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855Y1 - 용지고정용 홀더 - Google Patents

용지고정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855Y1
KR200451855Y1 KR2020080013342U KR20080013342U KR200451855Y1 KR 200451855 Y1 KR200451855 Y1 KR 200451855Y1 KR 2020080013342 U KR2020080013342 U KR 2020080013342U KR 20080013342 U KR20080013342 U KR 20080013342U KR 200451855 Y1 KR200451855 Y1 KR 2004518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tongs
holder
support plate
lever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948U (ko
Inventor
최성호
Original Assignee
최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성호 filed Critical 최성호
Priority to KR2020080013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855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9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9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8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8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3/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7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 G06F1/1611Arrangements to support accessorie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display housing to support document hol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3Supporting arrangements, e.g. for filters or documents associated to a laptop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착구(10)와 수평 회동대(12) 및 집게구(14)로 구성된 용지고정용 홀더(2)에 관한 것으로, 집게구(14)는 힌지부(24) 하측에 전면 스토퍼(21)가 형성된 지지판(20)과 힌지부(24) 하측에 후면 작동홈(30)이 형성된 레버 작동체(22)로 구성하여 레버 작동체(22)의 하연측 바이트부와 지지판(20)간에 이격틈(38)이 형성되게 하고, 후면 작동홈(30)에는 상하로 연결된 안내부재(32)들과 안내부재(32)들에 의해 후면 작동홈(30)내에서 상하 안내되는 원주홈부(34)들을 갖는 원기둥 중량체(36)가 설치되게 함으로써, 적은 양의 용지(40)를 집게구(14)에 끼우거나 뺄 때에 힘을 많이 들이지 않고도 쉽게 할 수 있으며, 또 많은 양의 용지(40)들이라도 집게구(40)에 착탈할 수 있고 집게구(14)에 끼워진 많은 용지(40)들을 낱장으로 빼낼 때에는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뺄 수도 있다.
집게구, 후면 작동홈, 안내부재

