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588B1 -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 - Google Patents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588B1
KR102362588B1 KR1020200068746A KR20200068746A KR102362588B1 KR 102362588 B1 KR102362588 B1 KR 102362588B1 KR 1020200068746 A KR1020200068746 A KR 1020200068746A KR 20200068746 A KR20200068746 A KR 20200068746A KR 102362588 B1 KR102362588 B1 KR 102362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post
sensor
unit
incl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2110A (ko
Inventor
김기화
한성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큐인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큐인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큐인포
Priority to KR1020200068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588B1/ko
Publication of KR20210152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04H12/085Details of flanges for tubular ma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02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6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2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thing itsel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10Detection; Monitor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40Maintenance of t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로서, 특정 목적에 맞게 도심의 거리에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금속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주(Pole); 상기 원통 형상의 금속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주의 상단에 장착되며, 상기 지주의 기울어짐이나 충격 또는 흔들림을 감지하는 센서 장치부; 및 상기 센서 장치부를 상기 지주에 장착하여 설치될 수 있는 체결 구조로 이루어지는 지주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에 따르면, 특정 목적에 맞게 도심의 거리에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금속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주와, 원통 형상의 금속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주의 상단에 장착되며, 지주의 기울어짐이나 충격 또는 흔들림을 감지하는 센서 장치부와, 센서 장치부를 지주에 장착하여 설치될 수 있는 체결 구조로 이루어지는 지주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자연재해로 인한 환경 요인 또는 사고로 인한 외적 요인으로 발생되는 지주의 기울어짐이나 충격 또는 흔들림에 따른 지주의 상태진단이 가능한 센서의 고장이 최소화될 수 있는 배치 및 장착 구조를 갖고, 안정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에 따르면, 스틸 밴드 또는 선반 구조로 이루어지는 지주 체결부를 이용하여 지주의 상단에 센서 장치부를 수용하는 방수 상자 또는 함체를 체결 고정하되, 지주의 금속기둥의 중심선에 맞춰 센서 장치부를 수용하는 방수 상자 또는 함체가 설치되고, 방수 상자 또는 함체 내부에 수용되는 센서 장치부의 센서부가 지주의 금속기둥에 최대한 밀착하여 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주의 특성을 고려한 배치 및 장차 구조를 통한 지주 상태의 안정적인 측정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지주 상태의 안정적인 모니터링으로 지주의 위험 예방 및 유지보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A POLE DEVICE FOR EASY STATE DIAGNOSIS USING INTERNET OF THINGS TECHNOLOGY}
