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379Y1 -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 - Google Patents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379Y1
KR200449379Y1 KR2020080006353U KR20080006353U KR200449379Y1 KR 200449379 Y1 KR200449379 Y1 KR 200449379Y1 KR 2020080006353 U KR2020080006353 U KR 2020080006353U KR 20080006353 U KR20080006353 U KR 20080006353U KR 200449379 Y1 KR200449379 Y1 KR 2004493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wire
hole
fire extinguisher
seal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766U (ko
Inventor
곽종기
Original Assignee
코리아세이프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세이프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세이프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6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379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7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7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3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3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주입구와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밀봉해제용 구멍을 구비하는 용기와, 용기의 주입구에 설치되는 플러그, 및 플러그 상부에 설치되어 분사호스를 통한 소화용 약재의 분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 안전핀 구멍을 구비하는 상부 손잡이와 하부 손잡이를 포함하는 소화기; 소화기를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소화기함; 정렬된 상태의 안전핀 구멍에 삽입되는 일단의 안전핀 부분과, 밀봉해제용 구멍을 지향하도록 연장되는 다른 일단의 밀봉해제핀 부분, 및 안전핀 부분과 밀봉해제핀 부분을 연결하는 중앙 부분을 구비하는 이중형 안전핀; 용기의 밀봉해제용 구멍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땜납을 포함하는 밀봉수단에 의해 용기의 밀봉해제용 구멍을 밀봉함과 동시에 고정되며, 용기 외측의 단부가 밀봉해제핀 부분과 강선연결수단에 의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강선; 및 일단은 이중형 안전핀의 중앙 부분에 연결되며 다른 일단은 체결수단을 통해 소화기함의 내벽에 고정되는 사슬 체인;을 포함하여, 소화기를 소화기함으로부터 반출시, 이중형 안전핀이 소화기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밀봉해제용 구멍이 밀봉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를 제공한다.
밀봉해제용 구멍, 이중형 안전핀, 밀봉해제핀 부분, 강선, 땜납, 강선고정판

Description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THEFT PREVENTING TYPE EXTINGUISHER SET}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의 주요부분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도 1의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의 밀봉해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의 주요부분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도 3의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의 밀봉해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의 주요부분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도 3의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의 밀봉해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용기 7, 7': 밀봉해제용 구멍
10: 소화기 13: 플러그
15: 분사호스 16, 18: 안전핀 구멍
17: 상부 손잡이 19: 하부 손잡이
20: 소화기함 25: 안전핀 부분
30: 이중형 안전핀 35: 밀봉해제핀 부분
40: 사슬 체인 50: 강선
60, 60': 땜납 65: O-링
70, 70': 연결 니플 73: 강선통공
75: 제한통과벽 80: 강선고정판
90: 연결소켓 105: 강선 관통공
110: 중공형 볼트 120: 고정소켓
130, 130': 가스켓
본 고안은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난사고가 빈번한 터널 내부와 같은 공공장소에 비치되더라도 도난사고 발생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
터널 내부에는 일정 거리마다 소화기가 비치되어 화재를 동반하는 사고가 발생했을 때와 같은 비상시에 누구든지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비상시를 대비하기 위한 이와 같은 소화기는 일반적으로 잠금장치가 없는 소화기함을 터널 벽에 설치하고, 이 소화기함 내부에 소화기를 넣어 두는 형태로 비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태로 비치되는 소화기는 화재발생시 즉시 사용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도난방지를 위한 별도의 잠금장치를 설치할 수가 없어 도난사고에 매우 취약하다 할 수 있다.
