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934Y1 - 적외선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적외선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934Y1
KR200452934Y1 KR2020080013196U KR20080013196U KR200452934Y1 KR 200452934 Y1 KR200452934 Y1 KR 200452934Y1 KR 2020080013196 U KR2020080013196 U KR 2020080013196U KR 20080013196 U KR20080013196 U KR 20080013196U KR 200452934 Y1 KR200452934 Y1 KR 2004529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racket
fastening
detecto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1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820U (ko
Inventor
김승호
Original Assignee
(주) 케이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케이엠티 filed Critical (주) 케이엠티
Priority to KR20200800131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934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8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8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9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9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4Optical or mechanical part supplementary adjustable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투광용 및 수광용 본체가 설치장소에 고정되는 브래킷에 회전과 고정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적외선 감지장치가 개시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적외선 감지장치는 설치 환경에 조건 따라 투광용 및 수광용 감지기가 대응하는 센싱부재의 위치가 틀어지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도 본체를 회전시켜 이를 간단하게 보정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감지기 설치 작업시 작업자가 큰 주위를 기울일 필요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적외선 감지장치의 설치작업 편리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적외선 감지장치 {A INFRARED SENSING APPARATUS}
본 고안은 적외선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설치 대상물의 감지에 공용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설치작업의 편리성이 증진되도록 마련된 적외선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보안 회사 등에서 제공하는 보안시스템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안시스템은 외부 침입자가 발생하면 이를 확인하여 경찰 및 보안 요원에게 알리도록 되어 있으며, 여기서 외부 침입자를 감지하는 수단으로는 적외선 감지장치 등이 이용되고 있다.
적외선 감지장치는 적외선을 조사하도록 마련된 센싱부재를 구비하는 투광용 감지기와, 투광용 적외선 감지장치의 센싱부재에서 조사된 적외선을 수광하도록 마련된 센싱부재를 구비하는 수광용 감지기, 그리고 투광용 감지기의 센싱부재에서 수광용 감지기의 센싱부재 쪽으로 조사되고 있던 적외선이 차단되는 경우 이를 외부 침입으로 간주하여 경보 등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투광용 및 수광용 감지기는 각각 센싱부재가 설치된 하우징과 하우징의 고정을 위한 브래킷을 구비하며 창문이나 출입구 등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투광용 및 수광용 감지기는 통상 침입 예상 위치 크기 및 높이에 따라 한 쌍 혹은 두 쌍 이상의 복수개의 쌍으로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적외선 감지장치는 하나의 설치 장소에 두 쌍 이상의 투광용 및 수광용 감지기를 설치할 경우 여러 개의 감지기를 하나 씩 일일이 설치해야 했기 때문에,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일명 멀티형이라 하여 감지기를 길게 형성하고, 이러한 감지기 하나 당 복수개의 센싱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도록 한 적외선 감지장치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적외선 감지장치는 설치 장소에 한 쌍의 투광용 및 수광용 감지기만을 설치하더라도 작은 감지 대상물은 물론 큰 대상물까지 다양한 크기의 대상물 감지에 공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설치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최근 설치자와 소비자의 요구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근래 적외선 감지장치의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이유로 설치작업성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즉, 이와 같은 멀티형 적외선 감지장치의 감지기는 하나의 감지기에 복수개 의 센싱부재가 설치되어 있어 하나의 감지기를 설치하는 노력만 들여 복수개의 센싱부재를 동시에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지만, 하나의 감지기의 설치위치가 틀어지게 될 경우 모든 센싱부재의 설치위치가 틀어지게 되므로, 설치작업시 설치작업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설치 대상물의 감지에 공용적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설치작업의 편리성이 증진되도록 마련된 적외선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적외선 감지장치는 적외선 투광 또는 수광을 위한 센싱부재가 설치되는 감지기를 구비하며, 상기 감지기는 상기 센싱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설치장소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된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센싱부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본체의 양단 쪽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감지기는 상기 브래킷에 대한 상기 본체의 회전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 및 차단할 수 있도록 회전잠금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단부에 마련된 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설치장소에 고정되며 상기 축부의 일측 외주를 감싸도록 마련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축 부의 타측 외주를 감싸며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조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잠금유닛은 상기 베이스에 대한 상기 조임부재의 결합력을 조절하여 상기 축부의 회전동작을 허용 및 차단하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잠금유닛은 상기 조임부재를 상기 베이스에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재에는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이 마련되되, 상기 베이스부재는 사출물로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체결홀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사출시 일체로 인서트 사출되는 금속재질의 인서트부재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본체의 양단 쪽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감지기는 브래킷에 대한 상기 본체의 최대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회전각제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각제한유닛은 상기 본체와 브래킷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도록 상기 본체와 브래킷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마련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본체의 양단 쪽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감지기는 본체의 회전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와 브래킷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지시부와, 상기 본체와 브래킷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적외선 감지장치는 투광용 및 수광용 감지기의 본체가 설치장소에 고정되는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적외선 감지장치는 투광용 및 수광용 감지기가 대응하는 센싱부재의 위치가 틀어지도록 설치장소에 설치되는 경우에도 본체를 회전시켜 이를 간단하게 보정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감지기 설치작업시 작업자가 큰 주위를 기울일 필요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적외선 감지장치의 설치작업 편리성이 향상된다.
