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362B1 - 착탈이 가능한 회전코드를 갖는 미용기구 - Google Patents

착탈이 가능한 회전코드를 갖는 미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362B1
KR101122362B1 KR1020100059856A KR20100059856A KR101122362B1 KR 101122362 B1 KR101122362 B1 KR 101122362B1 KR 1020100059856 A KR1020100059856 A KR 1020100059856A KR 20100059856 A KR20100059856 A KR 20100059856A KR 101122362 B1 KR101122362 B1 KR 101122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onnection terminal
cord
power cor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9810A (ko
Inventor
이승국
Original Assignee
이승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국 filed Critical 이승국
Priority to KR1020100059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362B1/ko
Publication of KR20110139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1/02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 A45D1/04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with means for internal heating, e.g. by liquid fuel by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00Curling-tongs, i.e. tongs for use when hot; Curling-irons, i.e. irons for use when hot; Accessories therefor
    • A45D2001/002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Landscapes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식 전원코드를 갖는 미용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미용기구 후단부의 하우징(200) 내부에 통공(220) 및 단턱(221)이 형성되어 이 하우징(200)에 전원코드(300)의 선단 접속부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접속부의 외주연에는 상기 단턱(221)에 접하는 회전링(400)이 설치되고, 하우징(200)의 외측에는 링캡(500)이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전원코드(30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링캡(500)을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하면 간단하게 전원코드(300)를 미용기구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착탈이 가능한 회전코드를 갖는 미용기구{beauty apparatus having detachable rotate-code}
본 발명은 미용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형 전원코드가 착탈이 손쉽게 이루어짐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착탈이 가능한 회전코드를 갖는 미용기구에 관한 것이다.
헤어아이롱이나 헤어드라이어 등은 널리 사용되는 미용기구로서, 히터에 전원을 인가하여 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을 모발에 가하여 모발을 말리거나, 또는 모발을 펴고, 모발에 웨이브를 주기 위한 미용기구들이다.
그리고, 이 헤어아이롱이나 헤어드라이어에는 전원코드가 연결되어 있고, 이 전원코드에 의해 히터에 전원이 가해져 가열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헤어아이롱이나 헤어드라이어에 연결되는 전원코드 때문에 작업자는 모발의 시술작업에 많은 장애를 겪게 된다. 즉, 시술작업시 전원코드가 꼬이는 등 시술작업에 방해를 받게 되며, 반복해서 꼬이다 보면 단선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미용기구와 전원코드의 접속부분이 서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원코드가 꼬이는 현상을 해소하도록 하였던 바, 이러한 내용이 헤어아이롱을 일례로 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아이롱(1)은 기본적으로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가 마주하여 그 일단이 힌지(13) 연결되어 집게와 마찬가지로 연동하도록 되고 상부케이스(11) 및 하부케이스(12)의 각 내측면에는 히터에 의해 발열되는 열판(14)이 서로 마주하여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후방의 하우징(20)내에는 지지판(23)이 설치되고, 이 지지판(23)에 제1연결단자(21)와 제2연결단자(22)가 이격 설치되어 있으며, 전원코드(30)의 선단 접속부(33)에 제1접속단자(31) 및 제2접속단자(32)가 동축선상에서 이격 설치되어 각각 상기 제1연결단자(21)와 제2연결단자(22)와 접촉되도록 하면서 전원코드(30)의 접속부(33)는 하우징(20) 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원코드(30)의 접속부(33)가 하우징(20)으로부터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20)의 후단 내주연에는 고정홈(2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원코드(30)의 접속부에는 돌출링(34)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24)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으며, 하우징(20)의 외측 단부에 링캡(50)이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원코드(30)의 선단 접속부(33)는 하우징(20)의 내부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시술시에 전원코드가 꼬이는 것을 해결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이롱의 후단부에 길게 늘어져 있는 전원코드는 여전히 거추장스러운 존재로서 휴대시나 보관시에 많은 불편을 주게 되었다.
