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089Y1 - 불판겸용석쇠받침대. - Google Patents

불판겸용석쇠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089Y1
KR200451089Y1 KR2020070011912U KR20070011912U KR200451089Y1 KR 200451089 Y1 KR200451089 Y1 KR 200451089Y1 KR 2020070011912 U KR2020070011912 U KR 2020070011912U KR 20070011912 U KR20070011912 U KR 20070011912U KR 200451089 Y1 KR200451089 Y1 KR 2004510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ll
support
plate
main body
cr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0681U (ko
Inventor
한태환
Original Assignee
한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태환 filed Critical 한태환
Priority to KR2020070011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08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06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6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0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0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47J2037/0795Adjustable food supports, e.g. for height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불판겸용석쇠받침대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불판겸용석쇠받침대는 중앙부에 불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불판의 가장자리와 일체로 연장되도록 상기 불판의 외단에 형성된 석쇠로 구성된 불판겸용석쇠를 지지하는 불판겸용석쇠받침대에 있어서, 중앙부에 상승화염이 통과하도록 화구가 형성되고, 상기 화구를 중심으로 외주연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본체; 상기 본체의 불판측면에 일체로 연결된 채, 상기 화구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불판겸용석쇠를 지지하며 화염의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지지부; 및 상기 본체의 외주연부와 일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불판 또는 상기 석쇠에서 흘러내린 기름을 수용하기 위한 기름받이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지지부화구측단부는 상기 화구의 상부로 돌출되고, 지지부기름받이골측단부는 상기 기름받이골의 상부로 돌출되며, 지지부상면은 상기 불판의 불판바닥면에 밀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불판겸용석쇠가 불판과 석쇠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석쇠까지 화염이 미치고 열기가 전달되며, 동시에 불판으로도 효과적으로 열전달이 되고, 장소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불판겸용석쇠받침대, 화구, 본체, 기름받이골, 지지부, 보조지지부

Description

불판겸용석쇠받침대.{Supporter for a gridiron with grill plate}
본 고안은 중앙부에 불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불판의 가장자리와 일체로 연장되도록 상기 불판의 외단에 형성된 석쇠로 구성된 불판겸용석쇠를 지지하는 불판겸용석쇠받침대에 있어서, 중앙부에 상승화염이 통과하도록 화구가 형성되고, 상기 화구를 중심으로 외주연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본체; 상기 본체의 불판측면에 일체로 연결된 채, 상기 화구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불판겸용석쇠를 지지하며 화염의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지지부; 및 상기 본체의 외주연부와 일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불판 또는 상기 석쇠에서 흘러내린 기름을 수용하기 위한 기름받이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지지부화구측단부는 상기 화구의 상부로 돌출되고, 지지부기름받이골측단부는 상기 기름받이골의 상부로 돌출되며, 지지부상면은 상기 불판의 불판바닥면에 밀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겸용석쇠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불판겸용석쇠가 불판과 석쇠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석쇠까지 화염이 미치고 열기가 전달되며, 동시에 불판으로도 효과적으로 열전달이 되고, 장소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 불판겸용석쇠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불판과 석쇠 모두 육류 등을 굽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나, 불판의 경우 직화열에 의하여 육류 등이 구워지는 반면, 불판은 그 자체가 가열됨에 따라 간접적으로 육류 등이 구워지는 차이가 있어 불판과 석쇠는 별도로 제작되고 있다. 상기 불판과 석쇠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는 예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10161호에 개시된 불판 겸용 석쇠가 있다. 상기 불판 겸용 석쇠는 중앙에 불판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불판부의 가장자리와 일체로 연장되도록 상기 불판부의 외단부에 형성된 석쇠부로 구성된 것으로, 중앙의 불판부에서 육류 등을 간접열에 의해 굽고, 동시에 상기 불판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석쇠부에서 직화열에 의해 육류 등을 굽는 방식이다.
