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215Y1 - 유압장비용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밸브 몸체 - Google Patents

유압장비용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밸브 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215Y1
KR200453215Y1 KR2020090006825U KR20090006825U KR200453215Y1 KR 200453215 Y1 KR200453215 Y1 KR 200453215Y1 KR 2020090006825 U KR2020090006825 U KR 2020090006825U KR 20090006825 U KR20090006825 U KR 20090006825U KR 200453215 Y1 KR200453215 Y1 KR 2004532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remote control
spool hole
oil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6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086U (ko
Inventor
김민준
Original Assignee
하이드로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드로텍(주) filed Critical 하이드로텍(주)
Priority to KR2020090006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215Y1/ko
Publication of KR201000120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0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2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21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1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cylindrical slid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6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 F16K11/07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linearly sliding closure members with cylindrical sl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삭가공시 정도가 향상되게 제작될 수 있도록 한 유압장비용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밸브 몸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유압장비용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밸브 몸체는, 스풀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스풀구멍(13)이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이 스풀구멍(13)에 횡방향으로 접속하도록 복수개의 오일통로(12)가 형성되어 상기 스풀이 상기 스풀구멍(13)을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오일통로(12)를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함으로써 유압펌프의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압장비용 리모트 컨트롤 밸브의 밸브 몸체에 있어서, 상기 스풀구멍(13)의 길이방향 하부 선단의 내벽에, 상기 스풀구멍(13)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절삭유 잔류홈(13a)이 상기 스풀구멍(1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모트 컨트롤, 밸브, 스풀, 포트, 오일

