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419Y1 - 방충망 조립체 - Google Patents

방충망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419Y1
KR200451419Y1 KR2020080007406U KR20080007406U KR200451419Y1 KR 200451419 Y1 KR200451419 Y1 KR 200451419Y1 KR 2020080007406 U KR2020080007406 U KR 2020080007406U KR 20080007406 U KR20080007406 U KR 20080007406U KR 200451419 Y1 KR200451419 Y1 KR 2004514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sh body
fitting member
insertion space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527U (ko
Inventor
박영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캐노피
Priority to KR2020080007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419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5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5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4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4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4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of wing type, e.g. revolving or sli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9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flexible sheets to other sheets or plates or to strips o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 조립체는, 망사체(10)의 가장자리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이 그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 형성된 지지대(40)와, 상기 지지대와 결합하여 상기 지지대의 삽입공간(40a)으로 망사체의 일단이 끼워넣어지도록 함으로써 망사체를 고정하는 끼움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는 횡단면상 폐곡선을 이루며, 외곽을 형성하는 외곽부(42)와 상기 외곽부의 일측면에서 안쪽으로 함몰되어 삽입공간을 형성하는‘U’형태의 함몰부(44)가 조합된 중공관(中空管)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면서 망사체의 일단을 밀어넣는 삽입부(52)와,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지지대의 외곽부 상부 외측면과의 사이에서 망사체의 일단을 압박하는 날개부(54)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방충망에 의하면 망사체의 지지상태가 견고해지므로 외력에 의해 망사체가 뜯겨지거나, 지지대가 휘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망사체를 장착하는 과정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방충망 조립체{insect net assembly}
본 고안은 망사체의 장착작업이 용이해지고, 망사체의 버팀강도가 향상되는 방충망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충망은 건물의 창문에 설치되어 환기가 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날벌레 등이 실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 1과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다수개의 가로줄과, 세로줄이 직교하는 형태로 짜여진 망사체(10)와, 상기 망사체(10)를 지지하는 액자형태의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의 외곽을 감싸는 외곽프레임(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지대로서는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단면이 “ㅁ”형태로 이루어진 폐곡선형 지지대(20)가 주로 사용되며, 단면이 “ ㄴ”형태로 직각절곡된 패널로 구성된 이른바 채널형 지지대(미도시) 등도 사용되었다.
여기서, 상기 망사체(10)와 지지대(20)의 체결구조는 망사체(10)의 가장자리가 지지대(20)에 접하도록 한 다음, 접한 부위에 고정핀(22)을 박아서 망사체(10) 가 지지대(20)에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0)는 망사체(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외곽프레임(30) 안쪽으로 삽입 장착되며, 삽입된 상태에서 외곽프레임(30)을 관통하는 체결볼트(32)에 의해 외곽프레임(30)과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충망은 외곽프레임(30)이 창틀(미도시)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미닫이 방식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방충망은 하절기에 유리창문을 연상태에 사용되기 때문에 기본적인 방충기능 외에도 어느정도의 방범기능 및 방호기능을 갖추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종래기술에 의한 방충망은 구조적인 특성상 침입자가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막는 방범 기능이 불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실내에서 어린이들이 부주의하게 기대는 등의 경우에 전혀 버팀작용을 하는 방호기능 또한 거의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추락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인이 창문을 통해 실내로 침입하고자 할 경우, 망사체(10)를 밀거나 하여 지지대(20)로부터 뜯어낼 수 있는데, 특히 망사체(10)와 지지대(20)가 고정핀(22)만으로 점(点)지지되는 특성상, 망사체(10)에 압력이 집적 가해지는 경우, 이러한 힘이 망사체(10)와 고정핀(22)의 국소적인 연결부위에 집중되기 때문에 망사체(10)가 지지대(20)로부터 쉽게 뜯겨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기술에 의하면 지지대(20)의 구조적인 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강한 힘이 망사체(10)에 가해지는 경우에는 망사체(10)가 지지 대(20)로부터 뜯겨지지 않고, 지지대(20)가 망사체(10)에 의해 이끌리면서 휘어져버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한 방충망은 외부인의 침입에 대비한 방범기능 및 물론 실내인의 안전을 위한 방호기능 또한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망사체(10)는 세목(細目)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진 특성상, 설치된 상태에서 완전한 평면을 이루지 않고 일그러진 상태가 되면, 망사체를 통해 보이는 사물이 왜곡되게 보여서 보는 사람이 눈의 피로를 느끼게 된다.