본 발명은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연재해로 인한 환경 요인 또는 사고로 인한 외적 요인으로 발생되는 지주의 기울어짐이나 충격 또는 흔들림에 따른 지주의 상태진단이 가능한 센서의 고장이 최소화될 수 있는 배치 및 장착 구조를 갖고, 안정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에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지주(pole)가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주로는 한전의 전신주 폴, CCTV용 폴, 교통신호등 폴, 가로등 폴 등이 다양한 용도로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길거리를 다니다 보면 한전의 전신주 폴, CCTV용 폴, 신호등 폴, 가로등 폴, 및 안내표지 폴 등이 심하게 기울어져 있는 경우, 차량의 운전자 또는 보행자들은 위험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지주의 기울어짐 등은 발생 즉시 유지보수가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지주의 신속한 상태진단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즉,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지주들은 장기간 사용에 따른 노후화, 무거운 변압기 설치, 통신 및 전원 케이블의 다중포설, 지진, 태풍, 지반변동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시공 이후에 기울어짐이 발생되고, 그에 따른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존의 지주들은 관리자에 의한 주기적인 관찰이나, 지주의 위험한 상태에 대한 신고를 통해서만 알 수 있으므로, 지진이나 태풍, 지반변동 등에 따른 지주의 기울어짐 발생 시나, 차량의 추돌 등에 따른 외적인 요인으로 인한 사고 발생 시에 즉각적인 지주의 상태를 알 수 없으며, 그에 따른 즉각적인 위험 예방이나 유지보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한계가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정 목적에 맞게 도심의 거리에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금속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주와, 원통 형상의 금속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주의 상단에 장착되며, 지주의 기울어짐이나 충격 또는 흔들림을 감지하는 센서 장치부와, 센서 장치부를 지주에 장착하여 설치될 수 있는 체결 구조로 이루어지는 지주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자연재해로 인한 환경 요인 또는 사고로 인한 외적 요인으로 발생되는 지주의 기울어짐이나 충격 또는 흔들림에 따른 지주의 상태진단이 가능한 센서의 고장이 최소화될 수 있는 배치 및 장착 구조를 갖고, 안정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틸 밴드 또는 선반 구조로 이루어지는 지주 체결부를 이용하여 지주의 상단에 센서 장치부를 수용하는 방수 상자 또는 함체를 체결 고정하되, 지주의 금속기둥의 중심선에 맞춰 센서 장치부를 수용하는 방수 상자 또는 함체가 설치되고, 방수 상자 또는 함체 내부에 수용되는 센서 장치부의 센서부가 지주의 금속기둥에 최대한 밀착하여 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주의 특성을 고려한 배치 및 장차 구조를 통한 지주 상태의 안정적인 측정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지주 상태의 안정적인 모니터링으로 지주의 위험 예방 및 유지보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는,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로서,
특정 목적에 맞게 도심의 거리에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금속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주(Pole);
상기 원통 형상의 금속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주의 상단에 장착되며, 상기 지주의 기울어짐이나 충격 또는 흔들림을 감지하는 센서 장치부; 및
상기 센서 장치부를 상기 지주에 장착하여 설치될 수 있는 체결 구조로 이루어지는 지주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주는,
특정 목적에 맞게 도심의 거리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한전의 전신주 폴, CCTV용 폴, 교통신호등 폴, 및 가로등 폴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 장치부는,
자연재해로 인한 환경 요인 또는 사고로 인한 외적 요인으로 발생되는 상기 지주의 기울어짐에 따른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와, 상기 지주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
상기 지주가 설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GPS 모듈; 및
상기 센서부의 기울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지주의 기울기와, 상기 진동 센서에서 감지되는 지주의 진동을 미리 설정된 기울기 임계값과 진동 임계값의 비교를 통한 임계값을 넘었을 때의 지주 상태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 장치부는,
상기 센서부의 기울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지주의 기울기와, 상기 진동 센서에서 감지되는 지주의 진동을 미리 설정된 기울기 임계값과 진동 임계값의 비교를 통한 임계값을 넘었을 때 상기 제어모듈에서 생성하는 지주 상태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 장치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와 진동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와, GPS 모듈, 및 제어모듈을 방수 상자의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지주 체결부를 매개로 지주에 설치하되, 상기 지주의 금속기둥의 중심선에 대응하여 부착하고, 상기 방수 상자의 내부에서 상기 센서부가 상기 지주의 금속기둥에 최대한 밀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주 체결부는,
