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8444B1 - 적외선 감지기 - Google Patents

적외선 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8444B1
KR100388444B1 KR10-2000-0041707A KR20000041707A KR100388444B1 KR 100388444 B1 KR100388444 B1 KR 100388444B1 KR 20000041707 A KR20000041707 A KR 20000041707A KR 100388444 B1 KR100388444 B1 KR 100388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light receiving
receiving unit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1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8262A (ko
Inventor
김현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텍스
Priority to KR10-2000-0041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8444B1/ko
Publication of KR20020008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8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8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84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2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D5/4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infrared ligh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69Presence detectors to detect unsafe condition, e.g. infrared sensor, micropho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외선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주기를 갖는 펄스 파형의 적외선을 발생시켜 외부로 방사시키는 투광부와, 상기 투광부에서 방사된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의 1개조로 구성된 적외선 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 이외의 투광부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기 위한 보조 수광부를 더 포함하여 별도의 투광기 또는 다른 경계 구역의 투광기에 의한 적외선을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별도의 투광기에 의한 겹투사 또는 다른 경계 구역의 투광기에 의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적외선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외선 감지기{infrared sensor}
본 발명은 적외선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투광기와 수광기의 1개조로 구성된 적외선 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1개조를 이루는 투광기 외에 별도의 투광기에 의해 유입되는 적외선을 검출하기 위한 적외선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적외선 감지기란 투광기와 수광기가 1개조로 구성되어, 상기 투광기와 수광기 사이가 차광된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도난 방지 및 입/출 관리등의목적으로 주택이나 일반 건물 및 사무실 공장 등의 보호구역 내, 외부에 설치되어 예상치 않은 사람이나 물품의 입출시 이를 사전에 알림으로써 이로 인한 도난 또는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1은 이러한 적외선 감지기의 설치 예시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적외선 감지기는 일정 주기를 갖는 펄스 파형의 적외선을 발생시켜 외부로 방사시키는 투광부(10)와, 상기 투광부(10)를 통해 방사된 적외선을 수광한 후 그 수광량에 의해 사람 또는 물체의 접근 여부를 확인하는 수광부(20)로 구성되는데,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투광부(10) 및 수광부(20)를 광학적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적외선 감지기는 예상치 않은 사람 또는 임의의 물체가 상기 투광구(10)와 수광부(20) 사이를 통과할 경우 상기 수광부(20)에서 수광된 적외선의 수광량에 의해 이를 감지하여 경보를 발생시킨다.
도 2는 일반적인 적외선 감지기의 광학부에 대한 내부 구조도로서, 도 2를 참조하여 투광부(10) 및 수광부(20) 내부의 광학부에 대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투광부(10)의 경우 상기 수광부(20)로 방사될 적외선을 생성하는 투광 소자(11)와, 상기 투광 소자(11)에서 생성된 적외선을 일정한 지향각으로 확산하는 투광 렌즈(13)와, 상기 투광 소자(11) 및 투광 렌즈(13) 앞단에 설치되어 필요한 적외선만을 이용할 수 있도록 가시광선을 포함한 그 이상의 파장을 여과하는 광필터(12, 14)로 구성되며, 수광부(20)의 경우는 상기 투광부(10)에서 방사된 적외선을 일정한 지향각으로 집광하는 수광 렌즈(23)와, 상기 수광 렌즈(23)를 통해 집광된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 소자(21)와, 상기 수광 렌즈(23) 및 수광 소자(21)의 앞단에서 필요한 적외선만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광 필터(22, 24)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적외선 감지기는 상기 수광부(20)에서 태양, 자동차의 라이트 등 적외선이 함유된 모든 빛들과 투광부(10)를 통해 생성된 적외선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정 주기를 갖는 펄스 파형의 적외선을 사용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외선 감지기의 광학부 내부에 지향각을 갖는 투광 및 수광 렌즈(13, 23)와 다수개의 광 필터(12, 14, 22, 24)를 설치하고 상기 투광부(10) 및 수광부(20)에 설치된 광 필터에 의해 투광부(10)에서는 필요한 적외선을 선택하여 방사하고, 수광부(20)에서는 그 적외선을 필터링하여 수광하도록 한다.