상기 방식의 불판 겸용 석쇠를 사용할 경우, 중앙의 불판부는 보통 화염이 강한 버너의 중앙부분의 화염이 직접 닿게 되어 온도상승이 급격하게 되므로, 육류 등이 구워지기 전에 타버리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석쇠부는 상기 불판부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므로, 불꽃이 약할 경우 상기 석쇠부까지 미치지 않아 직화열에 의해 고기를 구워야하는 석쇠의 본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석쇠부에 불꽃을 직접 도달시키기 위해선 화염을 크게 만들어야 하나, 그럴 경우 중앙에 위치한 불판이 과다하게 가열되어 고기가 구워지기 전에 타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과제는 불판겸용석쇠가 불판과 석쇠 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석쇠까지 화염이 미치고 열기가 전달되도록 하며, 동시에 불판으로도 효과적으로 열전달이 되도록 하기 위한 불판겸용석쇠 받침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중앙부에 불판(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불판(60)의 가장자리와 일체로 연장되도록 상기 불판(60)의 외단에 형성된 석쇠(70)로 구성된 불판겸용석쇠(200)를 지지하는 불판겸용석쇠받침대(100)에 있어서,
중앙부에 상승화염이 통과하도록 화구(10)가 형성되고, 상기 화구(10)를 중심으로 외주연부(23)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본체(20);
상기 본체(20)의 불판측면에 일체로 연결된 채, 상기 화구(1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불판겸용석쇠(200)를 지지하며 화염의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지지부(40); 및
상기 본체(20)의 외주연부(23)와 일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불판(60) 또는 상기 석쇠(70)에서 흘러내린 기름을 수용하기 위한 기름받이골(3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40)의 지지부화구측단부(43)는 상기 화구(10)의 상부로 돌출되고, 지지부기름받이골측단부(45)는 상기 기름받이골(30)의 상부로 돌출되며, 지지부상면(47)은 상기 불판(60)의 불판바닥면(65)에 밀접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겸용석쇠받침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40) 각각의 사이에, 상기 화구(1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위치하되, 상기 본체(20)의 불판측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보조지지부상면(57)은 상기 불판(60)의 불판바닥면(65)에 밀접하도록 형성된 보조지지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본체(20)의 화구바닥부(15)와 상기 기름받이골(30)의 기름받이골바닥부(35)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름받이골(30)의 내주벽(33)을 관통하는 통기공(39)이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기름받이골(30)의 외주벽(37) 외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관형상의 다리고정부(90); 및 일단은 상기 다리고정부(90)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부표면에 상기 다리고정부의 하단에 걸리기 위한 걸림부(95)가 형성되어 있는 막대형상의 다리(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판(60)의 불판바닥면(65)은 수평면, 경사면 또는 굴곡면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지지부상면(47) 또는 보조지지부상면(57)의 형상 또한 수평면, 경사면 또는 굴곡면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불판겸용석쇠받침대(100)는 무쇠로 제작할 수 있다. 무쇠는 다른 철에 비하여 탄소와 규소 및 망간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순철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순철을 사용하여 만들면 음식이 조리 될 때 미량의 철분이 음식물속에 함유되어 들어가게 되므로 인체에 필요한 철성분을 공급해 줄 뿐아니라, 순철에 함유되어 있는 미네랄도 함께 공급해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무쇠로 본 고안에 따른 불판겸용석쇠받침대를 제작할 경우 통상 두껍게 만들어지기 때문에 열을 받아 축적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불판의 온도를 급격하게 올리지 않으므로, 불판위의 육류 등을 태우지않고 전체적으로 고르게 익힐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불판겸용석쇠받침대는 불판겸용석쇠가 불판과 석쇠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석쇠까지 화염이 미치고 열기가 전달되며, 동시에 불판으로도 효과적으로 열전달이 되고, 장소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불판겸용석쇠받침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불판겸용석쇠가 설치된 상태에서, 가스렌지에 장착된 도 1의 불판겸용석쇠받침대의 AA'단면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불판겸용석쇠받침대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상기 도 1내지 도 3의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의미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불판겸용석쇠받침대(100)는 중앙부에 불판(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불판(60)의 가장자리와 일체로 연장되도록 상기 불판(60)의 외단에 형성된 석쇠(70)로 구성된 불판겸용석쇠(20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중앙부에 상승화염이 통과하도록 화구(10)가 형성되어 있으며,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0)는 상기 화구(10)를 중심으로 외주연부(23)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구조를 갖는다. 