Description

유압장비용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밸브 몸체{VALVE BLOCK OF A REMOTE CONTROL VALVE FOR HYDRAULIC EQUIPMENT}
본 고안은 유압장비용 리모트 컨트롤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밸브 몸체에 구비된 스풀구멍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설기계, 농기계, 운반기계 등과 같은 유압장비는 유압펌프의 압유를 유압모터, 작업장치용 유압실린더, 제동장치 등과 같은 각종 유압액츄에이터에 선택적으로 공급하여 주행과 여러가지 작업장치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은 유압펌프의 압유의 방향제어는 장비의 운전석 부근에 설치된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유압장비에서 리모트 컨트롤밸브는 유압펌프의 압유가 각종 유압액츄에이터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유압펌프의 압유의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리모트 컨트롤 밸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라인과 연결되는 복수의 포트(11)와, 상기 포트(11)를 연결하는 오일통로(12) 및 상기 오일통로를 개폐시키시는 스풀(도시생략)이 슬라이드이동하는 스풀구멍(13)이 하나 이상 형성된 밸브 몸체(10)를 구비한다.
그런데, 상기 밸브 몸체(10)의 스풀구멍(13)과 스풀사이의 간극은 리모트 컨 트롤밸브의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예컨대 스풀구멍(13)과 스풀사이의 간극이 너무 작으면, 스풀과 스풀구멍과의 사이의 면압이 높아져 스풀의 작동이 원활하지 않아서 조작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스풀구멍(13)과 스풀 사이의 간극이 지나치게 크면, 스풀구멍과 스풀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압유의 누설이 발생하여 정확하고 정밀한 제어를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통상 스풀의 외경과 스풀구멍의 내경을 연마하여 치수를 정밀하게 유지하는 한편, 표면조도도 향상시킴으로써 이들 양자간의 간극을 미세하고 균일하게 유지시킨다.
한편, 스풀구멍(13)의 가공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조 등에 의해 규정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 스풀구멍(13)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밸브 몸체(10)를 호닝장비의 테이블 위에 고정하고, 그리고나서 스풀구멍(13)을 리이머(reamer)로 가공하여 내경치수를 정밀하게 가공하고, 최종적으로 리이머로 가공한(reaming) 스풀구멍(13)의 내경안으로 호닝 절삭유를 일정하게 공급하면서 호닝(horning) 숫돌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상하 반복하여 스풀구멍(13)안으로 이동시켜 스풀구멍(13)의 내경 치수를 정밀하게 마무리 가공하는 동시에 내경의 표면조도를 향상시킨다.
그런데, 호닝가공중에 공급하는 절삭유는 스풀구멍(13)의 중간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유로를 통하여 배출되고 스풀구멍(13)의 하부까지 공급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절삭유가 스풀구멍(13)의 하부까지 충분한 절삭유가 공급되지 않음으로써, 스풀구멍을 호닝가공할 때 스풀구멍의 하부에서는 절삭열에 의해 스풀 구멍의 치수가 절삭유가 원활히 공급되어 가공되는 스풀구멍의 상부에 비하여 커지는 소위 '오버사이즈(oversize)'의 불량이 발생한다.
스풀구멍의 부분적인 오버사이즈는 스풀의 외경과 스풀구멍 내경 사이에 간격을 불일정하게 하여 스풀과의 면압을 불균일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유압제어를 정밀하게 할 수 없는 문제를 일으킨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밸브 몸체 구조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밸브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스풀구멍의 연삭(호닝)가공시 스풀구멍 상측에서 공급되는 절삭유가 스풀구멍의 하부까지 골고루 충분히 공급되도록 하여, 스풀구멍의 하부의 치수가 상부의 치수에 비하여 크게 가공되는 오버사이즈 혹은 테이퍼(taper)지는 가공불량을 방지한 유압장비용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밸브 몸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유압장비용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밸브 몸체는, 스풀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스풀구멍이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이 스풀구멍에 횡방향으로 접속하도록 복수개의 오일통로가 형성되어 상기 스풀이 상기 스풀구멍을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오일통로를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함으로써 유압펌프의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압장비용 리모트 컨트롤 밸브의 밸브 몸체에 있어서, 상기 스풀구멍의 길이방향 하부 선단의 내벽에, 상기 스풀구멍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절삭유 잔류홈이 상기 스풀구멍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삭유 잔류홈은 상기 스풀구멍에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밸브 몸체에 따르면, 상기 스풀구멍의 호닝과 같은 절삭 가공 도중에 스풀구멍의 상측 입구에서 공급되는 절삭유가 스풀구멍의 하부에서 잔류홈안에 잔류하여 호닝가공의 절삭열을 제거함으로써 스풀구멍의 하부 직경이 절삭열에 의해 오버사이즈나는 불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밸브 스풀구멍의 가공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스풀구멍의 가공정도가 향상됨으로써 리모트 컨트롤밸브는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밸브 몸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밸브 몸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밸브 몸체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내부구조를 도시한 종단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밸브 몸체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밸브 몸체(10)는 도 2에 종단 사시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유압펌프의 토출구측과 연결되는 입구 포트(11a)와 탱크와 연통되는 배출포트(11a, 11b)가 형성되고, 이들 포트(11a,11b)와 연통되게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2개의 스풀구멍(13)과, 이들 스풀구멍(13)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은 외측으로 개방되어 유압엑츄에이터측 유압라인과 연통되거나 다른 오일통로(12)와 연통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오일통로(12)를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밸브 몸체(10)는 주조에 의해서 성형된다. 