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7541Y1 - 릴레이의 가동접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릴레이의 가동접편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7541Y1
KR200437541Y1 KR2020060032535U KR20060032535U KR200437541Y1 KR 200437541 Y1 KR200437541 Y1 KR 200437541Y1 KR 2020060032535 U KR2020060032535 U KR 2020060032535U KR 20060032535 U KR20060032535 U KR 20060032535U KR 200437541 Y1 KR200437541 Y1 KR 200437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yoke
relay
contact piec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25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근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325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75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7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75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0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movable inside coil and substantially lengthwise with respect to axis thereof; movable coaxially with respect to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6Contact arrangements for contactors having bridging conta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릴레이의 가동접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코일이 설치된 요크에 가동접편이 고정 장착되고, 상기 가동접편이 코일의 자화여부에 따라 전원의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을 단속하여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릴레이에서, 상기 요크에 돌출 설치된 돌기와 가동접편의 고정부에 관통 형성된 결합홈이 끼워져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가동접편의 고정부 양단에 걸림 절곡편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크의 양단에 상기 가동접편의 걸림 절곡편이 걸려져 고정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가동접편의 고정부와 코일의 자화에 따라 탄성 작동하는 가동부가 라운드 진 곡선탄성부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릴레이는 가동접편의 양쪽에 돌출 형성된 절곡편이 릴레이의 몸체를 이루는 요크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려져 결합되게 함과 더불어, 가동접편의 고정부에 관통 형성된 결합홈이 요크에 돌출 형성된 돌기에 끼워져 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가동접편과 요크가 2지점에서 정확하게 결합되어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릴레이는 상기 가동접편의 고정부와 가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분이 곡선탄성부에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동접편이 탄력적으로 작동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릴레이, 가동접편, 가동접편 설치구조, 가동접편 설치, 요크

Description

릴레이의 가동접편 설치구조{CONSTRUCTION FOR MOUNTING THE MOVING PLATE OF A RELAY}
도 1은 본 고안의 릴레이 가동접편 설치구조에 따른 릴레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릴레이 가동접편 설치구조에 따른 릴레이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릴레이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릴레이의 가동접편이 요크에서 분리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일반적인 릴레이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요크 3 - 코일
5 - 가동접편 7 - 폴 코아
9 - 아마츄어 11 - 고정부
13 - 가동부 15 - 결합홈
17 - 돌기 19 - 걸림 절곡편
21 - 걸림홈 23 - 곡선탄성부
본 고안은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는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릴레이의 가동접편이 본체를 이루는 요크에 단단하게 결합되어지게 함과 더불어 가동접편이 탄력적으로 작동되어질 수 있게 한 릴레이의 가동접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장치에 사용하는 릴레이는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는 전기부품으로서, 철심으로 이루어진 요크의 내부에 코일을 장착하고 요크에 가동접편을 설치하여, 상기 코일에 저 전류를 인가하면 코일부에 형성된 자력에 의하여 가동접편이 이동하면서 고 전류의 접촉단자를 연결시켜 줌으로써 저 전류의 제어에 의하여 고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되어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릴레이는 통상적으로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철편으로 이루어진 요크(51)의 내부에 코일(53)을 설치하고, 상기 요크(51)의 외부에 가동접편(55)의 한쪽 선단을 고정 설치하여 상기 코일(53)의 자화 여부에 따라 가동접편(55)이 탄력적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일반적인 릴레이는 상기 가동접편(55)을 요크(51)에 장착시키는 고정부(57)가 요크(51)에 결합될 때, 상기 요크(51)의 윗면에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돌기(59)가 가동접편(55)에 관통 형성된 결합홈(61)속에 끼워져 결합되어지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접편(55)을 