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920Y1 - 전원공급유닛 또는 옵션모듈의 확장이 가능한 키폰주장치 - Google Patents

전원공급유닛 또는 옵션모듈의 확장이 가능한 키폰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920Y1
KR200452920Y1 KR2020080016441U KR20080016441U KR200452920Y1 KR 200452920 Y1 KR200452920 Y1 KR 200452920Y1 KR 2020080016441 U KR2020080016441 U KR 2020080016441U KR 20080016441 U KR20080016441 U KR 20080016441U KR 200452920 Y1 KR200452920 Y1 KR 200452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upply unit
option module
connector
mother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240U (ko
Inventor
유용철
Original Assignee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에릭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6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920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2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2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9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8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with current supply sources at the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원공급유닛 또는 옵션모듈을 선택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키폰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원공급유닛 또는 옵션모듈의 확장이 가능한 키폰주장치 셀프와, 셀프의 내부에 고정되는 마더보드와, 마더보드에 병렬로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제1 옵션모듈 커넥터를 가지는 옵션모듈 전용부와, 마더보드에 병렬로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제1 전원공급유닛 커넥터를 가지는 전원공급유닛 전용부와, 마더보드에 병렬로 인접하게 결합된 제2 옵션모듈 커넥터와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를 가지는 공용부와, 하나 이상의 제1 옵션모듈 커넥터 및 제2 옵션모듈 커넥터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옵션모듈과, 하나 이상의 제1 전원공급유닛 커넥터 및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전원공급유닛을 포함한다.
PSU, 슬롯, 옵션모듈, 키폰주장치, PABX, 전원공급기

