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496Y1 - 표시판을 갖는 낚시대 - Google Patents

표시판을 갖는 낚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496Y1
KR200451496Y1 KR2020080008344U KR20080008344U KR200451496Y1 KR 200451496 Y1 KR200451496 Y1 KR 200451496Y1 KR 2020080008344 U KR2020080008344 U KR 2020080008344U KR 20080008344 U KR20080008344 U KR 20080008344U KR 200451496 Y1 KR200451496 Y1 KR 2004514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fishing
weight
rod
temperat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8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223U (ko
Inventor
신동호
Original Assignee
신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호 filed Critical 신동호
Priority to KR2020080008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496Y1/ko
Publication of KR200900132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2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4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4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07Fishing rods with built-in accessories, e.g. lighting means or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A01K97/125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using electronic compon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표시판이 형성된 낚시대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며 낚시줄이 설치되는 막대와 상기 낚시줄을 걸어서 늘어뜨리는 걸림부와 상기 막대의 전단에 설치되는 진동감지센서와 상기 낚시줄에 구비된 낚시바늘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걸림부에 연결되어 상기 걸림부에 작용하는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센서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감지부 및 상기 막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진동감지센서, 상기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중량감지센서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수신된 신호에 의거하여 포획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낚시, 센서, 표시

Description

표시판을 갖는 낚시대{FISHING ROD WITH CAPTURE SIGNBOARD}
본 고안은 낚시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여 이 센서들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근거하여 물고기가 낚시바늘에 걸렸는지 여부를 표시판에 의해 확인하는 낚시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낚시대는 물고기가 걸렸는지 여부를 낚시하는 사람의 오감을 통해서 확인하므로 숙련된 사람은 물고기가 걸렸는지는 상당히 정확하게 알 수 있지만, 낚시에 경험이 적은 초심자에게는 물고기가 걸렸는지를 오감으로 알아내기가 어렵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센서들을 낚시대에 도입하고 이 센서들의 도움에 의해 표시판에 물고기의 걸림여부가 표시되는 낚시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본 고안의 과제는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며 낚시줄이 설치되는 막대와 상기 낚시줄을 걸어서 늘어뜨리는 걸림부와 상기 막대의 전단에 설치되는 진동감지센서와 상기 낚시줄에 구비된 낚시바늘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걸림부에 연결되어 상기 걸림부에 작용하는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센서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감지부 및 상기 막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진동감지센서, 상기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중량감지센서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수신된 신호에 의거하여 포획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부가 형성된 낚시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진동감지센서, 상기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중량감지센서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진동감지센서, 상기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중량감지센서 각각에는 측정값에 대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진동감지센서, 상기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중량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측정값이 소정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를 포획상태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낚시대를 사용하면 각종의 센서들이 물고기가 낚시바늘에 걸렸는지를 표시판을 통해 알려주므로, 숙련되지 않은 사용자도 쉽게 낚시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이 달린 낚시대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이 달린 낚시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21)이 달린 낚시대(이하 '낚시대'라 함)는 낚시봉(1), 낚시줄(5)이 감긴 릴(2), 무게감지센서(11), 진동감지센서(12), 온도감지센서(13) 및 표시판(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낚시봉(1)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것으로서 낚시줄(5)을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전방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아래로 늘어뜨리기 위한 것이다.
낚시봉(1)은 일측에 낚시줄(5)이 감겨있는 릴(2)이 형성된다.
릴(2)에 감겨진 낚시줄(5)은 낚시봉(1)의 아래측에 복수개 형성된 낚시줄(5) 걸림고리들을 통과하여 낚시봉(1)의 전단까지 연장되며, 상기 낚시줄(5) 걸림고리들 중에서 낚시봉(1)의 가장 앞쪽에 위치한 낚시줄(5) 걸림고리에는 무게감지센서(11)가 연결된다. 즉 낚시줄(5)이 물고기에 의해 아래로 당겨질 경우 가장 앞쪽의 낚시줄(5) 걸림고리에 아래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게 되고, 이 힘은 무게감지센 서(11)에 의해 측정된다.
낚시봉(1)의 앞부분에는 진동감지센서(12)가 형성된다. 낚시줄(5)에 물고기가 걸릴(2) 경우 낚시봉(1)의 앞부분에 발생되는 진동이 진동감지센서(12)를 통해 측정되는 것이다.
낚시줄(5)의 끝에 매달리는 낚시바늘(7)의 일측에는 온도감지센서(13)가 형성된다. 따라서 물고기가 낚시바늘(7)을 물게 되면 온도감지센서(13)도 역시 물리게 되어 온도감지센서(13)가 물고기의 체온을 감지하게 된다.
표시판(21)은 낚시봉(1)의 뒷부분이나 또는 사용자가 쉽게 볼 수 있는 부분에 형성되며 낚시바늘(7)에 물고기 등이 걸렸는지 여부를 램프나 눈금(24) 등에 의해 표시하게 된다. 표시판(21)에는 제어부 및 수신부가 형성되고 상기 무게감지센서(11), 진동감지센서(12) 및 온도감지센서(13)에는 송신부가 형성되어 표시판(21)은 상기 무게감지센서(11), 진동감지센서(12) 및 온도감지센서(13)로부터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바탕으로 물고기의 걸림여부를 표시한다. 예를 들면, 일정 수준 이상의 진동이나 무게가 감지되면 물고기가 걸린 것으로 표시하고, 물의 온도보다 몇 도 이상 높은 온도가 감지되면 물고기가 걸린 것으로 표시한다. 표시의 방법은 시각적 신호일 수도 있으며, 청각적 신호 또는 진동에 의한 촉각신호일 수도 있다.
도 2는 무게감지센서에 의한 무게를 표시하는 추가의 표시판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를 표시하는 표시판(22)은 눈금저울의 원리와 유사하게 이동가능한 눈금(24)으로 형성되어 일정구간에 눈금(24)이 위치할 경우 물고기가 걸린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대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본 고안의 낚시대의 낚시바늘(7)을 물속에 늘어뜨린 후에 무게감지센서(11), 진동감지센서(12), 온도감지센서(13) 중에서 최소 하나로부터의 신호가 물고기가 걸린 것으로 판단되는 신호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물고기가 낚시바늘(7)에 걸린 것으로 보고 물고기를 낚으면 된다.
물론 무게감지센서(11), 진동감지센서(12), 온도감지센서(13) 중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신호가 소정 요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물고기가 걸린 것으로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판이 달린 낚시대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무게감지센서에 의한 무게를 표시하는 추가의 표시판을 도시한 것이다.

