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5346A -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5346A
KR20210025346A KR1020190105265A KR20190105265A KR20210025346A KR 20210025346 A KR20210025346 A KR 20210025346A KR 1020190105265 A KR1020190105265 A KR 1020190105265A KR 20190105265 A KR20190105265 A KR 20190105265A KR 20210025346 A KR20210025346 A KR 202100253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fishing
fishing gear
se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창주
Original Assignee
아주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통신(주) filed Critical 아주통신(주)
Priority to KR1020190105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25346A/ko
Publication of KR20210025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3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01K73/04Devices for spreading or positioning, e.g. contro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3/00Drawn nets
    • A01K73/02Trawling nets
    • A01K73/10Determining the quantity of the catch, e.g. by the pull or drag on the l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의 가속도 및 각속도를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어업도구의 전개상태 및 절단상태를 도출하여 어업도구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면서 원격으로 어업도구를 모니터링하여 어업도구의 상태정보와 유실여부에 따라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어구에 설치되면서 어구의 위치 및 가속도 내지 각속도를 측정하고, 초음파신호를 이용하여 어구 내의 어획량을 측정하기 위한 어구측정기(100)와, 상기 어구측정기(100)로부터 어구의 위치를 수신받아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어구의 가속도 내지 각속도를 수신받아 상기 어구의 상태를 도출하여 상기 어구의 이상유무를 판단한 후 알림하기 위한 모니터링서버(200)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부터 수신받은 알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선박디스플레이(300)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는, 상기 어구측정기(100)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통신부(210)와, 상기 서버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어구측정기(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어구의 위치를 수신받아 어구의 유실여부와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알림부(220)와, 상기 서버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어구측정기(100)로부터 주기적으로 가속도 내지 각속도를 수신받아 미리 저장된 어구의 정상범위와 비교하여 어구의 전개상태와 절단상태를 도출하기 위한 어구상태부(230)와, 상기 어구상태부(230)를 통해 도출된 어구의 전개상태와 절단상태에 따라 어구의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어구의 상태를 알림하기 위한 상태알림부(240)와, 상기 어구측정기(100)로부터 수신받은 초음파신호를 통해 어획량을 산출한 후 미리 설정된 목표어획량과 비교하고 어구의 회수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어구의 회수를 알림하기 위한 회수알림부(2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FISHING TOOLS ON THE SEA AND UNDER THE SEA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의 가속도 및 각속도를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어업도구의 전개상태 및 절단상태를 도출하여 어업도구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면서 원격으로 어업도구를 모니터링하여 어업도구의 상태정보와 유실여부에 따라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어업도구는 수산물을 채취하는데 사용하는 여러가지 도구로, 유자망, 어망, 어구 등이 있다.
어업인들은 주로 바닷속에 넣어서 직접 대상물을 포획·채취하는 데 쓰이는 어구를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어구는 바닷속에 며칠씩 설치하여 물고기나 어패류 등의 수산물을 획득하게 된다. 어구는 바닷속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해류에 의해 수km씩 이동함으로 수면 위에 떠 있는 부표를 매달아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어구에 부표를 매달더라도 해류를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부표를 찾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자신의 부표를 판단하는 것도 어려워 어구를 회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어구의 위치를 파악하여 어구를 회수하기 위한 다양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즉, 등록특허 제10-1701146호(등록일자: 2017년 01월 24일)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심을 측정하는 수심센서부, 수심센서부를 제어하면서 수심센서부에서 측정한 수심 정보를 변조하는 처리부와, 처리부에서 송신한 변조된 전기신호를 증폭하여 송출하는 송신부를 구비하여 어망에 장착되는 발신장치와, 상기 송신부에서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다수의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비교 및 연산하여 발신 위치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관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심센서부는 미리 입력된 기준 수심 이내에 위치한 정상 상황에서의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심을 측정하고, 기준 수심보다 더 낮아진 위급 상황에서 상기 정상 상황의 일정 시간 간격보다 더 짧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심을 측정하며, 기준 수심보다 더 낮은 상태에서 수심의 변화가 없으면 정상 상황보다 더 짧으면서 위급상황보다 더 긴 일정 시간 간격으로 측정하여 처리부로 전송하는 어망 회수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를 사용할 경우에는 어구의 위치를 파악하고 회수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지만, 회수하기 전에 어구의 전개 상태나 어획량 등을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어부들은 어구를 회수하기 전에 어구의 전개상태나 어획량 등을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어업 생산적 