다음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장치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장치는 적외선을 조사하도록 마련된 센싱부재를 구비하는 투광용 감지기(10)와, 투광용 감지기(10)의 센싱부재(11)에서 조사된 적외선을 수광하는 센싱부재(21)를 구비하도록 마련된 수광용 감지기(20)와, 투광용 감지기(10)의 센싱부재(11)에서 수광용 감지기(20)의 센싱부재(21) 쪽으로 조사되는 적외선이 차단되는 경우 이를 외부 침입으로 간주하여 경보기의 경보가 울려지도록 경보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장치는 상기 감지기(10,20)의 구조에 실질적인 특징이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상기 감지기(10,20)의 구조에 관해서만 구체적으로 언급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다른 적외선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광용 감지기(10)와 수광용 감지기(20)는 설치장소가 되는 소정의 통로 양편에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설치장소는 창문이나 출입구 또는 복도 등이 될 수 있다.
투광용 감지기(10)와 수광용 감지기(20)는 센싱부재(11,21)의 종류에 있어서만 차별될 뿐 상호 동일한 구조를 갖도록 마련되는데, 각 감지기(10,20)는 센싱부재(11,21)가 설치되는 본체(30)와, 본체(30)의 고정을 위해 설치장소에 고정되고 본체(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된 브래킷(40)을 구비한다.
본체(30)는 알루미늄 재질을 통해 중공의 일자형 봉형상으로 길게 형성되는 하우징(31)을 구비하며, 하우징(31)의 내부에는 상기 센싱부재(11,21)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는 통상 멀티 또는 와이드 형으로 불리 우는 것으로 상기 센싱부재(11,21) 복수개가 하우징(31) 내부에 하우징(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송정간격 상호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적외선 감지장치는 설치 장소에 한 쌍의 투광용 및 수광용 감지기(10,20)만을 설치하더라도 작은 감지 대상물은 물론 큰 대상물까지 다양한 크기의 대상물 감지에 공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하우징(31)의 일측벽에는 센싱부재(11)로부터 투광되거나 센싱부재(21)에 의해 수광되는 적외선 파장의 통과를 위한 통과공(31a)이 형성되며, 이러한 통과공(31a) 쪽 하우징(31) 외면에는 각 통과공(31a)을 통해 하우징(31) 내부로 수분이나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투명판(32)과, 센싱부재(11,21)에 의해 발생하는 적외선 파장을 보다 사용자가 원하는 대역의 파장이 되도록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33)가 차례로 결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10,20)는 상기 센싱부재(11,2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30)가 브래킷(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러한 본체(30)의 회전구조는 감지기(10,20)를 보다 간편하고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감지기(10,20)의 설치작업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멀티형으로 마련되는 상기 감지기(10,20)는 하나의 감지기(10,20)에 복수개의 센싱부재(11,21)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투광용 감지기(10)와 수광용 감지기(20) 중 어느 하나의 설치위치가 틀어지게 될 경우 투광용 감지기(10)와 수광용 감지기(20)의 모든 센싱부재의 위치가 틀어지게 되면서 감지기(10,20)를 다시 설치해야 할 