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564Y1 - 릴레이 - Google Patents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564Y1
KR200453564Y1 KR2020090015198U KR20090015198U KR200453564Y1 KR 200453564 Y1 KR200453564 Y1 KR 200453564Y1 KR 2020090015198 U KR2020090015198 U KR 2020090015198U KR 20090015198 U KR20090015198 U KR 20090015198U KR 200453564 Y1 KR200453564 Y1 KR 2004535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ase plate
relay
pai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1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철
김민호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51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5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5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5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23Details concerning sealing, e.g. sealing casing with res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7Details concerning mounting a rel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16Fastening of connecting parts to base or case; Insulating connecting parts from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8Terminal boar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단자를 포함하는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단자의 판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되 서로 소정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단자가 끼워지는 일측면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양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단자의 지지구조가 개선된 결과 릴레이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릴레이(relay), 단자, 결합구조

Description

릴레이{RELAY}
본 고안은 신호전류를 입력받아 부하전류를 온오프 제어하는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된 단자의 밀림 방지를 위해 상기 단자의 판면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를 갖는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릴레이(relay)라 함은 저 전류의 신호를 입력받아 코일에 인가시킴으로써 자력을 형성하고, 이 자력을 이용하여 접점 간을 접촉시켜 고 전류를 흐르도록 함으로써 부하를 구동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릴레이(100)는 요크(110), 코일(120), 가동접편(130), 아마추어(14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요크(11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측에는 코일(120)이 설치된다.
가동접편(130)은 'ㄱ'자 형상으로 굴곡 형성된 탄성부재로서, 수평으로 연장된 일단부(131)가 상기 요크(110)의 수평부(111)에 면접하여 결합하며 수직으로 연장된 타단부(132)는 아마추어(140)에 면접하여 결합한다.
아마추어(140)는 판 형상의 자성체로서 그 상단부가 상기 요크(110)의 좌측 단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접편(130)에 의해 고정되어 탄성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요크(110) 등은 하부의 베이스 플레이트(15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50)의 하부로는 코일 단자(160)와 부하 단자(170)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릴레이(10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외부로부터 코일 단자(160)에 전압이 인가되면 코일(120)에 전류가 흐르고, 이에 따라 전자석의 원리에 의해 아마추어(140)가 코일(120) 측으로 끌어당겨져 이와 결합된 가동접편(130) 하단의 가동접점(135)이 당겨져 고정접점(도면 미도시)에 접촉함으로써 부하 단자(170)를 통한 고 전류의 통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코일 단자(160)를 통한 전압 인가를 해제하면 코일(120)의 자력이 없어지고, 아마추어(140)는 가동접편(1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 회동함으로써 가동접점(135)의 상기 고정접점에 대한 접촉이 해제됨으로써 부하 단자(170)를 통한 고 전류의 통전이 종료한다.
한편, 이상과 같은 릴레이(100)의 구조에서, 베이스 플레이트(150)와 코일 단자(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합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금속재질의 코일 단자(16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의 베이스 플레이트(150)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바, 이때 끼워진 코일 단자(160)의 고정을 위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단자(160)의 판면부 좌우 양측단으로 각기 뾰족한 모양의 돌출부(161, 162)가 마련된다.
이들 돌출부(161, 162)는 코일 단자(160)가 베이스 플레이트(150)에 억지끼 움되는 과정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50)의 내부로 파고들어가 안착됨으로써 코일 단자(160)의 고정을 달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50)와 코일 단자(160)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특히 릴레이(100)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상기 코일 단자(160)가 상대물의 단자홈부(female terminal)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밀려나 베이스 플레이트(150)로 더 파고들어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로 인해 코일 단자(160)의 돌출된 길이가 줄어들어 단락 내지 접점위치 상의 변경이 발생함으로써 전체 릴레이(100)의 고장이나 오작동의 원인이 되었다.
즉, 상기한 돌출부(161, 162)를 통한 코일 단자(160)의 지지구조로는 릴레이(100)의 충분한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단자의 지지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안정성이 향상된 릴레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고안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단자를 포함하는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판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되 서로 소정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단자가 끼워지는 일측면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양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는 상기 단자의 판면 상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쐐기부로 이루어지고, 각 쐐기부의 수직면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면부를 양 방향에서 접촉하여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쐐기부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는 2 이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단자를 포함하는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판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단자가 끼워지는 일측면부의 외측면이 상기 지지돌기에 의해 접촉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단자의 판면 상에 돌출 형성된 쐐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쐐기부의 수직면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면부의 외측면을 접촉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돌기를 2 이상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릴레이에 의하면,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하는 단자는 그 판면에 형성된 지지돌기를 통해 결과적으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어 외력에 의해 상기 단자가 밀려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베이스 플레이트(250)와 코일 단자(260)를 포함한다.
금속재질의 코일 단자(260)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재질의 베이스 플레이트(250)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바, 끼워진 코일 단자(260)의 고정을 위해서는 상기한 종래기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코일 단자(260)의 판면부 좌우 양측단으로 각기 뾰족한 모양의 돌출부(도 5의 261, 262)가 마련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260)의 판면 상단부 부위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돌기(263, 264)를 더 포함한다.
이들 지지돌기(263, 264)는 상호간 수직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며 수평 방향으로는 좌우로 다소 어긋나게 배치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이들 상하 한 쌍의 지지돌기(263, 26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쐐기부로 이루어진다.
즉, 하부의 지지돌기(263)는 쐐기부의 수직면(263a)이 상방향으로 향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부의 지지돌기(264)는 그 쐐기부의 수직면(264a)이 하방향으로 향한다.
따라서, 지지돌기(263, 264) 간의 상기한 소정 거리는 상기 수직면들(263a, 264a) 간의 거리가 된다.
이상과 같은 한 쌍의 지지돌기(263, 264)를 구비한 코일 단자(260)는 베이스 플레이트(250)와 도 7과 같은 결합 관계를 갖는다.
즉, 코일 단자(260)는 베이스 플레이트(250)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 결합 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지지돌기(263)와 상부의 지지돌기(264) 사이에 베이스 플레이트(250)의 하측면부가 개재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50)는 이들 지지돌기(263, 264)에 의해 상하 양 방향으로 지지된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플레이트(250)의 하측 일부를 이루는 단자 삽입부(251)의 중앙부(251a)가 그 상하 폭만큼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263, 264) 사이에 개재되되, 상기 중앙부(251a)의 하측면이 하부 지지돌기(263)의 수직면(263a)에 면접하고 상기 중앙부(251a)의 상측면이 상부 지지돌기(264)의 수직면(264a)에 면 접한다.
여기서, 지지돌기(263, 264) 간의 상기한 소정 거리는 결국 상기 단자 삽입부(251)의 중앙부(251a), 즉 베이스 플레이트(250)의 하측면부의 두께와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250)는 상하 방향으로 지지되어 코일 단자(260)의 상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고정되는 관계가 된다.
이를 바꾸어 얘기하자면, 코일 단자(260)는 상기한 한 쌍의 지지돌기(263, 264)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250)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코일 단자(260)를 상방향으로 가압하는 외력은 하부의 지지돌기(263)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250)에 의해 지지되므로, 코일 단자(260)가 상기 외력에 의해 쉽게 베이스 플레이트(250)의 내부로 파고들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상과 같은 한 쌍의 지지돌기(263, 264)는 필요에 따라서는 2 이상으로 마련되어 코일 단자(260)에 대한 베이스 플레이트(250)의 지지력을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외력에 의한 코일 단자(260)의 밀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하부의 지지돌기(263)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이 때에도 필요에 따라서는 이와 같은 하부의 지지돌기(263)를 2 이상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나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릴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릴레이를 구성하는 일부 요소들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일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를 구성하는 일부 요소들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일부만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일 부분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간의 구체적인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이들 구성요소들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릴레이 250: 베이스 플레이트
251: 단자 삽입부 260: 코일 단자
261, 262: 돌출부 263, 264: 지지돌기
263a, 264a: 수직면

