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765Y1 - Plantable vertical object - Google Patents

Plantable vertical obje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765Y1
KR200449765Y1 KR2020100003770U KR20100003770U KR200449765Y1 KR 200449765 Y1 KR200449765 Y1 KR 200449765Y1 KR 2020100003770 U KR2020100003770 U KR 2020100003770U KR 20100003770 U KR20100003770 U KR 20100003770U KR 200449765 Y1 KR200449765 Y1 KR 2004497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mesh
soil
plant
s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77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공영
Original Assignee
박공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공영 filed Critical 박공영
Priority to KR20201000037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76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7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76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5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ontained within a flexible envelop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6Foldable po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망태 구조물을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망태 구조물 자체 또는 망태 구조물을 적층하여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화분 등의 수직구조물을 구성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모든 부위에서 식물이 보여지도록 하여 외관을 향상시키고, 식물의 뿌리가 토양을 견고하게 지탱하도록 하여 수직구조물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망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방향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덮개 망체가 착탈가능하게 덮여지는 망태 본체와; 식생 가능하도록 다공질의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식물의 묘종이 심겨지거나, 식물의 씨앗이 뿌려지거나 심어진 상태로 식생이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망태 본체의 내부 테두리 양측에 고정되는 식생기반체와; 상기 망태 본체의 식생기반체 이외의 부위에 안착되는 투근성 근권자루와; 상기 투근성 근권자루의 내부에 충전되는 토양을 포함하여서 된 망태 구조물이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여러 층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망태 구조물의 외측에서 상기 망태 구조물을 지지해주는 지지수단과, 상기 망태 구조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이 더 구비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make the net structure smoothly vegetation, and by stacking the net structure itself or the net structure to form a vertical structure such as a median divider, fence, soundproof wall, potted plants to see the plants from all exposed to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structure capable of maintaining vegetation so that the shape of the vertical structure can be stably maintained by improving the appearance by improving the appearance and firmly supporting the soil of the plant.
This invention is made in the shape of a mesh, the mesh main body body is detachably covered with a cover mesh in an open state; A vegetation base composed of a porous flexible material so that vegetation is possible, and the vegetation is made in a state in which plant seedlings are planted, the seeds of the plant are sown or planted, and at least fixed to both sides of the inner edge of the mesh body; A percutaneous rhizome stalk seated on a site other than the vegetation base of the mesh body; The network structure including soil filled in the inside of the peritoneal rhizome sack is made of a single layer or laminated in several layers;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mesh structure on the outside of the mesh structure, and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mesh structure is further provided.

Description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Plantable vertical object}Plant vertical structure {Plantable vertical object}

본 고안은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망태 구조물을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망태 구조물 자체 또는 망태 구조물을 적층하여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화분 등의 수직구조물을 구성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모든 부위에서 식물이 보여지도록 하여 외관을 향상시키고, 식물의 뿌리가 토양을 견고하게 지탱하도록 하여 수직구조물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structure capable of vegetation, and more specifically, to configure the mesh structure so that the vegetation is made smoothly, by stacking the mesh structure itself or the network structure, such as a vertical divider, fence, soundproof wall, pollen, etc. By constructing the plant to be seen from all exposed to the outside to improve the appearance, and the roots of the plant to support the soil firmly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vertical structure.

주지하다시피, 돌망태는 하천의 제방, 절개지 또는 호안 등의 법면인 경사면등에 설치되어 토사가 흘러내리거나 유수에 의해 법면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경사면을 보호하는 구조물이다.As is well known, gabions are structures that are installed on slopes, such as banks of dikes, incisions, or lakes, to protect slopes while preventing soil from flowing down or losing them by running water.

그러나, 종래의 돌망태는 일정크기의 돌만을 수용하여 호안 등의 법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외관이 흉하고, 사면의 토양 위에 돌이 단순하게 얹혀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집중호우 등에 의해 유속이 빨라지는 경우 손쉽게 유실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망태 내부에 채워지는 돌을 외부로부터 구입하여 시공해야 하는 것이므로 돌의 구입비용으로 인해 시공비용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gabion has only a certain size of stone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lake, such as a lake, because it is unsightly appearance, and the structure is simply placed on the soil of the slope, so if the flow rate is accelerated by heavy rains, it is easily lost There was a disadvantage, and the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purchase cost of the stone to be installed from the outside to buy the stone filled inside the mesh.

이를 개선하기 위해 돌과 흙을 혼합한 식생이 가능한 블록을 만들어 이를 망태 내부에 충전한 식생 돌망태가 등장하였으나, 이러한 돌과 흙이 혼합된 블록 역시 식물이 발아하여 뿌리를 내릴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하여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었으며, 무엇보다 식물이 발아하여 착근하기 위한 충분한 수분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In order to improve this, vegetation blocks made of mixed rocks and soil were made, and vegetation gabions filled with the inside of the mesh appeared. However, these blocks mixed with stone and soil also had a small space for plant to germinate and take root.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vegetation is not made smoothly, and above all,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supply of sufficient moisture for the plant germination and working.

한편, 도로의 중앙분리대는 통상 콘크리트 블록을 나란하게 맞대어 구성하거나, 콘크리트 옹벽에 펜스를 고정하여 이루어지게 되므로 외관이 삭막한 단점이 있었던 바, 이를 개선하기 위해 식생이 가능한 도로의 중앙분리대가 등장한 바 있으나, 이는 식생기반체를 고정하여서 된 것이므로 식물의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한 토양의 부재로 인해 식생이 원활치않고 적용할 수 있는 식물의 종류에 한계가 있는 것이었으며, 담장이나 방음벽 역시 식생기반체를 프레임에 수직방향으로 고정하여 식생이 가능토록 한 것도 있으나 이 역시도 토양의 부재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은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divider of the road usually consists of a concrete block side-by-side, or is made by fixing the fence to the concrete retaining wall, so that the appearance was deteriorated bar, to improve this vegetation has appeared a central divider of the road This is because the vegetation infrastructure is fixed, and thus, there is a limit to the types of plants that can be applied without the vegetation due to the absence of soil for the smooth vegetation of the vegetation. Some plants were fixed vertically to the frame to allow vegetation, but this also had the limitations described above due to the absence of soil.