우려가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처럼 본체(30)가 브래킷(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는 투광용 감지기(10)와 수광용 감지기(20)를 대응하는 센싱부재(11,21)의 높이만 일치되도록 설치하게 되면, 투광용 감지기(10)나 수광용 감지기(20)의 마주보는 각도가 틀어지게 되는 경우에도 본체(30)를 브래킷(40)에 대해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을 통해 감지기(10,20) 사이의 마주보는 각을 바로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감지기(10,20)를 설치할 때 작업자가 특별히 큰 주위를 기울일 필요가 없게 되어 감지기(10,20)의 설치작업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체(30)의 회전동작을 위한 본체(30)와 브래 킷(40)의 구조를 살펴보자면, 먼저 본체(30)는 하우징(31)의 단부에 결합되는 회전축(50)을 더 포함한다. 회전축(50)은 하우징(31)에 바로 결합되도록 마련된 내축부재(51)와, 내축부재(51)에 다시 결합되도록 마련된 외축부재(54)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내축부재(51)는 하우징(31)에 겨합되는 결합부(52)와, 결합부(52)로부터 연장형성된 축부(53)를 구비하고, 외축부재(54)는 내축부재(51)의 결합부(52)에 결합되는 결합부(55)와, 내축부재(51)의 축부(53)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축부(56)를 구비한다.
내축부재(51)의 축부(53)는 외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며, 외축부재(54)의 축부(56) 외면에는 축부(56)의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돌기(56a)가 형성된다. 가이드돌기(56a)는 상기 축부(56)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한 쌍으로 마련된다.
내축부재(51)와 외축부재(54)는 경우에 따라 일체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브래킷(40)은 설치장소에 앵커나 볼트 등의 체결수단(미도시)을 통해 고정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축부(56)의 외주 일측을 감싸도록 마련된 베이스부재(60)와, 상기 축부(56)의 외주 타측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베이스부재(60)에 결합되는 조임부재(70)와, 조임부재(70)를 덮도록 베이스부재(60)에 결합되는 커버부재(8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참고로 미설명 부호 61은 상기 체결수단(미도시)을 체결위해 형성된 체결공을 가리키며, 상기 베이스부재(60)와 조임부재(70)와 커버부재(80)는 사출물로 제작된다.
베이스부재(60)와 조임부재(70)에는 각각 상기 축부(56)의 외주 일측과 타측 을 회전 가능하게 감싸도록 수용하는 수용홈(62,72)이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되며, 각 수용홈(62,72) 외측에는 조임부재(70)를 베이스부재(60)에 결합시키는 체결부재(91,92)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63,64,73)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홈(62,72)에는 가이드돌기(56a)가 삽입되도록 삽입홈(65,75)이 형성되어 축부(56)가 수용홈(62,72)에서 하우징(31)의 길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축부(53)의 끝단은 수용홈(62,72) 외부로 소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부재(60)와 조임부재(70)는 상기 수용홈(62,72) 사이에 상기 축부(56)가 수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91,92)를 통해 상호 체결되어 고정된다.
