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260Y1 - 폭 조절 가능한 서랍 부재 또는 보조서랍 부재 - Google Patents

폭 조절 가능한 서랍 부재 또는 보조서랍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260Y1
KR200451260Y1 KR2020080007524U KR20080007524U KR200451260Y1 KR 200451260 Y1 KR200451260 Y1 KR 200451260Y1 KR 2020080007524 U KR2020080007524 U KR 2020080007524U KR 20080007524 U KR20080007524 U KR 20080007524U KR 200451260 Y1 KR200451260 Y1 KR 2004512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rear wall
front rear
width
draw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7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605U (ko
Inventor
박태순
Original Assignee
박태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순 filed Critical 박태순
Priority to KR2020080007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260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6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60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2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41Drawers being constructed from two or mor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A47B88/994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in the form of trays or insert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일 규격의 서랍 부재 또는 보조서랍 부재만으로 서랍장의 규격에 맞는 서랍 또는 보조서랍을 만들 수 있게 하고자, 옆 방향으로 분할된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상호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합시킬 수 있는 구성의 폭 조절 가능한 서랍 부재 또는 보조서랍 부재를 제안하는 것이며, 상기 제1 부재의 전 후면 벽을 제2 부재의 전 후면 벽에 각각 형성된 수직 홈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울 수 있게 하거나, 상기 제1 부재의 전 후면 벽의 바깥으로 돌기와 돌출 턱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2 부재의 전 후면 벽에는 상기 제1 부재의 전 후면 벽이 끼워지는 수직 홈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단 바깥쪽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져 안내되는 장공을 부여한 구성으로 되어서, 상기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의 슬라이드 조절을 통해 서랍 또는 보조서랍의 제조 시에 서랍장의 규격에 맞추어 폭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서랍, 서랍장, 보조서랍, 폭 조절,