상기 센서 장치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상기 방수 상자를 상기 지주의 금속기둥 최상단에 부착시키기 위한 스틸 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서 장치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와 진동 센서를 구비하는 센서부와, GPS 모듈, 및 제어모듈을 함체의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지주 체결부를 매개로 지주에 설치하되, 상기 지주의 금속기둥의 중심선에 대응하여 부착하고, 상기 함체의 내부에서 상기 센서부가 상기 지주의 금속기둥에 최대한 밀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주 체결부는,
상기 센서 장치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상기 함체를 상기 지주의 금속기둥 최상단에 부착시키기 위한 선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에 따르면, 특정 목적에 맞게 도심의 거리에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금속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주와, 원통 형상의 금속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주의 상단에 장착되며, 지주의 기울어짐이나 충격 또는 흔들림을 감지하는 센서 장치부와, 센서 장치부를 지주에 장착하여 설치될 수 있는 체결 구조로 이루어지는 지주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자연재해로 인한 환경 요인 또는 사고로 인한 외적 요인으로 발생되는 지주의 기울어짐이나 충격 또는 흔들림에 따른 지주의 상태진단이 가능한 센서의 고장이 최소화될 수 있는 배치 및 장착 구조를 갖고, 안정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에 따르면, 스틸 밴드 또는 선반 구조로 이루어지는 지주 체결부를 이용하여 지주의 상단에 센서 장치부를 수용하는 방수 상자 또는 함체를 체결 고정하되, 지주의 금속기둥의 중심선에 맞춰 센서 장치부를 수용하는 방수 상자 또는 함체가 설치되고, 방수 상자 또는 함체 내부에 수용되는 센서 장치부의 센서부가 지주의 금속기둥에 최대한 밀착하여 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주의 특성을 고려한 배치 및 장차 구조를 통한 지주 상태의 안정적인 측정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지주 상태의 안정적인 모니터링으로 지주의 위험 예방 및 유지보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에 사용되는 지주의 예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의 센서 장치부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의 센서부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에서, 스틸 밴드 구조의 지주 체결부를 매개로 센서 장치부가 내부에 설치된 방수 상자를 지주에 설치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에서, 스틸 밴드 구조의 지주 체결부를 매개로 센서 장치부가 내부에 설치된 방수 상자를 지주에 설치한 정면도 및 측면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에서, 선반 구조의 지주 체결부를 매개로 센서 장치부가 내부에 설치된 함체를 지주에 설치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에서, 선반 구조의 지주 체결부를 매개로 센서 장치부가 내부에 설치된 함체를 지주에 설치한 정면도 및 측면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에 사용되는 지주의 예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의 센서 장치부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의 센서부의 구성을 기능블록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100)는, 지주(Pole)(110), 센서 장치부(120), 및 지주 체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주(Pole)(110)는, 특정 목적에 맞게 도심의 거리에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금속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러한 지주(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목적에 맞게 도심의 거리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한전의 전신주 폴, CCTV용 폴, 교통신호등 폴, 및 가로등 폴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양한 용도의 목적에 맞게 설치 사용되는 지주(101)들은 장기간 사용에 따른 노후화, 무거운 변압기 설치, 통신 및 전원 케이블의 다중포설, 지진, 태풍, 지반변동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시공 이후에 기울어짐이 발생되고, 그에 따른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지주(101)들은 지진이나 태풍, 지반변동 등에 따른 지주의 기울어짐 발생 시나, 차량의 추돌 등에 따른 외적인 요인으로 인한 사고 발생 시에 즉각적인 위험 예방을 위한 유지보수가 요구된다.