또 설치장소에 설치가 완료된 감지기(10,20)의 본체(30)가 외력에 의해 아무 때고 쉽게 회전하게 되면, 사용자가 이를 수시로 확인하고 재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길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체결부재(91,92)는 상기 브래킷(40)에 대한 본체(30)의 회전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 및 차단할 수 있도록 마련된 회전잠금유닛(90)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축부(56)와 상기 수용홈(62,72)의 사이즈를 적절히 설계할 경우, 상기 축부(56)는 베이스부재(60)에 대한 조임부재(70)의 조임 정도가 커질 경우 회전운동이 차단되고, 베이수부재(60)에 대한 조임부재(70)의 조임 정도가 작아질 경우 회전운동이 허용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체결부재(91,92)는 베이스부재(60)에 대한 조임부재(70)의 조임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잠금유닛(90)으로써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본 고안에 있어서 회전잠금유닛(90)은 베이스부재(60)에 대한 조임부재(70)의 조임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범위 내에서 상기 체결부재(91,92)와 다른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회전잠금유닛(90)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체결부재(91,92)는 각각 스크류 형태로 마련되어 조임부재(70)가 베이스부재(60)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고르게 밀착될 수 있도록 수용홈(62,72) 외곽 쪽 조임부재(70)와 베이스부재(60)에 형성된 체결홀(63,64,73)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는데, 상기 베이스부재(60)에 형성되는 체결홀(63,6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체결홀(64)은 상기 베이스부재(60)의 사출시 일체로 인서트 사출되는 금속재질의 인서트부재(100)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10,20)에 있어서, 베이스부재(60)에 대한 조임부재(70)의 조임력을 상기 체결홀(64)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체결홀(63)에 체결부재(91)가 체결된 상태에서는 축부(56)의 회전동작이 허용되고 상기 체결홀(64)에 체결부재(92)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야 축부(56)의 회전이 차단되도록 셋팅시키게 되면, 상기 체결부재(92)만을 조이거나 풀게 됨으로써 본체(30)의 회전을 허용 또는 차단할 수 있게 되므로, 감지기(10,20)의 설치작업이 보다 편리해 지고, 본체(30)의 반복적인 회전 허용 및 차단 동작시에도 체결홀(64)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10,20)는 축부(56)가 조임부재(70)와 베이스부재(60)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체결부재(91)를 통해 조임부재(70)가 베이스부재(60) 에 결합된 상태에서 설치장소로 옮겨지며, 설치장소에서는 베이스부재(60)를 체결수단(미도시)을 통해 설치장소에 고정시키고, 상기 본체(30)의 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92)를 조여 본체(30)의 회전이 차단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재(80)를 조임부재(70)를 덮도록 베이스부재(60)에 결합시키는 간단한 과정만 거쳐 감지기(10,20)를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감지기(10,20)의 설치작업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도 7과 도 8을 보면, 본체(30)의 회전운동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설치가 완료된 상태의 감지기(10,20)는 상기 본체(30)의 회전 각도를 재조절하기 위해 상기 체결부재(92)를 반복적으로 풀었다가 조이더라도 금속재질의 인서트부재(100)에 형성된 체결홀(64)은 쉽게 마모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감지기(10,20)는 브래킷(40)에 대한 상기 본체(30)의 최대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회전각제한유닛(110)과, 본체(30)의 회전각을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 회전각확인유닛(120)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본체(30)의 회전정도를 원활하게 제한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각제한유닛(110)은 본체(30)에 해당하도록 상기 수용홈(72)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축(50)의 외축부재(54) 일측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11)와, 걸림돌기(111)가 걸릴 수 있도록 브래킷(40)에 해당하는 수용홈(62) 외부 쪽 베이스부재(60)에 형성되는 걸림턱(112)으로 구성되는데, 걸림돌기(111)와 걸림턱(112)의 위치는 반대로 걸림돌기(111)가 브래킷(40) 쪽에 설치되고 걸림턱(112)이 본체(30) 쪽에 설치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투광용 감지기(10)와 수광용 감지기(20)가 마주보도록 설치된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회전각제한유닛(110)을 통한 본체(30)의 최대 회전각 제한범위는 180도 정도가 적당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보다 조금 넓게 190도로 셋팅 된다.
