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785Y1 - 뽑기 쉬운 전기 플러그 - Google Patents

뽑기 쉬운 전기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785Y1
KR200422785Y1 KR2020060011707U KR20060011707U KR200422785Y1 KR 200422785 Y1 KR200422785 Y1 KR 200422785Y1 KR 2020060011707 U KR2020060011707 U KR 2020060011707U KR 20060011707 U KR20060011707 U KR 20060011707U KR 200422785 Y1 KR200422785 Y1 KR 2004227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ral groove
forming rod
protrusion
plug
groov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7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원희
임천주
Original Assignee
서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원희 filed Critical 서원희
Priority to KR2020060011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7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7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7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3Casing or ring with helicoidal groo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뽑기가 쉬운 전기플러그에 관한것으로, 플러그몸체(10)에 밀봉과 나선홈형성봉 장착홈(11)을 형성하고, 돌출로 탈거작용을 할 밀봉(20)과, 밀봉을 돌출시킬 나선홈형성봉(30)과, 나선홈형성봉(30)과 결합할 회전케이스(50)와, 돌출된 밀봉(20)이 원위치로 되돌아오도록 작용할 태엽(40)으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케이스(50)를 회전하여 나선홈형성봉(30)을 회전토록 하므로서 밀봉이 돌출되어 전기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용이하게 뽑을수 있는 구조로 됨에 따라 소비자 내지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수 있음은 물론, 이로인해 콘센트에 플러그를 꼽은 채로 방치하는 일이 줄어들도록하여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전기플러그, 플러그몸체, 나선홈형성봉, 밀봉, 태엽, 회전케이스

