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684Y1 - 철망의 고정기구 - Google Patents

철망의 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684Y1
KR200452684Y1 KR2020080008971U KR20080008971U KR200452684Y1 KR 200452684 Y1 KR200452684 Y1 KR 200452684Y1 KR 2020080008971 U KR2020080008971 U KR 2020080008971U KR 20080008971 U KR20080008971 U KR 20080008971U KR 200452684 Y1 KR200452684 Y1 KR 2004526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body portion
centimeters
wi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436U (ko
Inventor
전완진
Original Assignee
전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완진 filed Critical 전완진
Priority to KR2020080008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684Y1/ko
Publication of KR201000004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4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6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6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08Improving by compacting by inserting stones or lost bodies, e.g. compac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망의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지면 위에 놓여있는 철망을 지긋이 눌러주면서 0.5 센티미터 내지 4 센티미터의 두께를 가진 판상체의 형상을 가진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부에서 하면부로 경사지게 관통되어 있고, 그 경사각도는 상기 몸체부의 수직선에 대하여 10도 내지 80도를 형성하고 있는 앵커삽입 구멍과;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아래에 존재하는 철망의 세로철선을 내부로 파여진 부분으로 안착시켜서 상기의 철망을 고정하게 되는 철망 파지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은 철망에 고정된 상태에서, 철망고정부재의 두께가 매우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나중에 작업자가 시공현장에서 자라난 풀이나 다른 식물을 예초기 등으로 절단할 경우,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개비온, 철망, 고정기구, 식생 시공방법, 소하천

