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235U - 적외선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적외선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235U
KR20230001235U KR2020210003742U KR20210003742U KR20230001235U KR 20230001235 U KR20230001235 U KR 20230001235U KR 2020210003742 U KR2020210003742 U KR 2020210003742U KR 20210003742 U KR20210003742 U KR 20210003742U KR 20230001235 U KR20230001235 U KR 202300012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ensing device
vertical adjustment
horizontal adjustment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판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210003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235U/ko
Publication of KR202300012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23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71Housings; Attachments or accessories for pho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04Compact constru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4Optical or mechanical part supplementary adjustable parts
    • G01J1/0403Mechanical elements; Supports for optical elements; Scan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4Optical or mechanical part supplementary adjustable parts
    • G01J1/0407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manifolds, windows, holograms, gratings
    • G01J1/0411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manifolds, windows, holograms, gratings using focussing or collimating elements, i.e. lenses or mirrors; Aberration corr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외선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에 센서 전압측정단자 및 트랜스미터 등을 구비하여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한 적외선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적외선을 조사하는 트랜스미터(100)와, 상기 트랜스미터(100)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리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는 적외선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터(100)는 커버(110)와, 상기 커버(1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적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렌즈세트(120)와, 상기 렌즈세트(120)를 정렬하기 위한 수평조정스크류(130) 및 수직조정스크류(140)를 포함하고; 상기 리시버(200)는 커버(210)와, 상기 커버(2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적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렌즈세트(220)와,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모니터잭(monitor jack)(250)과, 상기 렌즈세트(220)를 정렬하기 위한 수평조정스크류(230) 및 수직조정스크류(24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110)의 수평조정스크류(130) 및 수직조정스크류(14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수평조정홀(111) 및 수직조정홀(112)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210)의 수평조정스크류(230) 및 수직조정스크류(24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수평조정홀(211) 및 수직조정홀(212)이 형성되는 적외선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적외선감지장치{An infrared sensor}
본 고안은 적외선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외부에 센서 전압측정단자 및 트랜스미터 등을 구비하여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한 적외선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적외선 감지장치의 조정작업은 보호커버를 분리한 후 감지장치의 트랜스미터(transmitter) 및 리시버(receiver)의 센서(sensor)를 상/하, 좌/우를 조정하면서 리시버의 모니터잭의 전압을 측정하여 모니터 전압이 가장 높은 지점을 맞추고 외부커버를 닫아 설치를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커버 설치시 진동 등에 의한 트랜스미터 및 리시버의 빔(beam)축이 틀어진 경우, 커버가 설치된 이후 외부에서 빔축이 정확히 맞았는지 확인하거나 조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하, 관련된 선행문헌을 살펴본다. 하기 선행문헌에서의 식별부호는 본원발명과는 무관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2991호 '외부 감시용 적외선 감지장치 설치 구조' 는 케이스에 형성된 내부 슬라이딩 홈에 착탈가능한 내부 판넬에 외부 감시용 적외선 감지장치를 부착 형성시키고, 케이스의 전면에는 자외선 차단 아크릴 덮개를 결합시킨 외부 감시용 적외선 감지장치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외부 감시용 적외선 감지장치를 케이스 내부에 위치되도록 형성시켜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기능저하를 방지하며, 벽면의 굴절된 부분과 창문의 높낮이 등에 관계없이 설치할 수 있어 설치비용이 저렴해지고 보다 쉽게 조립 및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제20-0342991호에 따르면, 외부 감시형 적외선 감지장치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하는 구성이 가능함에 따라 기능과 수명이 보호되어 오동작의 발생이 방지되고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고정 브라켓을 사용하는 고정 구조에 의해 벽면의 굴절된 부분과 창문의 높낮이 등에 관계없이 건물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는 콤팩트한 형태로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 비용이 대폭 줄어드는 효과가 있으며, 설치장소 및 설치조건에 따라 다양하고 쉽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4229호 '적외선 감지장치'는 액티브형 적외선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내구성이 강한 두 개의 알루미늄 기둥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 및 외부의 창틀이나 벽 또는 전시공간 같은 특별한 장소 어느 곳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적외선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외부로부터 사람 및 물체의 내부 침입 상태를 감지하여 경보하기 위한 적외선 감지장치에 있어서, 창틀이나 벽의 내,외부에 세로 방향의 긴 기둥 형태로 설치되어 적외선 빔을 방사시키는 적외선투광부와; 상기 적외선 투광부와 마주 보도록 설치되어 투광부를 통해 방사된 적외선 빔을 수광하는 적외선 수광부; 상기 적외선 투광부와 적외선 수광부 사이에 연결되는 적외선 빔의 차광 상태를 파악하여 외부로부터 내부의 침입 상태를 경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적외선 투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연결된 적외선 빔이 사람 및 물체에 의해 차광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내부 침입을 알리는 경보 알람을 출력하기 위한 경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감지장치를 제시한다.