피해와 인적, 시간, 금전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어업환경이나 항해하는 타선에 의해 어구 등의 어업도구가 회수되기 전에 절단되거나 어망의 입구가 뒤집히게 되면 어획량이 급격히 감소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어업도구의 형상을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실시간으로 어구 등과 같은 어업도구의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어업인들의 피해를 방지하고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의 가속도 및 각속도를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어업도구의 전개상태 및 절단상태를 도출하여 어업도구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또한, 어업도구 내에 포획된 어획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은, 어구에 설치되면서 어구의 위치 및 가속도 내지 각속도를 측정하고, 초음파신호를 이용하여 어구 내의 어획량을 측정하기 위한 어구측정기(100)와, 상기 어구측정기(100)로부터 어구의 위치를 수신받아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어구의 가속도 내지 각속도를 수신받아 상기 어구의 상태를 도출하여 상기 어구의 이상유무를 판단한 후 알림하기 위한 모니터링서버(200)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부터 수신받은 알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선박디스플레이(300)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는, 상기 어구측정기(100)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통신부(210)와, 상기 서버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어구측정기(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어구의 위치를 수신받아 어구의 유실여부와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알림부(220)와, 상기 서버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어구측정기(100)로부터 주기적으로 가속도 내지 각속도를 수신받아 미리 저장된 어구의 정상범위와 비교하여 어구의 전개상태와 절단상태를 도출하기 위한 어구상태부(230)와, 상기 어구상태부(230)를 통해 도출된 어구의 전개상태와 절단상태에 따라 어구의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어구의 상태를 알림하기 위한 상태알림부(240)와, 상기 어구측정기(100)로부터 수신받은 초음파신호를 통해 어획량을 산출한 후 미리 설정된 목표어획량과 비교하고 어구의 회수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어구의 회수를 알림하기 위한 회수알림부(25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의 가속도 및 각속도를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어업도구의 전개상태 및 절단상태를 도출하여 어업도구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어 어업도구의 상태정보와 유실여부에 따라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입인이 수시로 어업도구를 확인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번거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고, 어업인의 생산적 피해와 인적, 시간, 금전적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업도구 내에 포획된 어획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음으로 인해 어업인이 어업도구의 회수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되며, 효율적으로 어업도구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의 어구측정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의 어구측정기가 설치된 어구,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서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의 어구의 전개상태를 나타낸 예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의 어구측정기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의 어구측정기가 설치된 어구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서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의 어구의 전개상태를 나타낸 예시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의한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구에 설치되면서 어구의 위치 및 가속도 내지 각속도를 측정하고, 초음파신호를 이용하여 어구 내의 어획량을 측정하기 위한 어구측정기(100)와, 상기 어구측정기(100)로부터 어구의 위치를 수신받아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어구의 가속도 내지 각속도를 수신받아 상기 어구의 상태를 도출하여 상기 어구의 이상유무를 판단한 후 알림하기 위한 모니터링서버(200)오,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부터 수신받은 알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선박디스플레이(300)를 포함한다.
상기 어구측정기(100)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구의 각 모서리에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어구측정기(100)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구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위치센서부(110)와, 상기 어구의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센서부(120)와, 상기 어구의 각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각속도센서부(130)와, 상기 어구의 어획량을 측정하기 위해 초음파를 이용하여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초음파센서부(140)와, 상기 측정된 어구의 위치와 어구의 가속도 내지 각속도와 상기 초음파신호를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모니터링서버(200)와 통신하기 위한 어구통신부(150)와, 상기 위치센서부(110) 내지 초음파센서부(140)를 작동시키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60)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센서부(110)는, 상기 어구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DGPS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DGPS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어구의 위치정보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위치센서부(110)는 미리 저장된 위치정보 보정 알고리즘을 통해 상기 측정된 어구의 위치정보에 대한 오차범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센서부(120)는, 상기 