Description

전원공급유닛 또는 옵션모듈의 확장이 가능한 키폰주장치{KEYPHONE MAIN SYSTEM CAPABLE OF EXPANSION OF A POWER SUPPLY UNIT OR AN OPTION MODULE}
본 고안은 전원공급유닛 또는 옵션모듈을 선택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키폰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폰이란 하나 이상의 국선과 하나 이상의 내선을 수용할 수 있고, 전화기로 상호간의 회선을 교환, 접속할 수 있는 접속장비를 말하며, 키폰주장치와 단말기(예컨대, 키폰전화기, 일반 전화기) 및 부가장비로 구성된다. 키폰주장치는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전원공급유닛(PSU; Power Supply Unit)의 확장을 고려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키폰주장치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키폰주장치에 전원공급유닛을 확장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키폰주장치에 전원공급유닛을 확장하지 않은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키폰주장치(10)는 직육면체 형상의 셀프(shelf)(11)와, 옵션모듈 커넥터(12a) 및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2b)를 가지며 셀프(11)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되는 마더보드(12)와, 마더보드(12)의 옵션모듈 커넥터(12a)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옵션모듈(15)과,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2b)에 연결되는 전원공급유닛(16)을 포함한다. 옵션모듈이란 시스템의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보드를 모듈형태로 체결한 것을 말한다.
셀프(11)의 크기는 정해진 규격에 따라 정해지므로 장착될 수 있는 옵션모듈(15)과 전원공급유닛(16)의 개수가 제한된다. 셀프(11)에는 가이드레일(13)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레일(13)을 통해 옵션모듈(15)이 셀프(11)의 내부로 안내되어 장착된다. 또한, 셀프(11)에는 전원공급유닛(16)의 고정을 위한 브라켓(14)이 형성되어 있다.
마더보드(12)는 셀프(11)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셀프(11)의 규격에 따라 옵션모듈 커넥터(12a)와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2b)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마더보드(12)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옵션모듈(15) 및 전원공급유닛(16)의 연결시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옵션모듈 커넥터(15)와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6)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전원공급유닛(16)을 장착하는 경우에, 8개의 옵션모듈(15)은 각각 대응하는 옵션모듈 커넥터(12a)에 장착되고, 전원공급유닛(16)은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2b)에 장착되고 볼트(16a, 16b)에 의해 셀프(11)의 브라켓(14)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전원공급유닛(16)을 장착하는 경우에도, 8개의 옵션모듈(15)은 하나의 공급유닛(16)을 장착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장착된다. 이 때, 2개의 전원공급유닛(16)은 각각 대응하는 커넥터(12b)에 연결되고, 볼트(16a, 16b)에 의해 셀프(11)에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원공급유닛을 확장할 수 있는 키폰주장치에서 하나의 전원공급유닛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옵션모듈 커넥터와 전원공급유닛의 커넥터가 상이하므로 추가적인 옵션모듈의 장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원공급유닛의 확장성은 제조시에 고려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전원공급유닛 또는 옵션모듈을 선택적으로 확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하나의 전원공급유닛을 사용하는 경우에 다른 전원공급유닛의 장착위치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키폰주장치의 방열효율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공급유닛 또는 옵션모듈을 선택적으로 확장할 수 있는 키폰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전원공급유닛 또는 옵션모듈의 확장이 가능한 키폰주장치 셀프와, 셀프의 내부에 고정되는 마더보드와, 마더보드에 병렬로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제1 옵션모듈 커넥터를 가지는 옵션모듈 전용부와, 마더보드에 병렬로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제1 전원공급유닛 커넥터를 가지는 전원공급유닛 전용부와, 마더보드에 병렬로 인접하게 결합된 제2 옵션모듈 커넥터와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를 가지는 공용부와, 하나 이상의 제1 옵션모듈 커넥터 및 제2 옵션모듈 커넥터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옵션모듈과, 하나 이상의 제1 전원공급유닛 커넥터 및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전원공급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마더보드는 하나 이상의 제1 옵션모듈 커넥터와 제2 옵션모듈 커넥터가 배치된 제1 마더보드와, 하나 이상의 제1 전원공급유닛 커넥터와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가 배치되며, 제1 마더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마더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마더보드와 제2 마더보드는 서로 다른 평면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에 장착되는 전원공급유닛의 후면에는 제2 옵션모듈 커넥터와 겹치지 않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옵션모듈 커넥터에 장착되는 옵션모듈의 후면에는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와 겹치지 않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전원공급유닛 또는 옵션모듈의 확장이 가능한 키폰주장치에 따르면, 마더보드에 옵션모듈 커넥터와 전원공급유닛 커넥터가 인접하게 배치된 공용부로 인해서 전원공급유닛 또는 옵션모듈을 선택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마더보드를 제1 마더보드와 제2 마더보드로 구성하여 서로 다른 평면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함으로써, 옵션모듈 또는 전원공급유닛의 확장시 확장되지 않는 인접한 커넥터와 겹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옵션모듈 또는 전원공급유닛의 후면에 인접한 커넥터에 대응하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확장되지 않는 인접한 커넥터와 겹치지 않는다.
더욱이, 전원공급유닛 또는 옵션모듈 중 하나를 확장함으로써 빈 공간에 의해 유발되는 방열효율의 저하 및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유닛 또는 옵션모듈의 확장이 가능한 키폰주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마더보드는 제1 마더보드와 제2 마더보드로 구성되어 다른 평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키폰주장치의 셀프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키폰주장치의 제1 및 제2 마더보드의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키폰주장치(100)는 셀프(110)와, 셀프(110)의 내부에 고정되는 마더보드와, 마더보드에 병렬로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제1 옵션모듈 커넥터(121a)를 가지는 옵션모듈 전용부와, 마더보드에 병렬로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제1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22a)를 가지는 전원공급유닛 전용부와, 마더보드에 병렬로 인접하게 결합된 제2 옵션모듈 커넥터(121b)와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22b)를 가지는 공용부(123)와, 하나 이상의 제1 옵션모듈 커넥터(121a) 및 제2 옵션모듈 커넥터(121b)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옵션모듈(150, 151, 도 9 참조)과 하나 이상의 제1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22a)와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22b)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전원공급유닛(160, 161, 도 10 참조)을 포함한다.