한편, 도 3은 일반적인 적외선 감지기의 투광 및 수광 범위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상기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외선 감지기의 투광부(10) 및 수광부(20)에서 해당 적외선이 투광 및 수광 렌즈(13, 23)에 의해 지향각을 갖고 방사 또는 집광될 경우, 실제적으로 적외선 감지기가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경계 영역이 표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적외선 감지기가 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경계 영역은 투광부(10)에 의해 적외선이 방사되는 범위(B)와, 수광부(20)에 의해 적외선이 집광되는 범위(A)가 겹치는 영역(C)으로 도 3에는 그 영역(C)이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는데, 이와 같이 경계 영역을 두 부분으로 나누어 구성한 것은 실외에 설치된 적외선 감지기의 경우 상기 투광부(10)와 수광부(20) 사이가 낙엽이나 기타 다른 이물질에 의해 일시적으로 차광되는 것을 무시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두부분으로 나뉜 경계 영역(C) 중 한 영역만이 차광된 경우 수광부(20)에서는 그것이 외부 침입자 또는 임의의 물체에 의한 차광이 아니고, 낙엽이나 기타 다른 이물질에 의해 일시적으로 차광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울리지 않는다.
하지만, 사무실 또는 공장 등지에서 보호 영역을 구분하기 위해 실내에 설치된 적외선 감지기의 경우 상기 경계 영역을 나누지 않고 하나의 경계 영역을 사용하기도 한다.
도 4는 이러한 적외선 감지기의 수광부에 대한 내부 블록도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적외선 감지기의 수광부는 수광기(41), 증폭기(42), 차광 여부 판별기(43), 차광 시간 비교기(44) 및 경보기(45)로 구성되는데, 상기 수광기(41)는 소정의 지향각을 가지고 외부에서 발생된 적외선을 수광하고, 상기 증폭기(42)는 상기 수광기(41)를 통해 수광된 적외선의 수광 파형을 증폭하여 출력한다.
한편, 상기 차광 여부 판별기(43)는 기 설정된 수광값을 저장하여, 상기 증폭기(42)에서 출력되는 수광 파형을 일정 주기로 받아 그 수광량을 측정한 후 그 수광량과 기 설정된 설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수광량이 기 설정된 설정값보다 적으면 차광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 결과 차광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상기 차광 시간 비교기(44)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차광 시간 비교기(44)는 상기 차광을 외부로 알리기 위한 기준 차광 시간을 사전에 설정한 후, 차광시간을 카운트하여 그 차광 시간이 기 설정된 설정값 보다 길 경우 예상치 않은 사람 또는 물체에 의한 차광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경보기(45)는 그 경보 신호를 받아 외부로 경보를 발생시킨다.
도 5는 일반적인 적외선 감지기의 수광부에서 사람이나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수광부에서는 상기 수광기(41)를 통해 수광된 빛의 수광량(a)을 계산(s501)한 후, 그 계산값(a)과 기 설정된 수광값(b)을 비교(s502)하여, 만일 상기 계산값(a)이 기 설정된 수광값(b)보다 작을 경우(s503) 예상치 않은 사람 또는 임의의 물체에 의해 투광부로부터 전송된 빛이 차광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차광된 시점부터 시간(c)을 카운팅(s504)한 후, 그 카운팅된 차광 시간(c)과 기 설정된 설정값(d)을 비교(s505)하여 상기 차광 시간(c)이 기 설정된 설정값(d) 보다 길 경우 임의의 사람 또는 물체에 의해 경계 영역이 임의 해제된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를 발생(s506)한다.