또한, 전원코드는 사용자의 사용시간이 누적되면서 전원코드의 접촉불량이나 단선 등 전원코드의 불량이 A/S 발생원인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게 되어 제조 업체마다 많은 시간과 비용의 지출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는 곧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으로 연결되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아이롱은 전원코드(30)가 하우징(20)에 결합이 되면 하우징(20)을 완전히 분해하기 전에는 이탈되지 않는 것으로서 단지 회전만 될 뿐 연결 상태는 그대로 유지되어야만 하였다.
따라서, 미용기구와 전원코드가 서로 분리되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되면서 전원코드의 단선 또는 접촉불량으로 인한 코드불량의 A/S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착탈이 가능한 회전코드를 갖는 미용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미용기구에 연결된 회전형 전원코드가 회전이 원활하게 되면서 간단하게 착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휴대 및 보관시에는 전원코드를 분리하여 두고, 사용시에는 쉽게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사용시간에 따라 발생하는 코드의 단선, 접촉불량 등 전원코드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착탈이 가능한 회전코드를 갖는 미용기구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각각 히터 및 열판이 구비된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지고, 후방의 하우징내에는 제1연결단자와 제2연결단자가 이격 설치되어 전원코드의 선단 접속부에 형성된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가 각각 접촉되어 전원이 연결되도록 된 헤어아이롱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자 및 제2연결단자의 외측으로 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통공의 외측으로는 확장된 단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연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하우징; 선단부에서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가 동심축상에서 이격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의 후방으로 연속되어 외면에 링홈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지지부 및 상기 회전지지부의 후방으로 연속되며 내부에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제2접속단자와 연결되는 컨덕터가 내장되는 코드부로 이루어지는 상기 전원코드; 상기 통공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전원코드의 링홈에 끼워지며, 전원코드가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단턱에 안착되는 회전링; 상기 전원코드의 외측으로 끼워지면서 상기 하우징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며, 내측 단부가 상기 회전링의 외측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된 링캡;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링캡을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키면 전원코드의 접속부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아이롱과 전원코드를 쉽게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링은 일단이 절개된 절개선이 형성되어 상기 절개선을 벌린 상태에서 전원코드의 접속부에 조립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회전링이 마주 결합되는 두 개의 형태로 분할 구성되어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링은 내주연이 분할되어 다수의 돌출된 블럭이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두 개 이상의 회전링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미용기구에 연결된 회전형 전원코드가 원활하게 회전이 되면서 간단하게 착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휴대 및 보관시에는 전원코드를 분리하여 두고, 사용시에는 쉽게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생산 작업시 전원코드가 없는 상태에서 조립이 되어, 반제품의 보관 및 적재시 편의성과 사용자가 사용시간에 따라 발생되는 코드의 단선이나 접촉불량 등 전원코드를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의 발생시에 그 교환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헤어아이롱의 요부 결합 단면도.
도 2는 종래 헤어아이롱의 요부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분리 단면도.
도 5는 상기 도 3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7은 상기 도 6의 결합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9는 상기 도 8의 결합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요부 분리 사시도.
도 11은 상기 도 10의 결합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분리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단면도.