또 상기 회전각확인유닛(120)은 상기 걸림돌기(111)의 중심에 형성되는 지시부(121)와, 지시부(121) 의해 가리켜질 수 있도록 지시부(121)의 위치에 대응하는 조임부재(70)의 중앙부 및 조임부재(70)와 베이스부재(60)의 양 쪽 결합면 쪽에 형성되는 표시부(122,12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회전각확인유닛(120) 역시 지시부(121)가 브래킷(40) 쪽에 형성되고 표시부(122,123)가 본체(30) 쪽에 형성되도록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장치의 감지기가 설치장소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장치의 감지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장치의 감지기에 있어서, 본체를 구성하는 하우징과 회전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장치의 감지기에 있어서, 본체와 브래킷의 결합구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장치의 감지기에 있어서, 브래킷의 베이스부재 및 조임부재와 본체의 결합구조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장치의 감지기에 있어서, 브래킷의 베이스부재 및 조임부재를 통해 본체의 회전축이 브래킷에 결합된 상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6을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본체를 회전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투광용 감지기 20: 수광용 감지기
30: 본체 40: 브래킷
50: 회전축 60: 베이스부재
70: 조임부재 80: 커버부재
90: 회전잠금유닛 100: 인서트부재
110: 회전각제한유닛 120: 회전각확인유닛

Claims (7)

  1. 적외선 투광 또는 수광을 위한 센싱부재가 설치되는 감지기를 구비하는 적외선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지기는 상기 센싱부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를 설치장소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된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센싱부재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브래킷은 상기 본체의 양단 쪽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감지기는 상기 브래킷에 대한 상기 본체의 회전운동을 선택적으로 허용 및 차단할 수 있도록 마련된 회전잠금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단부에 마련된 축부를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설치장소에 고정되며 상기 축부의 일측 외주를 감싸도록 마련된 베이스부재와, 상기 축부의 타측 외주를 감싸며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조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잠금유닛은 상기 베이스부재에 대한 상기 조임부재의 결합력을 조절하여 상기 축부의 회전동작을 허용 및 차단하기 위해 상기 조임부재를 상기 베이스에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을 구비하는 사출물로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의 상기 체결홀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사출시 일체로 인서트 사출되는 금속재질의 인서트부재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감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본체의 양단 쪽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감지기는 브래킷에 대한 상기 본체의 최대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회전각제한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감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제한유닛은 상기 본체와 브래킷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도록 상기 본체와 브래킷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마련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감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본체의 양단 쪽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감지기는 본체의 회전각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와 브래킷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지시부와, 상기 본체와 브래킷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감지장치.
KR2020080013196U 2008-10-01 2008-10-01 적외선 감지장치 KR2004529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196U KR200452934Y1 (ko) 2008-10-01 2008-10-01 적외선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196U KR200452934Y1 (ko) 2008-10-01 2008-10-01 적외선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820U KR20100003820U (ko) 2010-04-09
KR200452934Y1 true KR200452934Y1 (ko) 2011-03-31

Family

ID=44245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196U KR200452934Y1 (ko) 2008-10-01 2008-10-01 적외선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934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4866A (ja) * 1999-10-29 2001-05-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人体検知器
JP2006145310A (ja) * 2004-11-18 2006-06-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外構フェンス防犯装置
KR20060089110A (ko) * 2005-02-03 2006-08-08 김용직 레이저 광선 각도 조절 장치
KR200425954Y1 (ko) 2006-06-15 2006-09-07 김용직 레이저 방호벽 형성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4866A (ja) * 1999-10-29 2001-05-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人体検知器
JP2006145310A (ja) * 2004-11-18 2006-06-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外構フェンス防犯装置
KR20060089110A (ko) * 2005-02-03 2006-08-08 김용직 레이저 광선 각도 조절 장치
KR200425954Y1 (ko) 2006-06-15 2006-09-07 김용직 레이저 방호벽 형성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820U (ko) 201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44148B2 (en) Smoke detector
US5055827A (en) Fiber optic security system
US20050231352A1 (en) Detector with blinders
JP2008242627A (ja) 光電式煙感知器
KR200452934Y1 (ko) 적외선 감지장치
KR100749725B1 (ko) 돔형 열선감지기
EP2911127B1 (en) Intrusion detection device
US20160334246A1 (en) Photoelectric sensor and its mounting
KR200444698Y1 (ko) 감지기 설치기구
CN114387749A (zh) 入侵探测器
KR102116949B1 (ko) 불꽃 감지장치
KR20230001235U (ko) 적외선감지장치
JP2003331701A (ja) エリアセンサ
JP3110626B2 (ja) 挿入型検出器
JP4724012B2 (ja) 多光軸光電センサ
JP2006145310A (ja) 外構フェンス防犯装置
KR100635843B1 (ko) 침입검지용 센서
JP2003194961A (ja) 人体感知センサーのカバー装置
CN209762652U (zh) 一种可转动调角的安防监控设备底座
JP4259273B2 (ja) 防犯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検知装置
JP4741912B2 (ja) 防災防犯機器
KR101577725B1 (ko) 모터타입용 디자인 차폐물 개폐제어시스템
KR101383021B1 (ko) 인코더
KR20060089110A (ko) 레이저 광선 각도 조절 장치
KR100388444B1 (ko) 적외선 감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