실제로, 차량통행량이 적고 인적이 드문 터널 내부에 비치된 소화기들이 빈번하게 도난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소화기의 도난은 단지 소화기 도난으로 인한 물적손실의 문제에서 끝나지 않는다. 즉, 터널 내 화재발생시와 같은 비상시에 활용할 수 없어 작은 피해로 마무리될 수 있는 사고가 자칫하면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관리당국은 분실확인시 다시 소화기를 채워넣는 방식으로 관리하고 있으나, 점검 및 확인은 빈번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또한, 관리당국이 도난사고를 줄여보고자 소화기 외부에 소화기의 용도와 관리관청을 표기하는 등 자구책을 쓰고 있지만 실질적인 효과를 얻지는 못하고 있다 할 수 있으며, 그렇다고 도난방지를 위해 막대한 비용을 들여 소화기를 비치한 장소마다 CCTV를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인 대책이 되지 못한다 할 수 있다. 즉, 소화기의 도난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터널 내부에 비치되어 화재발생시와 같은 비상시에 누구든지 손쉽게 소화기 함으로부터 소화기를 꺼내 화재진압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실질적인 도난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를 제공하는 것 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방으로 개방된 주입구와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밀봉해제용 구멍을 구비하는 용기와, 용기의 주입구에 설치되는 플러그, 및 플러그 상부에 설치되어 분사호스를 통한 소화용 약재의 분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 안전핀 구멍을 구비하는 상부 손잡이와 하부 손잡이를 포함하는 소화기;
상기 소화기를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소화기함;
정렬된 상태의 상기 상부 손잡이의 안전핀 구멍과 상기 하부 손잡이의 안전핀 구멍에 삽입되는 일단의 안전핀 부분과, 상기 밀봉해제용 구멍을 지향하도록 연장되는 다른 일단의 밀봉해제핀 부분, 및 안전핀 부분과 밀봉해제핀 부분을 연결하는 중앙 부분을 구비하는 이중형 안전핀;
상기 용기의 상기 밀봉해제용 구멍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땜납을 포함하는 밀봉수단에 의해 상기 용기의 상기 밀봉해제용 구멍을 밀봉함과 동시에 고정되며, 상기 용기 외측의 단부가 상기 밀봉해제핀 부분과 강선연결수단에 의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강선; 및
일단은 상기 이중형 안전핀의 상기 중앙 부분에 연결되며 다른 일단은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소화기함의 내벽에 고정되는 사슬 체인;을 포함하여,
상기 소화기를 상기 소화기함으로부터 반출시, 상기 이중형 안전핀이 상기 소화기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밀봉해제용 구멍이 밀봉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밀봉해제용 구멍은 상기 강선의 굵기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밀봉수단은 상기 강선이 상기 밀봉해제용 구멍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밀봉해제용 구멍을 밀봉함과 동시에 상기 강선을 고정하도록 상기 밀봉해제용 구멍의 상기 용기 내측에 시공되는 상기 땜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강선연결수단은, 상기 강선의 상기 용기 외측 단부와 상기 밀봉해제핀 부분을 직접적으로 연결하도록 시공되는 용접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강선연결수단은,
중심을 관통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되 수용공간의 일측 단부는 상기 강선의 통과만을 허용하도록 수용공간보다 작은 직경의 강선통공을 구비하는 제한통과벽으로 막히도록 형성되고, 제한통과벽 반대측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연결 니플과,
상기 강선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강선통공을 통과한 상기 강선의 상기 용기 외부측 단부에 결합되는 강선고정판, 및
암나사를 내주면에 구비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연결 니플과 결합되며, 상기 밀봉해제핀 부분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소켓을 포함하여,
상기 강선의 상기 용기 외측 단부와 상기 밀봉해제핀 부분을 간접적으로 연 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밀봉해제용 구멍은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밀봉수단은, 상기 밀봉해제용 구멍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중심에 강선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밀봉해제용 구멍을 안에서 밖으로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중공형 볼트와, 내주면 일측에 부분적으로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형 볼트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결합되는 고정소켓과, 상기 중공형 볼트와 상기 용기의 내측면 사이 및 상기 고정소켓과 상기 용기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가스켓, 및 상기 강선 관통공을 밀봉함과 동시에 상기 강선을 고정하도록 상기 강선 관통공의 상기 용기 내측 입구부분에 시공되는 상기 땜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강선연결수단은,
분할플렌지를 경계로 수축성 재질의 O-링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오링 수용홈을 구비하는 일측의 오링부와 수나사가 형성되는 다른 일측의 나사부로 외주면이 구분되고, 중심을 관통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되 수용공간의 오링부 측 단부는 상기 강선의 통과만을 허용하도록 수용공간보다 작은 직경의 강선통공을 구비하는 제한통과벽으로 막히도록 형성되며, O-링을 끼운 상태에서 오링부가 상기 고정소켓의 내주면에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압입되어 상기 고정소켓과 연결되는 연결 니플,