그러므로, 방충망 제작과정에서는 망사체가 사방으로 동일한 텐션을 고르게 유지하여 일그러지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종래기술에서는 망사체(10)가 다수개의 고정핀(22)에 의해 국소적으로 점점이 지지대(20)와 고정되는 특성상, 고정핀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망사체가 일정한 텐션을 갖도록 정밀하게 지지하지 않으면, 망사체(10)가 부분적으로 일그러져 버리게 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 의한 방충망은 조립과정에서 망사체(10)가 일그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작업자의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하므로 제작에 따른 작업효율이 크게 낮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망사체의 버팀력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망사체의 장착작업 또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품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 방충망 조립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 조립체는, 상기 망사체의 가장자리에 취부되어 망사체를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어 창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외곽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망사체의 가장자리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이 그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결합하여 상기 지지대의 삽입공간으로 망사체의 일단이 끼워넣어지도록 함으로써 망사체를 고정하는 끼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는 횡단면상 폐곡선을 이루며, 외곽을 형성하는 외곽부와 상기 외곽부의 일측면에서 안쪽으로 함몰되어 삽입공간을 형성하는‘U’형태의 함몰부가 조합된 중공관(中空管)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면서 망사체의 일단을 밀어넣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지지대의 외곽부 상부 외측면과의 사이에서 망사체의 일단을 압박하는 날개 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의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의 양 측벽에는 삽입공간의 상방을 향하여 경사진 역방향 래칫부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재의 삽입부 양 측면에는 상기 함몰부의 양 측벽에 형성된 역방향 래칫부와 대응되는 정방향 래칫부가 다수개 형성됨으로써, 삽입부의 삽입작동시 정방향 래칫부가 역방향 래칫부를 타고 넘어가서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반면, 상기 삽입부가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정방향 래칫부가 역방향 래칫부에 걸려서 삽입부가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지지대는 상기 함몰부의 저면과 외곽부 저면을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함몰부를 받치는 보강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부재의 날개부 저면에는 지지대의 외곽부 상부 외면과의 사이에 취부된 망사체를 부분적으로 강하게 집중압박하는 다수개의 돌기라인이 하향 돌출형성된다.
상기 지지대의 삽입공간은 그 깊이가 끼움부재의 삽입부의 높이보다 깊게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지지대와 끼움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삽입공간의 하단부에 끼움부재의 삽입부가 미치지 않는 여유간극이 형성되고, 외곽프레임과, 지지대의 결합을 위해 삽입된 고정나사는 상기 삽입공간 하단부의 여유공간으로 파고 들어와서 함몰부의 바닥면을 깎아 고정된다.