Description

용지고정용 홀더{HOLDER FOR FIXING PAPER}
본 고안은 용지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홀더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모니터의 측부에 부착되어 용지를 집게 고정하는 용지고정용 홀더는 사용자가 집게에 고정된 용지내에 기록된 내용을 워딩할 때나 용지내 그려진 그림 등을 참조할 때 아주 유용하게 사용하는 도구이다. 이러한 용지고정용 홀더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집게를 소정 각도로 회동시킬 수 있게 해주므로 용지를 바라보는 각도를 사용자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지고정용 홀더는 집게가 토션 스프링 등에 의해서 용지를 압지하므로 용지를 착탈시키는데에 어려움이 있다. 즉 사용자가 두개의 손가락을 사용해 집게 후부에 힘을 가해 집게를 벌리고 용지를 끼우거나 끼워진 용지를 빼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적은 양의 용지를 끼우거나 뺄 때는 힘을 들이지 않도록 해주며 많은 양의 용지도 집게에 끼우고 뺄 수 있도록 해줌과 동시에 용지를 집게에 끼우거나 뺄 때에 힘을 많이 들이지 않고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용지고정용 홀더를 제공하는데 있다.
삭제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부착구와 수평 회동대 및 집게구로 구성된 용지 고정용 홀더에 있어서, 집게구(14)는 힌지부(24) 하측에 전면 스토퍼(21)가 형성된 지지판(20)과 힌지부(24) 하측에 후면 작동홈(30)이 형성된 레버 작동체(22)로 구성하여 레버 작동체(22)의 하연측 바이트부와 지지판(20)간에 이격틈(38)이 형성되게 하고, 후면 작동홈(30)에는 상하로 연결된 안내부재(32)들과 안내부재(32)들에 의해 후면 작동홈(30)내에서 상하 안내되는 원주홈부(34)들을 갖는 원기둥 중량체(36)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적은 양의 용지를 집게구에 끼우거나 뺄 때에 힘을 많이 들이지 않고도 쉽게 할 수 있으며, 또 많은 양의 용지도 집게구에 끼우고 뺄 수 있음과 아 울러 많은 양이 집게구에 끼워진 용지들을 낱장씩 빼낼 때에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뺄 수도 있게 해준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용지고정용 홀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집게구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용지고정용 홀더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용지고정용 홀더(2)는 부착구(10)와 수평 회동대(12) 및 집게구(14)로 구성한다. 부착구(10)는 컴퓨터 모니터 등의 대상물 측부에 부착할 수 있는 구조이고, 부착구(10)에는 선단에 집게구(14)가 구비된 수평 회동대(12)의 후단이 회동가능케 축설치된다.
본 고안의 용지 고정용 홀더(2)는 집게구(14)를 구성함에 있어 적은 양의 용지(40)를 수월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많은 양의 용지(40)들도 착탈할 수 있도록 구현한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본 고안의 집게구(14)는 토션 스프링(26)이 개재된 힌지부(24)로 연결된 지지판(20)과 레버 작동체(22)를 구비하며, 지지판(20)의 전면에는 힌지부(24) 하측에 전방 돌출된 스토퍼(21)가 형성된다. 또 레버 작동체(22)는 후면 힌지부(24)의 하측에 원기둥 중량체(36)가 상하 작동할 수 있는 후면 작동홈(30)이 형성되게 하고 후면 힌지부(24)의 상측은 누름부(28)가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한다.
레버 작동체(22)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원기둥 중량체(26)가 상하 작동되는 후면 작동홈(30)은 하부에서 상방으로 가면서 점차 깊어지는 작동 경사면이 형성되게 하고 후면 작동홈(30)의 하측에는 용지(40)가 쉽게 투입될 수 있는 투입 유도경사면이 형성되게 하며, 후면 작동홈(30) 상하의 상면부간에는 다수 선형 안내부재(32)들이 연결되게 고정 형성한다. 그래서 원기둥 중량체(36)에 형성된 원주홈부(34)들에 각 안내부재(32)들이 헐겁게 끼워져서 원기둥 중량체(36)가 후면 작동홈(30)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하로 작동되게 안내 해준다.
한편 레버 작동체(22)와 함께 연동하여 집게 역할을 해주는 지지판(20)에서, 전면 힌지부(24)의 하측 인접부에 위치 형성된 스토퍼(21)는 힌지부(24)내 토션 스프링(26)의 뒤틀림력이 작용함에도 불구하고 레버 작동체(22)의 하연측 바이트부가 지지판(20)에 닿지 않고 약간의 이격틈(38)이 형성될 수 있도록 그 높이가 규정된다. 즉 토션 스프링(26)의 뒤틀림력에 의해서 레버작동하는 레버 작동체(22)는 그 힌지부(24)의 바로 아랫면이 지지판(20)의 스토퍼(21) 상단에 걸림차단되어 그 하연측 바이트부가 더 이상 내려가지 못할 때 레버 작동체(22)의 하연측 바이트부와 지지판(20)간에는 도 3에서와 같은 이격틈(38)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21)는 집게구(14)에 투입된 용지(40)가 더 이상 올라오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역할도 함께 한다.
도 3과 같은 이격틈(38)에는 후면 작동홈(30)내에 위치하며 안내 철심(32)들에 의해 상하 작동안내되는 원기둥 중량체(36)가 자중에 의해서 내려오면서 지지 판(20)과 면접하게 된다.
그러므로 용지고정용 홀더(2)를 컴퓨터 모니터 등과 같은 대상체 측부에 부착고정시켜 놓고, 집게구(14)로 압지고정시킬 용지(40)가 도 3과 같이 낱장이나 소량이라면 사용자는 레버 작동체(22)의 누름부(28)를 누르지 않고 낱장 또는 소량 용지(40)를 압지고정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집게구(14)내 레버 작동체(22)의 누름부(28)를 누르지 않은 채 용지(40)를 잡고 하연 투입구의 이격틈(38)으로 용지(40)를 투입한다. 그러면 레버 작동체(22)의 후면 작동홈(30)내 원기둥 중량체(36)는 용지(40)의 푸쉬력에 의해서 위로 밀려 올라가므로 용지(40)가 이격틈(38)을 통해 삽입되어 스토퍼(21)나 그 부근까지 올라가는 것을 허용한다. 또 위로 밀려 올라갔던 원기둥 중량체(36)는 자중에 의해서 즉시로 다시 내려오면서 이격틈(38)을 막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한 원기둥 중량체(36)가 투입된 용지(40)를 자중으로 압박하여 지지판(20)에 밀착되게 함으로써 용지(40)가 원기둥 중량체(36)와 지지판(20)사이에 꽉 끼이게 한다.
그러므로 낱장의 용지(40)나 이격틈(38)으로 투입가능할 정도의 소량의 용지(40)는 사용자가 집게구(14)의 누름부(28)의 누름없이도 쉽게 끼워 넣을 수 있으며 끼워넣은 용지(40)를 놓아도 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집게구(14)에 끼워진 낱장이나 소량의 용지(40)를 빼낼 때에는 손목 스냅을 사용하거나 약간 힘을 주어 당겨 내리면 원기둥 중량체(36)와 지지판(20) 사이에 끼인 용지(40)가 집게구(14)로부터 쉽게 빠져 나오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이격틈(38)보다 적층두께가 더 두꺼운 많은 분량의 용지(40)들을 집게구(14)로 끼울 경우에는 집게구(14)의 누름부(28)를 이용한다.
누름부(28)를 눌러 집게구(14)가 충분히 입을 벌리게 한 후 많은 분량의 용지(40)들을 끼워 넣고 집게구(14)를 놓게 되면, 레버 작동체(22)의 하연측 바이트부가 용지(40)들을 물게 되므로 도 5에서와 같이 많은 분량의 용지(40)들이 집게구(14)에 끼워지게 된다.
집게구(14)에 끼워진 많은 분량의 용지(40)들중에서 상부적층된 낱장이나 소수장을 손목 스냅을 사용하거나 다소의 힘을 주어 당겨 내리면 후면 작동홈(30)내 원기둥 중량체(36)가 딸려 내려오면서 다소의 미끄럼 역할을 제공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다소 쉽게 용지(40)를 빼낼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본 고안은 문서 작업중 용지 형태의 문서를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용지고정용 홀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집게구 분해 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용지고정용 홀더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용지고정용 홀더 (10)-- 부착구
(12)-- 수평 회동대 (14)-- 집게구
(20)-- 지지판 (21)-- 스토퍼
(22)-- 레버 작동체 (24)-- 힌지부
(26)-- 토션 스프링 (30)-- 후면 작동홈
(32)-- 안내부재 (34)-- 원주홈부
(36)-- 원기둥 중량체