센서 장치부(120)는, 원통 형상의 금속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주(110)의 상단에 장착되며, 지주(110)의 기울어짐이나 충격 또는 흔들림을 감지하는 센서 장치의 구성이다. 이러한 센서 장치부(120)는 도 3 및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재해로 인한 환경 요인 또는 사고로 인한 외적 요인으로 발생되는 지주(110)의 기울어짐에 따른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121)와 지주(110)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 센서(122)를 구비하는 센서부(123)와, 지주(110)가 설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GPS 모듈(124)과, 센서부(123)의 기울기 센서(121)에서 감지되는 지주(110)의 기울기와, 진동 센서(122)에서 감지되는 지주(101)의 진동을 미리 설정된 기울기 임계값과 진동 임계값의 비교를 통한 임계값을 넘었을 때의 지주 상태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모듈(125)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23)는 기울기 센서(121)와 진동 센서(122) 이외에도, 지주(110) 주변의 미세먼지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미세먼지 센서와, 지주(110) 주변의 유해가스 농도를 감지하기 위한 유해가스 검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지주(110)의 설치 위치 및 장소에 따라 측정되는 센서의 증설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장치부(120)는 센서부(123)의 기울기 센서(121)에서 감지되는 지주(110)의 기울기와, 진동 센서(122)에서 감지되는 지주(101)의 진동을 미리 설정된 기울기 임계값과 진동 임계값의 비교를 통한 임계값을 넘었을 때 제어모듈(125)에서 생성하는 지주 상태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126)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장치부(120)는 지주(101)가 지진이나 태풍, 지반변동, 또는 차량의 추돌 등으로 인해 지주(101)가 기울어질 경우 위험을 알리는 지주 상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의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장치부(120)에서 외부의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네트워크 방식은 무선망으로 연결 접속하는 GPS 네트워크, 로라망 네트워크, IP 네트워크,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장치부(120)는 기울기 센서(121)와 진동 센서(122)를 구비하는 센서부(123)와, GPS 모듈(124), 및 제어모듈(125)을 방수 상자(101)의 내부에 수용하여 지주 체결부(130)를 매개로 지주(110)에 설치하되, 지주(110)의 금속기둥의 중심선에 대응하여 부착하고, 방수 상자(101)의 내부에서 센서부(123)가 지주(110)의 금속기둥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센서 장치부(120)는 기울기 센서(121)와 진동 센서(122)를 구비하는 센서부(123)와, GPS 모듈(124), 및 제어모듈(125)을 함체(102)의 내부에 수용하여 지주 체결부(130)를 매개로 지주(110)에 설치하되, 지주(110)의 금속기둥의 중심선에 대응하여 부착하고, 함체(102)의 내부에서 센서부(123)가 지주(110)의 금속기둥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지주 체결부(130)는, 센서 장치부(120)를 지주(110)에 장착하여 설치될 수 있는 체결 구조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러한 지주 체결부(130)는 센서 장치부(120)를 내부에 수용하는 방수 상자(101)를 지주(110)의 금속기둥 최상단에 부착시키기 위한 스틸 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지주 체결부(130)는 센서 장치부(120)를 내부에 수용하는 함체(102)를 지주(110)의 금속기둥 최상단에 부착시키기 위한 선반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에서, 스틸 밴드 구조의 지주 체결부를 매개로 센서 장치부가 내부에 설치된 방수 상자를 지주에 설치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에서, 스틸 밴드 구조의 지주 체결부를 매개로 센서 장치부가 내부에 설치된 방수 상자를 지주에 설치한 정면도 및 측면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주 장치(100)는 방수 상자(101)의 내부에 센서 장치부(120)가 수용되어 설치되고, 지주 체결부(130)가 스틸 밴드의 구조가 적용되는 구성으로, 센서 장치부(120)가 수용된 방수 상자(101)는 지주(110)의 금속기둥의 중심선에 맞춰 부착되고, 금속기둥 최상단에 스틸 밴드로 체결 고정된다. 