또한, 화분의 경우 일정한 용적의 용기에 토양을 채우고, 여기에 식물의 씨앗을 파종하거나 식물의 묘종을 식재하여 식생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러한 화분은 그 내부의 공간내에서만 식물이 상방향으로 자라게 되므로 외관이 단순한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otted plants, the soil is filled in a container of a certain volume, and the vegetation can be smoothly made by planting seed or planting seedlings therein, but such potted plants allow the plant to grow upward only in the space therein. Therefore, the appearance was a simple disadvantage.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망태 구조물을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망태 구조물 자체 또는 망태 구조물을 적층하여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화분 등의 수직구조물을 구성함으로써 외부로 노출되는 모든 부위에서 식물이 보여지게 되어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식물의 뿌리가 토양을 견고하게 지탱하도록 하여 수직구조물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such a point, and the mesh structure is constructed so that vegetation is made smoothly, and the mesh structure itself or the mesh structure is laminated to form a vertical structure such as a central separator, a fence, a soundproof wall, and a flower pot. It is to provide a vertical structure that allows the vegetation to be seen in all the areas exposed to improve the appearance, and to allow the roots of the plants to firmly support the soil, thereby allowing the vegetation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vertical structure stably.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망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방향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덮개 망체가 착탈가능하게 덮여지는 망태 본체와; 식생 가능하도록 다공질의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식물의 묘종이 심겨지거나, 식물의 씨앗이 뿌려지거나 심어진 상태로 식생이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망태 본체의 내부 테두리 양측에 고정되는 식생기반체와; 상기 망태 본체의 식생기반체 이외의 부위에 안착되는 투근성 근권자루와; 상기 투근성 근권자루의 내부에 충전되는 토양을 포함하여서 된 망태 구조물이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여러 층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망태 구조물의 외측에서 상기 망태 구조물을 지지해주는 지지수단; 및 상기 망태 구조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을 더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 the shape of a mesh to solve this problem, and the mesh main body is detachably covered with a cover mesh in an open state; A vegetation base composed of a porous flexible material so that vegetation is possible, and the vegetation is made in a state in which plant seedlings are planted, the seeds of the plant are sown or planted, and at least fixed to both sides of the inner edge of the mesh body; A percutaneous rhizome stalk seated on a site other than the vegetation base of the mesh body; The network structure including soil filled in the inside of the peritoneal rhizome sack is made of a single layer or laminated in several layers;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mesh structure outside the mesh structure; And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moisture to the mesh structure.

선택적으로, 상기 투근성 근권자루는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Optionally, the permissive rhizome may be made of a nonwoven fabric.

선택적으로, 상기 식생기반체에는 보습재가 첨가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토양에는 보습재 또는 퇴비가 혼합 충전될 수 있다.Optionally, a moisturizer is added to the vegetation base, and the soil may be mixed and filled with a moisturizer or compost.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망태 구조물이 적층되는 경우, 상기 각 망태 구조물의 외측에 세워지는 다수의 지주와, 상기 각 지주와 상기 각 망태 본체를 결속해주는 결속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Optionally, the support means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struts erected on the outside of each of the mesh structure when the mesh structure is stacked, and a binding member for binding the respective struts and the respective mesh body.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망태 구조물이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망태 구조물의 외측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각 지지대와 상기 망태 본체를 결속해주는 결속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Optionally, the support means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pports each provided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side of the mesh structure, and the binding member for binding each support and the mesh body when the mesh structure is made alone. Can be.

선택적으로,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투근성 근권자루의 내부에 안치되는 상방향으로 개방된 물통과, 상기 물통의 내측과 외측에 걸쳐 위치되어 상기 물통 내측의 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외측으로 이송하는 심지와, 상기 물통의 상부와 상기 심지를 한꺼번에 감싸도록 덮여져 상기 심지를 통해 이송되는 물은 토양으로 빠져나가게 하면서 식물의 뿌리가 물통으로 침투하는 것은 막아주는 방근커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Optionally, the water supply means is located in an upwardly open bucket placed inside the permissive root wound sack, and is positioned over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ucket to transfer water inside the bucket to the outside by capillary action. The wick,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bucket and the wick is covered at once, so that the water transported through the wick can be made out of the root cover to prevent the plant roots penetrate into the bucket while leaving the soil.

선택적으로,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식생기반체 상부에 직접 물을 공급하는 관수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Optionally, the water supply means may be made of a watering line for supplying water directly to the vegetation base.

선택적으로, 상기 토양이 담기는 투근성 근권자루의 상부가 상방향으로 개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Optionally, the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ed root wound sack containing the soil may be opened upwards.

본 고안은 망태 본체의 내부 테두리측으로 식생기반체가 위치되고, 이를 제외한 부위에 토양이 담긴 투근성 근권자루가 배치되며, 물통 또는 관수라인을 통해 지속적이면서 은근하게 관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망태 본체를 토양을 기반으로 하지 않는 수직 구조물인 화분이나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으로 활용하더라도 외부로 보여지는 모든 부위에서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자칫 삭막할 수 있는 수직 구조물의 외관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종류의 식물의 식생이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게 된다.The desig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vegetation base is positioned toward the inner edge of the mesh body, and the periphery root wound sack containing the soil is disposed, and the structure of the mesh body is soiled because it can be continuously and silently watered through a bucket or watering line. Even if it is used as a plant-based vertical structure that is not based on a plant, or as a median, fence, soundproof wall, etc., the vegetation can be made smoothly in any part of the exterior, which can greatly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vertical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cut off. Of cour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vegetation of various kinds of plants is possible.

또한, 투근성 근권자루에 담긴 토양이 망태 본체를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중량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토양이 유실되지 않아 항상 수직 구조물 원래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식생기반체가 수분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식생기반체에 뿌려지거나 심어진 식물의 씨앗이 쉽게 발아 및 발근할 수 있고, 식생기반체에 식물의 묘종이 심어진 경우에도 손쉽게 착근되어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식물이 자람에 따라 뿌리 또는 줄기가 팽창하더라도 식생기반체의 유연성에 의해 식물의 생육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고, 물통이나 관수라인을 통해 토양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수 있어 식물이 계속 자라나면서 식물의 뿌리가 투근성 근권자루를 뚫고 들어가 토양에 손쉽게 착생되어 식생이 더욱 활발해질 수 있으며, 망태 구조물과 인접한 다른 망태 구조물의 사이로도 뿌리를 내려 수직 구조물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soil contained in the percutaneous rhizome sack can provide sufficient weight to support the main body of the mesh, and the soil is not lost so that it can always maintain the original form of the vertical structure. Therefore, the seeds of plants sown or planted on the vegetation base can be easily germinated and rooted, and even when plant seedlings are planted on the vegetation base, they can be easily rooted and the vegetation can be made smoothly. Or, even if the stem expands, it does not affect the growth of the plant at all by the flexibility of the vegetation base, and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supply water to the soil through a bucket or irrigation line, so that the roots of the plant grow as the plant continues to grow. It can easily penetrate the soil into the soil and make the vegetation more active. The roots can also be rooted between the structure and other adjacent network structures, allowing the vertical structure to be more firmly supported.