상기 강선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강선통공을 통과한 상기 강선의 상기 용기 외부측 단부에 결합되는 강선고정판, 및
암나사를 내주면에 구비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연결 니플과 결합되며, 상기 밀봉해제핀 부분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소켓을 포함하여,
상기 강선의 상기 용기 외측 단부와 상기 밀봉해제핀 부분을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의 주요부분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의 밀봉해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는 소화기(10)와 소화기(10)를 보관할 수 있도록 터널의 벽 등에 설치되는 소화기함(20)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소화기(10)는,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소화기와 마찬가지로, 상방으로 개방된 주입구를 구비하는 용기(5)와, 용기(5)의 주입구에 설치되는 플러그(13), 및 플러그(13) 상부에 설치되어 분사호스(15)를 통한 소화용 약재의 분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 안전핀 구멍(16)(18)을 구비하는 상부 손잡이(17)와 하부 손잡이(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른 소화기를 구성하는 용기(5)는,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소화기와는 달리,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밀봉해제용 구멍(7)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는, 일반적인 소화기에 구비되는 안전핀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이중형 안전핀(30)을 포함한다. 이 이중형 안전핀(30)은 정렬된 상태의 상부 손잡이(17)의 안전핀 구멍(16)과 하부 손잡이(19)의 안전핀 구멍(18)에 삽입되는 일단의 안전핀 부분(25)과, 용기에 형성되는 밀봉해제용 구멍(7)을 지향하도록 연장되는 다른 일단의 밀봉해제핀 부분(35), 및 안전핀 부분(25)과 밀봉해제핀 부분(35)을 연결하는 중앙 부분(33)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중형 안전핀(30)은 굵은 철사를 굽힘방식으로 성형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안전핀 부분(25)과 중앙 부분(33)의 사이 및 밀봉해제핀 부분(35)과 중앙 부분(33)의 사이에 1회전 이상의 절곡부를 구비하도록 형성하여, 이중형 안전핀(30)에 연결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사슬 체인(40)이 중앙 부분(33)을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는 용기(5)의 밀봉해제용 구멍(7)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일측 단부는 용기(5) 내부에 위치하고 다른 일측 단부는 용기(5) 외부에 위치하게 되는 강선(50)을 포함한다. 이 강선(50)은 용기(5)의 밀봉해제용 구멍(7)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납땜작업을 통해 밀봉해제용 구멍(7)을 밀봉하는 과정에서 밀봉수단의 역할을 수행하는 땜납(60)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용기(5)에 구비되는 밀봉해제용 구멍(7)은, 예를 들어 0.3mm 정도의 굵기인, 강선(50)이 겨우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직경, 즉 강선(50)의 굵기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용기(5) 외부로 노출되는 강선(50)의 단부는 이중형 안전핀(30)의 밀봉해제핀 부분(35)에 용접작업을 통해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즉, 용접재(미도시)가 강선연결수단의 역할을 수행하여, 강선(50)과 밀봉해제핀 부분(35)을 연결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는 이중형 안전핀(30)과 소회기함(20)의 내벽(21)을 연결하는 사슬 체인(40)을 포함한다. 이 사슬 체인(40)의 일단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이중형 안전핀(30)의 중앙 부분(33)에 연결링(41)에 의해 연결되며, 다른 일단에는 볼트(22)가 통과할 수 있는 체결구멍(42)을 구비하는 고정부재(43)가 구비되어, 소화기함(20) 내벽(21)을 밖에서 안으로 통과하는 볼트(22) 및 소화기함(20) 내부에서 볼트(22)에 고정부재(43)를 끼운 상태에서 체결되는 너트(23)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소화기함(20)의 내벽(21)에 고정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는 소화기(10)를 소화기함(20)으로부터 반출시, 이중형 안전핀(30)이 소화기(10)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밀봉해제용 구멍(7) 또한 밀봉해제상태가 된다. 즉, 소화기(10)의 반출을 위해 소화기(10)를 밖으로 잡아당길 때 사슬 체인(40)에 의해 소화기함(20)에 견고하게 연결된 이중형 안전핀(30)이 소화기(10)로부터 분리되며, 이때, 재료적 성질상 강선(50)과 이중형 안전핀(30)의 밀봉해제핀 부분(35)을 연결하는 용접재의 강도는 강선(50)을 용기(5)에 고정하는 땜납(60)의 강도보다 현저히 높음에 따라, 이중형 안전핀(30)의 밀봉해제핀 부분(35)에 연결된 강선(50)에 땜납(60)을 파손시키기에 충분한 힘이 작용하여, 부분적으로 용기(5) 내부에 위치하던 강선(50)이 용기(5)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용기(5)에 구비된 밀봉해제용 구멍(7)을 개방하게 되어 밀봉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의 주요부분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의 밀봉해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강선(50)의 용기 외측 단부와 밀봉해제핀 부분(35)을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강선연결수단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강선연결수단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연결 니플(70), 강선고정판(80) 및 연결소켓(90)으로 이루어진다.