그러나, 제20-0342991호나 제20-0342991호 역시 정비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기술을 개시하지는 아니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2991호 '외부 감시용 적외선 감지장치 설치 구조' 등록일자 2004년02월12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4229호 '적외선 감지장치' 등록일자 2003년02월03일
종래의 적외선 감지장치의 조정작업은 보호커버를 분리한 후 감지장치의 트랜스미터(transmitter) 및 리시버(receiver)의 센서(sensor)를 조정하면서 리시버의 모니터잭의 전압을 측정하여 모니터 전압이 가장 높은 지점을 맞추고 외부커버를 닫아 설치를 완료하게 되는데, 이 경우, 커버 설치시 진동 등에 의한 트랜스미터 및 리시버의 빔(beam)축이 틀어진 경우, 커버가 설치된 이후 외부에서 빔축이 정확히 맞았는지 확인하거나 조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트랜스미터 및 리시버에 수직수평 조정공(vertical horizontal adjustment hole)을 형성시키고, 상기 수직수평 조정공에 방수볼트를 설치하며, 리시버의 커버에 모니터커넥터를 설치하고, 상기 모니터커넥터(monitor connector)를 통하여 센서전압을 측정하면서 상기 수직수평조정공을 통하여 수직수평 조정 스크류를 조정하여 적외선감지장치의 빔축을 조정하는 적외선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 커버에 모니터 커넥터와 담장하부 센서전압 측정이 용이한 곳에 센서전압 측정용 연장케이블 및 방수 커넥터를 설치하여 커버를 설치한 상태에서도 모니터 전압을 측정할 수 있어 트랜스미터 및 리시버의 빔축이 정확하게 맞았는지 확인할 수 있고, 정기적인 점검시 커버를 분리하지 아니하고도 빠른 시간에 적외선 감지장치의 정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적외선 감지장치의 트랜스미터(transmitter)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적외선 감지장치의 리시버(receiver)의 구성도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은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적외선 감지장치의 트랜스미터(transmitter)의 구성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적외선 감지장치의 리시버(receiver)의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도1 및 도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을 조사하는 트랜스미터(100)와, 상기 트랜스미터(100)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리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는 적외선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터(100)는 커버(110)와, 상기 커버(1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적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렌즈세트(120)와, 상기 렌즈세트(120)를 정렬하기 위한 수평조정스크류(130) 및 수직조정스크류(140)를 포함하고; 상기 리시버(200)는 커버(210)와, 상기 커버(2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적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렌즈세트(220)와,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모니터잭(monitor jack)(250)과, 상기 렌즈세트(220)를 정렬하기 위한 수평조정스크류(230) 및 수직조정스크류(24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110)의 수평조정스크류(130) 및 수직조정스크류(14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수평조정홀(111) 및 수직조정홀(112)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210)의 수평조정스크류(230) 및 수직조정스크류(24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수평조정홀(211) 및 수직조정홀(212)이 형성되는 적외선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각 수평조정스크류 및 수직조정스크류는 상기 대응되는 수평조정홀(111, 211)과 수직조정홀(112, 212)을 통해 상기 각 커버(110, 210)들이 닫혀있는 상태에서도 조정이 가능하다. 상기의 조정은 수평조정홀(111, 211)과 수직조정홀(112, 212)에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렌즈의 상대적 위치를 조정하여 적외선 빔(beam)을 정렬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수평조정홀(111, 211)과 수직조정홀(112, 212)이 커버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바, 상기 수평조정홀(111, 211) 및 수직조정홀(112, 212)에 빗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방수볼트(113, 21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은 커버를 분리하지 아니하고도 상기 방수볼트(113, 213)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수평조정홀(111, 211)과 수직조정홀(112, 212)을 노출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리시버(200)의 커버(210)에 상기 모니터잭(250)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모니터잭(250)과 연결되는 모니터커넥터(21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은 역시 커버를 분리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모니터커넥터(214)을 통하여 모니터잭(250)에 연결함으로써 전압을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모니터잭(250)에 상기 커버(210)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케이블(251)이 설치되며, 상기 연장케이블(251)의 말단에 모니터 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방수커넥터(25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본 고안의 적외선 감지장치가 작업이 어려운 곳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전압의 측정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트랜스미터
110: 커버