스풀구멍(13)은 주조에서 형성되고나서 드릴링 또는 리이밍 또는 호닝등과 같은 후가공에 의해 최종치수가 완성된다.
오일통로(12)는 복수로 마련된 포트(11)를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밸브 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오일통로(12)는 어느 하나의 포트(11)에 연결되되, 내부에서 분기되어 서로 다른 포트(11) 또는 다른 오일통로(12)에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밸브 몸체(10)의 내부에서 오일통로(12)가 분기된 이후에, 포트(11)중에서 어느 하나로만 연통되거나 다른 오일통로(12)에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장비에 탑승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유압펌프에서 가압된 오일이 선택적으로 포트(11)를 통하여 액츄에이터로 공급함으로써, 장비의 가동부위를 작동시킨다.
스풀구멍(13)은 내부에 수용된 스풀의 슬라이딩에 의해 오일통로(12)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오일이 유동하는 경로를 결정시킨다. 상기 스풀은 슬라이딩되게 상기 스풀구멍(13)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에 의해서 상기 오일통로(12)를 선택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장비의 각 액츄에이터가 작동하도록 한다. 상기 스풀구멍(13) 내에서 스풀이 작동하여 오일통로(12)를 결정하는 것은 통상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스풀구멍(13)은 주조에 의해서 1차적으로 가공된 상태에서, 스풀구멍(13)의 내부에 수용되는 스풀의 외경에 대응하는 치수로 호닝가공되는데, 이때 스풀구멍(13)의 상단 입구를 통하여 절삭유를 호닝가공되고 있는 스풀구멍(13)안으 로 절삭유를 공급하여, 절삭부위를 냉각시키고 절삭공구의 수명을 연장하며 절삭면을 매끄럽게 한다. 하지만, 상기 절삭유는 스풀구멍(13)의 중간에 형성된 오일통로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스풀구멍(13)의 하부까지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풀구멍(13)의 길이방향 하단 내벽에 절삭유 잔류홈(13a)이 형성되도록 한다.
절삭유 잔류홈(13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구멍(13)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됨으로써, 스풀구멍(13)의 호닝가공중에 공급된 절삭유가 상기 절삭유 잔류홈(13a)에 잔류하게 된다. 상기 절삭유 잔류홈(13a)에 잔류한 절삭유는 스풀구멍(13)의 하단부를 호닝가공하는 도중에 절삭부위에 공급됨으로써, 스풀구멍(13)과 공구 사이에서 절삭유의 부족으로 인한 스풀구멍(13)의 오버사이즈(oversize)와 같은 불량을 방지하는 한편, 절삭면의 표면조도를 향상시켜 스풀구멍(13)을 정밀한 치수로 절삭가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절삭유 잔류홈(13a)은 상기 스풀구멍(13) 상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풀구멍(13)을 정해진 치수로 가공하는 동안에 상기 스풀구멍(13)으로 고르게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절삭유 잔류홈(13a)에 잔류한 절삭유는 세척과정을 통하여 제거된 상태에서 내부에 스풀을 삽입하고, 유압라인과 연결하여 조립함으로써, 리모트 컨트롤러가 된다.
한편, 상기 절삭유 잔류홈(13a)은 주조과정 중에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절삭유 잔류홈(13a)은 스풀구멍(13)을 정밀 가공하는 과정중에 절삭유를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인 바, 밸브 몸체(10)가 주조될 때 미리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절삭유 잔류홈(13a)은 정밀하게 가공되어야 하는 스풀구멍(13)의 내측면과는 달리, 상기 절삭유 잔류홈(13a)은 상기 스풀구멍(13)의 내경보다 큰 직경으로만 형성되기만 하면 되는 것으로서, 스풀구멍(13)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주물내에 삽입되는 코어의 일부가 다른 부분에 비하여 외경이 크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절삭유 잔류홈(13a)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정도를 향상시켜 스풀구멍(13)을 정밀한 치수로 가공함으로써, 상기 스풀구멍(13)과 스풀 사이의 간극을 열변형의 영향없이 설계한 바대로 유지할 수 있어서, 상기 오일통로(12)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때, 오일의 누유없이 가동부위의 액츄에이터로 공급됨으로써, 장비의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오일이 오일통로(12)로부터 누유되지 않으므로, 장비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압장비용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밸브 몸체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압장비용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밸브 몸체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내부구조를 도시한 종단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유압장비용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밸브 몸체의 길이방향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 : 밸브 몸체
11, 11a, 11b : 포트
12 : 오일통로
13 : 스풀구멍
13a : 절삭유 잔류홈

