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951A - 헤어핀 - Google Patents

헤어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951A
KR20200138951A KR1020190065351A KR20190065351A KR20200138951A KR 20200138951 A KR20200138951 A KR 20200138951A KR 1020190065351 A KR1020190065351 A KR 1020190065351A KR 20190065351 A KR20190065351 A KR 20190065351A KR 20200138951 A KR20200138951 A KR 20200138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s
hairpin
joint
hinge
guid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4694B1 (ko
Inventor
김찬수
Original Assignee
김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수 filed Critical 김찬수
Priority to KR1020190065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694B1/ko
Priority to US16/539,429 priority patent/US20200375333A1/en
Publication of KR20200138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24Hair clasps, i.e. multi-part clasps with pivotal connection of parts at their e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20Hair clamps, i.e. elastic multi-part clamps, the parts of which are pivotally connected between their e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20Hair clamps, i.e. elastic multi-part clamps, the parts of which are pivotally connected between their ends
    • A45D8/22Hair clamps, i.e. elastic multi-part clamps, the parts of which are pivotally connected between their ends with additional fastener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 Hair Cur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리카락을 다발형태로 잡아줄 수 있는 헤어핀에 있어서, 상부집게에 연결되는 관절수단의 연결부위를 상부집게 누름부 상부에서 비접촉 상태로 구성하여, 종래 소형으로 제작 시 발생되던 관절수단 연결부위의 잦은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헤어핀에 관한 것으로, 하부집게(110)와 상부집게(120)가 하부 및 상부힌지부(113)(123)를 통해 집게형태로 결합 구성되고, 상기 상부집게(120)의 선단부에는 모음부(13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모음부(130)와 상기 상부집게(120) 사이에는 관절부(140)가 연결되는 헤어핀에 있어서, 상기 상부집게(120)는 상부누름부(122)의 전방으로 ㄱ자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관절부(140)의 힌지축부(14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25)가 더 형성되고, 상기 관절부(140)는 양단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141)(142)와, 상기 가이드부(141,142)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집게(120)의 이탈방지부(125) 내측으로 위치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받게 되는 힌지축부(143)와, 상기 가이드부(141,142)의 U자형 선단부(144)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모음부(130)의 연결홈(133)에 끼움 결합되는 걸림축(14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어핀{HAIR PIN}
본 발명은 헤어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머리카락을 다발형태로 잡아줄 수 있는 헤어핀에 있어서, 상부집게에 연결되는 관절수단의 연결부위를 상부집게 누름부 상부에서 비접촉 상태로 구성하여, 종래 소형으로 제작 시 발생되던 관절수단 연결부위의 잦은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헤어핀에 관한 것이다.
주지한 바와 같이 머리카락을 다발형태로 잡아주도록 한 헤어핀이 본 발명자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헤어핀 중의 하나는 특허등록 10-0980909에 개시되며,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헤어핀은 하부클립편(3)과 상부클립편(2)이 브래킷(2b)를 통해 집게형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클립편(2)의 선단부에는 핑거(4)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핑거(4)의 후단부가 가이드루프(5)의 선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루프(5)의 후단부가 상기 상부클립편(2)의 후방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되는 헤어핀은 상부클립편(2)과 하부클립편(3)이 머리카락을 움켜쥐기 위하여 집게 동작을 수행할 때 상기 핑거(4)와 가이드루프(5)도 연동하게 된다.
상기 핑거(4)는 선단부에서 머리카락을 움켜쥐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가이드루프(5)는 핑거(4)를 회동시킴과 동시에 움켜진 머리카락을 상부클립편(2)과 함께 지지하여 준다.
이와 같은 집게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루프(5)의 팁(5t)은 상부클립편(2)의 연결부(2q)에 형성된 슬라이딩홈(2k)에서 슬라이딩동작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가이드루프(5)의 팁(5t) 부위는 상대적으로 가늘게 구성되어, 특히 소형 헤어핀의 경우 상기 탭(5t) 부위가 쉽게 부러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이유는 헤어핀 제작 시 광택이 발현되는 표면코팅을 수행하게 되는 데, 이와 같이 코팅으로 제품의 표면 경도가 높아지면서 소형 헤어핀의 경우 쉽게 부러지는 현상이 발생된 것이다.
