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510Y1 - 2단 자전거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2단 자전거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510Y1
KR200451510Y1 KR2020100008437U KR20100008437U KR200451510Y1 KR 200451510 Y1 KR200451510 Y1 KR 200451510Y1 KR 2020100008437 U KR2020100008437 U KR 2020100008437U KR 20100008437 U KR20100008437 U KR 20100008437U KR 200451510 Y1 KR200451510 Y1 KR 2004515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ot
bicycle
upper frame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4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연
Original Assignee
김도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연 filed Critical 김도연
Priority to KR20201000084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5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5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5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4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f brackets for holding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8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recesses or channelled rails for embracing the bottom part of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14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wheel rot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05Garages for vehicles on two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6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 주차장치를 상하 2단으로 구성하여 아파트 등에서 많은 수의 자전거를 주차할 수 있고, 또한 자전거의 주 수요자인 어린이나 청소년이 쉽게 주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난의 염려도 없는 자전거 주차장치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하단주차대(100)와 상단주차대(200)가 서로 일정거리 떨어져 한 쌍을 이루어 설치되고, 하단주차대(100)에는 두 개의 타원형의 구멍(15, 16)을 형성하여 바퀴를 고정시키고, 상단주차대(200)는 회전 가능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단주차대(2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를 설치하여 발판의 조작에 의하여 상단주차대(200)를 회전시키고 이동판(40)을 인출시켜 자전거를 상단주차대에 쉽게 주차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Figure R2020100008437
자전거, 주차대

Description

2단 자전거 주차장치{omitted}
본 고안은 자전거 주차장치,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 주차대를 상하 2단으로 구성하여 특히 아파트 등에서 많은 수의 자전거를 주차할 수 있고, 또한 자전거의 주 수요자인 어린이나 청소년이 쉽게 주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난의 염려도 없는 2단 자전거 주차장치에 대한 것이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요즘 우리나라는 녹색성장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정책의 하나로 자전거 타기를 들 수 있다. 정부에서는 자전거의 대중화를 위하여 차도의 맨바깥쪽 차선의 일부를 자전거 전용도로로 지정하고 인도 중간 중간에 시민 누구나가 이용할 수 있는 자전거를 설치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자전거의 숫자가 증가하면서 자전거를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아파트의 경우 동마다 자전거를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으나 자전거의 숫자가 증가하면서 더 이상 자전거를 주차할 수 없어서 화단의 나무에 자전거를 주차하는 경우가 점점 늘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자전거 주차대를 상하 2단으로 구성한 것 들이 고안되었다. 즉 등록실용신안 119547호(1998. 3. 20. 등록)의 "자전거 주차장치"(도 10), 등록특허 제848464호(2008. 7. 24. 공고)의 "복층식 자전거 주차장치"(도 11), 등록실용신안 실1996-8643호(1996. 10. 7. 공고)의 "복층식 자전거 주차장치"(도 12) 등에는 자전거를 상하 2단으로 주차할 수 있는 주차장치가 개발되어 있으나, 상단 주차대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어서 자전거의 주 사용자인 어린이들이 쉽게 주차시킬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전거 주차장치를 상하 2단으로 구성하여 특히 아파트 등에서 많은 수의 자전거를 주차할 수 있고, 또한 자전거의 주 수요자인 어린이나 청소년이 쉽게 주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난의 염려도 없는 자전거 주차장치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2단 자전거 주차장치는 하단주차대(100)와 상단주차대(200)가 서로 평행하게 일정거리 떨어져 한 쌍을 이루며, 하단프레임(14)에는 타원형의 앞바퀴구멍(15)과 뒷바퀴구멍(16)이 형성되며, 상단 전방에는 앞바퀴지지대(10)가 설치되고 후방에는 뒷바퀴지지대(11)가 설치되고, 상단주차대(200)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상단주차대(200)에 자전거를 더욱 쉽게 주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판(40)을 설치하며, 상단프레임(20)이 회전할 때 천천히 회전할 수 있도록 충격완충기(60)를 경사지게 설치하고, 상단프레임 (20)의 수직 위치 또는 회전 위치를 조절하고 수직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회전조절장치(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2단 자전거 주차장치는 자전거 주차대를 상하단의 2단으로 구성하고 특히 상단주차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상단주차대를 회전 가능하게 하며 상단주차대 내에서 인입출이 이루어지는 이동판을 추가로 설치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어린이들도 상단주차대에 자전거를 더욱 쉽게 주차할 수 있으며, 특히 아파트와 같이 자전거를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제한된 지역에 더욱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공간적인 제한이 적은 효과가 있다.
.