Description

폭 조절 가능한 서랍 부재 또는 보조서랍 부재{drawer member or sub drawer member changeable width}
본 고안은 서랍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폭 방향의 규격을 임의로 변환할 수 있게 하여, 하나의 부재로 여러 규격의 서랍장에 적용할 수 있게 되어 있는 폭 조절 가능한 서랍 부재 또는 보조서랍 부재에 관한 것이다.
책상과 함께 사용되는 서랍장은 도 5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서랍(2)을 상하로 나란하게 수납할 수 있는 함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서랍(2)은 앞 뒤판, 그리고 양 측판 및 바닥판이 하나로 조합되어서 상부가 개방된 상자 형태로 조립된다. 그리고 서랍장의 서랍 중에서 최상부에 위치한 서랍에는 통상적으로 보조서랍이 더 부가된다.
서랍장은 종래부터 폭에 따라 400mm, 420mm 등의 규격으로 생산하고 있어서 상기 서랍(2), 그리고 보조서랍까지 이에 맞춰 규격별로 제조되고 있다.
이 때문에 서랍의 제조 비용은 규격별로 추가되는 특성을 가지므로 원가 절감하기가 상당히 곤란하다.
게다가 서랍장의 제조비용 중에서 서랍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하기 때문에 그 생산비용의 감축은 절실히 요망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서랍장의 생산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종래 예를 설명하면, 서랍의 조립에 필요한 부품을 일괄 생산할 수 있도록 모든 부품을 전개상태로 연결한 형태가 되게 사출 성형하고, 이것을 접어 서랍으로 조립되게 한 방식이 공지되어 있고, 다른 예로는 처음부터 서랍의 조립 수공을 생략하기 위하여 서랍 전체를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한 것도 실용화되고 있다.
또한, 보조서랍의 경우에도 전체를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하여 제공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부터 서랍의 제조에 소모되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조립식 구조가 제안되어 왔으나, 어느 방식이거나 서랍 또는 보조서랍을 여러 규격으로 생산해야함에 따르는 비용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서랍장의 규격에 맞추어 서랍 또는 보조서랍의 폭을 넓게 혹은 좁게 변형시킬 수 있게 한 구조로 되어 있는 폭 조절 가능한 서랍 또는 보조서랍을 제공하여,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옆 방향으로 분할된 제1 부재와 제2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부재의 전 후면 벽이 대응하는 제2 부재의 전 후면 벽에 각각 형성된 수직 홈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진 구성의 폭 조절 가능한 서랍 부재 또는 보조서랍 부재를 제안한다.
또한, 본 고안은 옆 방향으로 분할된 제1 부재와 제2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부재의 전 후면 벽의 바깥으로 돌기와 돌출 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재의 전 후면 벽에는 상기 제1 부재의 전 후면 벽이 끼워지는 수직 홈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단 바깥쪽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져 안내되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부재의 돌출 턱은 제2 부재의 전 후면 벽의 하단부를 받쳐주는 구성의 폭 조절 가능한 보조서랍 부재를 제안한다.
상기 보조서랍 부재에서 제2 부재의 장공은 랙 기어 형태로 배열되는 톱니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부재의 돌기는 상기 톱니에 맞물리는 오목 홈을 갖추게 하여 제1 부재에 대한 제2 부재의 위치 고정작용이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청구항 1에 의하면, 옆 방향으로 분할 형성된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단일 규격의 서랍 부재 또는 보조서랍 부재로, 규격에 관계없이 서랍장의 크기에 맞추어 서랍 혹은 보조서랍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청구항 2에 의하면,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의 폭 조절 가능한 연결 구조가 견고하고 쉽게 분리되지 않음과 동시에 제1 부재와 제2 부재 사이의 슬라이드가 무리 없이 행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 청구항 3은 상기 청구항 2의 효과에 더하여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폭 조절 상태를 변동 없이 견고하게 유지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련된 서랍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옆 방향으로 분할 형성된 제1 부재(4)와 제2 부재(6)는 상호 슬라이드 가능한 면 접촉 상태로 조합된다. 즉, 제1 부재(4)에서 옆 방향으로 연장된 전면 벽(40)과 후면 벽(42)은 대응하는 제2 부재(6)의 전면 벽(60)과 후면 벽(62)에 각각 형성된 수직홈(64)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춘 서랍 부재는 제1 부재(4)와 제2 부재(6)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시켜서 옆 방향 폭을 조절할 수 있고, 폭 조절한 상태에서 제1 부재(4)와 제2 부재(6)의 앞뒤로 구비된 브래킷(44)(66)에 앞판(F)과 뒤판(R)을 장착하면 소망하는 서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의 구조는 앞판(F)과 뒤판(R)을 붙이기 전까지는 제1 부재(4)와 제2 부재(6)의 조합상태가 불안정한 폐단이 있으므로 더 바람직하게는, 제1 부재(4)의 전 후면 벽(40)(42) 하측에 돌출 턱(46)을 부여하여 상기 제2 부재(6)의 전 후면 벽(60)(62) 하단부가 받쳐지게 함과 동시에, 제2 부재(6)의 전면 벽(60), 또는 전 후면 벽(60)(62)의 상면 바깥쪽으로 장공(68)을 형성하고, 이 장공(68)에 대응하여 제1 부재(4)의 전면 벽(40), 또는 전 후면 벽(40)(42)의 상단 후방으로 돌기(46)를 형성하여, 상기 장공(68)을 타고 돌기(46)가 슬라이드 안내되게 조립하는 방식으로 하면, 제1 부재(4)와 제2 부재(6)의 조합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면서 상기 제1 부재(4)와 제2 부재(6) 사이의 폭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을 서랍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도 2 내지 도 4의 도시와 같이 약간의 변형을 통해 보조 서랍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에서, 제1 부재(4)와 제2 부재(6)는 각각 바깥 변에 브래킷과 유사한 걸림부(70)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것은 보조서랍으로 사용될 때에 서랍의 양변 사이로 걸쳐지는 부분으로 되는 것이다.
이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부재(4)의 전 후면 벽(40)(42)에도 돌출 턱(46)과 돌기(48)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48)에 대응하여 제2 부재(6)의 전 후면 벽(60)(62)에도 장공(6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 부재(4)의 바닥은 굴곡이 부여되지 않은 평탄면으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반해, 제2 부재(6)의 바닥면은 필요에 따라 여러 개로 구획된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조립에 있어서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제1 부재(4)의 돌기(48)가 장공(48)으로 끼워져서 슬라이드 안내되고, 그 하측의 돌출 턱(46)은 제2 부재(6)의 전 후면 벽(60)(62) 하단을 받치게 됨으로써 조립상태는 제1 부재(4)와 제2 부재(6) 사이의 폭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도 2 및 도 3에 예시한 보조서랍 부재의 경우에, 폭 조절한 후에도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폐단이 있다.
도 4에 도시한 보조서랍 부재는 장공(68)의 하측 변에 톱니(72)를 배열하여 랙 기어 형태로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돌기(48)의 밑면에는 톱니(72)와 맞물리는 오목 홈(50)을 갖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실시 예의 보조서랍 부재는 돌기(48)의 오목 홈(50)에 톱니(72)가 맞물려짐에 따라 제1 부재(4)와 제2 부재(6) 사이를 폭 조절한 후에도 변함없이 그대로 유지 보전되는 특징을 나타낸다.
또, 제1 부재(4)와 제2 부재(6)의 폭 조절 과정에서 돌기(48)가 톱니(72)를 타고 넘어야 하는 것이므로 상기 제1 부재(4)의 전 후면 벽(40)(42)과 제2 부재(6)의 수직 홈(64) 사이로는 상하 방향의 공차를 충분히 부여하여 두는 것이 좋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제1 부재(4)와 제2 부재(6)를 옆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조합하는 것이므로, 하나의 규격으로 모든 서랍장의 규격에 맞도록 폭 조절하여 서랍이나 보조서랍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서랍에 적용한 예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을 보조서랍에 적용한 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립상태 사시도.
도 4는 보 고안을 보조서랍에 적용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서랍장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제1 부재 6: 제2 부재
40, 60: 전면 벽 42, 62: 후면 벽
44, 66: 브래킷 46: 돌출 턱
48: 돌기 50: 오목 홈
64: 수직 홈 68: 장공
70: 걸림부 72: 톱니

