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317Y1 - 헤어드라이어용 전선 권취수단이 장착된 미용실 의자 - Google Patents

헤어드라이어용 전선 권취수단이 장착된 미용실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317Y1
KR200424317Y1 KR2020060006477U KR20060006477U KR200424317Y1 KR 200424317 Y1 KR200424317 Y1 KR 200424317Y1 KR 2020060006477 U KR2020060006477 U KR 2020060006477U KR 20060006477 U KR20060006477 U KR 20060006477U KR 200424317 Y1 KR200424317 Y1 KR 2004243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dryer
chair
power supply
wire winding
wind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4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재규
Original Assignee
임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규 filed Critical 임재규
Priority to KR20200600064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3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3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3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4Hairdressers' or similar chairs, e.g. beauty salon chairs
    • A47C1/1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ea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 A47C7/626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directly under the seat

Abstract

본 고안은 미용실 등에서 사용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용실의 의자에 형성되는 좌판의 하부에 전원선의 인출 및 권취가 가능한 전선 권취수단을 장착하고 그 전선 권취수단에는 전원공급선과 헤어드라이어 또는 매직기, 고데기 등의 전원선을 각각 연결 형성하며, 상기 좌판의 하부 일측에는 링상의 거치대를 장착함으로서,
상기 전선 권취수단에 의해 헤어드라이어의 전원선을 필요한 만큼 인출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이 종료된 헤어드라이어는 거치대를 이용하여 편리한 보관이 가능한 것이며, 인출된 헤어드라이어는 전선 권취수단의 자동 권취작용에 의해 전원선이 최소의 길이만 노출되므로 작업자 및 고객이 상기 전원선으로부터 곤란함을 겪지 않게 되는 특징을 갖는 헤어드라이어용 전선 권취수단이 장착된 미용실 의자에 대한 것이다.
미용실, 의자, 권취기, 헤어드라이어, 거치대

