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942Y1 -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 - Google Patents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942Y1
KR200452942Y1 KR2020100012506U KR20100012506U KR200452942Y1 KR 200452942 Y1 KR200452942 Y1 KR 200452942Y1 KR 2020100012506 U KR2020100012506 U KR 2020100012506U KR 20100012506 U KR20100012506 U KR 20100012506U KR 200452942 Y1 KR200452942 Y1 KR 2004529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ver
grinder
close contact
contact portion
sk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5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엽
Original Assignee
이창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엽 filed Critical 이창엽
Priority to KR20201000125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9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9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94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23/00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 B24B23/02Portable grinding machines, e.g. hand-guided; Accessories therefor with rotating grinding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4Protective covers for the grinding 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몸체의 일부분이 탄성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환형의 스커트가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그라인딩 각도를 변형시켜가며 그라인딩 할 수 있으며 동시에 그라인딩시 발생되는 분진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단순한 구성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저렴하게 생산 및 판매할 수 있는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Hand grinder dust cover}
본 고안은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몸체의 일부분이 탄성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환형의 스커트가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원활하게 그라인딩 각도를 변형시켜가며 그라인딩 할 수 있으며 동시에 그라인딩시 발생되는 분진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단순한 구성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저렴하게 생산 및 판매할 수 있는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핸드그라인더는 콘크리트면이나 금속 구조물에 발생하는 버 등의 제거를 위하여 사용되는 기계장치로써 소형으로서 작업자가 쉽게 파지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된다.
또한, 핸드그라인더의 전방에는 연마면과 밀착되는 그라인더날이 장착되고 그 외주면에 그라인딩시 발생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진커버가 장착된다.
상기 분진커버는 일반적으로 그라인더의 외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면에 연마시 발생되는 분진을 모아서 분집 흡입장치로 이송하는 이송로가 일체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의 구성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분진커버는 그라인더가 그라인딩에 의하여 소모됨에 따라 분진커버의 외면이 연마대상물의 바닥면에 닿아 그라인더날이 대상물의 표면에 닿지 못하여 그라인딩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자주 그라인더를 교체하여야 함으로써 그라인더의 소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분진커버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많이 발생하며 이러한 이유에 의하여 단가의 상승으로 일반 소비자들이 쉽게 구입하여 사용하지 못함으로써 그라인딩 작업중 그라인더 날이 깨지는 경우 작업자가 다치는 등의 산업재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그라인더의 헤드부에 장착되는 분진커버가 탄성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그라인딩 작업시에도 분진커버에 걸림이 없도록 함으로써 원활하게 분진의 비산이 방지된 상태로 그라인딩 작업을 할 수 있으며 그라인더 날을 최대한 사용함으로써 그라인더날의 수명을 연장시켜 작업에 소요되는 그라인더날을 절감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분진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으로서 분진커버를 단순하게 그라인딩시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제조원가와 소비자가를 절감하여 소비자들이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율을 높여 안전한 그라인딩 작업을 유도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분진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분진커버의 몸체에 스프링 형태의 장공을 형성하여 탄성을 갖도록 형성하면서도 그 외주면을 고무코팅하여 형성함으로써 장공이 고무에 의하여 밀폐되는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서 탄성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분진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분진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그리인딩 작업시 작업자의 강한 가압에 의하여 그라인더날이 파손되는 경우에도 파편이 날아가지 않고 커버 내부에 수용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파편에 