Claims (3)

  1. 삭제
  2. 옆 방향으로 분할된 제1 부재와 제2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부재의 전 후면 벽의 바깥으로 돌기와 돌출 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재의 전 후면 벽에는 상기 제1 부재의 전 후면 벽이 끼워지는 수직 홈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단 바깥에는 상기 돌기가 끼워져 안내되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부재의 돌출 턱은 제2 부재의 전 후면 벽의 하단부를 받쳐주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폭 조절 가능한 보조서랍 부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장공은 랙 기어 형태로 배열되는 톱니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재의 돌기는 톱니가 맞물리는 오목 홈을 일체로 갖춘 구성으로 되어 있는 폭 조절 가능한 보조서랍 부재.
KR2020080007524U 2008-06-05 2008-06-05 폭 조절 가능한 서랍 부재 또는 보조서랍 부재 KR2004512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524U KR200451260Y1 (ko) 2008-06-05 2008-06-05 폭 조절 가능한 서랍 부재 또는 보조서랍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7524U KR200451260Y1 (ko) 2008-06-05 2008-06-05 폭 조절 가능한 서랍 부재 또는 보조서랍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605U KR20090012605U (ko) 2009-12-09
KR200451260Y1 true KR200451260Y1 (ko) 2010-12-06

Family

ID=44478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7524U KR200451260Y1 (ko) 2008-06-05 2008-06-05 폭 조절 가능한 서랍 부재 또는 보조서랍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26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927B1 (ko) * 2016-11-15 2018-08-09 명진실업 주식회사 주방가구 하부수납장의 서랍용 걸이형 선반
KR102283594B1 (ko) * 2020-09-15 2021-07-28 장하윤 폭 조절이 가능한 가변서랍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0445A (ja) 2002-02-12 2003-08-19 Cho Pura Kogyo Kk 長さ調節可能な仕切具
KR200342086Y1 (ko) * 2003-11-25 2004-02-14 전병균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자상
KR200363445Y1 (ko) * 2004-06-25 2004-10-02 박승부 가변형 서랍 구획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0445A (ja) 2002-02-12 2003-08-19 Cho Pura Kogyo Kk 長さ調節可能な仕切具
KR200342086Y1 (ko) * 2003-11-25 2004-02-14 전병균 길이조절이 가능한 교자상
KR200363445Y1 (ko) * 2004-06-25 2004-10-02 박승부 가변형 서랍 구획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605U (ko) 200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22695B (zh) 抽屉
JP6006727B2 (ja) 引出しの連結デバイス
USD601220S1 (en) Play set slide
JP3143118U (ja) 抽斗仕切りを備える抽斗
US20120087606A1 (en) Reinforcement and adjustment device for slide assembly
US20060005502A1 (en) Double-wall frame member
CN103781382B (zh) 抽屉
JP2009529957A5 (ko)
KR20140026546A (ko) 서랍
CN102724898B (zh) 抽屉容器
CN101731855A (zh) 具有用于抽屉分区的分隔元件的抽屉
JP2020527199A (ja) 複数の調整を備えたドア及びワードローブドア用スライド装置
KR200451260Y1 (ko) 폭 조절 가능한 서랍 부재 또는 보조서랍 부재
CN103504836B (zh) 抽屉
ITPD20130335A1 (it) Sistema di fissaggio per mobili
US9750346B2 (en) Drawer slide assembly
US20060080925A1 (en) Skirting board
WO2011018354A2 (de) Kältegerät mit einem einbauteil
WO2011124446A2 (de) Türabsteller für ein kältegerät
EP3822447B1 (en) Structure for highly versatile sliding architectural elements
CN106061324A (zh) 柜子抽屉
KR200437335Y1 (ko) 조립식 가구의 선반 프레임 결합장치
KR100929345B1 (ko) 단위블록을 구비한 조립식 사물함의 측판 구조
IT201800007604A1 (it) Guida di estrazione per cassetti provvista di un dispositivo per la regolazione in altezza del cassetto.
EP4360502A2 (en) A channel profile for covering the gap between two portions of a piece of furniture and a process for producing a channel prof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