Claims (7)

  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단자를 포함하는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판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되 서로 소정거리 이격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단자가 끼워지는 일측면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양방향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는 상기 단자의 판면 상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쐐기부로 이루어지고, 각 쐐기부의 수직면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면부를 양 방향에서 접촉하여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쐐기부는 수평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가 2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5.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단자를 포함하는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판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는 상기 단자가 끼워지는 일측면부의 외측면이 상기 지지돌기에 의해 접촉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단자의 판면 상에 돌출 형성된 쐐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쐐기부의 수직면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면부의 외측면을 접촉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는 2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KR2020090015198U 2009-11-24 2009-11-24 릴레이 KR2004535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198U KR200453564Y1 (ko) 2009-11-24 2009-11-24 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198U KR200453564Y1 (ko) 2009-11-24 2009-11-24 릴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3564Y1 true KR200453564Y1 (ko) 2011-05-16

Family

ID=4448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198U KR200453564Y1 (ko) 2009-11-24 2009-11-24 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56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8140U (ko) 1976-01-22 1977-07-23
WO1991013453A1 (de) * 1990-02-20 1991-09-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Sockel mit flachstecker und befestigungsverfahren hierzu
JPH08321342A (ja) * 1995-05-26 1996-12-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端子板の取り付け構造
JP2011112741A (ja) * 2009-11-25 2011-06-09 Olympus Imaging Corp カメ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8140U (ko) 1976-01-22 1977-07-23
WO1991013453A1 (de) * 1990-02-20 1991-09-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Sockel mit flachstecker und befestigungsverfahren hierzu
JPH08321342A (ja) * 1995-05-26 1996-12-0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端子板の取り付け構造
JP2011112741A (ja) * 2009-11-25 2011-06-09 Olympus Imaging Corp カメ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0961B2 (en) Electromagnetic relay and coil terminal
US10163588B2 (en) Electromagnetic relay including yoke-retaining bottom plate
CN101106041B (zh) 电继电器
US9741518B2 (en) Latch relay
US9299520B2 (en) Electromagnetic relay
CN103489717B (zh) 一种拍合式双磁路磁保持继电器
JP7423944B2 (ja) 電磁継電器
US8373525B2 (en) Electromagnetic contactor
JP2007018942A (ja) 電磁リレー
JP2019175603A (ja) リレー
KR200437542Y1 (ko) 릴레이의 결합 구조
JP5549642B2 (ja) 継電器
KR200453564Y1 (ko) 릴레이
JP2014165152A (ja) 電磁継電器
JP2014102908A (ja) 接点装置
JP2011081956A (ja) 電磁継電器
KR200446415Y1 (ko) 전자 접촉기의 가동 코어 어셈블리
KR200437541Y1 (ko) 릴레이의 가동접편 설치구조
KR200453100Y1 (ko) 릴레이
JP2013196923A (ja) 電磁継電器およびその接点構造
KR200455422Y1 (ko) 릴레이
CN110473743B (zh) 一种可保证衔铁或动簧片正常动作的继电器
JP6327992B2 (ja) 電磁継電器
US20160379785A1 (en) Electromagnetic Relay
CN107706052B (zh) 一种铁芯摆动式继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