본 발명의 내용을 첨부된 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는 미용기구 중에서 헤어아이롱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며, 이하에서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명칭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롱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분리된 상태 단면도이며, 도 5은 상기 도 3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개략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아이롱(100)의 후단부에 형성된 하우징(200)에는 전원코드(300)가 연결되는데, 하우징(200)의 내부 일단에는 지지판(201)이 설치되고, 이 지지판(201)에 제1연결단자(211)와 제2연결단자(212)가 이격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연결단자(211) 및 제2연결단자(212)의 외측으로는 통공(220)이 형성되어 하우징(200)의 외측이 개방되어 있고, 이 통공(220)의 외측에는 확장된 단턱(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200)의 외주연에는 나사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코드(300)는 선단의 접속부(310)와 이 접속부(310)에 연속된 회전지지부(320) 및 코드부(3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속부(310)에는 제1접속단자(311) 및 제2접속단자(312)가 동축선상에서 이격 설치되어 각각 상기 제1연결단자(211)와 제2연결단자(212)와 접촉되도록 하면서 접속부(310)는 하우징(200) 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단자(211)와 제2연결단자(212)는 상기 제1접속단자(311) 및 제2접속단자(312)와 회전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회전지지부(320)는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실질적으로 지지되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부분으로서 그 선단부는 하우징(200)의 통공(220)을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며, 중간에는 돌출링(321)이 돌출 형성되는데 이 돌출링(321)은 통공(220)보다 큰 직경으로 되어 통공(220)의 외측벽에 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돌출링(321)의 일측으로는 링홈(322)이 형성되어 이 링홈(322)에 회전링(400)이 설치되며, 회전링(400)은 통공(220)보다 큰 직경으로 되어 설치시 하우징(200)의 단턱(221)에 접하는 형태가 된다.
회전링(400)은 다양한 형태가 제시될 수 있는데, 도면에서는 일단이 절개되어 절개선(411)이 형성된 형태이며, 이에 따라 조립시 절개선(411)을 벌린 상태에서 상기 링홈(322)에 조립하게 된다.
회전지지부(320)의 후방으로는 코드부(330)가 연속되어 있으며, 이 코드부(330)는 내부에 통상의 컨덕터(도면에 도시안됨)가 설치되어 상기 제1접속단자(311) 및 제2접속단자(3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우징(200)의 나사부(230)에는 전원코드(300)의 외측에서 링 형태의 링캡(500)이 나사 결합되는데, 링캡(500)의 내측 단부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조립시에 상기 회전링(400)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회전링(40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르게는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회전링(400)의 외측 주연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링캡(50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회전링(400)은 내주연이 분할되어 다수의 돌출된 블럭(421)이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렇게 다수의 돌출된 블럭(421)의 형태로 구성되면, 회전링(400)과 전원코드(300)의 회전지지부(320)와의 접촉 면적을 줄임으로써 마찰력을 줄이게 되고, 따라서 보다 원활한 회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아이롱기는 전원코드(300)의 선단부가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되며, 회전시에도 접속부(310)의 제1접속단자(311) 및 제2접속단자(312)가 제1연결단자(211) 및 제2연결단자(212)와 항상 접촉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전원의 연결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으며, 전원코드(300)는 하우징(200)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바, 하우징(200)의 나사부(230)로부터 링캡(500)을 분리하게 되면 전원코드(300)를 하우징(200)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는 것이다.
전원코드(300)가 쉽게 분리될 수 있으면서도 결합된 상태에서는 회전링(400) 및 링캡(500)이 전원코드(300)의 선단부를 하우징(200) 내에서 견고하게 지지하고 있으므로 안전한 접속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링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링의 다른 설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두 개의 회전링(400)이 연속적으로 설치된 것이며, 이를 위해 전원코드(300)의 회전지지부(320)에 두 개의 링홈(322)이 형성되며, 이렇게 두 개의 회전링(400)이 설치되면 전원코드(300)가 보다 견고하게 하우징(200) 내에서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홈(322)은 중간에 돌출링(321)을 사이에 두고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으로 위치되는 회전링의 외측면은 역시 링캡(500)에 