상기 구조로 말미암아, 상기 불판겸용석쇠(200)를 본 고안에 따른 불판겸용석쇠받침대(100) 상부에 밀착하도록 거치할 경우, 상기 화구(10)를 통과한 상승화염이 상기 불판겸용석쇠(200)의 하부에 막혀 화살표(점선)방향으로 화염방향을 바꾸게 되고 본체(20)의 외주연부(23)방향으로 화염방향을 바꾸게 될 경우 화염이 통과하는 부분의 단면적이 본체(20)가 상기 화구(10)를 중심으로 외주연부(23)로 갈수록 상향경사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감소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본체(20)의 외주연부(23)방향의 공기유속이 상향경사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상승하게 된다. 상기 외주연부(23)방향의 공기유속이 상승함에 따라 화염의 길이도 상기 본체(20)의 외주연부(23)방향으로 길어지게 되며, 상기 석쇠(70)까지 화염이 도달할 수 있게 되어 직화열을 이용하는 석쇠(70)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공기유량은 공기가 통과하는 단면적과 공기의 유속을 곱한 값으로 표현되며, 공기유량은 일정하므로, 단면적의 감소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며, 공기의 유속이 증가되는 결과 공기중에 혼합된 기체상 연료도 상기 외주연부(23) 방향으로 빠르게 도달하여 화염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상승화염은 수직방향 외에 다양한 각도를 갖는 경사방향의 화염일 수 있으며, 상기 화구를 통과한 상승화염은 모두 상기 구조로 말미암아 상기 본체(20)의 외주연부(23)방향으로 화염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상기 본체(20)의 외주연부(23)와 일체로 연장되도록 기름받이골(30)이 형성되어, 상기 불판(60) 또는 상기 석쇠(70)에서 흘러내린 기름을 수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기름받이골(30)에는 물을 채워 과열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기름받이골(3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의 외주연부(23)에 결합된 내주벽(33), 상기 내주벽(33)의 외곽에 설치된 외주벽(37) 및 상기 내주벽(33)의 하단부와 상기 외주벽(37)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기름받이골바닥부(3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름받이골(30)의 내주벽(33)을 관통하는 통기공(39)이 상기 본체(20)의 외주연부(23)를 따라 복수개 형성된다. 상기 통기공(39)을 통해 화살표(일점쇄선)방향으로 가스렌지(300)로부터의 화염이 상기 석쇠(70)로 직접 전달되거나, 대류열이 상기 석쇠(70)로 전달되어 상기 석쇠(70) 위의 육류를 빨리 익힐 수 있게 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 내주벽(33)보다 상기 외주벽(37)의 높이를 1~10cm 높게함으로써, 화염출구(17)를 통과한 화염이 상기 외주벽(37)에 부딪혀 방향을 상부로 바꿔주어 상기 기름받이골(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기 석쇠(70)와 상기 석쇠(70) 위의 육류를 좀 더 직접적으로 가열해주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4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의 불판측면에 일체로 연결된 채, 상기 화구(1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부화구측단부(43)는 상기 화구(10)의 상부로 돌출되고, 지지부기름받이골측단부(45)는 상기 기름받이골(30)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구조로 말미암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구(10)로 유입되어 상승한 화염이 상기 화구(10)의 상부로 돌출된 지지부화구측단부(43)에 의해 방사상으로 분산되게 되고, 상기 지지부(40) 및 상기 본체(20)의 불판측면에 의해 형성된 화염통로를 통과하여, 화염출구(17)로 유출되며, 상기 기름받이골(30) 상부로 돌출된 지지부기름받이골측단부(45)에 의해 화염이 상기 석쇠(70)로 가이드된다. 즉, 상기 본체(20)의 불판측면과 상기 지지부(40)가 화염이 통과하기 위한 방사형통로를 형성하게 되어, 화구(10)로부터 상승한 화염이 화살표(점선)방향으로 통과하여 석쇠(70)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40)는 본체(20)의 불판측면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상면(47)이 상기 불판(60)의 불판바닥면(65)에 밀접한 구조로 이루어져 가스렌지(300)의 열원으로부터 상기 불판(60)으로의 열전도가 효과적으로 일어나게 되어, 간접열에 의해 고기를 가열하는 불판(60)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지지부(40) 각각의 사이에, 상기 화구(1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보조지지부(50)를 상기 본체(20)의 불판측면상에 일체로 형성하며, 보조지지부상면(57) 또한 상기 지지부상면(47)과 동일하게 상기 불판(60)의 불판바닥면(65)에 밀접하도록 형성한다. 상기 보조지지부(50)의 보조지지부화구측단부(53)는 상기 화구(10)의 둘레부(13)상에 설치되고, 보조지지부기름받이골측단부(55)는 본체(20)의 외주연부(23)상에 설치된다. 