요크(51)에 조립하기 위해 상기 요크(51)의 돌기(59)를 결합홈(61)에 끼워져 결합시킬 때, 상기 돌기(59)에 대한 가동접편(55)의 위치가 전후 방향으로 미세하지만 이동할 수가 있어 요크(51)에 대한 가동접편(55)의 간격이 일정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릴레이를 조립할 때마다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릴레이 구조에서는 상기 가동접편(55)의 초기 조립시 위치의 불안정에 따른 조립불량이 다수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릴레이에서는 상기 요크(51)에 고정 설치되는 가동접편(55)의 고정부(57)와 코일(53)의 자화 여부에 따라 이동하는 가동부(63)를 연결하는 연결부(65)가 직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부(63)가 탄성적으로 이동하지 못하여 코일(53)의 자화여부에 따라 가동접편(55)이 정확하게 작동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고, 릴레이의 사용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가동접편(55)의 탄성이 떨어지게 됨으로 인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가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릴레이에서 발생하는 가동접편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가동접편의 설치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조립 불량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함은 물론, 가동접편이 탄성적으로 작동하게 하여 정확한 전류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게 한 릴레이의 가동접편 설치구조를 제공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릴레이 가동접편 설치구조는 코일이 설치된 요크에 가동접편이 고정 장착되고, 상기 가동접편이 코일의 자화여부에 따라 전원의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을 단속하여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릴레이에서, 상기 요크에 돌출 설치된 돌기와 가동접편의 고정부에 관통 형성된 결합홈이 끼워져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가동접편의 고정부 양단에 걸림 절곡편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크의 양단에 상기 가동접편의 걸림 절곡편이 걸려져 고정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릴레이는 상기 가동접편의 고정부와 코일의 자화에 따라 탄성 작동하는 가동부가 라운드 진 곡선탄성부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릴레이는 가동접편의 양쪽에 돌출 형성된 절곡편이 릴레이의 몸체를 이루는 요크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려져 결합되게 함과 더불어, 가동접편의 고정부에 관통 형성된 결합홈이 요크에 돌출 형성된 돌기에 끼워져 결합되게 함으로써, 상기 가동접편과 요크가 2지점에서 정확하게 결합되어 흔들림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릴레이는 상기 가동접편의 고정부와 가동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분이 곡선탄성부에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동접편이 탄력적으로 작동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고안에 따른 릴레이의 가동접편이 장착된 릴레이의 사시도이고, 도면 2는 본 고안에 따른 릴레이의 가동접편이 장착된 릴레이의 정면도로서,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릴레이는 다수개의 철편으로 이루어진 요크(1)의 내부에 전자석을 이룰 수 있게 전선이 감겨져 뭉치를 이루는 코일(3)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요크(1)의 외부에 코일(3)의 자화 여부에 따라 탄성적으로 작동하는 가동접편(5)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3)의 한쪽 선단에 철편으로 이루어진 폴 코아(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동접편(5)의 내면에는 코일(3)의 자화 작동에 의해 상기 폴 코아(7)와 접촉되는 아마츄어(9)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가동접편(5)은 상기 요크(1)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부(11)와 상기 코일(3)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이루게 배치되어 있으면서 코일(3)의 자화 작동에 따라 이동하는 가동부(13)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고정부(11)에는 결합홈(15)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홈(15)을 요크(1)의 상단에 돌출 형성된 돌기(17)에 끼워 결합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접편(5)의 고정부(11) 양단에 걸림 절곡편(19)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접편(5)의 고정부(11)가 결합되는 요크(1)의 양단에는 상기 걸림 절곡편(17)이 걸려져 고정되는 걸림홈(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릴레이에서는 상기 가동접편(5)의 고정부(11)와 가동부(13)가 라운드 처리 된 곡선탄성부(23)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릴레이는 상기 요크(1)에 설치된 코일(3)의 자화 여부에 따라 요크(1)의 바깥쪽에 설치된 가동접편(5)의 가동부(13)가 고정부(11)를 지지점으로 하여 화살표(25)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아마츄어(9)와 폴 코아(7)가 접촉하거나 떨어져 전류의 흐름을 단속해 주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릴레이는 상기 가동접편(5)이 고정부(11)와 요크(1)의 결합이 고정부(11)에 관통 형성된 결합홈(15)과 요크(1)의 돌기(17)의 맞춤뿐만 아니라, 고정부(11)의 양쪽 선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 절곡편(19)과 요크(1)에 형성된 걸림홈(21)의 맞춤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어 있으므로, 