이러한 종래의 적외선 감지기는 상기 적외선 감지기가 설치된 영역에 침입하고자 하는 사람이나 또는 다른 악의적인 목적을 가진 사람이 기존의 투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별도의 투광부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별도의 투광부에 의해 방사된 적외선을 수광부가 계속하여 집광하므로, 기존의 투광부와 수광부 사이가 차광되는 것을 감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한 쌍을 이루도록 설치된 투광기(100)와, 수광기(200) 사이에 상기 투광기(100)와 다른 각도로 별도의 투광기(300)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수광기(200)는 복수개의 투광기(100, 300)에 의해 방사된 적외선을 모두 집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기존의 투광기(100)와 별도의 투광기(300) 사이의영역(D)이 임의의 사람 또는 몰체에 의해 차광되더라도, 별도의 투광기(300)에 의해 수광되는 적외선이 있으므로, 상기 차광을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종래의 적외선 감지기는 상기 적외선 감지기가 설치된 영역에 악의적인 목적을 가진 사람이 별도의 투광기(300)를 설치하고, 그 투광기(300)에 의해 상기 수광기(200)로 겹투사 신호를 발생시킬 경우, 상기 차광을 감지하지 못하는 영역(D)을 통해 자유롭게 침입 또는 왕래할 수 있고, 상기 적외선 감지기는 이를 방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른 경계 영역에 설치된 투광기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에 의한 광학적 간섭으로 해당 적외선 감지기의 경계 영역이 차단되는 것을 감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즉,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투/수광기의 1개조를 이루는 적외선 감지기 복수개가 근접한 영역에 설치된 경우, 제1 투광기(100)와 1개조를 이루는 제1 수광기(200)가 제2 수광기(400)와 쌍을 이루는 제2 투광기(300)로부터 방사되는 적외선을 수광함으로써, 해당 경계 영역(E)이 차단되는 것을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일정 주기를 갖는 펄스 파형의 적외선을 발생시켜 외부로 방사시키는 투광부와, 상기 투광부에서 방사된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의 1개조로 구성된 적외선 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수광부의 지향각 보다 더 큰 지향각을 갖는 보조 수광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투광부의 지향각과 다른 각에서 유입되는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적외선 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적외선 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와 수평 위치를 달리하는 보조 수광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보조 수광부 및 주 수광부의 수광 레벨 차에 의해 별도의 투광기 또는 다른 경계 구역의 투광기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적외선 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상기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감지기는, 일정 주기를 갖는 펄스 파형의 적외선을 투사하는 투광부와, 상기 투광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상기 투광부와 쌍을 이루어 설치되어 상기 투광부의 지향각과 동일한 지향각을 가지고 상기 투광부로부터 투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주수광부와, 상기 주수광부를 통해 수광된 빛의 양에 의해 차광 여부를 판별하여 차광시 경보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차광 판별부와, 상기 투광부로부터 투사되는 적외선을 수광함과 아울러 상기 투광부 이외에 비정상으로 설치된 제 3의 투광부에서 투사되는 빛이 수광가능하도록 상기 주수광부의 지향각 보다 더 큰 지향각을 가지고 상기 주수광부에 인접설치되어, 상기 투광부로부터 투사되는 적외선 이외의 제 3의 빛이 수광되는 경우, 그 수광된 빛이 기설정된 임의의 값 이상이면 경보 발생 신호를 발생시키는 보조 수광부와, 상기 차광 판별부 또는 보조 수광부로부터 발생된 경보 발생 신호에 의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적외선 감지기는, 일정 주기를 갖는 펄스 파형의 적외선을 투사하는 투광부와, 상기 투광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상기 투광부와 쌍을 이루어 설치되어 상기 투광부의 지향각과 동일한 지향각을 가지고 상기 투광부로부터 투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주수광부와, 상기 주수광부를 통해 수광된 빛의 양에 의해 차광 여부를 판별하여 차광시 경보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차광 판별부와, 상기 주수광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투광부의 지향각과 동일한 지향각을 가지고 빛을 수광하는 보조 수광부와, 상기 주 수광부로부터 수광된 빛의 양을 나타내는 제1 수광 레벨과 상기 보조 수광부로부터 수광된 빛의 양을 나타내는 제2 수광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투광부 이외에 비정상으로 설치된 제 3의 투광부에서 투사되는 빛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수광 레벨의 차이가 일정치 이상이 될 경우 경보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 레벨 비교부와, 상기 차광 판별부 또는 수광 레벨 비교부로부터 발생된 경보 발생 신호에 의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적외선 감지기의 설치 예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적외선 감지기의 광학부에 대한 내부 구조도,
도 3은 일반적인 적외선 감지기의 투광 및 수광 범위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일반적인 적외선 감지기의 수광부에 대한 내부 블록도,