Claims (1)

  1. 용지 고정용 홀더에 있어서,
    대상물에 부착될 수 있는 부착구(10)와, 부착구(10)에 후단이 회동가능케 축설치된 수평 회동대(12)와, 수평 회동대(12)의 선단에 장착된 집게구(14)로 구성하되,
    집게구(14)는, 토션스프링(26)이 개재된 힌지부(24)로 연결된 지지판(20)과 레버 작동체(22)를 구비하며, 지지판(20)내 힌지부(24) 하측 전면에 전방 돌출된 스토퍼(21)가 형성되고 레버 작동체(22)내 힌지부(24) 하측에 후면 작동홈(30)과 하연측 바이트부가 형성됨과 함께 레버작동체(22)의 힌지부(24) 상측에는 누름부(28)가 마련되고 레버 작동체(22)의 하연측 바이트부와 지지판(20) 간에는 스토퍼(21)에 의해 이격틈(38)이 형성되고, 후면 작동홈(30)의 상하로 선형 안내부재(32)들을 연결하고 후면 작동홈(30)내에는 안내부재(32)들에 따라 원주홈부(34)들이 상하 안내되는 원기둥 중량체(36)가 수납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고정용 홀더.
KR2020080013342U 2008-10-06 2008-10-06 용지고정용 홀더 KR2004518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342U KR200451855Y1 (ko) 2008-10-06 2008-10-06 용지고정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342U KR200451855Y1 (ko) 2008-10-06 2008-10-06 용지고정용 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948U KR20100003948U (ko) 2010-04-15
KR200451855Y1 true KR200451855Y1 (ko) 2011-01-17

Family

ID=4424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342U KR200451855Y1 (ko) 2008-10-06 2008-10-06 용지고정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85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94119B (zh) * 2017-01-08 2018-03-06 淄博职业学院 一种财务会计发票单据夹持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8216U (ko) * 1978-02-04 1979-08-18
KR200146412Y1 (ko) * 1997-02-26 1999-06-15 이하웅 메모지 꽂이
KR20010046412A (ko) * 1999-11-12 2001-06-15 류정열 자동차의 윈드쉴드글래스 상부몰딩 취부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18216U (ko) * 1978-02-04 1979-08-18
KR200146412Y1 (ko) * 1997-02-26 1999-06-15 이하웅 메모지 꽂이
KR20010046412A (ko) * 1999-11-12 2001-06-15 류정열 자동차의 윈드쉴드글래스 상부몰딩 취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948U (ko)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1601A1 (en) A plate clamper with a handle for releasing a holder
KR20200138951A (ko) 헤어핀
KR200451855Y1 (ko) 용지고정용 홀더
JP4596252B2 (ja) 巻き紙の切り端が掴み易い巻き紙用ホルダー。
WO2014044115A1 (zh) 一种胶板夹
JP5463523B1 (ja) ロールペーパー保持切断装置
JP2014046058A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切断端部の分離装置
KR20170001872U (ko) 필기구 홀더를 갖는 서류 고정 집게
CN201840401U (zh) 一种卫生纸盒
JP2010254308A (ja) 収納容器
CN213947926U (zh) 一种塑料抽杆夹
CN105759365B (zh) 光纤插拔器
JP3110748U (ja) 釣針外し具
JP3118512U (ja) 取り外し可能な容器保持具
CN211138706U (zh) 一种高职英语教育用笔记记录装置
JP2020093832A (ja) ボックス型ティッシュ取出し口装着具
WO2016109998A1 (zh) 上按式单挚孔夹
JP3810402B2 (ja) ペーパーホルダー
CN209280974U (zh) 光纤锥度剥除器
JP2006305970A (ja) 着脱が容易なメモホルダー
CN205458372U (zh) 便携式卷筒纸盒
KR200360064Y1 (ko) 펀칭기능이 겸비된 화일
JP6278461B2 (ja) リベット外し工具
RU73817U1 (ru) Скобкосшиватель
TW200900264A (en) Clipboard having clip opening han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