이때, 방수 상자(101) 내부에서 센서 장치부(120)의 센서부(123)는 지주(110)의 금속기둥에 최대한 밀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에서, 선반 구조의 지주 체결부를 매개로 센서 장치부가 내부에 설치된 함체를 지주에 설치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에서, 선반 구조의 지주 체결부를 매개로 센서 장치부가 내부에 설치된 함체를 지주에 설치한 정면도 및 측면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주 장치(100)는 함체(102)의 내부에 센서 장치부(120)가 수용되어 설치되고, 지주 체결부(130)가 선반 구조가 적용되는 구성으로, 센서 장치부(120)가 수용된 함체(102)는 지주(110)의 금속기둥의 중심선에 맞춰 부착되고, 금속기둥의 최대한 상단에 체결 고정된다. 이때, 함체(102) 내부에서 센서 장치부(120)의 센서부(123)는 지주(110)의 금속기둥에 최대한 밀착하여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는, 특정 목적에 맞게 도심의 거리에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금속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주와, 원통 형상의 금속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주의 상단에 장착되며, 지주의 기울어짐이나 충격 또는 흔들림을 감지하는 센서 장치부와, 센서 장치부를 지주에 장착하여 설치될 수 있는 체결 구조로 이루어지는 지주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자연재해로 인한 환경 요인 또는 사고로 인한 외적 요인으로 발생되는 지주의 기울어짐이나 충격 또는 흔들림에 따른 지주의 상태진단이 가능한 센서의 고장이 최소화될 수 있는 배치 및 장착 구조를 갖고, 안정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스틸 밴드 또는 선반 구조로 이루어지는 지주 체결부를 이용하여 지주의 상단에 센서 장치부를 수용하는 방수 상자 또는 함체를 체결 고정하되, 지주의 금속기둥의 중심선에 맞춰 센서 장치부를 수용하는 방수 상자 또는 함체가 설치되고, 방수 상자 또는 함체 내부에 수용되는 센서 장치부의 센서부가 지주의 금속기둥에 최대한 밀착하여 부착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주의 특성을 고려한 배치 및 장차 구조를 통한 지주 상태의 안정적인 측정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지주 상태의 안정적인 모니터링으로 지주의 위험 예방 및 유지보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주 장치
101: 방수 상자
102: 함체
110: 지주(Pole)
120: 센서 장치부
121: 기울기 센서
122: 진동 센서
123: 센서부
124: GPS 모듈
125: 제어모듈
126: 통신모듈
130: 지주 체결부

Claims (8)

  1.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100)로서,
    특정 목적에 맞게 도심의 거리에 설치되는 원통 형상의 금속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주(Pole)(110);
    상기 원통 형상의 금속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지주(110)의 상단에 장착되며, 상기 지주(110)의 기울어짐이나 충격 또는 흔들림을 감지하는 센서 장치부(120); 및
    상기 센서 장치부(120)를 상기 지주(110)에 장착하여 설치될 수 있는 체결 구조로 이루어지는 지주 체결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 장치부(120)는,
    자연재해로 인한 환경 요인 또는 사고로 인한 외적 요인으로 발생되는 상기 지주(110)의 기울어짐에 따른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121)와, 상기 지주(110)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한 진동 센서(122)를 구비하는 센서부(123); 상기 지주(110)가 설치된 위치를 나타내는 GPS 모듈(124); 및 상기 센서부(123)의 기울기 센서(121)에서 감지되는 지주(110)의 기울기와, 상기 진동 센서(122)에서 감지되는 지주(101)의 진동을 미리 설정된 기울기 임계값과 진동 임계값의 비교를 통한 임계값을 넘었을 때의 지주 상태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모듈(125)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센서 장치부(120)는,
    상기 센서부(123)의 기울기 센서(121)에서 감지되는 지주(110)의 기울기와, 상기 진동 센서(122)에서 감지되는 지주(101)의 진동을 미리 설정된 기울기 임계값과 진동 임계값의 비교를 통한 임계값을 넘었을 때 상기 제어모듈(125)에서 생성하는 지주 상태 이벤트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모듈(126)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센서 장치부(120)는,
    상기 기울기 센서(121)와 진동 센서(122)를 구비하는 센서부(123)와, GPS 모듈(124), 및 제어모듈(125)을 방수 상자(101)의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지주 체결부(130)를 매개로 지주(110)에 설치하되, 상기 지주(110)의 금속기둥의 중심선에 대응하여 부착하고, 상기 방수 상자(101)의 내부에서 상기 센서부(123)가 상기 지주(110)의 금속기둥에 최대한 밀착하여 부착되고,
    상기 지주 체결부(130)는,