도 5는 일반적인 적외선 감지기의 수광부에서 사람이나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처리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6은 일반적인 적외선 감지기에 별도의 투광부에 의한 겹투사가 발생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기의 동작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기의 수광부에 대한 내부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기의 수광부에 대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기의 동작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기의 수광부에 대한 내부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300 : 투광부 200, 400, 500, 600 : 수광부
81, 111 : 제1 수광기 82, 112 : 제1 증폭기
83, 113, 136 : 차광 여부 판별기 84, 114, 137 : 차광시간 비교기
85, 115, 138 : 경보기 86, 116 : 제2 수광기
87, 117 : 제2 증폭기 118, 139 : 수광 레벨 비교기
130 : 수광기 131 : 제1 수광소자
132 : 제2 수광소자 134 : 제1 증폭기
135 : 제2 증폭기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기의 동작 설명도로서,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기는 투광부(100)와, 주수광부(200)의 1개조로 구성된 일반적인 적외선 감지기에 상기 주수광부(200)의 지향각(α) 보다 더 큰 지향각(β)을 가지고 외부의 빛을 수광하는 보조 수광부(400)를 더 포함시켜 구성한다.이때 제 보조 수광부(400)는 주수광부(200)에 비하여 광을 수광하는 지향각이 좀 더 큰 것이 사용된다. 보조 수광부(400)는 광을 수광하는 지향각이 큼에 따라 투광부(100)에서 투사되는 적외선 외에 다른 각도에서 투사되는 적외선도 수광할 수 있기 때문에 불법 침입자에 의한 제3의 투광부에서 투사된 적외선이 주 수광기에 주 입사되거나 제 3의 투광기가 근접 중 보조 수광부(400)에 적외선이 입사될 경우는 주수광부(200)와 보조 수광부(400)간의 입사레벨이 다르게 되어 정상적인 투광부에서 방사된 것이 아니라 비정상적인 빛, 즉, 별도의 제 3의 투광부에서 방사된 것임을 경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게 된다.이때, 보조수광부(400)의 지향각을 주수광부(200)의 지향각보다 크게 한 것은, 근접하는 제3의 투광기 등의 근거리 주변의 빛을 잘 수광하기 위하여 지향각을 넓게 한 것으로 주변환경의 변화를 잘 인식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기는, 상기 적외선 감지기의 경계 구역 내에 별도의 투광부(300)가 설치되어, 상기 별도의 투광부(300)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상기 보조 수광부(400)에서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적외선 감지기의 오동작을 막을 수 있다.
즉, 상기 보조 수광부(400)를 통해 임의의 빛이 수광된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비정상적인 빛이 주수광부(200)에 수광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기의 수광부에 대한 내부 블록도로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기의 수광부는 투광부의 지향각과 동일한 지향각을 가지고 외부의 빛을 수광하는 제1 수광기(81)와, 상기 제1 수광기(81)를 통해 수광된 빛을 일정 크기로 증폭하는 제1 증폭기(82)와, 상기 제1 수광기(81)의 지향각 보다 더 큰 지향각을 가지고 외부의 빛을 수광하는 제2 수광기(86)와, 상기 제2 수광기(86)를 통해 수광된 빛을 일정 크기로 증폭하여 그 값이 기 설정된 임의의 값 이상이면 경보 발생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증폭기(87)와, 상기 제1 수광기(86)를 통해 수광된 빛의 양에 의해 차광 여부를 판별하는 차광 여부 판별기(83)와, 상기 차광 여부 판별기(83)에서 차광으로 판단된 경우 그 차광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차광 시간이 일정 시간 이상이 될 경우 경보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차광시간 비교기(84)와, 상기 차광시간 비교기(84) 또는 제2 증폭기(87)에서 발생된 경보 발생 신호에 의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기(85)로 구성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기의 수광부에 대한 구성도로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기의 수광부(500)는 복수개의 수광 소자를 가지고 외부의 빛을 수광하는 기존의 수광기(520)와, 상기 적외선 감지기의 오동작 방지용으로 상기 기존의 수광기(520) 상단에 설치된 보조 수광기(5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보조 수광기(510)는 기존의 수광기(520)와 동일한 광축으로 설치되며, 상기 보조 수광기(520)의 설치 위치는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존의 수광기(520) 상단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기존의 수광기(520) 하단 또는 좌, 우측 어느 위치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기의 동작 설명도로서,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기는 투광부와 수평 위치를 달리하는 보조 수광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보조 수광부 및 주 수광부의 수광 레벨 차에 의해 별도의 투광기 또는 다른 경계 구역의 투광기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광부(500)와 1개조를 이루는 투광부(100)이외에 별도의 투광부(300)가 설치된 경우, 상기 투광부(100)에서 방사된 빛(E)은 상기 기존의 수광기(520)와 보조 수광기(510)에 고르게 유입되지만, 상기 별도로 설치된 투광부(300)에서 방사된 빛(F)은 투광각의 특성상 주로 기존의 수광기(520)에만 유입되고 보조 수광기(510)에는 유입되지 않거나 미량의 빛 만이 유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서, 기존의 수광기(520)에 유입된 빛의 양을 나타내는 레벨과, 보조 수광기(510)에 유입된 빛의 양을 나타내는 레벨을 비교하여 그 레벨의 차가 일정치 이상이 될 경우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비정상적인 빛이 수광부(200)에 수광되고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한다.