Description

헤어드라이어용 전선 권취수단이 장착된 미용실 의자 {Chair for beauty shop equipted with wire-winding device for hair dry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미용실 의자의 요부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용실 의자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미용실 의자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미용실 의자의 권취기를 도시한 요부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지지각 2 : 지지대
3 : 체결판 4 : 등받이
5 : 팔걸이 6 : 좌판
10 : 권취기 11 : 래칫보빈
12 : 레버폴 13 : 태엽
14 : 전원공급선
20 : 헤어드라이어 21 : 전원선
22 : 거치대
본 고안은 미용실 등에서 사용되는 의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세는 의자의 좌판 하부에 전선 권취수단을 장착하고 그 권취수단에는 전원공급선과 헤어드라이어 또는 매직기, 고데기 등이 각각 연결되게 하며, 상기 좌판의 하부 일측에는 링상의 헤어드라이어 거치대를 장착함으로서, 상기 전선 권취수단에 의해 헤어드라이어의 보다 편리한 사용을 가능케 한 헤어드라이어용 전선 권취수단이 장착된 미용실 의자에 대한 것이다.
헤어드라이어는 본체에 연결된 전원 코드를 별도의 콘센트에 삽입하여 전원을 인가받아 전원 스위치에 의해 작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내부에 송풍팬 및 발열히터가 내장되어 그 발열히터로부터 발생되는 고온의 열기를 상기 송풍팬에 의해 외부로 토출시켜 그 고온의 바람에 의해 두발을 건조시키거나 셋팅시켜주는 미용도구로서, 특히 미용실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미용도구이다.
일반적으로 미용실에서 사용되는 드라이어는 가정에서 사용되는 드라이어와 같이 송풍팬과 히터가 한 몸체에 되어 있는 것으로 별도의 콘센트에 전원 코드를 꼽아 사용가능한 것으로, 미용사는 별도 보관된 드라이어를 사용하기 편리한 곳이나 미용의자에 형성된 콘센트에 꼽아 손님의 머리 등을 건조시키며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드라이어는 미용사가 손님의 두발을 미용도중 드라이를 하기 위해 드라이어를 찾아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로 인한 미용사의 집중력 저하와 손님으로서는 미용사의 불필요한 행동에 불쾌감 또한 가져올 수 있는 것이며, 드라이어를 사용 후 지정된 장소에 보관하지 않고 별도의 수납대나 선반 등에 습관적으로 아무렇게나 방치하여 미관상에도 좋지 않으며 파손의 위험도 가져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드라이어는 반드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한 전원선이 형성되는데, 미용을 하는 과정에서 미용사는 의자의 주변에서 분주하게 움직이므로 이 과정에서 전원선이 꼬이거나 엉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충분한 작업반경을 확보하고자 그 전원선의 길이를 불필요하게 길게 늘어트리므로 상기한 드라이어를 사용하는 도중 그 전원선에 걸려 넘어지거나 그 전원선이 단선되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미용실의 의자에 형성되는 좌판의 하부에 전원선의 인출 및 권취가 가능한 전선 권취수단을 장착하고 그 전선 권취수단에는 전원공급선과 헤어드라이어 또는 매직기, 고데기, 이발기 등의 전원선을 각각 연결 형성하며, 상기 좌판의 하부 일측에는 링상의 거치대를 장착함으로서,
상기 전선 권취수단에 의해 헤어드라이어의 전원선을 필요한 만큼 인출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이 종료된 헤어드라이어 또는 매직기, 고데기, 이발기 등을 거치대를 이용하여 편리한 보관이 가능한 것이며, 인출된 헤어드라이어는 전선 권취수단의 자동 권취작용에 의해 전원선이 최소의 길이만 노출되므로 작업자 및 고객이 상기 전원선으로부터 곤란함을 겪지 않게 되는 특징을 갖는 헤어드라이어용 전선 권취수단이 장착된 미용실 의자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미용실 의자의 요부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용실 의자의 결합사시도이다.
하단에 지지각(1)을 갖는 지지대(2)의 선단에 체결판(3)을 형성하고, 그 체결판(3)의 상부에는 등받이(4)와 팔걸이(5)를 갖는 좌판(6)을 결합 형성하여 된 공지의 미용실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6)의 하부면에는, 태엽(13)에 의해 탄성 회전력을 갖는 래칫보빈(11)과 그 래칫보빈(11)과 치합되어 외부로 돌출된 레버폴(12)을 갖는 권취기(10)를 장착하고, 그 권취기(10)에는 헤어드라이어(20)의 전원선(21) 및 전원공급선(14)이 각각 연결되게 하며,
상기 좌판(6)의 하부 일측면에는 별도로 제작된 링상의 거치대(22)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전원공급선(14)은 상기 헤어드라이어(20)의 전원선(21)과 통전되게 구성하고, 그 헤어드라이어(20)의 전원선(21)은 상기 래칫보빈(11)으로부터 자동권취 및 강제인출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 헤어드라이어용 전선 권취수단이 장착된 미용실 의자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미용실 의자는 미용실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보편적인 의자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의자는 통상적으로 지지각(1)을 갖는 지지대(2) 및 등받이(4)와 팔걸이(5)를 갖는 좌판(6)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지지대(2)의 상단에는 상기 좌판(6)과의 결합을 위한 체결판(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한 팔걸이(5)는 좌판(6)의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체결판(3)의 양측으로부터 상향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의자에 