Description

철망의 고정기구{Apparatus for fixing wire mesh in the earth}
본 고안은 철망의 고정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옹벽이나 하천의 제방에 철망을 이용하여 시공할 경우에, 지면 위에 놓여지는 철망을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시공 이후 옹벽이나 하천의 제방에 관한 사후관리에 적합한 철망의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자연환경의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어지면서, 종래의 산업화 과정에서 당연시 되어 진행되어왔던 각종의 토목건설 분야의 시공방법이 친환경 시공방법으로 점차 전환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개천, 하천 또는 강의 제방을 구축하거나 절개지 등을 축조하는데 있어서도 그 예외는 아니어서, 종래에 당연히 시공되어 왔었던 콘크리트 블록이나 호안블럭이 점점 그 세력을 잃어가고 있다. 시멘트 블럭으로 형성된 호안블럭이나 콘크리트에 의한 시공방법은 제방 등의 축조 이후에 식물들이 자라날 수 있는 환경을 전혀 제공하지 못하므로, 주변환경과 조화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다는 폐해를 뒤늦게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콘크리트 시공법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오늘날 주목되고 있는 것이 개비온 돌망태를 이용한 경사면의 시공방법이다. 개비온 돌망태는 육각형태 또는 사각형태의 철 그물망 패널로 다면체의 구조물을 만들고 그 속에 잡석 등의 채움재를 채워넣을 수 있도록 한 철망 구조물이다. 철망 개비온은 철 그물망으로 짜여진 개비온의 내부에 자연석, 조약돌, 잡석 등을 채워넣은 다음, 이것을 도로의 절개지, 제방의 침식방지용 매트리스, 교각의 침식방지용 교대, 방파제의 방어벽, 경사면의 옹벽이나 축벽 등의 용도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돌망태의 경우, 그 내부에 많은 잡석을 채워넣어야 하고, 이를 위하여 자연상태의 돌을 채취하거나, 야산의 암석을 파쇄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따라서, 통상적인 개비온 돌망태의 시공방법은 친환경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비온 돌망태를 이용한 경사면의 구축방법이 오늘날 각종의 하천의 경사면, 절개지, 산사태 등으로 인한 축벽 등의 시공현장에서 활발하게 시공되지 못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개비온 시공방법을 개선하여, 경사면이나 하천의 제방에 깬돌 등과 같은 채움재를 사용하지 않고, 단지 철망을 지면 위에 고정시키고 철망의 망눈과 망눈의 사이에 식물이 자라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개비온 시공방법이 등장하고 있다.
상기의 시공방법은 채움재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자연훼손의 측면이 전혀 없고 원재료 구입난에 따른 곤란성이 없으며, 더구나 식물의 식재로 인하여 가장 적 합한 친환경 시공방법으로 그 기대하는 바가 크다.
그러나, 상기의 시공방법에서는 지면 위에 설치된 철망이 채움재에 의해 더 이상 지면에 고정되지 않게 되므로,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상기의 철망을 고정시켰는데, 시공작업 이후에 자라나기 시작한 식물을 예초기 등으로 잘라내는 과정에서, 예초기 등이 상기 철망 위에 설치된 고정부재에 부딪혀서, 예초기의 칼날이 부러지거나 상기 고정부재를 깨뜨려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게 되는 예상치 못한 사태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천이나 절개지, 또는 경사면 등을 구축하는데 사용되는 철망을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주고, 그와 동시에, 시공 이후에 자라나게 된 식물을 잘라낼 경우에도 예초기 등의 칼날에 부딪힐 염려가 없는 철망의 고정부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철망 고정기구는 지면 위에 놓여있는 철망을 지긋이 눌러주면서 0.5 센티미터 내지 4 센티미터의 두께를 가진 판상체의 형상을 가진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부에서 하면부로 경사지게 관통되어 있고, 그 경사각도는 상기 몸체부의 수직선에 대하여 10도 내지 80도를 형성하고 있는 앵커삽입 구멍과; 상기 몸체부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아래에 존재하는 철망의 세로철선을 내부로 파여진 부분으로 안착시켜서 상기의 철망을 고정하게 되는 철망 파지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철망 파지홈의 상단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를 이루는 두께는 0.3 센티미터 내지 3 센티미터가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철망 고정기구를 사용하게 되면, 경사면에 고정되는 철망을 견고하게 지면에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일단 한번 고정되어지면, 지면에 박혀진 앵커들이 서로 엇각을 형성하게 되므로, 추후 철망에 어떠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일단 고정된 철망을 걷어내거나 뽑아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심한 유속에 의할 경우에도 시공된 작업현장에서 철망이 벗겨지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철망에 고정된 상태에서, 철망고정부재의 두께가 매우 얇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나중에 작업자가 시공현장에서 자라난 풀이나 다른 식물을 예초기 등으로 절단할 경우,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철망 고정기구(10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철망 고정기구(100)에 관한 주요부 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의 철망 고정기구(100)를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철망 고정기구(100)는 전체적인 형상을 유지하고 판상체의 형상을 가지고 있는 몸체부(1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몸체부(110)는 지면 위에 존재하는 철망(10)을 지긋이 눌러주게 되며, 일정한 두께(l)를 가진 판상의 형체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상체는 일반적으로 그 평면을 이루고 있고, 대체적으로 일정한 두께(l)를 가지고 있는 것이므로, 지면 위에 존재하는 철망(10)을 아래쪽으로 가압하여 눌러 고정할 경우, 상기의 철망(10)과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지게 되고, 이로써 나중에 작업자가 예초기 등을 사용할 경우, 예초기의 칼날이 모난 부분에 부딪혀서 불의의 사고를 당하게 될 가능성을 최소한으로 줄여주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상기 몸체부(110)의 두께(l)는 0.5 센티미터 내지 4 센티미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 센티미터 내지 2 센티미터이다.