본 고안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상하단주차대로 이루어지는 주차장치의 전체 개략도, 도 2는 하단주차대의 측면도, 도 3은 하단주차대의 단면도, 도 4는 하단주차대의 평면도, 도 5는 상단주차대의 전체 개략도, 도 6은 상단주차대의 높이 조절 기구, 도 7은 상단주차대의 이동판 평면도, 도 8은 상단주차대의 이동판 설치 구조, 도 9는 상단주차대의 회전조절장치의 상세도, 도 10은 등록실용신안 제119547호의 "자전거 주차장치", 도 11은 등록특허 제848464호의 "복층식 자전거 주차장치" 그리고 도 12는 등록실 용신안 실1996-8643호의 "복층식 자전거 주차장치"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자전거 주차장치는 상하 2단의 복층식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1과 같이 하단주차대(100)와 상단주차대(200)가 서로 평행하게 일정거리 떨어져 한 쌍을 이루며 한 쌍의 상하단주차대(100, 200)가 나란히 여러 개 설치되어 전체적으로 자전거 주차장치를 이룬다.
먼저 하단주차대(100)는 수직의 하단지지기둥(12) 위에 하단프레임(14)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자전거를 쉽게 주차할 수 있도록 하며(도 2), 하단프레임(14)은 도 3과 같이 윗면은 자전거 바퀴가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부분적으로 개방된 채널 형태로 되어 있다.
하단프레임(14)의 바닥판 전방에는 자전거의 앞바퀴가 진입한 후 앞바퀴가 구멍에 빠져 더이상 움직이지 못하도록 타원형의 앞바퀴구멍(15)이 뚫려 있고, 뒤쪽에는 자전거의 뒷바퀴가 진입한 후 뒷바퀴가 구멍에 빠져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도록 타원형의 뒷바퀴구멍(16)이 뚫려있다.
또한 하단프레임(14)의 상단 전방에는 자전거의 앞바퀴를 가로질러 잠금장치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앞바퀴지지대(10)가 설치되고 뒤쪽에는 자전거의 뒷바퀴를 가로질러 잠금장치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뒷바퀴지지대(11)가 설치된다(도 4).
따라서 자전거를 하단프레임(14)에 집어넣으면 앞바퀴구멍(15)과 뒷바퀴구멍(16)에 자전거의 앞뒷바퀴가 빠져 움직이지 못하게 되고, 이후 앞바퀴지지대(10)와 뒷바퀴지지대(11)의 각각 또는 어느 하나와 바퀴를 가로질러 잠금장치를 체결하면 자전거는 견고하게 고정되고 자전거가 넘어지거나 도난의 염려도 없게 된다.
상단주차대(200)는 전체적으로 'ㄱ'자 형태로 되어 있고 자전거를 상단주차대(200)에 주차할 때 도 5와 같이 회전시켜 주차하기 쉽도록 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어린이용으로 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단주차대(200)는 'ㄱ'자 형태의 상단프레임(20)과 상단프레임(20)의 수직부가 삽입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30) 그리고 상단프레임(20)의 수평부에 인입출이 가능하며 그 끝단에 손잡이(50)와 삼각형의 지지대(52)가 설치되는 이동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도 5).
먼저 상단프레임(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단프레임(20)의 수직부에 다수 개의 볼트구멍(23)을 형성하고, 지지프레임(30)에도 이 볼트구멍(23)에 대응하여 볼트구멍을 형성한 후 볼트(24)와 너트(25)를 체결하여 상단프레임(20)의 높이를 조절한다(도 6).
상단프레임(20)의 수평부에는 하단프레임(14)과 마찬가지로 전후로 한 쌍의 앞바퀴지지대(21)와 뒷바퀴지지대(22)를 형성하여 앞바퀴지지대(21)와 뒷바퀴지지대(22)의 각각 또는 어느 하나에 바퀴를 가로질러 잠금장치를 체결하면 자전거는 견고하게 고정되고 자전거가 넘어지거나 도난의 염려도 없게 된다.
이동판(40)은 상단주차대(200)에 자전거를 더욱 쉽게 주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단프레임(20)을 완전히 회전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자전거를 주차시킬 수 있도록 이동판(40)은 상단프레임(20)의 수평부로부터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동판(40)의 전후방에는 하단프레임(14)과 마찬가지로 타원형 의 앞바퀴구멍(41) 및 뒷바퀴구멍(42)이 뚫려있고 그 끝단에는 이동판(40)을 이동시키기 쉽도록 손잡이(50)가 부착되어 있다(도 7).
그리고 이동판(40)이 상단프레임(20)으로부터 빠져나오거나 들어갈 때 충격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동판(40)과 상단프레임(20)의 바닥판 사이에는 도 8과 같이 판스프링(26)을 여러 개 설치한다.
이동판(40)의 끝단에는 이동판(40)을 넣고 빼는데 쉽게 하기 위하여 손잡이(50)를 설치하고 이동판(40)을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그 하단에는 삼각형 모양의 지지대(52)를 설치한다.