있어 그 좌판(6)의 하부면에 별도의 권취기(10)를 장착하되, 그 권취기(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강제 인출 및 자동 권취 작동을 하는 보통의 권취기를 사용한 것으로서, 그 권취기(10)의 일측단을 상기 좌판(6)의 하부에 직접 장착하거나 상기 체결판(3)과 좌판(6)의 틈새로 그 권취기(10)의 일측단을 밀어 넣어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권취기(10)에 대한 개략적인 작용을 기재하면, 그 권취기(10)는 내부에 래칫기어를 갖는 래칫보빈(11)이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어 있고 상기 래칫보빈(11)에는 태엽(13)이 연결되어 있어 상기 래칫보빈(11)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태엽(13)이 감기며 복귀 회전력을 저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래칫보빈(11)이 회전하게 되면 그 래칫보빈(11)과 치합되어 있는 레버폴(12)의 간섭에 의해 상기 래칫보빈(11)은 역회전되지 않는 것인데, 상기 레버폴(12)을 사용자의 인위적인 강제 회전을 통해 상기 레버폴(12)이 래칫보빈(11)과의 치합력이 해제되게 하면 상기 래칫보빈(11)은 태엽(13)의 복귀력에 의해 역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래칫보빈(11)에 헤어드라이어(20)의 전원선(21)을 권취한 상태에서 상기 전원선(21)을 잡아당기면 그 래칫보빈(11)이 회전함과 동시에 권취되어 있던 전원선(21)이 인출되는 것이며, 레버폴(12)에 의해 상기 래칫보빈(11)이 역회전되지 아니하므로 상기한 전원선(21)은 인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헤어드라이어(20)의 사용이 종료되면 상기 권취기(10) 일측의 레버폴(12)을 회전시키면 그 레버폴(12)과 래칫보빈(11)의 치합관계가 상실되면서 상기 래칫보빈(11)은 태엽(13)의 복귀력에 의해 역회전하면서 풀려있던 전원선(21)을 그 래칫보빈(11)으로 다시 감기게 하는 것이다.
또한, 도4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전원선(21)과 전원공급선(14)은 하나의 전선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주지된 바와 같이 전원선(21)의 단부는 통전되는 래칫보빈(11)의 하측에 연결되어 있고 전원공급선(14)의 단부는 권취기(10)의 바닥부에 연결되어 있어, 그 전원선(21)의 단부와 전원공급선(14)의 단부는 공지의 단자접속구에 의해 연속으로 통전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한 헤어드라이어(20)의 전원선(21)은 권취기(10)의 일측으로 노출된 전원공급선(14)과 통전 상태를 갖고 있어, 상기 전원공급선(14)에 전원이 인가되면 그 전원공급선(14)의 권취 및 인출작용과 관계없이 상기 헤어드라이어(20)에는 항상 전원이 인가된 상태인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용이 종료된 헤어드라이어(20)의 전원선(21)을 그 권취기(10)의 내부로 권취시킨 상태에서 그 헤어드라이어(20)의 선단을 좌판(6)의 하부 에 장착되어진 별도의 거치대(22)에 삽입하여 보관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헤어드라이어(20)의 전원선(21)을 보다 편리하게 관리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헤어드라이어(20)의 거치대(22)를 통해 항상 일정한 보관위치로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매우 효과적인 것이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헤어드라이어(20)를 사용하기 위한 용도로 기재하였으나, 상기 헤어드라이어 이외에도 매직기나 고데기, 이발기 등 전원을 필요로 하는 미용기구 등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헤어드라이어용 전선 권취수단이 장착된 미용실 의자는, 전선 권취수단에 의해 헤어드라이어 또는 매직기, 고데기, 이발기 등의 전원선을 필요한 만큼 인출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사용이 종료된 헤어드라이어는 거치대를 이용하여 편리한 보관이 가능한 것이며, 인출된 헤어드라이어 또는 매직기, 고데기, 이발기 등은 전선 권취수단의 자동 권취작용에 의해 전원선이 최소의 길이만 노출되므로 작업자 및 고객이 상기 전원선으로부터 곤란함을 겪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하단에 지지각(1)을 갖는 지지대(2)의 선단에 체결판(3)을 형성하고, 그 체결판(3)의 상부에는 등받이(4)와 팔걸이(5)를 갖는 좌판(6)을 결합 형성하여 된 공지의 미용실 의자에 있어서,
    상기 좌판(6)의 하부면에는, 태엽(13)에 의해 탄성 회전력을 갖는 래칫보빈(11)과 그 래칫보빈(11)과 치합되어 외부로 돌출된 레버폴(12)을 갖는 권취기(10)를 장착하고, 그 권취기(10)에는 헤어드라이어(20)의 전원선(21) 및 전원공급선(14)이 각각 연결되게 하며,
    상기 좌판(6)의 하부 일측면에는 별도로 제작된 링상의 거치대(22)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전원공급선(14)은 상기 헤어드라이어(20)의 전원선(21)과 통전되게 구성하고, 그 헤어드라이어(20)의 전원선(21)은 상기 래칫보빈(11)으로부터 자동권취 및 강제인출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용 전선 권취수단이 장착된 미용실 의자.
KR2020060006477U 2006-03-10 2006-03-10 헤어드라이어용 전선 권취수단이 장착된 미용실 의자 KR2004243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477U KR200424317Y1 (ko) 2006-03-10 2006-03-10 헤어드라이어용 전선 권취수단이 장착된 미용실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477U KR200424317Y1 (ko) 2006-03-10 2006-03-10 헤어드라이어용 전선 권취수단이 장착된 미용실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317Y1 true KR200424317Y1 (ko) 2006-08-18