또한, 망태 구조물이 시공되는 장소의 주변에 있는 토양과 잔돌을 그대로 투근성 근권자루에 담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별도의 돌 구매 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것이며, 이러한 토양에 풀씨 등이 혼입되더라도 투근성 근권자루 내부에서는 발아 또는 발근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사용에 전혀 지장이 없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soil and rubble around the site where the network structure is constructed can be used as it is, it is possible to use it as a pervious root winding bag, so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tone purchase cost. Since germination or rooting is not easily performed inside, there is no problem in use.

또한, 망태 구조물이 여러층으로 적층되면 그 하중에 의해 중간이 불룩해질 수 있고, 일시적으로는 망태 본체의 강성에 의해 형상이 유지되지만 시간이 지나면 망태 구조물의 망태 본체 측면이 터질 수 있는 문제가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망태 구조물의 외측에는 다수의 지주가 고정되어 있어 망태 구조물들이 수직방향으로 여러개 적층됨에 따라 하중에 의한 측압이 발생되더라도 이러한 지주들이 망태 구조물들의 측면을 완벽하게 받쳐주게 되므로 망태 구조물을 여러층으로 적층하더라도 이를 원래의 상태 그대로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망태 구조물이 화분에 적용되는 경우 이를 다른 장소로 이동할 때 망태 본체 내부에 수용된 식생기반체 또는 투근성 근권자루가 하방향으로 쳐질 수 있는 문제가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망태 구조물의 외부 및 하부에는 다수의 지지대가 고정되어 있어 이러한 망태 구조물로 된 화분을 들어서 이동시키더라도 망태 본체 내부에 수용된 식생기반체 또는 토양이 담긴 투근성 근권자루가 망태 본체의 외측으로 누출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mesh structure is laminated in several layers, the middle may be bulged by the load, and the shape is temporarily maintained by the rigidity of the mesh body,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de of the mesh body of the mesh structure may burst over time. However, a plurality of struts are fixed to the outside of the me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struts perfectly support the sides of the mesh structure even when side pressure is generated due to the stacking of the network structures in the vertical direction. Even if it is laminated in multiple layers, it can be maintained continuously as it is, and when the network structure is applied to a flower pot, the vegetation base or the root canal that is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of the network can be struck downward when it is moved to another place. There is a problem, but the networ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umber of supports are fixed on the outside and the lower part, so that even if the planter is moved by lifting the pollen, the vegetative base or soil contained in the mesh body will not leak out of the mesh body. It can provide rigidit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생이 가능한 망태 구조물을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에 적용하는 경우의 단위 망태 구조물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망태 구조물을 적층하여 구성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의 수직 구조물 단면도.
도 3은 식생이 가능한 망태 구조물을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의 수직구조물에 적용할 때 관수라인을 구비한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이 가능한 망태 구조물을 화분에 적용하는 경우의 단위 망태 구조물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망태 구조물을 이용한 화분의 측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nit network structure when applying the vegetation-capable networ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uch as the center of the road, fence, soundproof walls.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rtical structure of the central divider, fence, soundproof walls and the like of the road constructed by stacking the network structure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an embodiment provided with a watering line when applying the vegetation-capable network structure to the vertical structure, such as the central partition of the road, fence, soundproof walls.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nit mesh structure when the vegetation-capable me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pot.
5 is a side view of the flower pot using the network structure according to FIG.

이하, 본 고안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식생이 가능한 망태 구조물을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에 적용하는 경우의 단위 망태 구조물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망태 구조물을 적층하여 구성한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의 수직 구조물 단면도이며, 도 3은 식생이 가능한 망태 구조물을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의 수직구조물에 적용할 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식생이 가능한 망태 구조물을 화분에 적용하는 경우의 단위 망태 구조물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망태 구조물을 이용한 화분의 측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unit network structure when the vegetation-capable networ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enter separator, a fence, a soundproof wall, and the like, and FIG. 2 is a center separator of a road configured by stacking the network structure according to FIG. 1,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rtical structure such as a fence and a soundproof wall, and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when a vegetable network structure is applied to a vertical structure such as a median, a fence, and a soundproof wall of a road, and FIG. In the case of applying the vegetation-capable me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lant potted structure sectional view,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potted plant using the mesh structure according to FIG.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은 식생이 가능한 망태 구조물을 단독 또는 여러 층으로 적층하여서 된 화분이나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또는 방음벽 등의 수직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식생이 가능한 망태 구조물은 덮개 망체(11)를 갖는 망태 본체(10)와, 망태 본체(10)에 수납되는 식생기반체(20) 및 투근성 근권자루(30)와, 투근성 근권자루(30)에 담긴 토양(40)으로 이루어지며, 투근성 근권자루(30)의 내부에는 물통(60)이 구비되고, 망태 구조물의 외측에는 지주(70) 또는 지지대(71)가 결속밴드(72)와 같은 결속부재를 통해 고정되어 이루어진다.As shown, the vegetable vert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structure such as a planter or road divider, a fence, or a soundproof wall, which is obtained by stacking a vegetable network structure alone or in multiple layers. Possible mesh structures include a mesh body 10 having a cover network 11, a vegetation base 20 and a projectable root wound stool 30 that are housed in the mesh body 10, and a shiftable root wound sack 30. It is made of soil 40, the inside of the perforated root winding bag 30 is provided with a bucket 60, the support 70 or the support 71 is bound to the outside of the mesh structure, such as the binding band 72 It is fixed through the member.

망태 본체(10)는 금속재 와이어 또는 탄성 합성수지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엮어져 상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덮개 망체(11) 역시 금속재 와이어 또는 탄성 합성수지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엮어져 형성되는 것으로, 망태 본체(1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지만 식생기반체(20)와 부직포로 된 투근성 근권자루(30)를 수용할 수 있으면서 여러 층으로 적층할 수 있는 형상이면 원통형 등 어떠한 형상이든 적용 가능하다.The mesh main body 10 is formed so that the metal wire or elastic synthetic resin is woven in a zigzag shape and opened upward, and the cover mesh 11 is also formed of the metal wire or elastic synthetic resin woven in a zigzag shape. ) Is preferably configur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but any shape such as a cylindrical shape can be applied as long as it can accommodate multiple vegetation foundations 20 and a non-woven perforated root wound sack 30.