또한 상단프레임(20)이 회전할 때 천천히 회전할 수 있도록 상단프레임(20)의 수직부와 바닥판(90) 사이에 유압 또는 공기압으로 작동하는 충격완충기(60)를 경사지게 설치한다. 상단프레임(20)의 높이가 변하는 것을 고려하여 충격완충기(60)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될 수 있도록 충격완충기(60)의 힌지점(61, 62)에는 길이 방향으로 긴 구멍(63, 64)을 형성하고 그 양쪽으로 스프링(65)을 설치한다.
상단프레임(20)의 수직 위치 또는 회전 위치를 조절하고 수직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단주차대(200)에는 회전조절장치(80)가 설치된다. 회전조절장치(80)는 원통형의 케이스(81)에 내장된 스프링(83), 돌기(84)가 형성된 피스톤(82)으로 이루어진다(도 9).
피스톤(82)은 와이어(71)를 통해 발판(70)과 연결되어 있고, 발판(70)은 바닥판(90)의 끝부분에 힌지(72)를 통해 힌지 결합된다. 피스톤(82)에는 돌기(84)가 형성되어 지지프레임(30)의 힌지축(85) 외주에 형성된 홈(86)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자전거를 주차하기 위해 바닥판(90)의 끝부분에 설치된 발판(70)을 밟으면 와이어(71)가 당겨져 피스톤(82)의 돌기(84)가 힌지축(85)의 홈(86)으로부터 빠져나와 지지프레임(30)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단프레임(20)을 회전시켜 자전거를 주차시킨 후 상단프레임(20)을 수직 또는 임의 위치로 다시 회전시키고 발판(70)을 다시 놓으면 피스톤(82)의 돌기(84)가 다시 다른 홈(86)에 들어가 상단프레임(2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도 1은 상하단주차대로 이루어지는 주차장치의 전체 개략도
도 2는 하단주차대의 측면도
도 3은 하단주차대의 단면도
도 4는 하단주차대의 평면도
도 5는 상단주차대의 전체 개략도
도 6은 상단주차대의 높이 조절 기구
도 7은 상단주차대의 이동판 평면도
도 8은 상단주차대의 이동판 설치 구조
도 9는 상단주차대의 회전조절장치의 상세도
도 10은 등록실용신안 제119547호의 "자전거 주차장치"
도 11은 등록특허 제848464호의 "복층식 자전거 주차장치",
도 12는 등록실용신안 실1996-8643호의 "복층식 자전거 주차장치"

Claims (1)

  1. 하단주차대(100)와 상단주차대(200)가 서로 평행하게 일정거리 떨어져 한 쌍을 이루며 한 쌍의 상하단주차대(100, 200)가 나란히 여러 개 설치되어 이루어진 2단 자전거 주차장치에서,
    하단주차대(100)는 수직의 하단지지기둥(12) 위에 하단프레임(14)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자전거를 쉽게 주차할 수 있도록 하며, 하단프레임(14)은 윗면은 자전거 바퀴가 들어갈 수 있을 정도로 부분적으로 개방된 채널 형태로 되어 있고,
    하단프레임(14)의 바닥판 전방에는 자전거의 앞바퀴가 진입한 후 앞바퀴가 구멍에 빠져 더이상 움직이지 못하도록 타원형의 앞바퀴구멍(15)이 형성되고, 뒤쪽에는 자전거의 뒷바퀴가 진입한 후 뒷바퀴가 구멍에 빠져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도록 타원형의 뒷바퀴구멍(16)이 형성되며, 하단프레임(14)의 상단 전방에는 자전거의 앞바퀴를 가로질러 잠금장치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앞바퀴지지대(10)가 설치되고 뒤쪽에는 자전거의 뒷바퀴를 가로질러 잠금장치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뒷바퀴지지대(11)가 설치되며,
    상단주차대(200)는 'ㄱ'자 형태의 상단프레임(20)과 상단프레임(20)의 수직부가 삽입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30) 그리고 상단프레임(20)의 수평부에 인입출이 가능하며 그 끝단에 손잡이(50)와 삼각형의 지지대(52)가 설치되는 이동판(40)을 포함하고,
    상단프레임(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단프레임(20)의 수직부에 다수 개의 볼트구멍(23)을 형성하고, 지지프레임(30)에도 이 볼트구멍(23)에 대응하여 볼트구멍을 형성한 후 볼트(24)와 너트(25)를 체결하여 상단프레임(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상단프레임(20)의 수평부에는 하단프레임(14)과 마찬가지로 전후로 한 쌍의 앞바퀴지지대(21)와 뒷바퀴지지대(22)를 형성하여 앞바퀴지지대(21)와 뒷바퀴지지대(22)의 각각 또는 어느 하나에 바퀴를 가로질러 잠금장치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하고,
    상단주차대(200)에 자전거를 더욱 쉽게 주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판(40)은 상단프레임(20)의 수평부로부터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동판(40)의 전후방에는 타원형의 앞바퀴구멍(41) 및 뒷바퀴구멍(42)이 뚫려있고,
    이동판(40)이 상단프레임(20)으로부터 빠져나오거나 들어갈 때 충격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동판(40)과 상단프레임(20)의 바닥판 사이에는 판스프링(26)을 설치하며,