도 11은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기의 수광부에 대한 내부 블록도로서,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감지기의 수광부는 제1 및 제2 수광기(111, 116), 제1 및 제2 증폭기(112, 117), 차광여부 판별기(113), 차광시간 비교기(114), 경보기(115) 및 수광 레벨 비교기(118)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수광기(111)는 투광부 내의 투광 수단과 동일한 높이에서 그 투광 수단의 지향각과 동일한 지향각을 가지고 빛을 수광하고, 상기 제2 수광기(116)는 상기 제1 수광기(111)의 상단 또는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투광 수단의 지향각과 동일한 지향각을 가지고 빛을 수광하며, 상기 제1 및 제2 증폭기(112, 117)는 상기제1 및 제2 수광기(111, 116)를 통해 입력된 빛의 양을 일정 크기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한편, 상기 차광여부 판별기(113) 및 차광시간 비교기(114)는 종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수광기(111)를 통해 수광된 빛의 양에 의해 차광 여부를 판별한 후, 차광시 상기 차광시간 비교기(114)를 통해 경보 발생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수광 레벨 비교기(118)는 상기 제1 수광기(111)에서 수광된 빛의 양을 나타내는 제1 수광 레벨과 상기 제2 수광기(116)에서 수광된 빛의 양을 나타내는 제2 수광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제1 및 제2 수광 레벨의 차이가 일정치 이상이 될 경우 경보 발생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경보기(115)는 상기 차광시간 비교기(114) 또는 수광 레벨 비교기(118)에서 발생된 경보 발생 신호에 의해 경보를 발생시킨다.
이 때, 상기 수광 레벨 비교기(118)는 시스템 오차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 레벨 간 오차의 한계를 기 설정하고, 상기 제1 및 제2 레벨을 비교하여 그 레벨간 차이가 상기 오차의 한계 이상이 될 경우 경보 발생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적외선 감지기는 일정 주기를 갖는 펄스 파형의 적외선을 발생시켜 외부로 방사시키는 투광부와, 상기 투광부에서 방사된 적외선을 수광하는 수광부의 1개조로 구성된 적외선 감지기에 있어서, 상기 투광부 이외의 투광부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기 위한 보조 수광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1개조를 이루는 투광기 외에 별도의 투광기에 의해 유입되는 적외선을 검출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투광기를 사용하여 상기 적외선 감지기에 의한 경계 구역을 임의로 해제할 수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근접 지역에 설치된 적외선 감지기 간에 발생되는 상호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다른 경계 영역에 설치된 투광기에 의해 해당 적외선 감지기의 경계 영역이 차단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일정 주기를 갖는 펄스 파형의 적외선을 투사하는 투광부와,
    상기 투광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상기 투광부와 쌍을 이루어 설치되어 상기 투광부의 지향각과 동일한 지향각을 가지고 상기 투광부로부터 투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주수광부와,
    상기 주수광부를 통해 수광된 빛의 양에 의해 차광 여부를 판별하여 차광시 경보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차광 판별부와,
    상기 투광부로부터 투사되는 적외선을 수광함과 아울러 상기 투광부 이외에 비정상으로 설치된 제 3의 투광부에서 투사되는 빛이 수광가능하도록 상기 주수광부의 지향각 보다 더 큰 지향각을 가지고 상기 주수광부에 인접설치되어, 상기 투광부로부터 투사되는 적외선 이외의 제 3의 빛이 수광되는 경우, 그 수광된 빛이 기설정된 임의의 값 이상이면 경보 발생 신호를 발생시키는 보조 수광부와,
    상기 차광 판별부 또는 보조 수광부로부터 발생된 경보 발생 신호에 의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감지기.