특허등록 10-0980909,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73108, 등록특허공보 10-0764540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머리카락을 다발형태로 잡아줄 수 있는 헤어핀에 있어서, 상부집게에 연결되는 관절수단의 연결부위를 상부집게 누름부 상부에서 비접촉 상태로 구성하여, 종래 소형으로 제작 시 발생되던 관절수단 연결부위의 잦은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헤어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집게와 상부집게가 하부 및 상부힌지부를 통해 집게형태로 결합 구성되고, 상기 상부집게의 선단부에는 모음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모음부와 상기 상부집게 사이에는 관절부가 연결되는 헤어핀에 있어서, 상기 상부집게는 상부누름부의 전방으로 ㄱ자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관절부의 힌지축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관절부는 양단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집게의 이탈방지부 내측으로 위치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받게 되는 힌지축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U자형 선단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모음부의 연결홈에 끼움 결합되는 걸림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집게는 머리카락을 가압하는 상부가압부와, 축핀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가압부를 벌리거나 오므려주는 상부누름부와, 하부집게의 하부힌지부와 결합되는 상부힌지부와, 상기 상부누름부의 전방으로 ㄱ자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관절부의 힌지축부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와, 상기 상부가압부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모음부의 연장부의 단부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머리카락을 다발형태로 잡아줄 수 있는 헤어핀에 있어서, 상부집게에 연결되는 관절수단의 연결부위를 상부집게 누름부 상부에서 비접촉 상태로 구성하여, 종래 소형으로 제작 시 발생되던 관절수단 연결부위의 잦은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킨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헤어핀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어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헤어핀의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헤어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집게의 저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음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헤어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헤어핀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헤어핀(100)은,
하부집게(110), 상부집게(120), 모음부(130) 및 관절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집게(110)는 머리카락을 가압하는 하부가압부(111)와, 축핀(115)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가압부(111)를 벌리거나 오므려주는 하부누름부(112)와, 상부집게(120)의 상부힌지부(123)와 결합되는 하부힌지부(11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힌지부(113)와 상부힌지부(123) 사이에는 스프링(116)을 개재하고 축공(114) 및 축공(124) 사이에 축핀(115)을 관통하여 고정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집게(110)와 상부집게(120)는 집게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집게(120)는 머리카락을 가압하는 상부가압부(121)와, 축핀(115)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가압부(121)를 벌리거나 오므려주는 상부누름부(122)와, 하부집게(110)의 하부힌지부(113)와 결합되는 상부힌지부(123)와, 상기 상부누름부(122)의 전방으로 ㄱ자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관절부(140)의 힌지축부(14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25)와, 상기 상부가압부(121)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모음부(130)의 연장부(132)의 단부와 결합되는 결합부(127)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가압부(121)는 상기 하부집게(110)의 하부가압부(111) 보다는 짧은 길이로 구성되며, 저면에는 도 6에서와 같이 다수의 고정돌기(129)가 형성되어 가압하는 머리카락을 더욱 견고하게 움켜쥐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부(127)에는 제1결합공(128)이 형성되어 핀을 통해 상기 모음부(130)의 제2결합공(134)에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음부(130)은 머리카락을 모아주는 핑거형태의 본체(131)와, 상기 본체(131)의 양단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132)와, 상기 연장부(132)의 단부에 형성되어 관절부(140)의 선단부(146)에 형성된 걸림축(146)에 결합되는 연결홈(133)과, 상기 본체(131)의 양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상부집게(120)의 제1결합공(128)과 함께 핀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2결합공(134)으로 구성된다.