식생기반체(20)는, 식생 가능한 다공질의 유연한 섬유재질 또는 스펀지 등의 재질로 구성되며, 여기에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벤토나이트 또는 테라코템 등의 보습재가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벤토나이트 또는 테라코템 등의 보습재는 그 보습률이 매우 높은 재료이므로 이들 보습재는 식생기반체(20) 전체 함량의 1/20 정도의 중량비로 첨가함이 바람직하다.The vegetation base 20 is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porous flexible fiber material or sponge that can be vegetated, and is added to a moisturizing material such as bentonite or terracotte to maintain moisture therein, such as bentonite or terracotem. Since the moisturizing material is a material having a very high moisturizing rate, the moisturizing material is preferably added in a weight ratio of about 1/20 of the total content of the vegetation base 20.

식생기반체(20)의 그 표면에는 일정 깊이를 갖는 식재 공혈(21)을 다수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식재 공혈(21)에 식물의 묘종이 심겨지거나 식물의 씨앗이 심겨질 수 있다. 식생기반체(20) 및 그 제조에 관해서는 본 출원인의 선등록 특허인 특허 제 10-807285 호를 참조해 볼 수 있다.On the surface of the vegetation base 20 may form a plurality of planting donations 21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plant seedlings or plant seeds may be planted in such planting donations 21. Regarding the vegetation base 20 and its manufacture, reference may be made to Patent No. 10-807285, which is the applicant's pre-registered patent.

이러한 식생기반체(20)는 적어도 망태 본체(10)의 내부 테두리 양측에 고정되는데, 망태 구조물이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에 적용되는 경우 중간부위는 전후면만 외부로 보이므로 식생기반체(20)를 망태 본체(10)의 내부 양측에만 고정하면서 망태 구조물의 시작 위치 또는 끝 위치에서는 식생기반체(20)를 망태 본체(10)의 내부 테두리 양측과 좌측 또는 망태 본체(10)의 내부 테두리 양측과 우측 등 3방향에 고정하면 되며, 망태 구조물이 화분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4방향이 모두 외부로 보여지게 되므로 식생기반체(20)를 망태 본체(10)의 테두리 전체에 고정하면 된다.The vegetation base 20 is fixed at least on both sides of the inner rim of the mesh body 10, when the network structure is applied to the middle of the road, fence, soundproof wall, etc., because the middle portion is only visible from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vegetation base ( 20) while fixing the vegetation base 20 at the start position or the end position of the mesh structure only while fixing the inner side of the mesh body 10, both the inner edge of the mesh body 10 and the left or inner edge of the mesh body 10 It is necessary to fix in three directions, such as both sides and the right side, and when the network structure is applied to the pot, all four directions are visible to the outside, so the vegetation base 20 may be fixed to the entire edge of the mesh body 10.

투근성 근권자루(30)는 식생기반체(20)를 통해 생육하고 있는 식물의 뿌리가 뚫고 들어올 수는 있고 그 내부에 담긴 토양(40)이 외부로 유실되지 않는 강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하면 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예리한 돌이나 나무 등에 의해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치밀한 밀도로 제조된 부직포를 자루 형태로 성형하여 구성하면 된다. 이러한 투근성 근권자루(30)의 개방부위에는 지퍼 또는 벨크로 파스너 등과 같은 잠금부재(미도시)를 구비하여 토양을 담은 상태에서 그 개방부위를 잠가줄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실을 통해 엮어 구성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지퍼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부식을 고려하여 합성수지재 지퍼를 적용함이 바람직하다.Pervious root wound sack 30 is a material that can provide the stiffness that can be penetrated through the roots of plants growing through the vegetation base 20 and the soil 40 contained therein is not lost to the outsid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comprise, for exampl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shape | mold and shape the nonwoven fabric manufactured by the dense density so that it may not be torn easily by sharp stones, a tree, etc. in a bag form. The opening portion of the permissive root wound sack 30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zipper or a velcro fastener so as to lock the opening portion in a state of containing soil, or weave through a thread. For example, when a zipper is applied, it is preferable to apply a synthetic resin zipper in consideration of corrosion.

또한, 망태 구조물이 여러 층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수직 구조물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망태 구조물의 투근성 근권자루(30)는 잠금부재를 통해 잠가 구성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수직 구조물의 상면까지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망태 구조물이 단독으로 화분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망태 구조물의 투근성 근권자루(30)는 상방향으로 개방되도록 하여 화분의 상면까지 식생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ermissible root winding 30 of the mesh structure located at the top of the vertical structure, in which the mesh structure is stacked in several layers, may be locked by a locking member, and in some cases, vertically open so as to open upward. Vegetation can be made up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ructure, when the network structure alone is applied to the pollen, the permissible root wound stalk 30 of the mesh structure is to be opened in the upward direction so that the vegetation is mad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anter do.

또한, 투근성 근권자루(30)에 담기는 토양(40)은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토양이면 어떠한 토양이든 모두 적용가능한데, 바람직하게는 망태 구조물이 시공되는 장소 주변의 토양과 잔돌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잡초 등의 식물 씨앗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무방하다.In addition, the soil 40 contained in the percutaneous rhizosphere sack 30 may be applied to any soil as long as the plant can grow, preferably, the soil and the rubble around the place where the network structure is constructed can be used as it is. This may include plant seeds such as weeds.

여기에 습도 유지를 위해 벤토나이트 또는 테라코템과 같은 보습재를 첨가하거나 토양이 척박한 경우에는 양질의 퇴비를 혼합하여 충전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도 벤토나이트 또는 테라코템 등의 보습재는 토양(40) 전체 함량의 1/20 정도의 중량비로 첨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망태 구조물이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망태 구조물이 여러 층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수직 구조물의 최상부의 경우 토양(40)이 투근성 근권자루(30)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므로 투근성 근권자루(30)에 토양(40)을 먼저 담아준 후 보습재와 퇴비를 토양(40)의 위에 뿌려줄 수도 있다.In order to maintain humidity, a moisturizer such as bentonite or terracotte may be added, or when the soil is impregnated, a good compost may be mixed and filled. In this case, the moisturizer such as bentonite or terracotem may contain the entire soil 40 content. Is preferably added in a weight ratio of about 1/20. In addition, since the soil 40 is not separated from the pervious root wound sack 30 in the uppermost part of the vertical structure in which the mesh structure is formed alone or in which the mesh structure is stacked in several layers, the soil ( 40) can be put first and then moisturizing material and compost may be sprayed on top of the soil (40).