옵션모듈 전용부에는 하나 이상의 옵션모듈(150)이 장착되고, 전원공급유닛 전용부에는 전원공급유닛(160)이 장착되며, 공용부(123)에는 옵션모듈(151) 또는 전원공급유닛(161)이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셀프(110)는 전방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셀프(110)에는 옵션모듈(150, 151) 및 전원공급유닛(160, 161)의 장착시 이들을 내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복수개의 가이드레일(130)이 상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레일(130)은 제1 및 제2 옵션모듈 커넥터(121a, 121b)와 제1 및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22a, 122b)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마더보드는 단일체로 구성되어 제1 및 제2 옵션모듈 커넥터(121a, 121b)와 제1 및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22a, 122b)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옵션모듈 커넥터(121b) 또는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22b)가 옵션모듈(151) 또는 전원공급유닛(161)의 장착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마더보드는 하나 이상의 제1 옵션모듈 커넥터(121a)와 제2 옵션모듈 커넥터(121b)가 배치된 제1 마더보드(121)와, 제1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22a)와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22b)가 배치되며 제1 마더보드(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마더보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마더보드(121)는 셀프(110)의 내부에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제1 마더보드(121)는 옵션모듈(150, 151)이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옵션모듈 커넥터(121a)와 제2 옵션모듈 커넥터(121b)를 갖는다. 제1 및 제2 옵션모듈 커넥터(121a, 121b)는 서로 평행하게 병렬로 제1 마더보드(121)에 결합된다.
제2 마더보드(122)는 제1 마더보드(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마더보드(122)는 전원공급유닛(160, 161)이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22a) 및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22b)를 갖는다.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22a, 122b)는 서로 평행하게 병렬로 제2 마더보드(122)에 결합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마더보드(121)와 제2 마더보드(122)와 다른 평면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셀프(110)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옵션모듈 커넥터(121a, 121b)와 제1 및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22a, 122b)는 층계를 이루어, 제2 옵션모듈 커넥터(121b)에 옵션모듈(151)을 장착할 때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22b)가 옵션모듈(151)의 장착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제2 마더보드(122)가 제1 마더보드(121)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제1 마더보드(121)가 제2 마더보드(12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22b)에 전원공급유닛(161)을 장착할 때 제2 옵션모듈 커넥터(121b)가 전원공급유닛(161)의 장착을 방해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고안의 키폰주장치의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브라켓(140)은 전원공급유닛(160, 161)을 셀프(11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브라켓(140)의 개수는 제1 및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22a, 122b)의 개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는 2개의 브라켓(141, 142)을 가지는 경우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라켓(141, 142)은 나사(141a, 142a)에 의해 셀프(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브라켓(142)은 옵션모듈(151)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제거될 수 있다. 반면에, 전원공급유닛(161)을 장착하는 경우에 브라켓(142)은 전원공급유닛(161)을 셀프(110)에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키폰주장치의 전원공급유닛의 사시도이다.
제2 마더보드(122)가 제1 마더보드(121)의 후방에 배치되는 경우, 전원공급유닛(161)이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22b)에 장착될 때 제2 옵션모듈 커넥터(121b)가 전원공급유닛(161)의 후면에 걸려 전원공급유닛(161)의 장착을 방해할 수 있다. 이러한 간섭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22b)에 장착되는 전원공급유닛(161)의 후면에는 제2 옵션모듈 커넥터(121b)와 겹치지 않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홈(161d)은 옵션모듈 커넥터(121b)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진다. 이 실시예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61c는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에 결합되는 커넥터이다.
마찬가지로, 제2 마더보드(122)가 제1 마더보드(121)의 전방에 배치되는 경우, 제2 옵션모듈 커넥터(121b)에 장착되는 옵션모듈(151)의 후면(도시하지 않음)에는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22b)와 겹치지 않도록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122b)에 장착되는 전원공급유닛(161)에 형성된 홈(161d)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제2 옵션모듈 커넥터(121b)에 장착되는 옵션모듈(151)에도 홈(161d)과 유사하게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옵션모듈을 확장한 상태의 키폰주장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10은 전원공급유닛을 확장한 상태의 키폰주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키폰주장치(100)에는 1개의 전원공급유닛(160)이 장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전원공급유닛(160)은 볼트(160a)에 의해 브라켓(141, 도 4 참조)에 고정된다. 키폰주장치(100)에 8개의 옵션모듈(150)이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셀프(110)에 결합된 브라켓(142, 도 4 참조)을 분리하고 다른 옵션모듈(151)을 추가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키폰주장치(100)에는 8개의 옵션모듈(150)이 장착되고 1개의 전원공급유닛(160)이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키폰주장치(100)에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위해 다른 전원공급유닛(161)을 추가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추가적인 전원공급유닛(161)은 볼트(160b)에 의해 브라켓(142, 도 4 참조)에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전원공급유닛(161) 또는 옵션모듈(151)을 선택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키폰주장치의 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키폰주장치에 전원공급유닛을 확장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키폰주장치에 전원공급유닛을 확장하지 않은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키폰주장치의 셀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키폰주장치의 제1 및 제2 마더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키폰주장치의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키폰주장치의 전원공급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옵션모듈을 확장한 상태의 키폰주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0은 전원공급유닛을 확장한 상태의 키폰주장치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셀프
121 : 제1 마더보드
122 : 제2 마더보드
130 : 가이드레일
150, 151 : 옵션모듈
160, 161 : 전원공급유닛