연결 니플(70)은 중심을 관통하는 수용공간(71)을 구비하되 수용공간(71)의 일측 단부는 강선(50)의 통과만을 허용하도록 수용공간(71)보다 작은 직경의 강선통공(73)을 구비하는 제한통과벽(75)으로 막히도록 형성되고, 제한통과벽(75) 반대측의 외주면에 수나사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강선고정판(80)은 강선통공(73)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수용공간(71)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강선통공(73)을 통과한 강선(50)의 용기 외부측 단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연결소켓(90)은 암나사를 내주면에 구비하여 수용공간(71)을 폐쇄하도록 연결 니플(70)과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며, 밀봉해제핀 부분(35)의 단부에 이탈 불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는, 제1실시예와 비교했 을 때 이중형 안전핀(30)의 밀봉해제핀 부분(35)과 강선(50)을 연결하는 강선연결수단에 관련하여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질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할 수 있다.
즉, 단순히 용접재에 의한 결합력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형상적인 구속을 동반하는 이중형 안전핀(30)의 밀봉해제핀 부분(35)과 강선(50) 간의 더욱 안정적인 연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는, 제1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소화기(10)를 소화기함(20)으로부터 반출시, 이중형 안전핀(30)이 소화기(10)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밀봉해제용 구멍(7) 또한 밀봉해제상태가 된다. 즉, 소화기(10)의 반출을 위해 소화기(10)를 밖으로 잡아당길 때 사슬 체인(40)에 의해 소화기함(20)에 견고하게 연결된 이중형 안전핀(30)이 소화기(10)로부터 분리되며, 이때, 강선(50)을 용기(5)에 고정하는 땜납(60)은 재료적 성질상 강도가 약한 반면 강선(50)과 이중형 안전핀(30)이 강선연결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됨에 따라, 이중형 안전핀(30)의 밀봉해제핀 부분(35)에 연결된 강선(50)에 땜납(60)을 파손시키기에 충분한 힘이 작용하여, 부분적으로 용기(5) 내부에 위치하던 강선(50)이 용기(5)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용기(5)에 구비된 밀봉해제용 구멍(7)을 개방하게 되어 밀봉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의 주요부분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의 밀봉해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경우와 달리,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밀봉해제용 구멍(7')이 용기(5)에 형성되며, 그에 대응하여 밀봉수단이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밀봉수단은, 밀봉해제용 구멍(7')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중심에 강선 관통공(105)을 구비하고 밀봉해제용 구멍(7')을 안에서 밖으로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중공형 볼트(110)와, 내주면 일측에 부분적으로 암나사가 형성되어 중공형 볼트(110)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결합되는 고정소켓(120)과, 중공형 볼트(110)와 용기(5)의 내측면 사이 및 고정소켓(120)과 용기(5)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가스켓(130)(130'), 및 용기(5)의 밀봉해제용 구멍(7')이 아닌 중공형 볼트(110)의 강선 관통공(105)을 밀봉함과 동시에 강선(50)을 고정하도록 강선 관통공(105)의 용기(5) 내측 입구부분에 시공되는 땜납(60')을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는, 제2실시예의 경우와 유사하지만 다른 강선연결수단을 구비한다.