의하여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진커버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내부가 중공된 상태로 상협하광의 형태를 갖으며 상부 중앙에 장착구멍을 갖는 밀착부와 하부에 그라인더의 외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감싸는 스커트 및 밀착부와 스커트 사이에 스프링 형상의 장홈에 의하여 테이퍼면이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 탄성부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밀착부의 외주면에 조립되며 그라인더의 전동부가 삽입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고정띠를 포함하여 구성된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 내부가 중공된 상태로 상협하광의 형태를 갖으며 상부 중앙에 장착구멍을 갖는 밀착부와 하부에 그라인더의 외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감싸는 스커트 및 밀착부와 스커트 사이에 형성되는 인장스프링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와, 상기 밀착부의 외주면에 조립되며 그라인더의 전동부가 삽입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고정띠를 포함하여 구성된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에서 몸체의 외면이 고무 코팅됨으로써 그라인더와의 밀착력을 높이고 분진이 외부로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를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분진커버가 탄성을 갖음으로써 그라인더 작업시 작업자의 힘에 의하여 커버가 그라인더 날과 동일선상에 위치됨으로써 안전하게 그라인더 날이 커버에 수용되어 비산이 완전방지된 상태로 그라인딩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의 높이가 탄성부에 의하여 변형됨으로써 사용되는 그라인더날을 끝까지 모두 사용함으로써 그라인더날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폐기되는 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진커버를 단순하게 그라인딩시 발생하는 분진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진커버의 제조에 소모되는 비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제조원가와 소비자가를 절감하여 소비자들이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한 그라인딩 작업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분진커버의 몸체에 스프링 형태의 장공을 형성하여 탄성을 갖도록 형성하면서도 그 외주면을 고무코팅하여 형성함으로써 장공이 고무에 의하여 밀폐되는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서 탄성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분진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리인딩 작업시 작업자의 강한 가압에 의하여 그라인더날이 파손되는 경우에도 파편이 날아가지 않고 커버 내부에 수용되게 함으로써 작업자가 파편에 의하여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의 사용상태 사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의 탄성기능을 나타낸 사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의 외주면이 고무 코팅됨이 도시된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의 사용상태 사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의 탄성기능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100)는 내부가 중공된 상태로 상협하광의 형태를 갖으며 상부 중앙에 장착구멍(11)이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 여러 개의 암나사공(12a)을 갖는 밀착부(12)와 하부에 그라인더(200)의 외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감싸는 스커트(13) 및 밀착부(12)와 스커트(13) 사이에 스프링 형상의 장홈(14)에 의하여 테이퍼면이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 탄성부(15)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밀착부(12)에 조립되며 일측에 개방부(23)가 볼트(21)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하부에 밀착부(12)의 암나사공(12a)과 연결되는 여러 개의 연결공(24)이 형성된 고정띠(2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의 스커트(13) 높이는 내부에 그라인더날(300)을 장착시 그라인더 날이 중앙 아랫부분에 위치될 수 있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부(15)는 테이퍼진면에 스프링 형태의 장홈(14)을 형성함으로써 테이퍼면이 장홈(14)에 의하여 탄성력이 발생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스프링과 유사한 특징을 갖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밀착부(12)는 탄성부(15)의 상면에 판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장착구멍(11)이 형성되며 그 외주면에 여러 개의 암나사공(12a)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띠(20)는 일측에 개방부(23)이 형성된 상태에서 볼트(21)로 연결되어 고정띠의 크기가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ㄴ"몸체의 바닥면에 암나사공(12a)과 밀착되는 여러 개의 연결공(2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고정띠(20)를 몸체(10)와 볼트(22)로 조립한 상태에서 그라인더(200)의 전동부(미도시)에 결착시키고 개방부(23)의 볼투(21)를 조임하여 정동부의 외면에 견고하게 조립한다.