상기 지지대의 외곽부 상면에는 끼움부재의 날개부와 겹쳐지지 않는 부분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에 의해 망사체를 받치는 높이가 끼움부재의 날개부 상면과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의 외곽부 상면의 일부는 아래로 꺽여내려간 단차부를 형성함으로써 끼움부재와의 사이에서 고정된 망사체의 가장자리 여분을 상기 단차부에 말아 넣을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방충망에 의하면 망사체의 지지상태가 견고해지므로 버팀력이 강화되어 외력에 의해 망사체가 뜯겨지거나, 지지대가 휘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망사체를 장착하는 과정에서의 작업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 3 부터 도 6 까지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 조립체는, 도 3에 나타난 것과 같이 망사체(10)와, 상기 망사체(10)의 가장자리에 취부되어 망사체(10)를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어 창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외곽프레임(30)(도 4 참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망사체(10)의 가장자리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40a)이 그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 형성된 지지대(40)와, 상기 지지대(40)와 결합하여 상기 지지대(40)의 삽입공간(40a)으로 망사체(10)의 일단이 끼워넣어 지도록 함으로써 망사체(10)를 고정하는 끼움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40)는 횡단면상 폐곡선을 이루며, 외곽을 형성하는 외곽부(42)와 상기 외곽부(42)의 일측면에서 안쪽으로 함몰되어 삽입공간(40a)을 형성하는‘U’형태의 함몰부(44)가 조합된 중공관(中空管)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대(40)는 함몰부(44)의 저면과 외곽부(42) 저면을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함몰부(44)를 받치는 보강살부(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부재(50)는, 상기 지지대(40)의 삽입공간(40a)으로 망사체(10)의 일단을 밀어넣는 삽입부(52)와, 상기 삽입부(52)의 선단에 구비되어 지지대(40)의 외곽부(42) 상부 외측면과의 사이에서 망사체(10)의 일단을 압박하는 날개부(54)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삽입부(52)와 날개부(54)는 직교하는 형태로 배치되어‘T’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40)의 삽입공간(40a)을 형성하는 함몰부(44)의 양 측벽에는 삽입공간(40a)의 상방을 향하여 경사진 역방향 래칫(rachet)부(441)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재(50)의 삽입부(52) 양 측면에는 상기 함몰부(44)의 양 측벽에 형성된 역방향 래칫부(441)와 대응되는 정방향 래칫부(521)가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부재(50)의 날개부(54) 저면에는 지지대(40)의 외곽부(42) 상부 외면과의 사이에 취부된 망사체(10)를 부분적으로 강하게 집중압박하는 다수개의 돌기라인(541)이 하향 돌출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지지대(40)의 상면에 망사체(10)의 가장 자리를 얻어놓은 상태에서 끼움부재(50)의 삽입부(52)를 지지대(40)의 삽입공간(40a)으로 밀어넣는 방식으로 망사체(10)와 지지대(40)가 취부된다.
끼움부재(50)의 삽입부(52)가 지지대(40)의 삽입공간(40a)에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삽입부(52)에 갖추어진 정방향 래칫부(521)가 함몰부(44)에 갖추어진 역방향 래칫부(441)를 타고 넘어 가면서, 삽입부(52)가 삽입공간(40a)으로 삽입되는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끼움부재(50)와 지지대(40)가 결합된 다음에는 상기 삽입부(52)의 정방향 래칫부(521)가 함몰부(44)의 역방향 래칫부(441)에 걸리게 됨으로써 망사체(10)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끼움부재(50)가 지지대(4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여기서, 삽입부(52)에 의해 삽입공간(40a)으로 밀어넣어진 망사체(10)가 정방향 래칫부(521)와 역방향 래칫부(441) 사이에 개재되어 있어 양 래칫부의 결합에 약간 방해가 되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망사체(10)는 그 두께가 얇기 때문에 양 래칫부 사이에서 유연하게 구부러짐으로써 래칫부간의 걸림작용에 큰 지장을 주지않게 되며, 결과적으로 지지대(40)와 끼움부재(50)의 결합상태는 견고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끼움부재(50)가 지지대(4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끼움부재(50)의 날개부(54)가 망사체(10)의 일단을 압박하게 되는데, 특히 날개부(54)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라인(541)이 망사체(10)를 국소적으로 강하게 압박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망사체(10)의 사변(四邊) 가장자리가 지지대(40)와 끼움부재(50)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로 강하게 연속적으로 지지되므로, 망사체(10)의 버팀강도가 향상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망사체(10)가 지지대(40)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지지대(40)의 삽입공간(40a)의 깊이가 끼움부재(50)의 삽입부(52)의 높이보다 깊게 이루어짐으로써 지지대(40)와 끼움부재(50)가 결합된 상태에서 삽입공간(40a)의 아래부분에 끼움부재(50)의 삽입부(52)가 미치지 않는 여유간극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40)와 외곽프레임(30)의 결합을 위해 지지대(40)와 외곽프레임(30)을 고정하는 고정나사(32)가 상기 여유간극으로 파고 들어오도록 장착하여 함몰부(44)의 바닥면을 깎아서 고정되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면 고정나사(32)와 지지부재(40)의 접촉면이 확대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지지부재(40)와 외곽프레임(30)의 결합강도가 향상된다.