111: 수평조정홀
112: 수직조정홀
113: 방수볼트
120: 렌즈세트
130: 수평조정스크류
140: 수직조정스크류
200: 리시버
210: 커버
211: 수평조정홀
212: 수직조정홀
213: 방수볼트
214: 모니터커넥터
220: 렌즈세트
230: 수평조정스크류
240: 수직조정스크류
250: 모니터잭
251: 연자ž이블
252: 방수커넥터

Claims (4)

  1. 적외선을 조사하는 트랜스미터(100)와, 상기 트랜스미터(100)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을 수신하는 리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는 적외선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터(100)는 커버(110)와, 상기 커버(1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적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렌즈세트(120)와, 상기 렌즈세트(120)를 정렬하기 위한 수평조정스크류(130) 및 수직조정스크류(140)를 포함하고;
    상기 리시버(200)는 커버(210)와, 상기 커버(210)의 내측에 설치되며 적외선을 조사하기 위한 렌즈세트(220)와, 전압을 측정하기 위한 모니터잭(monitor jack)(250)과, 상기 렌즈세트(220)를 정렬하기 위한 수평조정스크류(230) 및 수직조정스크류(240)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110)의 수평조정스크류(130) 및 수직조정스크류(14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수평조정홀(111) 및 수직조정홀(112)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210)의 수평조정스크류(230) 및 수직조정스크류(24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수평조정홀(211) 및 수직조정홀(2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감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조정홀(111, 211) 및 수직조정홀(112, 212)에 빗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방수볼트(113, 21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감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시버(200)의 커버(210)에 상기 모니터잭(250)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모니터잭(250)과 연결되는 모니터커넥터(21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감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잭(250)에 상기 커버(210)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케이블(251)이 설치되며, 상기 연장케이블(251)의 말단에 모니터 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방수커넥터(25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감지장치.
KR2020210003742U 2021-12-08 2021-12-08 적외선감지장치 KR202300012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742U KR20230001235U (ko) 2021-12-08 2021-12-08 적외선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742U KR20230001235U (ko) 2021-12-08 2021-12-08 적외선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235U true KR20230001235U (ko) 2023-06-15

Family

ID=8674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742U KR20230001235U (ko) 2021-12-08 2021-12-08 적외선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235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229Y1 (ko) 2002-11-04 2003-02-19 (주)태성엠아이에스 적외선 감지기
KR200342991Y1 (ko) 2003-11-17 2004-02-25 연제하 외부 감시용 적외선 감지기 설치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229Y1 (ko) 2002-11-04 2003-02-19 (주)태성엠아이에스 적외선 감지기
KR200342991Y1 (ko) 2003-11-17 2004-02-25 연제하 외부 감시용 적외선 감지기 설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623B1 (ko) 장력 감지 센서를 이용한 외곽울타리 보안 장치 및 이를이용한 외곽울타리
US20120113410A1 (en) Laser scanning sensor
US5489892A (en) Infrared human detector not barred by an intervening obstruction
US6317040B1 (en) Intruder detec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GB2517093A (en) Fence with sensor cable
US20200116557A1 (en) Optical flame detector
KR102362588B1 (ko)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
KR102115969B1 (ko) 지중 배전선로 접속점별 고장구간 검출장치
KR20230001235U (ko) 적외선감지장치
KR20170125763A (ko) 레이저 거리 센서 어레이를 이용한 터널 내공 변위 자동 계측 장치 및 그에 의한 터널 내공 변위 자동 계측 방법
KR101178586B1 (ko) 자동문 센서 모듈
US10823879B2 (en) Obstacle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8970852B2 (en) Laser projector for chassis alignment
KR200342991Y1 (ko) 외부 감시용 적외선 감지기 설치 구조
KR102110277B1 (ko) 적외선 감지 장치
KR102564661B1 (ko) 작업자 감지 장치
KR100976240B1 (ko) 적외선 감지 시스템
KR200452934Y1 (ko) 적외선 감지장치
KR100920062B1 (ko) 불꽃감지기의 감지영역 표시장치
KR20060089110A (ko) 레이저 광선 각도 조절 장치
KR200304229Y1 (ko) 적외선 감지기
US20230393301A1 (en) Sensor and locking device therefor
KR20040071670A (ko) 구조물 수직부의 안전진단용 유동변위 측정장치
KR200478561Y1 (ko) 유리창 부착식 일사량 측정장치
KR20220087054A (ko) 적외선 카메라 일체형 루프 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