또한, 망태 구조물이 여러 층 적층되어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의 수직구조물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각 망태 구조물의 외측에 다수의 지주(70)를 세우고, 결속밴드(72)와 같은 결속부재를 통해 각 지주(70)와 각 망태 본체(10)를 결속해주게 되며, 망태 구조물이 단독으로 화분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망태 구조물의 외측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각각 다수의 지지대(71)를 구비하고, 결속밴드(72)와 같은 결속부재를 통해 각 지지대(71)와 망태 본체(10)를 서로 결속해주어 강성을 보강해주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network structure is stacked in several layers to form vertical structures such as a median divider, fence, soundproof wall, etc., a plurality of struts 70 are placed on the outside of each network structure, and a binding member such as a binding band 72 is provided. Each pedestal 70 and each mesh body 10 is bound through the case, and when the mesh structure alone forms a flower pot, a plurality of supports 71 are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mesh structur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respectively. And, through the binding member, such as the binding band 72, the support 71 and the mesh main body 10 is bound to each other to reinforce rigidity.

또한, 투근성 근권자루(30)의 내부에는 상방향으로 개방된 물통(60)을 안치하고, 물통(60)의 내측과 외측에 걸쳐지게 천이나 부직포 등으로 된 심지(61)를 배치하며, 물통(60)의 상부와 심지(61)를 한꺼번에 감싸도록 방근 커버(62)를 씌워주게 되는데, 이때 방근 커버(62)는 치밀하게 제조된 부직포로 구성하여 심지(61)를 통해 이송되는 물은 토양으로 빠져나가게 하면서 식물의 뿌리가 물통(60)측으로 침투하는 것은 막아주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permissive root winding bag 30 is placed in the bucket 60 which is open in the upward direction, the wick 61 made of cloth or non-woven fabric or the like to be spread over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ucket 60, Cover the top of the bucket 60 and the wick 61 to cover the wick 61 at the same time, the root cover 62 is composed of a non-woven fabric manufactured in precisely the water transferred through the wick 61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so as to prevent the root of the plant from penetrating into the bucket 60 while leaving the soil.

물론, 이러한 물통(60)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식생기반체(20) 상부에 직접 물을 공급하는 관수라인(50)을 구비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Of course, it is apparent that it may be provided with a watering line 50 for supplying water directly to the vegetation base 20, without having to separately provide such a bucket (60).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덮개 망체(11)가 개방되어 있는 망태 본체(10)의 내부 일측에 식생기반체(20)를 고정해주게 되는데, 망태 본체(10)가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식생기반체(20)를 그대로 망태 본체(10) 내부에 수납하여도 되고, 식생기반체(20)를 망태 본체(10)에 수납한 후 와이어와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해줄 수도 있다.In this configuration, the vegetation base 20 is fixed to an inner side of the main body 10 in which the cover network 11 is opened. Since the network main body 10 is formed in a box shape, the vegetation base 20 ) May be accommodated in the mesh body 10 as it is, or after storing the vegetation base 20 in the mesh body 10 may be fixed through a separate fixing member such as a wire.

이러한 식생기반체(20)는 망태 구조물이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에 적용되는 경우 중간부위는 전후면만 외부로 보이므로 식생기반체(20)를 망태 본체(10)의 내부 양측에만 고정하면서 망태 구조물의 시작 위치 또는 끝 위치에서는 식생기반체(20)를 망태 본체(10)의 내부 테두리 양측과 좌측 또는 망태 본체(10)의 내부 테두리 양측과 우측 등 3방향에 고정해주게 되며, 망태 구조물이 화분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4방향이 모두 외부로 보여지게 되므로 식생기반체(20)를 망태 본체(10)의 테두리 전체에 고정해주게 된다.The vegetation base 20 is fixed to the vegetation base 20 only on both sides of the network main body 10 because the middle part of the network structure is applied to the median, fence, soundproof wall of the road, so that only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re visible. At the start position or the end position of the mesh structure, the vegetation base 20 is fixed in three directions, such as both sides of the inner edge of the mesh body 10 and the left side or both sides and the right side of the inner frame 10 of the mesh body 10. When applied to the pot, all four directions will be seen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vegetation base 20 is fixed to the entire edge of the mesh body 10.

망태 본체(10)에 식생기반체(20)를 수납하는 것과 함께 부직포로 된 투근성 근권자루(30)를 망태 본체(10)의 나머지 공간에 넣고, 투근성 근권자루(30)의 개방부위를 통해 토양(40)을 담아주게 되며, 투근성 근권자루(30)에 토양(40)을 모두 담은 후 투근성 근권자루(30)의 개방부위에 구비된 지퍼 또는 벨크로 파스너와 같은 잠금부재를 통해 투근성 근권자루(30)의 개방부위를 잠가주거나 실로 엮어 봉해주고, 덮개 망체(11)를 덮어 고정하게 된다.Along with storing the vegetation base 20 in the mesh main body 10, a non-woven permissible root wound sack 30 is placed in the remaining space of the mesh main body 10, and the open portion of the shiftable root wound sack 30 is placed. The soil 40 is contained therein, and after the soil 40 is filled in the permissible root wound sack 30, the through 40 is locked through a locking member such as a zipper or a velcro fastener provided at an open portion of the shiftable root sack 30. Locking or sealing the open portion of the muscle root wound sand 30, the cover mesh 11 is fixed by covering.