Claims (3)

  1.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며 낚시줄이 설치되는 막대;
    상기 낚시줄을 걸어서 늘어뜨리는 걸림부;
    상기 막대의 전단에 설치되는 진동감지센서와 상기 낚시줄에 구비된 낚시바늘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와 상기 걸림부에 연결되어 상기 걸림부에 작용하는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센서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감지부; 및
    상기 막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진동감지센서, 상기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중량감지센서 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수신된 신호에 의거하여 포획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상기 진동감지센서, 상기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중량감지센서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며,
    상기 진동감지센서, 상기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중량감지센서 각각에는 측정값에 대한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가 형성된 낚시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진동감지센서, 상기 온도감지센서 및 상기 중량감지센서로부터 수신한 측정값이 소정의 범위에 속하는 경우를 포획상태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가 형성된 낚시대.
KR2020080008344U 2008-06-23 2008-06-23 표시판을 갖는 낚시대 KR2004514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344U KR200451496Y1 (ko) 2008-06-23 2008-06-23 표시판을 갖는 낚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8344U KR200451496Y1 (ko) 2008-06-23 2008-06-23 표시판을 갖는 낚시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223U KR20090013223U (ko) 2009-12-31
KR200451496Y1 true KR200451496Y1 (ko) 2010-12-22

Family

ID=44478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8344U KR200451496Y1 (ko) 2008-06-23 2008-06-23 표시판을 갖는 낚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496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9036A (ja) 2005-07-28 2007-02-08 Mitsuo Wada 釣りにおける掛かりを検出する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9036A (ja) 2005-07-28 2007-02-08 Mitsuo Wada 釣りにおける掛かりを検出する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223U (ko) 200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7421B1 (en) Fall detection system
US5782033A (en) Fishing device with strike detection, data lock and line breakage protection
US8336248B2 (en) Automatic bite indicator for fishing
KR101977929B1 (ko) 어신감지 민감도 조절이 가능한 발광낚시장치
ATE346541T1 (de) Gerät zur qualitäts- und genauigkeitsanzeige von physiologischen messungen
KR101459643B1 (ko) 휴지걸이
EP3170390B1 (en) Bite indicator
JP2014526034A5 (ja) センサによるロバスト且つ高速な存在検出方法、存在検出器、存在検出器を有する照明器具、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20180213761A1 (en) Motion Sensing Fish Bite Alarm
RU2018133881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JP2009512057A (ja) 光ファイバー格子センサーを用いた侵入体感知装置及び方法
KR200451496Y1 (ko) 표시판을 갖는 낚시대
CN105766843B (zh) 一种钓鱼提醒装置及方法
EP1715737B1 (en) System for charting the position of a fishing gear with sensor modules
GB2558382A (en) Bite indicator for use by anglers
ES2214153B1 (es) Metodo y dispositivo para detectar contacto fisico con el fondo para objetos en un fondo de mar.
JPS63116631A (ja) トロール漁用装置並びにトロール漁のモニター方法
NO339634B1 (no) Geometri for dobbeltrål
PL1860625T3 (pl) Elektroniczny system ostrzegania oraz metoda
US20070159923A1 (en) Acoustic Lure Tracking System
EP2048942A2 (en) Angle-based filing ratio indicator
KR20210025346A (ko)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
JPWO2021005467A5 (ko)
JP2947490B2 (ja) 魚信検出装置
JP2537468Y2 (ja) 魚信識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