게다가, 본 고안에 의하면 보강살부(46)가 구비된 특성상 지지대(40)의 구조적인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망사체(10)에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버팀강도가 더욱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지지대(40)에 망사체(10)를 올려놓고 끼움부재(50)를 결합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망사체(10)의 지지구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망사체(10)와 지지대(40)를 취부하는 과정에서 많은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방충망 조립체의 외곽프레임은 상하 가로외곽프레임 및 좌우 세로외곽프레임이 조합되어 이루어지는데, 상기 상하 가로외곽프레임과 좌우 세로외곽프레 임의 조합형태에 따라 이른바 액자형과 끼움형으로 구분된다.
액자형은 상하 가로외곽프레임과, 좌우 세로외곽프레임의 개구(開口)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서로 접하는 모서리가 맞닿는 형태이다.(미도시)
끼움형은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하 가로외곽프레임(30′)의 양 가장자리가 좌우 세로외곽프레임(30″)에 끼워지는 형태이다.
액자형 조합의 경우 상하좌우의 외곽프레임의 개구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만큼, 상하 가로외곽프레임에 끼워지는 가로지지대와 좌우 세로외곽프레임에 끼워지는 세로지지대의 폭도 서로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망사체의 일그러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끼움형 조합의 경우에는, 외곽프레임의 조합강도가 액자형에 비해 강하기는 하지만, 외곽프레임의 결합구조상 좌우 세로외곽프레임(30″)의 개구(開口)폭이 상하 가로외곽프레임(30′)의 폭보다 크게 구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지지대(40)와 끼움부재(50)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각 외곽프레임(30′)(30″)에 정밀하게 끼워져야 하므로 상하 가로외곽프레임(30′)에 끼워지는 가로지지대(40′)와, 좌우 세로외곽프레임(30″)에 끼워지는 세로지지대(40″)의 상하 폭은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망사체(10)를 직접지지하는 가로지지대(40′)와 세로지지대(40″)의 높이가 달라지게 되면 망사체(10)가 일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상하 가로외곽프레임(30′)에 끼워지는 가로지지대(40′)는 세로외곽프레임(30″)에 끼워지는 세로지지대(40″)와 망사체(10) 지지 높이를 맞추기 위한 구조로 이루 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난 것과 같이 개구폭이 세로외곽프레임(30″)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가로외곽프레임(30′)과 결합되는 가로 지지대(40′)는 끼움부재(50)의 날개부(54)에 의해 압박되는 망사체(10)의 위치보다 좀더 높게 망사체(10)를 받치는 돌출부(421′)가 구비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돌출부(421)는 상하 가로지지대(40′)의 외곽부(42′) 상면에서 끼움부재(50)의 날개부(54)와 겹쳐지지 않는 부분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끼움부재(50)가 상하 가로지지대(40′)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날개부(54)의 상면이 돌출부(421′)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가로 지지대(40′)와 세로 지지대(40″)에 의한 망사체(10)의 지지높이가 동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망사체(10)가 일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하면 망사체(10)의 취부작업시에 망사체(10)의 상하 가로변에 먼저 상하 가로지지대(40′)를 취부한 다음, 망사체(10)의 좌우 세로변을 팽팽하게 당긴 상태에서 좌우 세로지지대(40″)를 취부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상하 가로지지대(40′)와 좌우 세로지지대(40″)가 취부된 상태에서 지지대의 선단이 서로 맞닿는 상태가 되어야 한다.