이때, 본 고안이 적용되는 화분,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의 수직 구조물은 토양을 기반으로 하지 않으므로 식생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수분의 지속적인 공급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투근성 근권자루(30)의 내부에 상방향으로 개방된 물통(60)을 안치하고, 물통(60)의 내측과 외측에 걸쳐지게 천이나 부직포 등으로 된 심지(61)를 배치한 것이며, 물통(60)의 상부와 심지(61)를 한꺼번에 감싸도록 부직포로 된 방근 커버(62)를 씌워주고, 이후 토양(40)을 투근성 근권자루(30)에 채워 망태 본체(10)에 안치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물통(60)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식생기반체(20) 상부에 직접 물을 공급하는 관수라인(50)을 구비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 있다.At this time, vertical structures such as flowerpots, road dividers, fences, soundproof walls, etc.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re not based on soil, and thus, a continuous supply of water is required for the vegetation to be made more smoothly. The inside of the muscular root winding bag 30 is enclosed with a bucket 60 which is open upwards, and a wick 61 made of cloth or nonwoven fabric is disposed so as to cover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ucket 60, and the bucket ( Cover the upper part of the 60 and the wick 61 at once to cover the root cover 62 made of a non-woven fabric, and then filled the soil 40 in the permissible root winding bag 30 is placed in the mantle body (10). As another example, it may be provided with a watering line 50 for supplying water directly to the vegetation base 20, without having a separate bucket (60).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망태 구조물을 단독으로 또는 여러층 적층되게 하여 화분이나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을 형성하게 되는데, 화분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이를 이동시킬 때 망태 본체(10) 내부의 식생기반체(10) 또는 토양(40)을 담은 투근성 근권자루(30)가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망태 본체(10)의 주위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다수의 지지대(71)를 대고 결속 밴드(72)를 통해 고정해주게 되고,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망태 구조물을 여러 층으로 적층한 후 그 외측에 다수의 지주(70)를 세우고, 결속밴드(72)를 통해 지주(70)와 망태 본체(10)를 서로 고정해주게 된다.In addition, to form a network structure alone or multiple layers stacked as described above to form a central partition, fence, soundproof wall of a flower pot or road, when the planter is configured when moving the vegetation inside the mesh body 10 A plurality of supports 71 are attached to the periphery of the main body 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prevent the projectile root wound sack 30 containing the base 10 or the soil 40 from coming out of the binding band 72. When fixed through, and when forming a central divider, fence, soundproof wall, etc. of the road, the network structure is stacked in several layers and then a plurality of struts (70) on the outside, the struts through the binding band (72) 70) and the mesh main body 10 is fixed to each other.

따라서, 망태 본체(10)에 고정되는 식생기반체(20)에는 식재 공혈(21)이 형성되어 있어 식물의 묘종을 식재하거나, 식물의 씨앗을 심을 수 있으며, 식생기반체(20)는 어느 정도의 습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식물의 씨앗이 쉽게 발아하여 발근할 수 있고, 식물의 묘종이 식재된 경우에도 손쉽게 착근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vegetation base 20 fixed to the mantle body 10 is formed with planting donors 21 to plant seedlings of plants or to plant seeds, and the vegetation base 20 is to some extent. Because the humidity of the plant is maintained, the seeds of the plant can be easily germinated and rooted, and even when the plant seedlings are planted, it can be easily worked.

또한, 투근성 근권자루(30)에 담기는 토양(40)에는 보습재와 양질의 퇴비가 혼합 충전될 수 있으므로 식생기반체(20)에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투근성 근권자루(30)에 담기는 토양(40)으로 뿌리를 내리면서 식생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빗물 등이 스며들어 물통(60)에 모이면 이러한 물이 심지(61)를 통해 지속적으로 토양(40)측에 은근하게 공급되어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별도의 관수라인(50)을 구비한 경우 이를 통해 주기적 또는 간헐적으로 관수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In addition, since the moisturizing material and the high-quality compost can be mixed and filled in the soil 40 contained in the perforated root wound sack 30, the roots of the plant planted in the vegetation base 20 are placed in the shiftable root wound sack 30. Pouring the vegetation can be made more active while taking root to the soil (40), when rain water is soaked in the bucket (60), such water is constantly coarse to the soil (40) side through the wick (61) It is supplied to the vegetation can be made smoothly. Of course, if it is provided with a separate watering line 50 it is obvious that watering can be made periodically or intermittently through this.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식생기반체(20)에는 식물의 묘종이 식재되거나, 식물의 씨앗이 심어지는 것이며, 식생기반체(20) 및 토양(40)에는 어느 정도의 습도를 유지하고 있고 또 영양분을 가지고 있으므로 일정시간 경과 후 또는 즉시 경관을 연출할 수 있음은 물론 반영구적으로 장기간에 걸친 식물 생육이 가능해지게 되며, 특히 화분의 경우 투근성 근권자루(30)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어 여기에 식물의 씨앗을 파종해주면 외부 전체면과 상면까지 식생이 이루어져 매우 훌륭한 미감을 연출할 수 있게 되고,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의 경우에도 외부로 보여지는 전체면에서 식생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lant vegetation base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lanted or seedlings of plants are planted, and the vegetation base 20 and the soil 40 maintain a certain humidity and nutrient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duce a landscape after a certain time or immediately, as well as to be able to grow plants for a long time semi-permanently. Especially, in the case of pollen, the upper part of the permissible root wound sack (30) is opened so that the seeds of the plant are When planting, the vegetation is made to the entire out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so that it can produce a very good aesthetic, and even in the case of the middle partition of the road, fence, soundproof wall, etc. It can be.

또한, 본 고안을 적용하게 되면 수직 구조물이라 할지라도 투근성 근권자루(30)에 담긴 토양을 기반으로 식생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식물의 종류를 보다 다양하게 선택하여 식재할 수 있는 것이며, 망태 본체(10)와 덮개 망체(11)가 내부의 식생기반체(20) 및 토양(40)이 담긴 투근성 근권자루(30)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수행하여 비바람 등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수직 구조물 원래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even if the vertical structure is a vegetation is made based on the soil contained in the perforated root wound sack 30, and can be planted by selecting a variety of types of plants, the main body 10 And the cover mesh 11 serve to support the perforated rhizosphere sack 30 containing the vegetation base 20 and the soil 40 therein so that the original structure remains intact even when external force such as rain or rain is applied. It is sustainable.

또한, 본 고안에 따라 수직구조물에 식재되는 식물들은 겨울철에도 상록성을 유지하는 식물들을 적용하면 되는데, 예를 들면, 다년생 숙근초, 상록잔디패랭이, 맥문동, 줄사철 등을 식재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그 지역에 맞는 1년생 및 계절형 초화류를 식재할 수 있고, 계절별로 식물 품종을 교체하여 식재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lants planted in the vertic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applied to plants that maintain evergreen in the winter, for example, perennial Sukchocho, evergreen grass dianthus, Mcmun-dong, Julsa season, etc., in addition to the region It is possible to plant annual and seasonal herbaceous plants suitable for the season, and to plant by changing plant varieties by season.