Claims (2)

  1. 스풀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스풀구멍(13)이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되고, 이 스풀구멍(13)에 횡방향으로 접속하도록 복수개의 오일통로(12)가 형성되어 상기 스풀이 상기 스풀구멍(13)을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개의 오일통로(12)를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차단함으로써 유압펌프의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유압장비용 리모트 컨트롤 밸브의 밸브 몸체에 있어서,
    상기 스풀구멍(13)의 길이방향 하부 선단의 내벽에, 상기 스풀구멍(13)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절삭유 잔류홈(13a)이 상기 스풀구멍(1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비용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밸브 몸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유 잔류홈(13a)은 상기 스풀구멍(13)에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장비용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밸브 몸체.
KR2020090006825U 2009-06-02 2009-06-02 유압장비용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밸브 몸체 KR2004532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825U KR200453215Y1 (ko) 2009-06-02 2009-06-02 유압장비용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밸브 몸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6825U KR200453215Y1 (ko) 2009-06-02 2009-06-02 유압장비용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밸브 몸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086U KR20100012086U (ko) 2010-12-10
KR200453215Y1 true KR200453215Y1 (ko) 2011-04-15

Family

ID=44204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6825U KR200453215Y1 (ko) 2009-06-02 2009-06-02 유압장비용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밸브 몸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215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4617A (ko) 1974-02-22 1975-09-08
JPH08210541A (ja) * 1995-10-23 1996-08-20 Komatsu Ltd バルブボディ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330162A (ja) 2000-05-23 2001-11-30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アンロード弁
US20060065870A1 (en) 2004-09-24 2006-03-30 Denso Corporation Flow control valv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4617A (ko) 1974-02-22 1975-09-08
JPH08210541A (ja) * 1995-10-23 1996-08-20 Komatsu Ltd バルブボディ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330162A (ja) 2000-05-23 2001-11-30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アンロード弁
US20060065870A1 (en) 2004-09-24 2006-03-30 Denso Corporation Flow control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086U (ko) 201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55753B1 (en) Selectively biased tool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EP17952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deep holes and/or bottle-boring
KR102599159B1 (ko) 원심력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보링 바아
MX2014006023A (es) Terminal de fluido hidraulico que tiene una interseccion esferica de orificio transversal.
KR200453215Y1 (ko) 유압장비용 리모트 컨트롤밸브의 밸브 몸체
DE602005002261T2 (de) Schleifmaschine und kühlmittelzufuhrverfahren dafür
EP2759373A2 (en) A method of fluid pressure control in a hydrostatic burnishing tool and hydrostatic burnishing tool
JP3907900B2 (ja) ボーリング加工装置および加工方法
JP6181709B2 (ja) 工作機械の制御装置
JP5401223B2 (ja) 深穴加工方法および深穴加工装置
CN113738315B (zh) 油嘴套和井口装置
CN202399128U (zh) 珩磨头内部喷油式冷却机构
CN212635435U (zh) 一种精确快速液力挤压滑阀微细计量孔夹具
KR0180969B1 (ko) 호닝 가공방법 및 호닝 가공장치
JP3692731B2 (ja) 切削・研削加工方法及び工作機械
JP3654761B2 (ja) 工作機械のパレット交換装置
JP6333689B2 (ja) 工作機械及びワーク加工方法
JP2017100193A (ja) 縦型旋盤
JP5227918B2 (ja) 内在物除去装置
CN211867093U (zh) 一种飞机起落架轮轴减轻孔高效加工装置
KR20200087528A (ko) 공작기계용 쿨런트 필터장치
US20100115772A1 (en) Method for lapping, grinding, honing and polishing seal surfaces on inner diameter of semi-blind cavity in valve body
JP5353327B2 (ja) ボーリング加工方法
JPH07308854A (ja) ホーニング加工方法及びホーニング加工装置
JPH077842U (ja) 内面研削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