  2. 일정 주기를 갖는 펄스 파형의 적외선을 투사하는 투광부와,
    상기 투광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상기 투광부와 쌍을 이루어 설치되어 상기 투광부의 지향각과 동일한 지향각을 가지고 상기 투광부로부터 투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주수광부와,
    상기 주수광부를 통해 수광된 빛의 양에 의해 차광 여부를 판별하여 차광시 경보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차광 판별부와,
    상기 주수광부의 상단 또는 하단 또는 좌우측에 설치되어 상기 투광부의 지향각과 동일한 지향각을 가지고 빛을 수광하는 보조 수광부와,
    상기 주수광부로부터 수광된 빛의 양을 나타내는 제1 수광 레벨과 상기 보조 수광부로부터 수광된 빛의 양을 나타내는 제2 수광 레벨을 비교하여, 상기 투광부 이외에 비정상으로 설치된 제 3의 투광부에서 투사되는 빛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수광 레벨의 차이가 일정치 이상이 될 경우 경보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 레벨 비교부와,
    상기 차광 판별부 또는 수광 레벨 비교부로부터 발생된 경보 발생 신호에 의해 경보를 발생시키는 경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감지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 레벨 비교부는,
    시스템 오차에 의한 상기 제1 및 제2 레벨 간 오차의 한계를 기설정하고, 상기 제1 레벨과 제2 레벨의 차이가 그 오차의 한계 이상이 될 경우 경보 발생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감지기.
  4. 삭제
  5. 삭제
KR10-2000-0041707A 2000-07-20 2000-07-20 적외선 감지기 KR100388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707A KR100388444B1 (ko) 2000-07-20 2000-07-20 적외선 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707A KR100388444B1 (ko) 2000-07-20 2000-07-20 적외선 감지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095U Division KR200222937Y1 (ko) 2000-09-27 2000-09-27 적외선 감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262A KR20020008262A (ko) 2002-01-30
KR100388444B1 true KR100388444B1 (ko) 2003-06-25

Family

ID=19679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707A KR100388444B1 (ko) 2000-07-20 2000-07-20 적외선 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844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8377A (ja) * 1984-02-27 1985-09-12 Atsumi Denki Kk 赤外線浸入者検知器
JPS6435482U (ko) * 1987-08-21 1989-03-03
JPH0295885A (ja) * 1988-04-20 1990-04-06 Schenectady Chem Inc 改良された画像形成方法
KR960038682A (ko) * 1995-04-13 1996-11-21 김광호 적외선 물체검출장치
KR19990015320A (ko) * 1997-08-05 1999-03-05 두평수 적외선 경보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78377A (ja) * 1984-02-27 1985-09-12 Atsumi Denki Kk 赤外線浸入者検知器
JPS6435482U (ko) * 1987-08-21 1989-03-03
JPH0295885A (ja) * 1988-04-20 1990-04-06 Schenectady Chem Inc 改良された画像形成方法
KR960038682A (ko) * 1995-04-13 1996-11-21 김광호 적외선 물체검출장치
KR19990015320A (ko) * 1997-08-05 1999-03-05 두평수 적외선 경보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262A (ko) 200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3497C (zh) 火警信号装置
CA1331649C (en) Method for operating an optical smoke detector and optical smoke detector for the method
GB2178532A (en) Passive-infra-red sensors
US5489892A (en) Infrared human detector not barred by an intervening obstruction
WO1995009371A1 (en) Uniform sensitivity light curtain
KR100388444B1 (ko) 적외선 감지기
KR200222937Y1 (ko) 적외선 감지기
KR100339255B1 (ko) 적외선 감지기 및 그 처리 방법
JP2003091784A (ja) 多段式能動型赤外線センサ
KR100382592B1 (ko) 적외선 감지장치
JP2003263688A (ja) 炎感知器
KR100669815B1 (ko) 적외선 감지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227878Y1 (ko) 적외선 감지장치
KR100339254B1 (ko) 적외선 감지기 및 그 처리 방법
JP2021067582A (ja) 視野妨害監視機能付き検知装置
KR101158541B1 (ko) 적외선 감지 시스템
KR200214025Y1 (ko) 오류 펄스 감지 기능이 부가된 적외선 감지기
KR0163243B1 (ko) 광파이버를 이용한 침입자 경보장치
KR100339253B1 (ko) 오류 펄스 감지 기능이 부가된 적외선 감지기 및 그 처리방법
JPH06331755A (ja) 火災等の異常検知機能を備えた人体検知装置
JP3840504B2 (ja) 光源による妨害対策を行った侵入検知センサ
JP3049525B2 (ja) 火災等の異常検知機能を備えた人体検知装置
KR200330497Y1 (ko) 외곽침입 감지용 적외선 감지장치
JP2005221455A (ja) 受動型赤外線センサ
KR102110277B1 (ko) 적외선 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