또한, 토양(40)에 함유된 수분과 물통(60)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분에 의해 식물의 뿌리가 토양에 활착될 수 있으며, 식생기반체(20)에 식재된 식물이 점차 수분의 공급방향으로 뿌리를 뻗으면서 투근성 근권자루(30)를 뚫고 들어가 토양(40)에 뿌리를 내리더라도 방근 커버(62)에 의해 식물의 뿌리가 물통(60)측으로 침범하는 것은 막아줄 수 있고, 식물의 뿌리가 투근성 근권자루(30)를 뚫고 들어가더라도 투근성 근권자루(30)가 조직이 치밀한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식물의 뿌리와 투근성 근권자루(30)를 이루는 부직포가 밀착되어 투근성 근권자루(30) 내부의 토양이 쏟아지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e roots of the plant may stick to the soil by the water contained in the soil 40 and the water supplied from the bucket 60, the plant planted in the vegetation base 20 is gradually rooted in the supply direction of the water The roots of the plant by the root cover 62 can prevent the invasion of the root of the plant by the root cover 62 even though the roots of the perforated root sack 30 are extended while the roots of the plant are extended. Even though penetrating the penetrating root wound sack (30), the penetrating root wound sack (30) is made of a dense nonwoven fabric, so the nonwoven fabric forming the root of the plant and the penetrating root wound sack (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enetrating root wound sack (30). The soil inside does not spill.

또한, 비가 내리면 이러한 빗물이 토양으로 스며들 때 수분이 방근 커버(62)를 통과하여 물통(60)의 내부에 지속적으로 모이게 되고, 물통(60)에 모인 물은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지(61)를 타고 서서히 이동하게 되므로 손쉽게 소진되지 않고 수분 공급이 지속적이면서 은근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rain falls into the soil, when the water penetrates the soil cover 62, the moisture is continuously collected in the interior of the bucket 60, the water collected in the bucket 60 is wick 61 by the capillary phenomenon It will move slowly in the ride so that it is not easily exhausted and the water supply can be made continuously and subtle.

이러한 물통(60)을 구비하지 않고 별도의 관수라인(50)을 구성하는 경우에도 주기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관수를 해주게 되면 식생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동절기 기온이 영하로 떨어질 때 관수라인(50)의 동파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Even if a separate irrigation line 50 is provided without the water bottle 60, periodic or intermittent watering can be used to make the vegetation active. In this case, watering when the winter temperature drops below zero Management should be made so that the freezing of the line 50 is not made.

그리고, 도면상에는 망태 구조물을 여러층으로 적층할 때 각 망태구조물마다 물통(60)을 구비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지만 수직 구조물의 최상부측 망태 구조물만 물통(60)을 구비하거나, 수직 구조물의 상부측 몇개의 망태 구조물에만 물통(60)을 구비할 수도 있다.And, in the drawings, when stacking the network structure in multiple layers, each of the network structure has been shown as an example having a bucket 60, but only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structure has a bucket structure 60, or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structure Only a few mesh structures may have a bucket 60.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망태 구조물이 여러층으로 적층되면 그 하중에 의해 중간이 불룩해질 수 있고, 일시적으로는 망태 본체(10)의 강성에 의해 형상이 유지되지만 시간이 지나면 망태 구조물의 망태 본체(10) 측면이 터질 수 있는 문제가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망태 구조물의 외측에는 다수의 지주(70)가 고정되어 있어 망태 구조물들이 수직방향으로 여러개 적층됨에 따라 하중에 의한 측압이 발생되더라도 이러한 지주(70)들이 망태 구조물들의 측면을 완벽하게 받쳐주게 되므로 망태 구조물을 여러층으로 적층하더라도 이를 원래의 상태 그대로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me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minated in several layers, the middle may be bulged by the load, and the shape is maintained by the rigidity of the mesh body 10 temporarily, but as time passes, the mesh body of the mesh structure ( 10)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de can be exploded, but a plurality of struts 70 is fixed to the outside of the me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side pressure caused by the load as the network structure is stacked in a vertical direction such a strut ( 70) perfectly supports the sides of the mesh structure, so that even if the network structure is laminated in multiple layers, it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as it is.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망태 구조물이 화분에 적용되는 경우 이를 다른 장소로 이동할 때 망태 본체(10) 내부에 수용된 식생기반체(20) 또는 투근성 근권자루(30)가 하방향으로 쳐질 수 있는 문제가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망태 구조물의 외부 및 하부에는 다수의 지지대(71)가 고정되어 있어 이러한 망태 구조물로 된 화분을 들어서 이동시키더라도 망태 본체(10) 내부에 수용된 식생기반체(20) 또는 토양이 담긴 투근성 근권자루(30)가 망태 본체(10)의 외측으로 누출되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the me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flowerpot, the vegetation base 20 or the permissible root wound bag 30 accommodated inside the mesh body 10 may be struck downward when it is moved to another place. There is, but the outside and the bottom of the mesh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upport (71) is fixed, even if you move the plant pots made of such a network structure, the vegetation base (20) housed in the mesh body 10 or Pervious root wound sack 30 containing the soil is to provide sufficient rigidity not to leak to the outside of the mesh body 10.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고안에 따른 망태 구조물이 적용되는 화분, 도로의 중앙분리대, 담장, 방음벽 등의 분야에 따라 당해 분야에 필요한 구조물을 더 부가하여 구성해야 함은 자명하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t is obvious that the structure required for the field should be further configured according to the fields such as flower pots, road dividers, fences, soundproof walls, etc. to which the networ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예를 들면, 방음벽의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망태 구조물을 여러층으로 적층하여 구성한 상태에서 그 상단부 위쪽에 방음판을 더 부가 구성할 수도 있으며, 방음벽을 세우면서 외부로 보여지는 일측에만 본 고안에 따른 망태 구조물을 적층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중앙분리대의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망태 구조물을 여러층으로 적층하여 구성한 상태에서 상부에 여러가지 표지판 등의 구조물을 더 부가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oundproof wall, the structure of the networ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itionally constituted by stacking the networ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upper part of the upper part. It is also possible to stack the structure, or in the case of the central separator can be configured to add additional structures such as various signs on the top in the state that is configured by stacking the network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ultiple layers.