    상기 센서 장치부(120)를 내부에 수용하는 상기 방수 상자(101)를 상기 지주(110)의 금속기둥 최상단에 부착시키기 위한 스틸 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10)는,
    특정 목적에 맞게 도심의 거리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한전의 전신주 폴, CCTV용 폴, 교통신호등 폴, 및 가로등 폴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장치부(120)는,
    상기 기울기 센서(121)와 진동 센서(122)를 구비하는 센서부(123)와, GPS 모듈(124), 및 제어모듈(125)을 함체(102)의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지주 체결부(130)를 매개로 지주(110)에 설치하되, 상기 지주(110)의 금속기둥의 중심선에 대응하여 부착하고, 상기 함체(102)의 내부에서 상기 센서부(123)가 상기 지주(110)의 금속기둥에 최대한 밀착하여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 체결부(130)는,
    상기 센서 장치부(120)를 내부에 수용하는 상기 함체(102)를 상기 지주(110)의 금속기둥 최상단에 부착시키기 위한 선반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
KR1020200068746A 2020-06-08 2020-06-08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 KR102362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746A KR102362588B1 (ko) 2020-06-08 2020-06-08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746A KR102362588B1 (ko) 2020-06-08 2020-06-08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110A KR20210152110A (ko) 2021-12-15
KR102362588B1 true KR102362588B1 (ko) 2022-02-15

Family

ID=78865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746A KR102362588B1 (ko) 2020-06-08 2020-06-08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5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040B1 (ko) * 2022-02-21 2022-10-21 (주)윈투스시스템 스마트 컨트롤러를 이용한 통합관리 시스템
KR102464224B1 (ko) * 2022-05-16 2022-11-04 강성택 지진 및 기울어짐 감지 기능이 구비된 사물인터넷 기반의 조명 시스템
KR102464216B1 (ko) * 2022-05-16 2022-11-09 주식회사 디앤지라이텍 기울어짐 감지 및 관리 기능이 구비된 사물인터넷 기반의 조명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901B1 (ko) * 2008-12-18 2009-08-13 남도종합기술(주) 송전선로 철탑의 기울기 측정장치
KR101668979B1 (ko) * 2016-04-08 2016-11-09 주식회사 신일이앤씨 가로등 및 이를 위한 관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901B1 (ko) * 2008-12-18 2009-08-13 남도종합기술(주) 송전선로 철탑의 기울기 측정장치
KR101668979B1 (ko) * 2016-04-08 2016-11-09 주식회사 신일이앤씨 가로등 및 이를 위한 관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110A (ko) 202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2588B1 (ko) IoT 기술을 적용한 상태진단이 용이한 지주 장치
US7419140B2 (en) Security fence module
US202103022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hydrogeological risk
KR102155529B1 (ko) 터널 선행침하 경보장치
CN204990746U (zh) 一种车辆应急安全警示装置
US20230160784A1 (en) Conductor support structure position monitoring system
JP2009281924A (ja) 地盤崩壊予測警報システム及び地盤崩壊予測警報方法
JP3150943B2 (ja) 防御管理システム
KR100582264B1 (ko) 와이어가 상호 연결된 낙석 방지 펜스의 낙석 감지 시스템
KR20180036514A (ko) 수배전반용 지진감지 시스템
CN213600059U (zh) 一种架空线缆弧垂测距仪
JP2011159268A (ja) 侵入者検知装置
KR100697719B1 (ko) 통신장치가 구비된 가드레일 및 이를 이용한 가드레일감시 시스템
JP2002329271A (ja) 土砂崩壊検知装置
KR102249777B1 (ko) 가로등 누전 경보 시스템
JP3039909U (ja) 車輛などの制限高さ超過警告装置
KR20210152598A (ko) IoT 기술을 적용한 지주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609746B1 (ko) 비탈면 붕괴 사전 감지시스템
KR101904072B1 (ko) 씽크홀 감지가 가능한 수배전반 시스템
CN205621312U (zh) 一种预警系统
KR102459272B1 (ko) 노면 상태 감지 시스템
CN217579899U (zh) 一种交通隔离装置和智能预警系统
KR200257728Y1 (ko) 구조물의 수직변위 측정장치
JPH06129597A (ja) 近接警報装置
KR102507405B1 (ko) 건축물의 지진으로 인한 진동 기울기 및 변위 측정용 스마트 계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