Family

ID=4177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477U KR200424317Y1 (ko) 2006-03-10 2006-03-10 헤어드라이어용 전선 권취수단이 장착된 미용실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31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278U (ko) 2017-11-23 2019-05-31 김민재 다기능 미용실 의자
KR20190001545U (ko) 2017-12-14 2019-06-24 김민재 기능성 미용 의자
KR102215409B1 (ko) 2020-08-04 2021-02-15 주식회사 어스트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미용실 의자
KR20220095773A (ko) 2020-12-30 2022-07-07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선 고정용 암밴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278U (ko) 2017-11-23 2019-05-31 김민재 다기능 미용실 의자
KR20190001545U (ko) 2017-12-14 2019-06-24 김민재 기능성 미용 의자
KR102215409B1 (ko) 2020-08-04 2021-02-15 주식회사 어스트 안마기능을 포함하는 미용실 의자
KR20220095773A (ko) 2020-12-30 2022-07-07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선 고정용 암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1046B2 (en) Hair curling system
US10820677B2 (en) Cordless hair dryer with ionizing solution
US5547393A (en) Beauty salon appliance workstation
KR200424317Y1 (ko) 헤어드라이어용 전선 권취수단이 장착된 미용실 의자
US6591952B1 (en) Cosmetic appliance storage and cord management apparatus
US9439492B2 (en) Wrap-n-dry towel
KR200467952Y1 (ko) 자동권취체가 구비된 헤어드라이기
KR200487691Y1 (ko) 핫컬링브러쉬의 머리카락 낌방지구조
KR20080036822A (ko) 고데기형 헤어 드라이기
US5412879A (en) Hair dryer handle structure
KR20100130573A (ko) 회전형 헤어 아이론
CN206342084U (zh) 一种具有绕线功能的电吹风
CN215854464U (zh) 一种具有绕线功能的吹风机
KR200388718Y1 (ko) 헤어 고데기
KR200217605Y1 (ko) 권취수단에 의한 상하승강식 헤어드라이어
KR20100087607A (ko) 전선 코드
KR20220002536U (ko) 콘센트가 부착된 이미용의자
CN218105156U (zh) 卷发器
CN210643289U (zh) 多功能理发椅
KR20080052776A (ko) 출몰식 전선연장기구
KR200260223Y1 (ko) 웨이브 퍼머용 롯드행거장치
KR200453815Y1 (ko)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
KR200312098Y1 (ko) 분리가능한 전원연결선을 가진 헤어드라이어
KR20090056378A (ko) 전기코드가 분리되는 이미용기구
KR20100079509A (ko) 헤어 드라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