접촉되는 형태가 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회전링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를 참조하면 회전링(400)이 두 개로 분할 구성되어 서로 마주하여 조립됨으로써 링을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분할되어 마주하는 면에는 서로 어긋난 위치에 결합핀(431) 및 결합홈(432)이 마주 형성되어 회전지지부(320)에 조립시 서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고, 도면에 도시된 회전링(400)은 중간에 요부(433)가 형성되어 회전지지부(320)의 돌출링(321)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링캡(500)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링캡(500)의 외주연이 길게 연장되어 하우징(200)의 후방에 보다 깊게 조립되는 것이며, 이렇게 함으로써 전원코드가 아이롱에 보다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를 참조하면, 하우징(200)의 내부 일단에는 지지판(201)이 설치되고, 이 지지판(201)에 제1연결단자(211)와 제2연결단자(212)가 이격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연결단자(211) 및 제2연결단자(212)의 외측으로는 통공(220)이 형성되어 하우징(200)의 외측이 개방되어 있고, 이 통공(220)의 내주연에는 걸림홈(222)이 형성되어 있으며, 통공의 외측으로는 확장된 단턱(221)이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200)의 외주연에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원코드(300)는 선단의 접속부(310)와 이 접속부(310)에 연속된 회전지지부(320) 및 코드부(3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접속부(310)에는 제1접속단자(311) 및 제2접속단자(312)가 동축선상에서 이격 설치되어 각각 상기 제1연결단자(211)와 제2연결단자(212)와 접촉되도록 하면서 접속부(310)는 하우징(200) 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연결단자(211)와 제2연결단자(212)는 상기 제1접속단자(311) 및 제2접속단자(312)와 회전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회전지지부(320)는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실질적으로 지지되어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부분으로서 그 선단부는 하우징(200)의 통공(220)을 통과할 수 있는 직경을 가지며, 중간에는 상기 걸림홈(222)에 대응되는 걸림돌부(323)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으로는 확장된 형태의 고정링부(324)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200)에 결합시 상기 단턱(221)에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회전지지부(320)의 후방으로는 코드부(330)가 연속되어 있으며, 이 코드부(330)는 내부에 통상의 컨덕터가 설치되어 상기 제1접속단자(311) 및 제2접속단자(3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우징(200)의 나사부(230)에는 전원코드(300)의 외측에서 링 형태의 링캡(500)이 나사 결합되는데, 링캡(500)의 내측 단부는 상기 고정링부(324)의 외경보다 적은 내경을 갖는 것으로서 그 내주연이 다시 내측으로 절곡된 탄성부(510)를 이룸으로써 조립시에 상기 고정링부(324)의 외측면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조립된 전원코드(300)를 외측에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링캡(500)의 탄성부(510)는 탄성을 가지도록 되어 전원코드(300)의 외측으로 끼울 때, 링캡(500)의 내주연이 상기 고정링부(324)를 탄성적으로 타고 넘어가서 고정링부(324)의 외측면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다시 반대 방향으로의 이탈이 어렵도록 되고, 링캡(500)의 내주연이 쉽게 고정링부(324)를 타고 넘어가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링부(324)의 외주연 일측면에 경사면(3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200)의 걸림홈(222)과 전원코드의 걸림돌부(323)가 서로 결합되어 전원코드(300)가 하우징(200)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면서 안정적인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링캡(500)에 의해 전원코드(30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전원코드(300)를 아이롱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하우징(200)과 링캡(500)의 나사결합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전원코드(300)를 약간의 압력을 가해 외측으로 당기면 걸림홈(222)으로부터 걸림돌부(323)가 빠져나오면서 전원코드(300)가 하우징(2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회전링의 형상이나 갯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것이며, 전원코드의 접속부 및 회전지지부는 하우징의 내부 접촉면에 따라 대응하여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00 : 아이롱
200 : 하우징 201 : 지지판
211 : 제1연결단자 212 : 제2연결단자
220 : 통공 221 : 단턱
222 : 걸림홈 230 : 나사부
300 : 전원코드 310 : 접속부
311 : 제1접속단자 312 : 제2접속단자
320 : 회전지지부 321 : 돌출링
322 : 링홈 323 : 걸림돌부
324 : 고정링부 330 : 코드부
400 : 회전링 411 : 절개선
421 : 블럭 431 : 결합핀
432 : 결합홈 433 :요부
500 : 링캡 510 : 탄성부

Claims (9)