즉, 좌우 세로지지대(40″)를 망사체(10)에 취부할 때에는 망사체(10)를 당기기 때문에 망사체(10)가 당겨지는 정도에 따라 세로지지대(40″)에 취부된 후에 도 세로지지대(40″)를 넘어서 망사체(10)의 여분이 남겨질 수 있으며, 이를 그대로 방치하면 여분의 망사체(10)가 지지대(40″)와 외곽프레임(30″) 사이에 끼어서 외곽프레임(30″)이 들뜨게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여분의 망사체(10) 선단이 수납될 수 있도록 좌우 세로 지지대(40″)는 그 외곽부(42″) 선단이 일정높이 만큼 아래로 꺽여내려간 단차부(422″)를 갖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여분의 망사체(10) 선단을 상기 단차부(422″)에 말아넣어서 간결하게 정리 할 수 있기 때문에 방충망 조립체의 조립작업이 한층 수월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방충망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 조립체의 요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 조립체에서 외곽프레임의 조합방식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방충망 조립체에서 상하 가로 지지대와 좌우 세로 지지대의 구조를 대비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망사체 30: 외곽프레임
32: 고정나사 40: 지지대
40a: 삽입공간 42: 외곽부
44: 함몰부 50: 끼움부재
52: 삽입부 54: 날개부

Claims (8)

  1. 망사체와,
    상기 망사체의 가장자리에 취부되어 망사체를 지지하는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어 창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외곽프레임,
    을 포함하는 방충망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망사체의 가장자리 일단이 삽입될 수 있는 삽입공간이 그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와 결합하여 상기 지지대의 삽입공간으로 망사체의 일단이 끼워넣어지도록 함으로써 망사체를 고정하는 끼움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는 횡단면상 폐곡선을 이루며, 외곽을 형성하는 외곽부와 상기 외곽부의 일측면에서 안쪽으로 함몰되어 삽입공간을 형성하는‘U’형태의 함몰부가 조합된 중공관(中空管)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삽입공간으로 삽입되면서 망사체의 일단을 밀어넣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지지대의 외곽부 상부 외측면과의 사이에서 망사체의 일단을 압박하는 날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의 삽입공간은 그 깊이가 끼움부재의 삽입부의 높이보다 깊게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지지대와 끼움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삽입공간의 하단부에 끼움부재의 삽입부가 미치지 않는 여유간극이 형성되고, 외곽프레임과, 지지대의 결합을 위해 삽입된 고정나사는 상기 삽입공간 하단부의 여유공간으로 파고 들어와서 함몰부의 바닥면을 깎아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삽입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의 양 측벽에는 삽입공간의 상방을 향하여 경사진 역방향 래칫부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재의 삽입부 양 측면에는 상기 함몰부의 양 측벽에 형성된 역방향 래칫부와 대응되는 정방향 래칫부가 다수개 형성됨으로써,
    삽입부의 삽입작동시 정방향 래칫부가 역방향 래칫부를 타고 넘어가서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반면, 상기 삽입부가 삽입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정방향 래칫부가 역방향 래칫부에 걸려서 삽입부가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조립체.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함몰부의 저면과 외곽부 저면을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함몰부를 받치는 보강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의 날개부 저면에는 지지대의 외곽부 상부 외면과의 사이에 취부된 망사체를 부분적으로 강하게 집중압박하는 다수개의 돌기라인이 하향 돌출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조립체.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외곽부 상면에는 끼움부재의 날개부와 겹쳐지지 않는 부분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어,
    상기 돌출부에 의해 망사체를 받치는 높이가 끼움부재의 날개부 상면과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외곽부 상면의 일부는 아래로 꺽여내려간 단차부를 형성함으로써 끼움부재와의 사이에서 고정된 망사체의 가장자리 여분을 상기 단차부에 말아 넣을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조립체.