상기 구조로 말미암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40)에 의해 형성된 화염통로로 진입한 화염이 보조지지부화구측단부(53)에 충돌하게 되어 가스 등의 연료와 공기의 혼합도가 증가하게 되어, 연소의 정도가 증가하게 되며, 보조지지부화구측단부(53)와 보조지지부기름받이골측단부(55)가 본체(20)외부로 돌출되어 있지 않아 기름받이골(30)측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면적을 그대로 유지하고, 공기와 연료의 혼합도도 증가시켜 완전연소가 일어나도록 한다. 상기 보조지지부(50) 또한 상기 지지부(40)와 동일하게, 화염의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보조지지부상면(57)이 상기 불판바닥면(65)에 밀착하게 되므로 상기 불판(60)으로의 열전도를 증가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0)의 화구바닥부(15)와 상기 기름받이골(30)의 기름받이골바닥부(35)를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불판겸용석쇠받침대(100)를 도 2에 도시된 형태로 가스렌지 등에 설치할 경우에도 별도의 도구없이 가스렌지받침대(85) 위에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불판겸용석쇠받침대에 거치할 수 있는 불판겸용석쇠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내지 도 3의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의미하며, 설명을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판겸용석쇠(200)의 불판(60)표면 테두리부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국물넘침방지턱(65)을 형성한다. 상기 국물넘침방지턱(65)은 상기 불판(60)과 일체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상기 불판겸용석쇠(200)의 불판(60)에서 국물이 생기는 불고기 등을 조리할 경우 생기는 육즙의 손실을 막는 역할을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불판겸용석쇠받침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내지 도 3의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의미하며,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름받이골(30)의 외주벽(37) 외측면에 수직으로 관형상의 다리고정부(9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다리고정부(90)에 다리(93)가 조립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다리고정부(90)는 관형상이므로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어 있어 상기 다리(93)의 일단이 용이하게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다리(93)의 상부표면에 도 5에 도시된 형태의 걸림부(95), 즉, 상기 막대형상의 다리(93)의 상부표면에 결합되어 상향 절곡된 막대형상을 갖는 걸림부(95)를 형성함으로써, 다리(93)의 일단이 상기 다리고정부(90)의 내측에 삽입되면, 걸림부(95)에 의해 상기 다리고정부(90)의 하단에 걸리게 되어 다리(93)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다리고정부(90)와 다리(93)는 본 고안에 따른 불판겸용석쇠받침대(10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조립식으로 제작하여 열원과의 거리 조절이 가능하여 장작불 등 다양한 열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야외에서 사용할 경우 등 설치장소가 불안정한 곳에도 흔들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장소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는 3개의 다리고정부(90)와 다리(93)를 갖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4~6개의 다리고정부와 다리를 갖도록 할 수 있다. 3개의 다리를 갖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불판겸용석쇠받침대(100)를 최소갯수의 다리로 지지할 수 있으며, 6개 초과일 경우는 지지효과에 큰 변화는 없는 반면, 제작, 운반, 조립 등이 번거로울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불판겸용석쇠받침대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불판겸용석쇠가 설치된 상태에서, 가스렌지에 장착된 도 1의 불판겸용석쇠받침대의 AA'단면형상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불판겸용석쇠받침대의 일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불판겸용석쇠받침대에 거치할 수 있는 불판겸용석쇠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불판겸용석쇠받침대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화구 13: 둘레부
15: 화구바닥부 17: 화염출구
20: 본체 23: 외주연부
30: 기름받이골 33: 내주벽
35: 기름받이골바닥부 37: 외주벽
39: 통기공 40: 지지부
43: 지지부화구측단부 45: 지지부기름받이골측단부
47: 지지부상면 50: 보조지지부
53: 보조지지부화구측단부 55: 보조지지부기름받이골측단부
57: 보조지지부상면 60: 불판
65: 국물넘침방지턱 70: 석쇠
85: 가스렌지받침대 90: 다리고정부
93: 다리 95: 걸림부
100: 불판겸용석쇠받침대 200: 불판겸용석쇠
300: 가스렌지

Claims (5)

  1. 중앙부에 불판(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불판(60)의 가장자리와 일체로 연장되도록 상기 불판(60)의 외단에 형성된 석쇠(70)로 구성된 불판겸용석쇠(200)를 지지하는 불판겸용석쇠받침대(100)에 있어서,
    중앙부에 상승화염이 통과하도록 화구(10)가 형성되고, 상기 화구(10)를 중심으로 외주연부(23)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본체(20);