  1. 각각 히터 및 열판이 구비된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지고, 후방의 하우징(200)내에는 제1연결단자(211)와 제2연결단자(212)가 이격 설치되어 전원코드(300)의 선단 접속부(310)에 형성된 제1접속단자(311) 및 제2접속단자(312)가 각각 접촉되어 전원이 연결되도록 된 헤어아이롱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자(211) 및 제2연결단자(212)의 외측으로 통공(220)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통공(220)의 외측으로는 확장된 단턱(2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연에는 나사부(230)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하우징(200);
    선단부에서 제1접속단자(311) 및 제2접속단자(312)가 동심축상에서 이격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접속부(310)와, 상기 접속부(310)의 후방으로 연속되어 외면에 링홈(322)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지지부(320) 및 상기 회전지지부(320)의 후방으로 연속되며 내부에 상기 제1접속단자(311) 및 제2접속단자(312)와 연결되는 컨덕터가 내장되는 코드부(330)로 이루어지는 상기 전원코드(300);
    상기 통공(220)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전원코드(300)의 링홈(322)에 끼워지며, 전원코드(300)가 하우징(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단턱(221)에 안착되는 회전링(400);
    상기 전원코드(300)의 외측으로 끼워지면서 상기 하우징(200)의 나사부(230)에 나사 결합되며, 내측 단부가 상기 회전링(400)의 외측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된 링캡(5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회전코드를 갖는 미용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0)의 단턱(221)은 연속되는 두 개의 단턱(22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코드(300)의 접속부(310) 중간에는 상기 링홈(322)의 일측으로 돌출링(321)이 더 형성되어 상기 통공(220)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회전코드를 갖는 미용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400)은 일단이 절개된 절개선(411)이 형성되어 상기 전원코드(300)의 회전지지부(320)에 절개선(411)을 벌려서 결합토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회전코드를 갖는 미용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400)은 내주연이 분할되어 다수의 돌출된 블럭(421)이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회전코드를 갖는 미용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400)은 일측 외주연이 외측으로 연장된 연장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회전코드를 갖는 미용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코드(300)의 회전지지부(320)에는 두 개 이상의 링홈(322)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링(400)이 두 개 이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회전코드를 갖는 미용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400)은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되어 상기 전원코드(300)의 회전지지부(320) 외측에서 결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회전코드를 갖는 미용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400)은 두 개로 분리되어 있고, 서로의 접촉면에는 결합을 위한 결합핀(431) 및 결합홈(432)이 각각 마주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회전코드를 갖는 미용기구.
  9. 각각 히터 및 열판이 구비된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지고, 후방의 하우징(200)내에는 제1연결단자(211)와 제2연결단자(212)가 이격 설치되어 전원코드(300)의 선단 접속부(310)에 형성된 제1접속단자(311) 및 제2접속단자(312)가 각각 접촉되어 전원이 연결되도록 된 헤어아이롱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단자(211) 및 제2연결단자(212)의 외측으로 통공(220)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통공(220)의 내주연에는 걸림홈(222)이 형성되어 있으며, 통공(220)의 외측으로는 확장된 단턱(221)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연에는 나사부(230)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하우징(200);
    선단부에서 제1접속단자(311) 및 제2접속단자(312)가 동심축상에서 이격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접속부(310)와, 상기 접속부(310)의 후방으로 연속되어 중간에는 상기 걸림홈(222)에 대응되는 걸림돌부(323)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측으로는 확장된 형태의 고정링부(324)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회전지지부(320) 및 상기 회전지지부(320)의 후방으로 연속되며 내부에 상기 제1접속단자(311) 및 제2접속단자(312)와 연결되는 컨덕터가 내장되는 코드부(330)로 이루어지는 상기 전원코드(300);
    상기 전원코드(300)의 외측으로 끼워지면서 상기 하우징(200)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며, 내측 단부가 상기 전원코드(300)의 고정링부(324)의 외측면에 접촉 지지되도록 된 링캡(5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회전코드를 갖는 미용기구.