    이동판(40)의 끝단에는 이동판(40)을 넣고 빼는데 쉽게 하기 위하여 손잡이(50)를 설치하고 이동판(40)을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그 하단에는 삼각형 모양의 지지대(52)를 설치하며,
    상단프레임(20)이 회전할 때 천천히 회전할 수 있도록 상단프레임(20)의 수직부와 바닥판(90) 사이에 유압 또는 공기압으로 작동하는 충격완충기(60)를 경사지게 설치하고, 상단프레임(20)의 높이가 변하는 것을 고려하여 충격완충기(60)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화될 수 있도록 충격완충기(60)의 힌지점(61, 62)에는 길이 방 향으로 긴 구멍(63, 64)을 형성하고 그 양쪽으로 스프링(65)을 설치하며,
    상단프레임(20)의 수직 위치 또는 회전 위치를 조절하고 수직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회전조절장치(80)는 원통형의 케이스(81)에 내장된 스프링(83), 돌기(84)가 형성된 피스톤(82)을 포함하며, 피스톤(82)은 와이어(71)를 통해 발판(70)과 연결되어 있고, 발판(70)은 바닥판(90)의 끝부분에 힌지(72)를 통해 힌지 결합되고, 피스톤(82)에는 돌기(84)가 형성되어 지지프레임(30)의 힌지축(85) 외주에 형성된 홈(86)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자전거 주차장치.
KR2020100008437U 2010-08-13 2010-08-13 2단 자전거 주차장치 KR2004515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437U KR200451510Y1 (ko) 2010-08-13 2010-08-13 2단 자전거 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437U KR200451510Y1 (ko) 2010-08-13 2010-08-13 2단 자전거 주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1510Y1 true KR200451510Y1 (ko) 2010-12-17

Family

ID=44478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437U KR200451510Y1 (ko) 2010-08-13 2010-08-13 2단 자전거 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51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718B1 (ko) 2016-01-05 2016-09-07 박병철 2단 자전거보관대
CN107461062A (zh) * 2017-08-11 2017-12-12 胡钦栋 一种可转动电动车存放架
KR20180087032A (ko) 2017-01-24 2018-08-01 박병철 2단 자전거보관대
CN108590263A (zh) * 2018-07-12 2018-09-28 太原工业学院 直立自行车停放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718B1 (ko) 2016-01-05 2016-09-07 박병철 2단 자전거보관대
KR20180087032A (ko) 2017-01-24 2018-08-01 박병철 2단 자전거보관대
CN107461062A (zh) * 2017-08-11 2017-12-12 胡钦栋 一种可转动电动车存放架
CN107461062B (zh) * 2017-08-11 2018-06-19 胡钦栋 一种可转动电动车存放架
CN108590263A (zh) * 2018-07-12 2018-09-28 太原工业学院 直立自行车停放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510Y1 (ko) 2단 자전거 주차장치
CN103590351B (zh) 可兼用作路障的防护柱
CN107344580A (zh) 立式自行车停靠装置
CN107605191A (zh) 一种翻转式自行车车库
RU172191U1 (ru) Функциональная парковка для малогабаритн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20160003114U (ko) 감시카메라용 지주 높이조절장치
KR100891203B1 (ko) 자전거 보관 휀스
KR101123083B1 (ko) 카트리지형 자전거 보관대
KR200452525Y1 (ko) 수직형 자전거 거치대
EP3081465B1 (en) Ground lock apparatus
KR101234030B1 (ko) 매설형 자전거 보관대
CN204199804U (zh) 翻转式绿化停车位
KR101234029B1 (ko) 매설형 자전거 보관대
KR20120012860A (ko) 회전 가능한 자전거 주차대
US11078638B2 (en) Twist and lock removable bollard
KR101074669B1 (ko) 매설형 자전거 보관대의 안전장치
KR101124198B1 (ko) 수직거치식 자전거 주차장치
EP3081464B1 (en) Ground lock apparatus
CN109204620B (zh) 一种基于露天汽车车位的自行车停放装置
KR100930510B1 (ko) 다목적 지주 세트
KR200462738Y1 (ko) 주차 제어장치
KR200290686Y1 (ko) 자전거 보관대
CN116122645A (zh) 车辆自助提升式停车平台
KR20100071823A (ko) 보도블록용 자전거 보관대
KR101062729B1 (ko) 자전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