가동접편(5)과 요크(1)를 결합시킬 때 가동접편(5)의 조립 전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릴레이의 조립완성 후 가동접편(5)의 흔들림이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가동접편의 작동 접점이 항상 일정하게 이루어져 접촉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접편(5)이 코일(3)의 자화 작동에 따라 이동하면서 아마츄어(13)와 폴 코아(7)의 접촉을 단속시켜 줄 때, 상기 가동접편(5)의 고정부(11)와 가동부(13)가 곡선탄성부(23)에 의해 부드러우면서도 탄력이 있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동접편(5)의 작동 탄성력이 증가하게 되어 정확한 단속 작동이 이루어지게 할 수가 있고, 본 고안에 따른 릴레이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가동접편(5)의 탄성력이 줄어 들지 않아 릴레이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릴레이의 가동접편 구조는 요크(1)에 고정되는 가동접편(5)의 고정부(11)가 결합홈(15)과 돌기(17)에 의해 결합됨과 더불어, 고정부(11)의 양쪽 선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 절곡편(19)이 요크(1)에 형성된 걸림홈(21)에 끼워져 결합되게 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동접편(5)이 요크(1)에 결합된 후에도 흔들거림이 발생하거나 정확한 제 위치에 결합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조립 불량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코일(3)이 설치된 요크(1)에 가동접편(5)이 고정 장착되고, 상기 가동접편(5)이 코일의 자화여부에 따라 전원의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을 단속하여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요크(1)에 돌출 설치된 돌기(17)와 가동접편(5)의 고정부(11)에 관통 형성된 결합홈(15)이 끼워져 결합됨과 더불어, 상기 가동접편(5)의 고정부(11) 양단에 걸림 절곡편(19)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크의 양단에 상기 가동접편(5)의 걸림 절곡편(19)이 걸려져 고정되는 걸림홈(2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릴레이의 가동접편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편(5)의 고정부(11)와 코일(3)의 자화에 따라 탄성 작동하는 가동부(13)가 라운드 진 곡선탄성부(23)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의 가동접편 결합구조
KR2020060032535U 2006-12-26 2006-12-26 릴레이의 가동접편 설치구조 KR200437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535U KR200437541Y1 (ko) 2006-12-26 2006-12-26 릴레이의 가동접편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2535U KR200437541Y1 (ko) 2006-12-26 2006-12-26 릴레이의 가동접편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7541Y1 true KR200437541Y1 (ko) 2007-12-11

Family

ID=41628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2535U KR200437541Y1 (ko) 2006-12-26 2006-12-26 릴레이의 가동접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754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425B1 (ko) 2008-11-18 2010-12-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전류 제어용 릴레이
KR100998423B1 (ko) 2008-11-25 2010-12-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전류 제어용 릴레이의 가동접편 및 코일핀 결합구조
KR200453100Y1 (ko) * 2009-06-01 2011-04-0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릴레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425B1 (ko) 2008-11-18 2010-12-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전류 제어용 릴레이
KR100998423B1 (ko) 2008-11-25 2010-12-0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전류 제어용 릴레이의 가동접편 및 코일핀 결합구조
KR200453100Y1 (ko) * 2009-06-01 2011-04-06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릴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3403B2 (en) Electrical switching devices having moveable terminals
CN110223868B (zh) 电磁继电器
JP6361743B2 (ja) 電磁継電器
US4727344A (en) Electromagnetic drive and polarized relay
JP2006262695A (ja) 永久磁石を利用したアクチュエータ
CN106057582B (zh) 电磁继电器
KR200437541Y1 (ko) 릴레이의 가동접편 설치구조
US20130307649A1 (en) Electromagnetic relay
JP5549642B2 (ja) 継電器
KR100993920B1 (ko) 솔레노이드 액추에이터
KR200439910Y1 (ko) 릴레이
KR100998423B1 (ko) 전류 제어용 릴레이의 가동접편 및 코일핀 결합구조
JP2005183097A (ja) 電磁リレー
JP6704172B2 (ja) 電磁継電器
WO2016152444A1 (ja) コイル端子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磁継電器
CN109716477B (zh) 电磁继电器
EP0157029A1 (en) Electromagnetic drive and polarized relay
JP2006059702A (ja) 電磁継電器
KR102323604B1 (ko) 릴레이 장치
CN212365865U (zh) 触点装置、电磁继电器和具备电磁继电器的装置
KR200455422Y1 (ko) 릴레이
JPH07263219A (ja) 直流電磁石装置及び電磁接触器
KR20000070845A (ko) 유동 홀과 유동 돌출부
JP6675103B2 (ja) 電磁継電器
JP6697732B2 (ja) 電磁継電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