KR1020100059856A 2010-06-24 2010-06-24 착탈이 가능한 회전코드를 갖는 미용기구 KR101122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856A KR101122362B1 (ko) 2010-06-24 2010-06-24 착탈이 가능한 회전코드를 갖는 미용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856A KR101122362B1 (ko) 2010-06-24 2010-06-24 착탈이 가능한 회전코드를 갖는 미용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810A KR20110139810A (ko) 2011-12-30
KR101122362B1 true KR101122362B1 (ko) 2012-03-23

Family

ID=45505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856A KR101122362B1 (ko) 2010-06-24 2010-06-24 착탈이 가능한 회전코드를 갖는 미용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23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394B1 (ko) * 2016-08-30 2018-07-26 주식회사 제이엠더블유 단자 모듈, 이를 구비하는 퍼머롯드집게 및 퍼머롯드
CN110444976A (zh) * 2019-09-03 2019-11-12 东莞丽丝智能科技有限公司 便携卷发器的电源线可拆装结构
EP4040607A1 (en) * 2021-02-08 2022-08-10 Dongguan Lisi Intelligent Technology Co., Ltd. Power cord detachable structure for portable hair curl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2510A (ko) * 1997-05-09 1998-12-05 윤종용 헤어드라이어
KR200331243Y1 (ko) 2003-06-24 2003-10-23 이승수 헤어아이론의 전기코드장치
KR200424528Y1 (ko) 2006-06-02 2006-08-23 동 호 임 전원연결장치
KR20100001974U (ko) * 2008-08-14 2010-02-24 주식회사 쥬디산업 디지털 헤어미용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2510A (ko) * 1997-05-09 1998-12-05 윤종용 헤어드라이어
KR200331243Y1 (ko) 2003-06-24 2003-10-23 이승수 헤어아이론의 전기코드장치
KR200424528Y1 (ko) 2006-06-02 2006-08-23 동 호 임 전원연결장치
KR20100001974U (ko) * 2008-08-14 2010-02-24 주식회사 쥬디산업 디지털 헤어미용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810A (ko) 201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4301B1 (en) Hair styling device
US8478115B2 (en) Rotating devic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household appliances and electric tools
KR101122362B1 (ko) 착탈이 가능한 회전코드를 갖는 미용기구
JP6913190B2 (ja) 携帯用ヘアカーラーのための取り外し可能な電源コード構造
JP2018043010A (ja) 手持型機器
US20100120278A1 (en) Multi-angular power adapter
KR20100043215A (ko) 전기 연결장치
US2570784A (en) Adjustable electric plug
US7458814B2 (en) Twist-check socket and electronic articles equipped with the same
CN207638045U (zh) 插头连接器、插座连接器及其组合、电源线及手持式装置
KR20200052082A (ko) 원통형 전선릴의 가이드 장치
US20090078332A1 (en) Electrical cord straightening device
US11259612B2 (en) Power cord detachable structure for portable hair curler
KR200389042Y1 (ko) 케이블 릴
KR200482183Y1 (ko) 전원 커넥터
KR101725859B1 (ko)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102004211B1 (ko) 회전 가능한 플러그 구조
KR200424528Y1 (ko) 전원연결장치
KR200331243Y1 (ko) 헤어아이론의 전기코드장치
KR101656309B1 (ko) 전선 꼬임 방지 장치
JP3197061U (ja) 多機能の回転式ソケット
KR20120050705A (ko) 멀티 탭
KR20100069838A (ko) 전원공급선 꼬임방지장치
KR100567388B1 (ko) 전기케이블의 단선방지방법 및 장치
KR20110008481U (ko) 회전형 전기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