KR2020080007406U 2008-06-03 2008-06-03 방충망 조립체 KR2004514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406U KR200451419Y1 (ko) 2008-06-03 2008-06-03 방충망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406U KR200451419Y1 (ko) 2008-06-03 2008-06-03 방충망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527U KR20090012527U (ko) 2009-12-08
KR200451419Y1 true KR200451419Y1 (ko) 2010-12-14

Family

ID=44478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406U KR200451419Y1 (ko) 2008-06-03 2008-06-03 방충망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419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074A (ko) 2017-01-10 2018-07-18 김정숙 분리형 방충망을 구비한 창틀 구조체
KR20180086719A (ko) * 2017-01-23 2018-08-01 (주) 텍스토머 방충망 또는 안전망 고정장치
KR20190059549A (ko) 2017-11-23 2019-05-31 안철봉 초음파를 이용한 방충장치
KR102017042B1 (ko) * 2018-09-28 2019-09-02 곽재문 안전 방충망
KR102086664B1 (ko) * 2018-11-21 2020-03-10 주식회사 유일라이트메탈 방진방충망이 설치되어진 루버창호
KR20200053829A (ko) 2018-11-09 2020-05-19 김정호 방충망 자동조립장치
KR20210101468A (ko) 2020-02-10 2021-08-19 한경희 이중 방충망 구조체
KR20220055956A (ko) *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러브하우징 방충망 결속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방충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732Y1 (ko) * 2011-06-27 2013-07-08 이영숙 타카고정식 방범창 프레임
KR101577945B1 (ko) * 2014-03-10 2015-12-16 오충곤 안전 방충망 구조체
KR102578241B1 (ko) 2023-03-06 2023-09-13 정수영 Diy형 방충망 키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799Y1 (ko) * 2006-12-26 2007-12-28 박영순 방충망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799Y1 (ko) * 2006-12-26 2007-12-28 박영순 방충망 조립체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074A (ko) 2017-01-10 2018-07-18 김정숙 분리형 방충망을 구비한 창틀 구조체
KR20180086719A (ko) * 2017-01-23 2018-08-01 (주) 텍스토머 방충망 또는 안전망 고정장치
KR101958452B1 (ko) * 2017-01-23 2019-03-14 (주)텍스토머 방충망 또는 안전망 고정장치
KR20190059549A (ko) 2017-11-23 2019-05-31 안철봉 초음파를 이용한 방충장치
KR102017042B1 (ko) * 2018-09-28 2019-09-02 곽재문 안전 방충망
KR20200053829A (ko) 2018-11-09 2020-05-19 김정호 방충망 자동조립장치
KR102086664B1 (ko) * 2018-11-21 2020-03-10 주식회사 유일라이트메탈 방진방충망이 설치되어진 루버창호
KR20210101468A (ko) 2020-02-10 2021-08-19 한경희 이중 방충망 구조체
KR20220055956A (ko) * 2020-10-27 2022-05-04 주식회사 러브하우징 방충망 결속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방충창
KR102598607B1 (ko) * 2020-10-27 2023-11-06 주식회사 러브하우징 방충망 결속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방충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527U (ko) 2009-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1419Y1 (ko) 방충망 조립체
KR200437799Y1 (ko) 방충망 조립체
KR200438756Y1 (ko) 강화방충망 조립구조
KR101420367B1 (ko) 창문프레임의 코너 고정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코너피스
KR200438173Y1 (ko) 강화방충망 조립구조
JP2009079414A (ja) サッシの網体取付構造
KR20150002067U (ko) 방범 기능을 갖는 안전 방충 프레임
KR102053623B1 (ko) 방범 및 방충 창호
KR102345446B1 (ko) 슬라이드 결합 방식을 가지는 친환경 경량 패널 어셈블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38195B1 (ko) 난간대 일체형 방충창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
KR200466373Y1 (ko) 강화방충망 조립구조
KR100719620B1 (ko) 방충망용 호차
KR102486994B1 (ko) 난간을 포함하는 개폐형 방충창
KR100784910B1 (ko) 안전플레이트가 구비된 창틀 어셈블리
KR200211418Y1 (ko) 도어의 수직프레임
JP7385211B2 (ja) 建具
JP6497975B2 (ja) 連窓用シャッターケースにおける吹上防止構造
JP4443339B2 (ja) 面格子付きサッシ
JP2006264802A (ja) エレベータ扉
JP6680516B2 (ja) 建具
KR200457529Y1 (ko) 방충창의 방충망 결합장치
US2024928A (en) Screen stile
JP3176845B2 (ja) シャッター
KR200429752Y1 (ko) 방범방충망
KR20190107220A (ko) 방충틀의 방충망 고정용 고정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