본 고안에 의한 철망 고정기구(100)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부에서 하면부로 경사지게 관통되어 있는 앵커삽입 구멍(120)(122)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앵커삽입 구멍(120)(122)은 작업자가 앵커 또는 대형 못을 지면에 박는 통로를 제공한다. 상기의 앵커삽입 구멍(120)(122)은 상기 몸체부(110)를 위에서 아래쪽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앵커삽입 구멍(120)의 경사각도(θ)는 상기 몸체부(110)의 수직선(X)에 대하여 10도 내지 80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의 경사각도(θ)가 10도 이하로 형성될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지면에 수직되게 박혀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고, 나중에 지면에서 철망(10)이 쉽게 벗겨져 버릴 가능성이 있으므로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한편, 상기의 경사각도(θ)가 80 도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지면에 거의 수평으로 박히게 되므로, 작업성이 극히 불량하고, 또한 지면에 대한 고정의 효과도 적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앵커삽입 구멍(120)의 경사각도(θ)는 30 도 내지 60 도의 범위에서 결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다른 앵커삽입 구멍(122)의 경사각도는 그와 대비되는 상기 앵커삽입 구멍(120)의 경사각도(θ)와 대칭되어지되, 상기 몸체부(110)의 수직선(X)에 대하여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철망 고정기구(100)는 상기 몸체부(11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철망 파지홈(130)을 포함하고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의 철망 파지홈(130)은 상기 몸체부(110)의 최하단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일정한 깊이를 가지고 직선형태로 파여진 형상을 취하고 있다. 이것은 그 아래에 존재하는 철망(10)의 세로철선(12)을 자신의 내부로 파여진 부분에 받아들여서, 그곳에서 상기의 철망(10)을 고정시켜주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철망 파지홈(130)의 상단부와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부의 사이를 이루는 두께(d)는 0.3 센티미터 내지 3 센티미터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5 센티미터 내지 1.5 센티미터이다. 상기의 두께(d)가 0.3 센티미터 이하로 형성될 경우엔 충격에 의해 깨어져 버릴 위험성이 큰 반면에, 상기의 두께(d)가 3 센티미터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엔 상기 몸체부(110)의 두께가 너 무 커져서 추후 예초기 등을 사용할 경우, 종래의 제품과 동일한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본 고안에 의한 철망 고정기구(100)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철망 고정기구(100)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a는 비교적 수평 상태로 놓여있는 지면에 대하여 상기의 철망 고정기구(100)를 사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반면에, 도 4b는 비교적 수직 상태에 가까운 경사면에 철망 고정기구(100)를 사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철망 고정기구(100)를 사용하여 철망을 고정시킨 이후, 그 작업장에 자라난 풀과 식생 식물 등을 예초기(50) 등의 기구로 잘라낼 경우, 종래의 철망고정기구(30)와 대비하여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작업자는 일단 하천의 경사면 또는 제방에 철망(10)을 펼쳐 놓은 다음, 작업순서에 따라 진행하되, 상기의 철망(10)을 고정시켜야 할 단계에 들어서면, 본 고안에 의한 철망 고정기구(100)를 상기 철망(10)의 위에 올려놓는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철망 파지홈(130)에 철망의 세로철선(12)이 끼워져 놓여지도록 주의한다.
작업자는 앵커 또는 대형 못을 상기 앵커삽입 구멍(120)(122)에 삽입시키고, 하나씩 지면에 박아넣는다. 이때, 상기의 앵커 또는 대형 못이 상기 앵커삽입 구멍(120)(122)에 충분히 들어가도록 하고, 그 윗 부분이 바깥쪽에 노출되지 않도록 박아준다. 첨부된 도면에서는 상기의 앵커 또는 대형 못이 일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나, 이는 도면상 설명의 편의성을 고려한 것임을 밝혀둔다.
작업자는 상기의 앵커 또는 대형 못이 완전히 삽입되었음을 확인하고, 고정작업을 종료한다. 그 이후 단계는 작업의 순서에 따라 진행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철망 고정기구(100)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철망 고정기구(100)에 관한 주요부 단면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의 철망 고정기구(100)를 위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이며,
도 4a는 상기 도 1의 철망 고정기구(100)를 수평 상태의 지면에 고정시킬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면이고,
도 4b는 상기 도 1의 철망 고정기구(100)를 수직 상태의 경사면에 고정시킬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면이며,
도 5는 상기 도 1의 철망 고정기구(100)와 종래의 철망 고정기구를 사용하였을 경우 예초기 등에 의한 효과를 대비하여 설명한 예시도면이다.