어구의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자이로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센서부(120)는 상기 어구의 가속도, 진동, 충격 등의 동적 힘을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어구의 운동상태를 상세하게 감지할 수 있어 어구의 상태정보를 도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각속도센서부(130)는, 상기 어구의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자이로스코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각속도센서부(130)는 단위 시간당의 각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이므로, 어구의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가속도센서부(120)와 상기 각속도센서부(130)를 이용하여 어구의 가속도와 각속도를 측정함으로써 상기 어구의 기울기 등을 도출할 수 있어 상기 어구의 엉킴이나 뒤집힘 등과 같은 전개상태를 도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속도센서부(120)와 상기 각속도센서부(130)를 통해 어구의 절단상태를 도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초음파센서부(140)는, 미리 설정된 측정시간에 따라 초음파를 이용하여 반사된 초음파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어구의 어획량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초음파센서부(140)는 미리 설정된 측정시간에 따라 초음파를 발생시켜 어구의 물체를 감지하거나 움직임 등을 검출하여 초음파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어구의 어획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어구통신부(150)는, 상기 모니터링서버(200)와 통신할 수 있도록 무선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구통신부(150)를 통해 상기 위치센서부(110) 내지 초음파센서부(140)에서 측정된 어구의 위치정보, 가속도, 각속도, 초음파신호를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160)는, 상기 위치센서부(110) 내지 초음파센서부(140)를 작동시키기 위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유지보수가 필요없는 고용량, 낮은 내부 저항, 짧은 충전 시간, 낮은 자체 방전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 리튬이온기반의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160)는 상기 위치센서부(110) 내지 초음파센서부(140)의 사용량을 분석하여 용량을 산정한 후 탑재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는,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구측정기(100)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통신부(210)와, 상기 서버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어구측정기(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어구의 위치를 수신받아 어구의 유실여부와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알림부(220)와, 상기 서버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어구측정기(100)로부터 주기적으로 가속도 내지 각속도를 수신받아 미리 저장된 어구의 정상범위와 비교하여 어구의 전개상태와 절단상태를 도출하기 위한 어구상태부(230)와, 상기 어구상태부(230)를 통해 도출된 어구의 전개상태와 절단상태에 따라 어구의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어구의 상태를 알림하기 위한 상태알림부(240)와, 상기 어구측정기(100)로부터 수신받은 초음파신호를 통해 어획량을 산출한 후 미리 설정된 목표어획량과 비교하고 어구의 회수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어구의 회수를 알림하기 위한 회수알림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통신부(210)는, 상기 어구측정기(100)와 통신하기 위해 무선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알림부(220)는, 상기 서버통신부(210)를 통해 어구의 위치정보를 수신받는다.
상기 위치알림부(220)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어구의 위치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으며, 상기 어구의 위치정보의 수신여부에 따라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단하여 알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위치알림부(220)는 상기 어구의 위치정보를 수신받아 알림함으로써 해당 어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어업인이 직접 어구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치알림부(220)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어구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유실위험을 저하시킬 수 있게 되며,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파악할 수 있어 어업인이 수시로 어구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어구상태부(230)는, 상기 어구측정기(100)로부터 주기적으로 가속도 내지 각속도를 수신받아 어구의 전개상태와 절단상태에 대한 어구의 상태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어구상태부(230)는 미리 정상적인 어구의 가속도 내지 각속도에 대한 정상범위가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어구측정기(100)로부터 수신받은 가속도 내지 각속도를 상기 어구의 정상범위와 비교하여 어구의 전개상태와 절단상태를 도출한다.
상기 어구상태부(230)를 통해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구의 엉킴이나 뒤집힘 등과 같은 전개상태를 도출할 수 있으면서 어구의 절단상태를 도출할 수 있어 어업인이 어구를 직접 확인하지 않더라도 어구의 상태정보를 파악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다.
상기 상태알림부(240)는, 상기 어구상태부(230)에서 도출된 어구의 상태정보를 통해 상기 어구의 이상여부를 판단하여 알림할 수 있다.
상기 상태알림부(240)는 상기 어구의 상태정보가 엉킴이나 뒤집힘, 절단 중 어느 하나라도 포함된 경우에 상기 어구의 이상으로 판단하여 알림하게 된다. 반면, 상기 상태알림부(240)는 상기 어구의 상태정보가 엉킴이나 뒤집힘, 절단 중 어느 하나라도 포함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어구의 정상으로 판단하여 알림하게 된다.
상기 상태알림부(240)로 인해 상기 어구의 전개상태와 절단상태에 대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되며, 어업인의 생산적 피해와 인적, 시간, 금적적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수알림부(250)는, 상기 어구측정기(100)로부터 수신받은 초음파신호를 통해 어획량을 산출한다.
상기 회수알림부(250)에는 미리 목표어획량이 설정되어 있어야 하며, 상기 산출된 어획량과 목표어획량을 비교한다.
상기 회수알림부(250)는 상기 산출된 어획량이 상기 목표어획량에 도달되었을 경우에 상기 어구의 회수를 판단하여 알림한다. 반면, 상기 회수알림부(250)는 상기 산출된 어획량이 상기 목표어획량에 도달되지 않았을 경우에 상기 어구의 미회수로 판단하여 알림한다.