즉,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강선연결수단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연결 니플(70'), 강선고정판(80) 및 연결소켓(90)을 포함하지만 연결 니플(70')과 관련하여 다소 차이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연결 니플(70')은 분할플렌지(69)를 경계로 수축성 재질의 O-링(65)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오링 수용홈(68)을 구비하는 일측의 오링부와 수나사가 형성되는 다른 일측의 나사부로 외주면이 구분되도록 형성된 다. 그리고, 제2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결 니플(70')은 중심을 관통하는 수용공간(71)을 구비하되 수용공간(71)의 오링부 측 단부는 강선(50)의 통과만을 허용하도록 수용공간(71)보다 작은 직경의 강선통공(73)을 구비하는 제한통과벽(75)으로 막히도록 형성되며, O-링(65)을 끼운 상태에서 오링부가 밀봉수단을 구성하는 고정소켓(120)의 내주면에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압입되어 고정소켓(120)과 연결된다.
그리고, 강선고정판(80)은, 제2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강선통공(73)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수용공간(71) 내부에 위치하며, 강선통공(73)을 통과한 강선(50)의 용기(5) 외부측 단부에 결합된다.
또한, 연결소켓(90) 역시 암나사를 내주면에 구비하여 수용공간(71)을 폐쇄하도록 연결 니플(70')과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되며, 밀봉해제핀 부분(35)의 단부에 이탈 불가능한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제3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는, 제2실시예와 비교했을 때, 용기(5)의 밀봉해제용 구멍(7')을 밀봉하는 밀봉수단에 관하여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O-링(65)이 끼워진 연결 니플(70')의 오링부가 밀봉수단을 구성하는 고정소켓(120)에 압입된 상태로 연결상태를 유지한다는 점만 다를 뿐이다.
즉, 용기(5)의 밀봉해제용 구멍(7')을 밀봉하기 위해 직접적으로 용기(5)에 시공되는 땜납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가스켓(130)(130')이 개재된 상태에서 중공형 볼트(110)와 고정소켓(120)을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하여 밀봉해제용 구멍(7')을 일차적으로 폐쇄하고, 중공형 볼트(110)에 구비된 강선 관통공(105)을 통 해 강선(50)을 통과시킨 상태에서 강선 관통공(105)을 땜납(60')으로 밀봉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고정소켓(120)과 연결 니플(70') 간의 연결은 나사결합에 의한 것이 아닌 수축되는 O-링(65)의 재료적 성질에 의한 것이므로, 약간의 힘으로도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소화기(10)를 소화기함(20)으로부터 반출시, 이중형 안전핀(30)이 소화기(10)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밀봉해제상태가 된다. 다만, 밀봉해제용 구멍(7')의 직접적인 개방에 의한 밀봉해제가 아니라 중공형 볼트(110)에 구비되는 강선 관통공(105)의 개방을 통한 밀봉해제라는 점만 다를 뿐이다.
즉, 소화기(10)의 반출을 위해 소화기(10)를 밖으로 잡아당길 때 사슬 체인(40)에 의해 소화기함(20)에 견고하게 연결된 이중형 안전핀(30)이 소화기(10)로부터 분리되며, 이때, 강선(50)을 중공형 볼트(110)에 고정하는 땜납(60')은 재료적 성질상 강도가 약한 반면 강선(50)과 이중형 안전핀(30)이 강선연결수단에 의해 견고하게 연결됨에 따라, 이중형 안전핀(30)의 밀봉해제핀 부분(35)에 견고하게 연결된 강선(50)에 땜납(60')을 파손시키기에 충분한 힘이 작용하여, 부분적으로 용기(5) 내부에 위치하던 강선(50)이 강선 관통공(105)을 통해 용기(5)로부터 빠져나오면서 중공형 볼트(110)에 구비된 강선 관통공(105)을 개방하게 되어 밀봉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는, 소화기(10)를 소화기함(20)으로부터 반출했을 때, 이중형 안전핀(30)의 안전핀 부분(25) 또한 상부 손잡이(17)와 하부 손잡이(19)에 각각 구비된 안전핀 구멍(16)(18)으로부터 빠져나온 상태에 놓이게 되는 것으로서, 이 상태는 즉시 화재진압에 사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달리 표현하면, 이중형 안전핀(30)이 분리된 상태에서만 소화기(10)를 소화기함(20)으로부터 반출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밀봉해제용 구멍(7) 또는 강선 관통공(105)을 통해 소화용 약제와 더불어 용기(5)에 충전되는 질소가스 등과 같은 가스가 점진적으로 누출되며, 밀봉해제용 구멍(7) 또는 강선 관통공(105)의 직경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소화기함(20)으로부터 반출 후 대략 30분 정도 지나게 되면 