Claims (4)

  1. 지면 위에 놓여있는 철망(10)을 지긋이 눌러주면서 0.5 센티미터 내지 4 센티미터의 두께(l)를 가진 판상체의 형상을 가진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부에서 하면부로 경사지게 관통되어 있고, 그 경사각도(θ)는 상기 몸체부(110)의 수직선에 대하여 10도 내지 80도를 형성하고 있는 앵커삽입 구멍(120)(122)과;
    상기 몸체부(11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고, 그 아래에 존재하는 철망의 세로철선을 내부로 파여진 부분으로 안착시켜서 상기의 철망을 고정하게 되는 철망 파지홈(130);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철망 고정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망 파지홈(130)의 상단부와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부 사이를 형성하는 두께(d)는 0.3 센티미터 내지 3 센티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 철망 고정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삽입 구멍(122)의 경사각도는 그와 대비되는 상기 앵커삽입 구멍(120)의 경사각도(θ)와 대칭되어지되, 상기 몸체부(110)의 수직선(X)에 대하여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철망 고정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의 두께(l)는 1.0 센티미터 내지 2.0 센티미터이고,
    상기 앵커삽입 구멍(120)의 경사각도(θ)는 상기 몸체부(110)의 수직선(X)에 대하여 30도 내지 60도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철망 파지홈(130)의 상단부와 상기 몸체부(110) 상단부의 사이를 형성하는 두께(d)는 0.5 센티미터 내지 1.0 센티미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 철망 고정기구.
KR2020080008971U 2008-07-04 2008-07-04 철망의 고정기구 KR2004526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971U KR200452684Y1 (ko) 2008-07-04 2008-07-04 철망의 고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971U KR200452684Y1 (ko) 2008-07-04 2008-07-04 철망의 고정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436U KR20100000436U (ko) 2010-01-13
KR200452684Y1 true KR200452684Y1 (ko) 2011-03-21

Family

ID=44194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971U KR200452684Y1 (ko) 2008-07-04 2008-07-04 철망의 고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68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995Y1 (ko) * 2012-06-15 2013-01-29 김병구 철망의 고정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7574A (ja) 2002-06-24 2004-01-29 Koiwa Kanaami Co Ltd 斜面の緑化工法
JP2004244909A (ja) 2003-02-13 2004-09-02 Okinaya:Kk 金網固定金具
JP2004257037A (ja) 2003-02-25 2004-09-16 Adoban:Kk 斜面安定工の受圧方法及びその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7574A (ja) 2002-06-24 2004-01-29 Koiwa Kanaami Co Ltd 斜面の緑化工法
JP2004244909A (ja) 2003-02-13 2004-09-02 Okinaya:Kk 金網固定金具
JP2004257037A (ja) 2003-02-25 2004-09-16 Adoban:Kk 斜面安定工の受圧方法及びその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995Y1 (ko) * 2012-06-15 2013-01-29 김병구 철망의 고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436U (ko)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807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utomotive tires as earth engineering devices
KR100818758B1 (ko) 하천 호안 생태계 식생매트 설치구조
US10053827B2 (en) Living shoreline protection and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Singh Bioengineering techniques of slope stabilization and landslide mitigation
KR100653374B1 (ko) 절취사면의 돔형 토양보강돌망태격자틀 및 강봉네일링에의한 사면보강시공법
KR100795036B1 (ko) 사면보강용 섬유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사면보강공법
CN111699930A (zh) 一种治理互花米草并恢复芦苇的方法
KR200452684Y1 (ko) 철망의 고정기구
WO2015157616A2 (en) Shoreline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US3412561A (en) Reed-trench terracing
KR101138723B1 (ko) 환경친화적인 제방축조에 사용되는 철망의 고정쐐기
KR100947845B1 (ko) 지반 고정력이 우수한 식생호안블럭
WO2007043760A1 (en) Method of constructing levee with ecological environment
KR100884017B1 (ko) 자연환경 복원형 경사면의 시공방법
KR20080014176A (ko) 하부가 개방되고 측면판 후부가 경사진 친환경블럭을 이용한 친환경 보강토옹벽 시공방법
KR100381254B1 (ko) 트렌치를 이용한 하천의 식생호안 시공방법
KR102015296B1 (ko) 해안방수벽의 전면부위 녹화구조
KR200464995Y1 (ko) 철망의 고정기구
JP6016310B2 (ja) アースアンカー
KR102264637B1 (ko) 바이오 폴리머 피복 다공성 골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 존치형 수변사면 침식방지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Ferguson Shoreline erosion and its potential control on Thurmond Lake
KR100458721B1 (ko) 자연친화형 식생 호안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US20240032487A1 (en) Stake stabilization member and erosion control system using same
KR101684340B1 (ko) 연안의 세굴방지구조 및 그것의 설치방법
RU2320810C2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крепления из габионных тюфяков в период паводк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