10 : 망태 본체 11 : 덮개 망체
20 : 식생기반체 21 : 식재 공혈
30 : 투근성 근권자루 40 : 토양
50 : 관수라인 60 : 물통
61 : 심지 62 : 방근커버
70 : 지주 71 : 지지대
72 : 결속밴드
10: the mantle body 11: the cover mantle
20: vegetation infrastructure 21: plant blood donation
30: permissible root bag 40: soil
50: watering line 60: bucket
61: wick 62: cover cover
70: prop 71: support
72: binding band

Claims (8)

망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방향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덮개 망체가 착탈가능하게 덮여지는 망태 본체와; 식생 가능하도록 다공질의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어 식물의 묘종이 심겨지거나, 식물의 씨앗이 뿌려지거나 심어진 상태로 식생이 이루어지며, 적어도 상기 망태 본체의 내부 테두리 양측에 고정되는 식생기반체와; 상기 망태 본체의 식생기반체 이외의 부위에 안착되는 투근성 근권자루와; 상기 투근성 근권자루의 내부에 충전되는 토양을 포함하여서 된 망태 구조물이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여러 층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망태 구조물의 외측에서 상기 망태 구조물을 지지해주는 지지수단; 및
상기 망태 구조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을 더 포함하여서 된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A mesh body formed in a mesh shape and the cover mesh body is detachably covered in an open state in an upward direction; A vegetation base composed of a porous flexible material so that vegetation is possible, and the vegetation is made in a state in which plant seedlings are planted, the seeds of the plant are sown or planted, and at least fixed to both sides of the inner edge of the mesh body; A percutaneous rhizome stalk seated on a site other than the vegetation base of the mesh body; The network structure including soil filled in the inside of the peritoneal rhizome sack is made of a single layer or laminated in several layers;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the mesh structure outside the mesh structure; And
Vegetation is possible vertical structure further comprises a wat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water to the mesh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근성 근권자루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pervious root wound sack is a vertical structure capable of vegeta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nonwoven fabric.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기반체에는 보습재가 첨가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토양에는 보습재 또는 퇴비가 혼합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vegetation infrastructure is made by adding a moisturizing material, the soil is a vertical structure capable of veget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oisturizing material or a compost mixed fill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망태 구조물이 적층되는 경우, 상기 각 망태 구조물의 외측에 세워지는 다수의 지주와, 상기 각 지주와 상기 각 망태 본체를 결속해주는 결속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means is a vegetation-enabled vertica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truts that are erected on the outside of each of the mesh structure, when the mesh structure is stacked, the binding member for binding each of the struts and each of the mesh body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망태 구조물이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망태 구조물의 외측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각 지지대와 상기 망태 본체를 결속해주는 결속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support means, when the mesh structure is made of a singl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upports each provided in the horizontal and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side of the mesh structure, and the binding member for binding the respective support and the mesh body. Vertical structure that allows veget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투근성 근권자루의 내부에 안치되는 상방향으로 개방된 물통과, 상기 물통의 내측과 외측에 걸쳐 위치되어 상기 물통 내측의 물을 모세관 현상에 의해 외측으로 이송하는 심지와, 상기 물통의 상부와 상기 심지를 한꺼번에 감싸도록 덮여져 상기 심지를 통해 이송되는 물은 토양으로 빠져나가게 하면서 식물의 뿌리가 물통으로 침투하는 것은 막아주는 방근커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supply means may include: an upwardly open bucket placed inside the permissive root wound sack, and a wick positioned over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ucket to transfer water inside the bucket to the outside by capillary action; The upper part of the bucket and the wick is covered at once, so that the water transported through the wick is discharged into the soil, while the root of the plant is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buc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vegetation is possible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식생기반체 상부에 직접 물을 공급하는 관수라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supply means, the vegetation is possible vertical structure consisting of a watering line for supplying water directly to the vegetation bas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양이 담기는 투근성 근권자루의 상부가 상방향으로 개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이 가능한 수직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Vegetation-able vertica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perforated root wound sack containing the soil is opened in the upward direction.
KR2020100003770U 2010-04-12 2010-04-12 Plantable vertical object KR20044976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770U KR200449765Y1 (en) 2010-04-12 2010-04-12 Plantable vertical obj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770U KR200449765Y1 (en) 2010-04-12 2010-04-12 Plantable vertical objec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9765Y1 true KR200449765Y1 (en) 2010-08-06

Family

ID=44243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770U KR200449765Y1 (en) 2010-04-12 2010-04-12 Plantable vertical obje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765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404B1 (en) * 2011-10-04 2013-11-20 박공영 Vertical plant cultivating apparatus
US20220330501A1 (en) * 2021-04-19 2022-10-20 Terra Studio Ltd. Plant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0255A (en) * 1995-09-19 1997-06-03 Mikado Kako Kk Plant-growing bed and plant-growing method
KR100808251B1 (en) * 2006-11-30 2008-02-29 엄기항 Artificial structure for wal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0255A (en) * 1995-09-19 1997-06-03 Mikado Kako Kk Plant-growing bed and plant-growing method
KR100808251B1 (en) * 2006-11-30 2008-02-29 엄기항 Artificial structure for wal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404B1 (en) * 2011-10-04 2013-11-20 박공영 Vertical plant cultivating apparatus
US20220330501A1 (en) * 2021-04-19 2022-10-20 Terra Studio Ltd. Plant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4387A (en) Plant cultiv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337425B1 (en) Revetment block for vegeta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of revetment using the same
KR101195210B1 (en) Trees Growing Slope Area Greening Structure and Greening Method
KR200451156Y1 (en) Vegetation double structure
CN102860245B (en) Construction method of water-storage drip irrigation system for plants
KR20160048614A (en) A greening block using wire fabric
KR20100136795A (en) Vegetation mat and vegetation gabion block using thi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vegetation gabion block using the same
KR101331404B1 (en) Vertical plant cultivating apparatus
KR200449765Y1 (en) Plantable vertical object
JP5421047B2 (en) Ground surface protection material and ground surface protection structure
KR101594419B1 (en) Gabion type planting structure
KR101046650B1 (en) Planting structure, Revetment having the Planting structure and building method of the Revetment
JP3156077B2 (en) Mat growing tray and plant growing method
JP2004254559A (en) Greening panel
JP3856998B2 (en) Planting methods for planting seedlings such as cut slopes, hard rock slopes, mortar spraying layers, etc.
CN205143039U (en) Movable vine expands numerous kind of plant bed
JP3260119B2 (en) Greening method with planting shelves on the slope
EP1185159B1 (en) Plant suppor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plant support
KR100859853B1 (en) The manufacture and constructional method of plant matrix using nonwoven fabric
KR101238787B1 (en) Plant growing gabion and constructional method thereof
JPH0646026U (en) Revetment slope greening block
JP3825758B2 (en) Slope revegetation method and greening protection fence and slope revegetation structure
KR20200013987A (en) Vegetation cell
KR101374688B1 (en) Method of making a green sloping ground construction using multi-layer mesh
JPH0444521A (en) Vegetation foundation bed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