Description

뽑기 쉬운 전기 플러그{omitt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 플러그의 탈거장치가 작동된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플러그 몸체, 11 ---밀봉과 나선홈형성봉 장착홈,
12 --- 밀봉돌기안내홈, 13 ---걸림턱받침,
14 --- 전기코드, 20 --- 밀봉,
21 --- 나선홈 돌기, 22 --- 밀봉돌기,
23 --- 나선홈형성봉 장착홈, 30 --- 나선홈형성봉,
31 --- 나선홈, 32 ---걸림턱,
33 --- 태엽고정끼움홈, 34 --- 회전케이스결합부분,
40 ---- 태엽, 41 --- 나선홈형성봉끼움,
42 --- 회전케이스끼움, 50 ---회전 케이스,
51 --- 태엽장착홈, 52 --- 태엽끼움홈,
53 --- 나사끼움위치, 54 --- 나선홈형성봉 장착홈,
55 --- 회전케이스돌기, 60 --- 플러그.
본 고안은 전기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를 콘센트부터 빼 내고자할 때 용이하게 탈거되도록 고안된 뽑기가 쉬운 전기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전기기구에 연결하여 사용되는 전기플러그는 파지하기 용이하게 형성된 손잡이가있는 플러그 몸체에 2개의 단자봉이 고정되어있고, 이 단자봉에 전선을 연결하여 된 것으로 전기플러그의 단자봉을 벽에 설치된 콘센트 또는 연결 사용의 다단콘센트에 꽂아서 전기 접속으로 전원이 연결되는 것이다, 이는 전기기구를 사용후에는 콘센트에 꼽혀져있는 전기플러그의 단자봉을 콘센트로부터 빼내므로서 전기 기구에 전원이 차단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전기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빼고 끼워넣는 조작에 불편함이있고, 또 전기줄을 당기는 습성으로 인하여 내부 전선이 절단되는 폐단이 있으며, 어떤 때는 단자봉을 빼기에 번거럽고 힘이들므로 해서 플러그를 꽂은채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도 있어 이로인해 전력손실이 발생하여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발생 하였다.
이에 본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 하기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기플러그를 콘센트로부터 용이하게 뽑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어 소비자 내지 사용자에게 편리 함을 제공 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인해 콘센트에 플러그를 꽂은채로 방치하는 일이 줄어 들도록하여 전력소비를 줄일수 있도록 된 뽑기가 쉬운 전기 플러 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은 전기코드의 단부에 연결된 전기플러그에있어 밀봉과 나선홈형성봉이 장착될수 있도록 형성된 플러그몸체에, 나선홈이 형성된 나선홈 형성봉과 밀봉을 장착하고, 회전케이스에 태엽을 장착한후 나선홈 형성봉과 결합하여 회전케이스의 회전으로 탈거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 하기로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기플러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플러그몸체(10)에 밀봉(20)과 나선홈형성봉(30)이 장착 될수있도록 밀봉과 나선홈형성봉 장착홈(11)과 밀봉돌기안내홈(12), 회전축이될 걸림턱받침(13)이 형성되어있고, 돌출로 콘센트로부터 탈거작용을 할 밀봉(20)에 나선홈돌기(21), 밀봉돌기(22), 나선홈형성봉 장착홈(23)이 형성되어있고 나선홈형성봉(30)에는 나선홈돌기(21)를 안내할 나선홈(31)과, 걸림턱받침(13)에 걸려 회전축이되는 걸림턱(32), 태엽고정끼움홈(33), 회전케이스 결합부분(34)이 형성되어있고 회전케이스(50)가 탈거작용후 원위치로 되돌아 올수있도록 작용할 태엽(40)에는 나선홈형성봉끼움(41)과 회전케이스끼움(42)이 형성되어있고, 회전작용으로 나선홈형성봉(30)을 회전하여 밀봉을 돌출시킬 회전케이스(50)에는 태엽장착홈(51), 태엽끼움홈(52), 나사끼움위치(53), 나선홈형성봉장착홈(54), 회전케이스돌기(55)가 형성되어 있다. 이의 조립은 플러그몸체(10)의 밀봉과 나선홈형성봉장착홈(11)에 나선 홈형성봉(30)을 걸림턱받침(13)에 걸림턱(32)이 걸리도록 장착하고, 나선홈(31)과 밀봉돌기안내홈(12)입구를 일치시키고 나선홈돌기(21)를 나선홈(31)에 밀봉돌기(22)를 밀봉돌기안내홈(12)에 맞추어 삽입하고, 회전케이스(50)의 태엽장착홈(51)에 태엽(40)을 장착시키면서 동시에 태엽끼움홈(52)에 태엽(40) 회전케이스끼움(42)을 맞추어 장착하고, 태엽(40)이 장착된 회전케이스(50)를 나선홈형성봉(30)과 결합하되 태엽(20)의 나선홈형성봉끼움(41)을 태엽고정끼움홈(33)에 끼움과 동시에 회전케이스결합부분(34)을 나선홈형성봉결합홈(54)에 장착하고 회전케이스(50)의 밑면의 나사끼움위치(53)에서 나사를 나선홈형성봉(30)까지 끼워넣어 회전케이스(50)와 나선홈형성봉(30)을 결합 고정 한다. 미설명 부호 14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기코드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 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기플러그의 탈거장치가 작동된 상태에서 도시한 사시도 이다.
콘센트(도시되지않음)에 플러그(60)가 연결된 상태에서 플러그(60)를 뽑고자 할때에는 한손의 엄지를 회전케이스(50)의 회전케이스돌기(55)옆면에 검지를 다른 회전케이스돌기(55)반대 옆면에 파지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케이스(50)와 결합된 나선홈형성봉(30)이 회전하면서 나선홈(31)에 장착된 나선홈돌기(21)와 밀봉돌기(22)가 장착된 밀봉돌기안내홈(12)에 의해 밀봉(20)이 돌출하면서 콘센트의 외부면을 밀치게되어 플러그(60)가 콘센트로부터 쉽게 탈거 될수 있다. 탈거후 회전케이스(50)에서 손을 놓게되면 회전케이스(50)의 회전으로 압축된 태엽이 풀리면서 회전케이스(50)와 밀봉(20)이 최초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된 본 고안에 의하면, 탈거장치의 작용에의해 전기플러그 를 콘센트로 부터 용이하게 뽑을 수 있는 구조로 됨에 따라 소비자내지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수 있음은 물론. 이로인해 콘센트에 플러그를 꼽은채로 방치하는 일이 줄어들도록 하여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있다.