상기 관절부(140)는 양단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141)(142)와, 상기 가이드부(141,142)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집게(120)의 이탈방지부(125) 내측으로 위치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받게 되는 힌지축부(143)와, 상기 가이드부(141,142)의 U자형 선단부(144)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모음부(130)의 연결홈(133)에 끼움 결합되는 걸림축(14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절부(140)의 힌지축부(143)는 상기 상부집게(120)의 이탈방지부(125)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힌지축부(143)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되며 상기 이탈방지구(125)에 의해 구속되어 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헤어핀의 조립과정과 작동 및 작용을 이하 설명한다.
먼저, 하부집게(110)의 하부힌지부(113)와 상부집게(120)의 상부힌지부(123)을 결합 한 후, 스프링(116)을 개재한 후 축핀(115)으로 고정한다.
그런 다음, 모음부(130)의 연결홈(133)을 관절부(140)의 선단부(144)의 걸림축(145)에 끼움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관절부(140)의 힌지축부(143)를 상기 상부집게(120)의 이탈방지부(125) 내측으로 위치시킨 후, 상기 모음부(130)의 제2결합공(134)과 상부집게(120)의 결합부(127)의 제1결합공(128)을 핀으로 결합하여 조립을 완성하여 준다.
이러한 조립순서는 다른 형태로 변경 가능하다.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후, 상기 하부집게(110) 및 상부집게(120)의 누름부(112)(122)를 누르면 도 4와 같이 상기 하부집게(110) 및 상부집게(120)는 벌어지게 되고, 상기 모음부(130)와 관절부(140)는 상기 상부집게(120)와 수평을 이루거나 밑으로 내려온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5와 같이 머리카락(H)을 움켜쥐면 상기 모음부(130)는 하향 회동하여 머리카락(H)의 앞부분을 모아 움켜쥠과 동시에 관절부(140)와 함께 중앙 연결부위가 상승하면서 다량의 머리카락(H)을 다발로 모아 가압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관절부(140)는 힌지축부(143)를 중심으로 하강 및 상승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힌지축부(143)는 상기 이탈방지부(125) 내부에 위치하게 되어, 졸애와 같은 슬라이딩 동작이 없게 되어 장기간 사용에도 쉽게 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머리카락을 다발형태로 잡아줄 수 있는 헤어핀에 있어서, 상부집게에 연결되는 관절수단의 연결부위를 상부집게 누름부 상부에서 비접촉 상태로 구성하여, 종래 소형으로 제작 시 발생되던 관절수단 연결부위의 잦은 파손을 방지하여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킨 장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100: 헤어핀 110: 하부집게
111: 하부가압부 112: ㅎ부누름부
113: 하부힌지부 114,124: 축공
120: 상부집게 121: 상부가압부
122: 상부누름부 123: 상부힌지부
125: 이탈방지부 130: 모음부
131: 본체 132: 연장부
133: 연결홈 134: 제2결합공
140: 관절부 141,142: 가이드부
143: 힌지축부 144: 선단부
145: 걸림축

Claims (2)

  1. 하부집게(110)와 상부집게(120)가 하부 및 상부힌지부(113)(123)를 통해 집게형태로 결합 구성되고, 상기 상부집게(120)의 선단부에는 모음부(13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모음부(130)와 상기 상부집게(120) 사이에는 관절부(140)가 연결되는 헤어핀에 있어서,
    상기 상부집게(120)는 상부누름부(122)의 전방으로 ㄱ자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관절부(140)의 힌지축부(14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25)가 더 형성되고,
    상기 관절부(140)는 양단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141)(142)와, 상기 가이드부(141,142)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집게(120)의 이탈방지부(125) 내측으로 위치하여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받게 되는 힌지축부(143)와, 상기 가이드부(141,142)의 U자형 선단부(144)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모음부(130)의 연결홈(133)에 끼움 결합되는 걸림축(14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집게(120)는 머리카락을 가압하는 상부가압부(121)와, 축핀(115)을 중심으로 상기 상부가압부(121)를 벌리거나 오므려주는 상부누름부(122)와, 하부집게(110)의 하부힌지부(113)와 결합되는 상부힌지부(123)와, 상기 상부누름부(122)의 전방으로 ㄱ자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관절부(140)의 힌지축부(14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25)와, 상기 상부가압부(121)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모음부(130)의 연장부(132)의 단부와 결합되는 결합부(127)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핀.