Claims (5)

  1. 셀프와,
    상기 셀프의 내부에 고정되는 마더보드와,
    상기 마더보드에 병렬로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제1 옵션모듈 커넥터를 가지는 옵션모듈 전용부와,
    상기 마더보드에 병렬로 결합된 하나 이상의 제1 전원공급유닛 커넥터를 가지는 전원공급유닛 전용부와,
    상기 마더보드에 병렬로 인접하게 결합된 제2 옵션모듈 커넥터와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를 가지는 공용부와,
    하나 이상의 제1 옵션모듈 커넥터 및 제2 옵션모듈 커넥터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옵션모듈과,
    하나 이상의 제1 전원공급유닛 커넥터 및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전원공급유닛을 포함하는
    전원공급유닛 또는 옵션모듈의 확장이 가능한 키폰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더보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옵션모듈 커넥터와 상기 제2 옵션모듈 커넥터가 배치된 제1 마더보드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전원공급유닛 커넥터와 상기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 가 배치되며, 상기 제1 마더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마더보드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유닛 또는 옵션모듈의 확장이 가능한 키폰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더보드와 상기 제2 마더보드는 서로 다른 평면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원공급유닛 또는 옵션모듈의 확장이 가능한 키폰주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에 장착되는 전원공급유닛의 후면에는 상기 제2 옵션모듈 커넥터와 겹치지 않도록 홈이 형성된
    전원공급유닛 또는 옵션모듈의 확장이 가능한 키폰주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옵션모듈 커넥터에 장착되는 옵션모듈의 후면에는 상기 제2 전원공급유닛 커넥터와 겹치지 않도록 홈이 형성된
    전원공급유닛 또는 옵션모듈의 확장이 가능한 키폰주장치.
KR2020080016441U 2008-12-11 2008-12-11 전원공급유닛 또는 옵션모듈의 확장이 가능한 키폰주장치 KR200452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441U KR200452920Y1 (ko) 2008-12-11 2008-12-11 전원공급유닛 또는 옵션모듈의 확장이 가능한 키폰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441U KR200452920Y1 (ko) 2008-12-11 2008-12-11 전원공급유닛 또는 옵션모듈의 확장이 가능한 키폰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240U KR20100006240U (ko) 2010-06-21
KR200452920Y1 true KR200452920Y1 (ko) 2011-03-28

Family

ID=44245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441U KR200452920Y1 (ko) 2008-12-11 2008-12-11 전원공급유닛 또는 옵션모듈의 확장이 가능한 키폰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92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336Y1 (ko) * 2011-07-18 2013-02-13 주식회사 포에프 디브이알 보드 랙 설치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6862A (ja) * 1992-02-17 1993-09-03 Fujitsu Ltd 通信装置のユニット構造
KR970031644A (ko) * 1995-11-10 1997-06-26 김광호 일체형으로 단자함이 설치된 키폰주장치
KR20010063685A (ko) * 1999-12-24 2001-07-09 서평원 키폰 시스템의 링크 장치
KR20030054370A (ko) * 2001-12-24 2003-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폰 시스템의 하이웨이 확장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6862A (ja) * 1992-02-17 1993-09-03 Fujitsu Ltd 通信装置のユニット構造
KR970031644A (ko) * 1995-11-10 1997-06-26 김광호 일체형으로 단자함이 설치된 키폰주장치
KR20010063685A (ko) * 1999-12-24 2001-07-09 서평원 키폰 시스템의 링크 장치
KR20030054370A (ko) * 2001-12-24 2003-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폰 시스템의 하이웨이 확장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240U (ko) 2010-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65767B2 (ja) カートリッジ型サーバユニットおよび該サーバユニット搭載用筐体ならびにサーバ装置
US9462725B2 (en) Server rack and its server device
US7614247B2 (en) Cooling arrangement
JP4824079B2 (ja) プリント基板ユニット
TWI485946B (zh) 蓄電裝置
US9788453B2 (en) Server
JP2011065638A (ja) サーバーキャビネット
TW201424506A (zh) 機櫃式伺服器及其理線裝置
TW201424521A (zh) 機櫃式伺服器
US8228669B2 (en) Layout structure of server chassis
US20100046181A1 (en) Removable card guides for horizontal line cards
JP2007128498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JP6112066B2 (ja) モジュール式電子機器連結用収納部材
US20120112611A1 (en) Server cabinet structure
US10694635B1 (en) Mesh network topology based on midplane board
US7782632B2 (en) Electrical power connection with two power connectors on a module in an electronic system
JP6655356B2 (ja) 制御装置
US9516780B2 (en) Device for accommodating mounting rail module cases
JP2007511019A (ja) モジュラープラットホーム応用のためのインタフェース拡張
KR200452920Y1 (ko) 전원공급유닛 또는 옵션모듈의 확장이 가능한 키폰주장치
JP5924115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の天井配線構造
US9904329B2 (en) Power supply and circuit module for data processing system
CN102566690A (zh) 扩充卡固定装置
JPWO2010073397A1 (ja) 入出力ユニット
JP2020030789A (ja) サー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