Claims (1)

  1. 코드의 단부에 연결된 전기플러그에 있어서, 플러그몸체(10)에 밀봉(20)과 나선홈형성봉(30)이 장착될 밀봉과 나선홈형성봉장착홈(11)과 밀봉돌기안내홈(12)과 회전축이될 걸림턱받침(13)이 형성되어있고, 돌출로 콘센트로부터 탈거작용을 할 밀봉(20)에 나선홈돌기(21), 밀봉돌기(22), 나선홈형성봉장착홈(23)이 형성되어있고, 회전케이스(50)와 결합하여 밀봉(20)을 돌출시킬 나선홈형성봉(30)에는 나선홈돌기(21)를 안내할 나선홈(31)과, 걸림턱받침(13)에 걸려 회전축이되는 걸림턱(32), 태엽고정끼움홈(33), 회전케이스 결합부분(34)이 형성되어있고, 회전케이스(50)가 탈거작용후 되돌아 올수있도록 작용할 태엽(40)에는 나선홈형성봉끼움(41)과 회전케이스끼움(42)이 형성되어있고 회전작용으로 나선홈형성봉(30)을 회전하여 밀봉을 돌출시킬 회전케이스(50)에는 태엽장착홈(51), 태엽끼움홈(52), 나사끼움위치(53), 나선홈형성봉 장착홈(54), 회전케이스돌기(55)가 형성되어, 회전케이스(50)의 회전으로 밀봉(20)이 돌출하여 플러그(60)가 탈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뽑기 쉬운 전기플러그.
KR2020060011707U 2006-05-02 2006-05-02 뽑기 쉬운 전기 플러그 KR2004227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707U KR200422785Y1 (ko) 2006-05-02 2006-05-02 뽑기 쉬운 전기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707U KR200422785Y1 (ko) 2006-05-02 2006-05-02 뽑기 쉬운 전기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785Y1 true KR200422785Y1 (ko) 2006-08-02

Family

ID=41771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707U KR200422785Y1 (ko) 2006-05-02 2006-05-02 뽑기 쉬운 전기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7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936B1 (ko) * 2007-12-07 2009-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커넥터 체결구조
KR101258032B1 (ko) * 2011-11-21 2013-04-24 홍수형 전원 플러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936B1 (ko) * 2007-12-07 2009-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커넥터 체결구조
KR101258032B1 (ko) * 2011-11-21 2013-04-24 홍수형 전원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8013B2 (ja) 電気プラグ
CN202094414U (zh) 电气连接装置
JP6306746B2 (ja) 分離が容易な電源プラグ及び電源プラグアダプター
KR200422785Y1 (ko) 뽑기 쉬운 전기 플러그
KR20080001837U (ko) 콘센트로부터 탈거가 용이한 전기 플러그
ITMI20080652A1 (it) Presa o spina industriale provvista di morsetti a molla con attuatori
US20050121276A1 (en) Electrical appliance having a wire winding device
US10714870B1 (en) Electrical socket
KR101303167B1 (ko) 지렛대를 이용한 플러그
US960544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tegrated with a key
CN204720618U (zh) 一种防误拔插头
KR101249792B1 (ko) 대기전력 차단용 그린 콘센트
CN213399237U (zh) 电源尾线连接固定结构及发型处理器
ITMI20071315A1 (it) Presa interbloccata
KR200414376Y1 (ko) 뽑기 편리한 전기 플러그
KR101567801B1 (ko) 전원 공급의 안정성을 높인 공동주택 설치용 아웃렛
KR20100041659A (ko) 탈거와 식별이 용이한 전기 플러그
KR101668844B1 (ko) 휴대용 단말기 충전 콘센트
KR200335154Y1 (ko) 이동식 콘센트
KR200453815Y1 (ko) 소형가전의 탈부착가능한 전원케이블
KR200354269Y1 (ko) 탈거가 용이한 전기 플러그
KR20090044857A (ko) 탈거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CN209298397U (zh) 插座的电线插接装置
JP3137097U (ja) 取手つき電気プラグカバー
KR101275220B1 (ko) 절전용 플러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