(SE)을 사용자가 사용시,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플러그(210)는 통상의 가정에 적용되고 있는 110V~220V의 외부전원 콘센트에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KS규격의 플러그로 형성되는 것으로, 통상의 플러그에 해당되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회전전원접속부(220)는 후술되는 꼬임방지수단(300)의 전원접속핀(310)이 접속결합되어 외부전원을 공급받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헤어드라이어, 헤어고대기 등의 소형가전(SE)을 사용시, 사용특성상 위치를 자주 바꾸게 되어 케이블의 꼬임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원케이블(200)과 후술되는 꼬임방지수단(300)이 회전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전원접속부(220)는 걸림회전부(222), 회전접속공(224)으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회전부(222)는 후술되는 꼬임방지수단(300)이 상기 회전전원접속부(220)로부터 이탈이 방지되고,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 되는 꼬임방지수단(300)의 전원접속핀(310)측 일측 외연에 형성된 회전걸림후크(312)가 걸림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된다. 즉, 후술되는 회전걸림후크(312)가 걸림결합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원주상의 환테형상으로 요입형성된다.
상기 회전접속공(224)은 후술되는 꼬임방지수단(300)의 전원접속핀(310)이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외부전원과 연결된 상기 전원케이블(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소형가전(SE)으로 전달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접속공(224)은 전술한 상기 걸림회전부(222)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후술되는 전원접속핀(310)이 결합시 접지되도록 내연에 전원선(226)이 접지되어 마련된다. 즉, 상기 전원선(226)은 전술한 플러그(210)가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전원케이블의 전선을 따라 연장되어 사익 회전접속공(224)에 접지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꼬임방지수단(300)은 헤어드라이어, 헤어고대기 등의 소형가전(SE)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전원접속부(100)와 상기 전원케이블(200)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사용시 상기 전원케이블(200)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소형가전(SE)과 용이하게 탈부착가능하도록 마련되어 보관시 편리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전원접속핀(310), 탈착전원접속부(320), 텐션탈착편(330)을 포함한다.
상기 전원접속핀(310)은 일측으로 전술한 상기 전원케이블(200)의 회전전원 접속부(220)의 회전전원접속공(224)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어 상기 전원선(226)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받도록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소형가전(SE)을 사용시, 상기 회전접속공(224)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전원접속핀(310)은 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쉽게 이탈되고, 이로 인해 사용중 전원이 차단되어 다시금 전원케이블과 상기 전원접속핀(310)을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접속핀(310)의 일측 외연 일측에 회전걸림후크(312)가 원주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걸림후크(312)는 상기 회전전원접속부(220)의 걸림회전부(222)에 후크걸림결합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걸림후크(312)를 내측으로 외력을 가하여 직경이 축소되도록 한 후, 상기 회전전원접속부(220) 측으로 대응한다. 이후, 계속해서 상기 회전전원접속부(220)로 진행하여 걸림회전부(222)측까지 밀어 끼움결합한 후, 외력을 해제하면 회전걸림후크(312)는 원상태로 복원되어 걸림회전부(222)에 걸림결합되고, 원주상의 환테형상으로 요입형성된 걸림회전부(222) 내에서 상기 회전걸림후크(312)가 원활하게 회전되는 것이다. 즉, 이와 같은 작용을 통해 전원케이블(200)과 상기 꼬임방지수단(300)이 회전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헤어드라이어, 헤어고대기 등의 소형가전(SE)의 사용시 전원케이블(200)의 꼬임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탈착전원접속부(320)는 상기 꼬임방지수단(300)의 타측으로 전술한 상 기 전원접속부(100)에 걸림접속결합되어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일단 일면에 텐션탈착편(330)이 마련된다. 즉, 전술한 상기 전원접속핀(310)이 전원케이블(200)로부터 공급받은 외부전원을 헤어드라이어, 헤어고대기 등의 소형가전(SE)의 일측에 형성된 전원접속부(100)의 전원단자핀(104)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외부전원을 소형가전(SE)으로 공급하는 브릿지(Bridge)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탈착전원접속부(320)는 전술한 상기 전원접속부(100)의 접속공(102)으로 끼움결합되어 전원단자핀(104)과 전기적 결합시, 상기 전원접속부(1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텐션탈착편(330)이 앞서 잠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전원접속부(320) 일단 일면에 형성된다.
상기 텐션탈착편(330)은 사용자가 헤어드라이어, 헤어고대기 등의 소형가전(SE)의 사용시에는 상기 탈착전원접속부(320)가 상기 전원접속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소형가전(SE)을 보관시에는 상기 탈착전원접속부(320)가 상기 전원접속부(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걸림후크(332), 가압해제편(334)이 형성된다.
상기 탈착걸림후크(332)는 전술한 상기 전원접속부(100)의 가이드홈(106)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어 상기 걸림단턱(108)에 걸림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탈착걸림후크(3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전원접속부(320)에 대하여 예각을 이룬상태로 상향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어 가이드홈(106)을 따라 안내시에는 예각상으로 돌출된 형상이 압축되어 이동되고, 이후, 걸림단턱(108)측에 위치시에 최초 형상으로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걸림결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계속적으로 탄성력에 의해 걸림단턱(108)에 견고히 걸림결합되도록 좌우 대칭형성된다.