한편, 도 5에는 본 고안의 핸드그라인용 분진커버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분진커버(100')의 구성중 스커트(13')와 밀착부(12')의 구성은 상기와 동일하나 탄성부를 인장스프링(30)으로 형성함에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형태는 환형의 밀착부(12')와 스커트(13')를 기제작된 인장스프링(30)의 상하부에 용접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탄성부의 탄성을 극대화함으로써 작업자는 그라인딩 작업시 미세한 가압력 만으로 다양한 각도로 분진커버를 변형시킬 수 있어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쉽게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고안의 분진커버 몸체(10)의 내외주면에 고무코팅층(40)을 형성함으로써 내면의 고무코팅층(40)에 의하여 분진이 비산되는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기능을 위하여 탄성부에 형성한 장홈(14)의 내측에 고무층이 형성됨으로써 장홈(14)은 탄성력이 유지되는 상태로 밀폐되어 분진이 장홈(14)을 통하여 외부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몸체(10)의 스커트(13)를 감싸 고무층(40)이 형성됨으로써 그라인딩시 스커트(13)가 바닥면에 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100 ... 분진커버 10 ... 몸체
11 ... 장착구멍 12 ... 밀착부
13 ... 스커트 14 ... 장홈
15 ... 탄성부 20 ... 고정띠
30 ... 고무층 200 ... 그라인더
300 ... 그라인더날

Claims (3)

  1. 내부가 중공된 상태로 상협하광의 형태를 갖으며 상부 중앙에 장착구멍(11)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여러 개의 암나사공(12a)을 갖는 밀착부(12)와 하부에 그라인더(200)의 외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감싸는 스커트(13) 및 밀착부(12)와 스커트(13) 사이에 스프링 형상의 장홈(14)에 의하여 테이퍼면이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 탄성부(15)가 일체로 형성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밀착부(12)에 조립되며 일측에 개방부(23)가 볼트(21)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하부에 밀착부(12)의 암나사공(12a)과 연결되는 여러 개의 연결공(24)이 형성된 고정띠(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
  2. 내부가 중공된 상태로 상협하광의 형태를 갖으며 상부 중앙에 장착구멍(11)이 형성되고 그 외주면에 여러 개의 암나사공(12a)을 갖는 밀착부(12)와 하부에 그라인더(200)의 외주면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감싸는 스커트(13) 및 밀착부(12)와 스커트(13) 사이에 형성되는 인장스프링(30)이 일체로 형성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밀착부(12)에 조립되며 일측에 개방부(23)가 볼트(21)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연결되며 하부에 밀착부(12)의 암나사공(12a)과 연결되는 여러 개의 연결공(24)이 형성된 고정띠(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고무코팅 됨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
KR2020100012506U 2010-12-03 2010-12-03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 KR2004529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506U KR200452942Y1 (ko) 2010-12-03 2010-12-03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506U KR200452942Y1 (ko) 2010-12-03 2010-12-03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2942Y1 true KR200452942Y1 (ko) 2011-03-29

Family

ID=44245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506U KR200452942Y1 (ko) 2010-12-03 2010-12-03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94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4393Y1 (ko) * 1994-03-31 1998-10-15 서희석 연삭기
WO2009121432A1 (de) 2008-03-31 2009-10-08 Robert Bosch Gmbh Handwerkzeugmaschine, insbesondere handgeführte winkelschleifmaschine
KR100985466B1 (ko) 2010-01-11 2010-10-05 (주)삼화기업 핸드 그라인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4393Y1 (ko) * 1994-03-31 1998-10-15 서희석 연삭기
WO2009121432A1 (de) 2008-03-31 2009-10-08 Robert Bosch Gmbh Handwerkzeugmaschine, insbesondere handgeführte winkelschleifmaschine
KR100985466B1 (ko) 2010-01-11 2010-10-05 (주)삼화기업 핸드 그라인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3094B2 (en) Dust shroud with access hatch retention mechanism
US20050287938A1 (en) Cutting apparatus with dust discharging
JP3179410U (ja) 取り替え可能なカッター・アセンブリを有する電動鉛筆削り
US20070243031A1 (en) Safety debris collecting device
US20120184192A1 (en) Dust collection adapter and power tool including dust collection adapter
KR100985466B1 (ko) 핸드 그라인더
JP6044718B2 (ja) グラインダ
KR101900082B1 (ko) 디스크의 교체가 용이한 그라인더
JP2006007402A (ja) 研削装置
TW201446409A (zh) 用於支撐研磨盤之墊
CN106923746A (zh) 具有从动的、能够旋转的毛刷体的清洁设备
KR200452942Y1 (ko) 핸드그라인더용 분진커버
KR102333886B1 (ko) 샌더기
JP4009278B2 (ja) サンダー
JP2005288566A (ja) ディスクサンダー
CN210097883U (zh) 一种药材研磨装置
KR200442392Y1 (ko) 그라인더용 집진커버
CN105289891A (zh) 一种轮毂中心孔喷涂防护工装
US6857949B2 (en) Electric portable grinding machine, particularly an eccentric grinder, provided with edge protection
CN211540712U (zh) 角磨机
KR101304322B1 (ko) 전동 그라인더
KR101220750B1 (ko) 위치 조절이 용이한 더스트 후드 조립체 및 이러한 더스트 후드 조립체를 구비한 전동공구
KR20150005286A (ko) 그라인더의 분진포집장치
CN208323127U (zh) 一种改进的弹性磨盘
JP5895611B2 (ja) 集塵アダプターおよび集塵アダプターを備えた動力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