KR1020190065351A 2019-06-03 2019-06-03 헤어핀 KR102314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351A KR102314694B1 (ko) 2019-06-03 2019-06-03 헤어핀
US16/539,429 US20200375333A1 (en) 2019-06-03 2019-08-13 Hair p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351A KR102314694B1 (ko) 2019-06-03 2019-06-03 헤어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951A true KR20200138951A (ko) 2020-12-11
KR102314694B1 KR102314694B1 (ko) 2021-10-18

Family

ID=73551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351A KR102314694B1 (ko) 2019-06-03 2019-06-03 헤어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00375333A1 (ko)
KR (1) KR1023146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811B1 (ko) * 2023-09-11 2024-04-26 전세준 길이 조절 가능한 유아용품 고정 스트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7289B2 (en) * 2020-10-22 2022-11-15 Kuo-Yang Hsu Hair clip
USD976487S1 (en) * 2021-02-19 2023-01-24 Kuo-Yang Hsu Hair clip
KR102617212B1 (ko) 2022-11-07 2023-12-27 김범진 헤어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813Y1 (ko) * 2007-03-26 2007-12-27 박향숙 2단 결합 구조를 갖는 머리핀
KR20080043728A (ko) * 2006-11-14 2008-05-19 김찬수 헤어 클립
KR200476931Y1 (ko) * 2014-07-23 2015-04-15 박병관 미용용 머리핀
KR200481334Y1 (ko) * 2016-06-27 2016-09-13 김종기 헤어클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3728A (ko) * 2006-11-14 2008-05-19 김찬수 헤어 클립
KR100980909B1 (ko) 2006-11-14 2010-09-07 김찬수 헤어 클립
KR200437813Y1 (ko) * 2007-03-26 2007-12-27 박향숙 2단 결합 구조를 갖는 머리핀
KR200476931Y1 (ko) * 2014-07-23 2015-04-15 박병관 미용용 머리핀
KR200481334Y1 (ko) * 2016-06-27 2016-09-13 김종기 헤어클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811B1 (ko) * 2023-09-11 2024-04-26 전세준 길이 조절 가능한 유아용품 고정 스트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375333A1 (en) 2020-12-03
KR102314694B1 (ko) 202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8951A (ko) 헤어핀
EP1911601A1 (en) A plate clamper with a handle for releasing a holder
JP2015020061A (ja) ヘアクリップ
KR20150126077A (ko) 헤어핀
US6860387B2 (en) Self-lifting apparatus for box cover
US20070169593A1 (en) Fish tape pliers
CN107379815A (zh) 新型长尾夹结构
CN108934445A (zh) 草莓采摘钳
CN206677105U (zh) 链条卸除钳
CN210683129U (zh) 一种井盖开启手柄
KR100346134B1 (ko) 정식기의 직선슬라이드식 모 취출 및 공급장치
KR101880169B1 (ko) 파이프 밴딩머신의 파이프 파지장치
CN205355688U (zh) 一种便于单手操作的新型卡线器
KR200451855Y1 (ko) 용지고정용 홀더
CN207402726U (zh) 继电器拆卸工具
US2712317A (en) Eyelash curler
CN218080697U (zh) 一种省时省力剪钳
CN213616182U (zh) 一种自开式尖嘴钳
CN219374983U (zh) 一种拔牙钳
CN210433281U (zh) 一种衣架
CN217072438U (zh) 一种具有防滑机械爪结构的机械手臂
KR200209892Y1 (ko) 머리 핀
CN215228155U (zh) 一种扁桃体手术用圈套器
CN215968213U (zh) 金相试样夹持盘
CN217791106U (zh) 一种绑钩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