    상기 본체(20)의 불판측면에 일체로 연결된 채, 상기 화구(1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불판겸용석쇠(200)를 지지하며 화염의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지지부(40); 및
    상기 본체의 외주연부(23)와 일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불판(60) 또는 상기 석쇠(70)에서 흘러내린 기름을 수용하기 위한 기름받이골(3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40)의 지지부화구측단부(43)는 상기 화구(10)의 상부로 돌출되고, 지지부기름받이골측단부(45)는 상기 기름받이골(30)의 상부로 돌출되며, 지지부상면(47)은 상기 불판(60)의 불판바닥면(65)에 밀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름받이골(30)의 내주벽(33)을 관통하는 통기공(3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불판겸용석쇠받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40) 각각의 사이에, 상기 화구(10)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위치 하되, 상기 본체(20)의 불판측면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보조지지부상면(57)은 상기 불판(60)의 불판바닥면(65)에 밀접하도록 형성된 보조지지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겸용석쇠받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의 화구바닥부(15)와 상기 기름받이골(30)의 기름받이골바닥부(35)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겸용석쇠받침대.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받이골(30)의 외주벽(37) 외측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관형상의 다리고정부(90); 및 일단은 상기 다리고정부(90)의 내측에 삽입되며, 상부표면에 상기 다리고정부의 하단에 걸리기 위한 걸림부(95)가 형성되어 있는 막대형상의 다리(9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판겸용석쇠받침대.
KR2020070011912U 2007-07-19 2007-07-19 불판겸용석쇠받침대. KR2004510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912U KR200451089Y1 (ko) 2007-07-19 2007-07-19 불판겸용석쇠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912U KR200451089Y1 (ko) 2007-07-19 2007-07-19 불판겸용석쇠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681U KR20090000681U (ko) 2009-01-22
KR200451089Y1 true KR200451089Y1 (ko) 2010-11-29

Family

ID=41298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912U KR200451089Y1 (ko) 2007-07-19 2007-07-19 불판겸용석쇠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089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161Y1 (ko) * 2003-01-14 2003-04-16 나진옥 불판 겸용 석쇠
KR200328720Y1 (ko) * 2003-06-25 2003-10-04 권영세 직화구이용 고기 구이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0161Y1 (ko) * 2003-01-14 2003-04-16 나진옥 불판 겸용 석쇠
KR200328720Y1 (ko) * 2003-06-25 2003-10-04 권영세 직화구이용 고기 구이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681U (ko) 200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65146A1 (en) Food cooker
JP5975179B2 (ja) 焼き器
US5421319A (en) Heating system for barbecue grills and other gas appliances
US7694671B2 (en) Flame focusing ring for stovetop gas burner and universal wok support
KR100869185B1 (ko) 간편 조리기
US2877759A (en) Portable stove
US20110168033A1 (en) Body arrangement associated with at least one direct-broiling cooker
KR200451089Y1 (ko) 불판겸용석쇠받침대.
KR20170011040A (ko) 간접열 오리 구이기
KR880001036Y1 (ko) 가스 연소기용 취사용기 받침구
US20170202394A1 (en) Barbecue Grill Cooking System
KR101182111B1 (ko) 직화구이기
CN210861197U (zh) 一种具有灶用隔热罩的燃气灶
JP2011250953A (ja) 電気加熱調理器
KR200438899Y1 (ko) 열효율 향상을 위한 가스레인지버너의 보조 장치.
KR200443515Y1 (ko) 양면조리를 할 수 있는 가스기기의 그릴용 생선 구이판
KR200365215Y1 (ko) 숯불 구이기
JP2003259989A (ja) ロースターの加熱構造
KR101017134B1 (ko) 오리지널 직화 오븐
CN214791374U (zh) 一种灶用隔热罩
KR200377045Y1 (ko)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가스레인지 버너의 보조장치.
CN109724116B (zh) 一种燃气灶
CN109519975B (zh) 一种具有引导燃烧烟气排放的燃气灶
KR200431916Y1 (ko) 석쇠구이장치
KR20200000912U (ko) 식재료의 기름이 본체에 닿지 않는 식재료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