상기 가압해제편(334)은 좌우로 대칭형성된 전술한 상기 탈착걸림후크(332)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력이 상기 걸림단턱(108)으로 계속적으로 작용되어 걸림결합된 상기 탈착걸림후크(332)의 결합을 지렛대와 같은 작용을 통해 해제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결합순서의 역순으로 상기 가압해제편(334)을 탄성력이 작용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 상기 걸림단턱(108)으로부터 상기 탈착걸림후크(332)가 해제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고안에 따른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함과 함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전원케이블(200)의 꼬임이 방지되도록 꼬임방지수단(300)을 형성하고, 상기 꼬임방지수단(300)이 전원공급의 브릿지(Bridge)역할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사용자가 헤어드라이어, 헤어고대기 등의 소형가전(SE)의 사용과 보관이 상당히 편리한 것은 자명한 것이며, 전원케이블의 불량에 따른 전체 소형가전(SE)을 교체할 필요없이 케이블만을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비용의 절감과 부대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케이블 불량에 따른 단락, 단선 등으로 인한 전기감전, 합선, 화재로부터 안전 하게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의 전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의 전체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의 요부확대 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전원접속부 102 : 접속공
104 : 전원단자핀 106 : 가이드홈
108 : 걸림단턱 200 : 전원케이블
210 : 플러그 220 : 회전전원접속부
222 : 걸림회전부 224 : 회전접속공
226 : 전원선 300 : 꼬임방지수단
310 : 전원접속핀 312 : 회전걸림후크
320 : 탈착전원접속부 330 : 텐션탈착편
332 : 탈착걸림후크 334 : 가압해제편
SE : 소형가전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소형가전(SE) 일측에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가동하도록 형성된 전원접속부(100)와; 일측에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플러그(210)가 형성되고, 타측에 회전전원접속부(220)가 마련되어 소형가전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전원케이블(200)과; 일측으로 상기 전원케이블(200)의 회전전원접속부(220)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는 전원접속핀(310)이 형성되고, 타측으로 상기 전원접속부(100)에 걸림접속결합되어 탈부착 가능하도록 일단 일면에 텐션탈착편(330)이 마련된 탈착전원접속부(320)가 형성되어 상기 전원케이블(20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상기 소형가전(SE)으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꼬임방지수단(300);을 포함하고, 상기 전원접속부(100)는 소형가전(SE)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텐션탈착편(330)이 마련된 탈착전원접속부(320)가 접속결합되도록 형성되되, 내측에 적어도 2개이상의 전원단자핀(104)이 형성된 접속공(102)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공(102)의 내측 일면으로 가이드홈(106)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106) 일측 좌우에 걸림단턱(108)이 형성되며, 상기 텐션탈착편(330)은 상기 전원접속부(100)의 가이드홈(106)을 따라 슬라이딩 안내되어 상기 걸림단턱(108)에 계속적으로 탄성력에 의해 걸림결합되도록 좌우 대칭형성된 탈착걸림후크(332)와; 탄성력이 상기 걸림단턱(108)으로 계속적으로 작용되어 걸림결합된 상기 탈착걸림후크(332)의 결합을 해제하도록 탄성력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도록 마련된 가압해제편(334);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꼬임방지수단(300)의 전원접속핀(310) 외연 일측에 원주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전원접속부(220)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는 회전걸림후크(3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원접속부(220)는 상기 꼬임방지수단(300)의 전원접속핀(310)측 일측이 걸림결합되어 회전되도록 형성된 걸림회전부(222)와;
    상기 걸림회전부(222)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꼬임방지수단(300)의 전원접속핀(310)과 전기적으로 접속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선(226)이 마련된 회전접속공(2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
KR2020090000998U 2009-01-30 2009-01-30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 KR2004538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998U KR200453815Y1 (ko) 2009-01-30 2009-01-30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998U KR200453815Y1 (ko) 2009-01-30 2009-01-30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887U KR20100007887U (ko) 2010-08-09
KR200453815Y1 true KR200453815Y1 (ko) 2011-05-30

Family

ID=44453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998U KR200453815Y1 (ko) 2009-01-30 2009-01-30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81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482Y1 (ko) * 2017-08-03 2018-09-21 오제관 아크용접용 용접봉홀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9924A2 (en) 2006-12-01 2008-06-1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iniature circular connector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9924A2 (en) 2006-12-01 2008-06-1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iniature circular connec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887U (ko) 2010-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8626B2 (en) Cordless hairstyling tools with rechargeable and interchangeable batteries
US9490599B2 (en) Electrical connection for quick and safe connection to multiple units
US20150157112A1 (en) Cordless Electric Devices for Hair Care
KR102304394B1 (ko) 휴대용 머리 고데기의 탈착 가능한 전력 코드 구조체
JP6306746B2 (ja) 分離が容易な電源プラグ及び電源プラグアダプター
AU2020207832B2 (en) Curling iron apparatus with releasable clamp
KR200453815Y1 (ko)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
KR101581442B1 (ko) 사용이 편리한 헤어 미용 전열기기
CN201777733U (zh) 卷线器
KR200476931Y1 (ko) 미용용 머리핀
KR200424317Y1 (ko) 헤어드라이어용 전선 권취수단이 장착된 미용실 의자
CN204908351U (zh) 可拆卸式的卷发棒
CN213399237U (zh) 电源尾线连接固定结构及发型处理器
KR100499806B1 (ko) 머리카락 모근부 파마기
KR101122362B1 (ko) 착탈이 가능한 회전코드를 갖는 미용기구
KR200246302Y1 (ko) 미용용 고데기
US11259612B2 (en) Power cord detachable structure for portable hair curler
KR200422785Y1 (ko) 뽑기 쉬운 전기 플러그
KR101987745B1 (ko) 멀티 기능을 갖는 헤어 고데기
KR20100041659A (ko) 탈거와 식별이 용이한 전기 플러그
CN217243008U (zh) 一种卷发棒
US2005475A (en) Electrical connecter
KR20090056378A (ko) 전기코드가 분리되는 이미용기구
CN220713156U (zh) 一种睫毛美容装置
KR20120138944A (ko) 유에스비 케이블을 이용한 속눈썹 고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