상기 선박디스플레이(300)는, 선박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모니터링서버(200)와 무선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선박디스플레이(300)는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부터 상기 어구의 위치정보와 상태정보와 회수여부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선박디스플레이(300)를 통해 어업인이 실시간으로 해당 어구의 위치, 상태, 회수여부를 파악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어구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은,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의 가속도 및 각속도를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어업도구의 전개상태 및 절단상태를 도출하여 어업도구의 이상유무를 판단할 수 있어 어업도구의 상태정보와 유실여부에 따라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입인이 수시로 어업도구를 확인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번거로움을 감소시킬 수 있고, 어업인의 생산적 피해와 인적, 시간, 금전적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업도구 내에 포획된 어획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음으로 인해 어업인이 어업도구의 회수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되며, 효율적으로 어업도구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어구측정기 110: 위치센서부
120: 가속도센서부 130: 각속도센서부
140: 초음파센서부 150: 어구통신부
160: 전원공급부 200: 모니터링서버
210: 서버통신부 220: 위치알림부
230: 어구상태부 240: 상태알림부
250: 회수알림부 300: 선박디스플레이

Claims (1)

  1. 어구에 설치되면서 어구의 위치 및 가속도 내지 각속도를 측정하고, 초음파신호를 이용하여 어구 내의 어획량을 측정하기 위한 어구측정기(100)와, 상기 어구측정기(100)로부터 어구의 위치를 수신받아 상기 어구의 유실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어구의 가속도 내지 각속도를 수신받아 상기 어구의 상태를 도출하여 상기 어구의 이상유무를 판단한 후 알림하기 위한 모니터링서버(200)와,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로부터 수신받은 알림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선박디스플레이(300)를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서버(200)는, 상기 어구측정기(100)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통신부(210)와,
    상기 서버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어구측정기(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어구의 위치를 수신받아 어구의 유실여부와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알림부(220)와,
    상기 서버통신부(210)를 통해 상기 어구측정기(100)로부터 주기적으로 가속도 내지 각속도를 수신받아 미리 저장된 어구의 정상범위와 비교하여 어구의 전개상태와 절단상태를 도출하기 위한 어구상태부(230)와,
    상기 어구상태부(230)를 통해 도출된 어구의 전개상태와 절단상태에 따라 어구의 이상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어구의 상태를 알림하기 위한 상태알림부(240)와,
    상기 어구측정기(100)로부터 수신받은 초음파신호를 통해 어획량을 산출한 후 미리 설정된 목표어획량과 비교하고 어구의 회수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어구의 회수를 알림하기 위한 회수알림부(250)를 포함하는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90105265A 2019-08-27 2019-08-27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253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265A KR20210025346A (ko) 2019-08-27 2019-08-27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265A KR20210025346A (ko) 2019-08-27 2019-08-27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346A true KR20210025346A (ko) 2021-03-09

Family

ID=75179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265A KR20210025346A (ko) 2019-08-27 2019-08-27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2534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406A1 (ko) * 2021-12-03 2023-06-08 광주과학기술원 어구의 유실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유실된 어구의 위치를 추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406A1 (ko) * 2021-12-03 2023-06-08 광주과학기술원 어구의 유실 여부를 모니터링하고, 유실된 어구의 위치를 추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845B1 (ko) 어구통합관리시스템
US11809179B2 (en) Castable sonar devices and operations in a marine environment
US11904985B2 (en) Detection of derelict fishing gear
US7447116B2 (en) Dynamic underwater position tracking of small objects
KR102296978B1 (ko) 어업 도구의 유실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240248A1 (en) Swivel for mooring arrangement
WO2017010758A1 (ko) 해양 구조물의 선박 충돌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25346A (ko) 해상 및 해중에 포설된 어업도구 모니터링 시스템
CN103529489B (zh) 水下目标监测系统
CN104512527A (zh) 根据降级操作模式驱动导航控制装置的操作管理系统
KR20190048223A (ko) 원격 어구 모니터링 시스템
NO336137B1 (no) Høydemåler for tråling
JP6277132B2 (ja) プール監視システムおよび関連する監視方法
NO20120571A1 (no) Geometri for dobbeltrål
US11027850B1 (en) Elevation tracking device
EP3650889A2 (en) Castable sonar devices and operations in a marine environment
US20070159923A1 (en) Acoustic Lure Tracking System
KR101897912B1 (ko) 앱을 활용한 해양시설물 사고방지 및 그 관리시스템
JP3694699B2 (ja) かご養殖防犯システム
JP5964381B2 (ja) 落水事故監視方法および落水事故監視システム
CN203535247U (zh) 水下目标监测系统
KR20090128753A (ko) 해상 시설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EP3497683B1 (en) Shock detector systems
JP2004249956A (ja) 落水者救助支援装置、落水者救助支援システム、及び、落水事故通報システム
KR20230071899A (ko) 전자어구부이 위치이동이력 분석을 통한 광범위 해역의 실시간 조류 정보 관측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