소화기(10)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는 무용지물 상태에 이르게 된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소화기(10)를 사용한 화재진압시 대략 수십 초 내지 수 분 이내이면 소화기(10) 내부의 소화용 약제를 모두 분사하는데 충분하다는 것을 고려하면, 화재진압을 위해 소화기함(20)으로 반출했을 경우 용기(5)의 밀봉해제로 인한 소화기(10)의 소화력 저하의 우려는 무시할 수 있는 정도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화기(10)를 소화기함(20)으로부터 반출했을 때, 화재발생과 같은 비상시에 본래의 용도로 사용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으면서도, 이중형 안전핀(30)이 분리된 상태에서만 소화기(10)를 소화기함(20)으로부터 반출할 수 있다는 특성과, 이중형 안전핀(30) 분리시 용기(5)의 밀봉해제로 인해 소화기(10)가 무용화된다는 특성으로 인해, 절도와 같은 불순한 의도를 가진 자에 의한 도난사고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절도의사를 갖고 접근했던 자로 하여금, 소화기함(20)으로부터 반출된 소화기(10)가 온전한 상태의 소화기(10)가 아닐 수밖에 없다는 인식을 갖도록 하여, 절도행위로 연결되지 않도록 심리의 변화를 유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습적인 소화기 절도범들의 경우, 이미 절도를 통해 습득한 소화기의 무용화를 경험하게 됨에 따라, 또다시 소화기를 절도하고자 하는 의사가 현저히 감소하도록 유도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결국, 비상시를 대비하여 터널과 같은 장소에 설치되는 소화기를 대상으로 하는 도난사고 발생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를 제공함으로써,
본 고안은 비상시를 대비하여 터널과 같은 장소에 설치되었을 때, 화재발생시와 같은 비상시에 본래의 용도로 사용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으면서도, 소화기를 대상으로 하는 도난사고 발생가능성을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상방으로 개방된 주입구와 외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밀봉해제용 구멍을 구비하는 용기와, 용기의 주입구에 설치되는 플러그, 및 플러그 상부에 설치되어 분사호스를 통한 소화용 약재의 분사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 안전핀 구멍을 구비하는 상부 손잡이와 하부 손잡이를 포함하는 소화기;
    상기 소화기를 보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소화기함;
    정렬된 상태의 상기 상부 손잡이의 안전핀 구멍과 상기 하부 손잡이의 안전핀 구멍에 삽입되는 일단의 안전핀 부분과, 상기 밀봉해제용 구멍을 지향하도록 연장되는 다른 일단의 밀봉해제핀 부분, 및 안전핀 부분과 밀봉해제핀 부분을 연결하는 중앙 부분을 구비하는 이중형 안전핀;
    상기 용기의 상기 밀봉해제용 구멍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땜납을 포함하는 밀봉수단에 의해 상기 용기의 상기 밀봉해제용 구멍을 밀봉함과 동시에 고정되며, 상기 용기 외측의 단부가 상기 밀봉해제핀 부분과 강선연결수단에 의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강선; 및
    일단은 상기 이중형 안전핀의 상기 중앙 부분에 연결되며 다른 일단은 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소화기함의 내벽에 고정되는 사슬 체인;을 포함하여,
    상기 소화기를 상기 소화기함으로부터 반출시, 상기 이중형 안전핀이 상기 소화기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밀봉해제용 구멍이 밀봉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해제용 구멍은 상기 강선의 굵기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밀봉수단은 상기 강선이 상기 밀봉해제용 구멍을 통과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밀봉해제용 구멍을 밀봉함과 동시에 상기 강선을 고정하도록 상기 밀봉해제용 구멍의 상기 용기 내측에 시공되는 상기 땜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연결수단은, 상기 강선의 상기 용기 외측 단부와 상기 밀봉해제핀 부분을 직접적으로 연결하도록 시공되는 용접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연결수단은,
    중심을 관통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되 수용공간의 일측 단부는 상기 강선의 통과만을 허용하도록 수용공간보다 작은 직경의 강선통공을 구비하는 제한통과벽으로 막히도록 형성되고, 제한통과벽 반대측의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는 연결 니 플과,
    상기 강선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강선통공을 통과한 상기 강선의 상기 용기 외부측 단부에 결합되는 강선고정판, 및
    암나사를 내주면에 구비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연결 니플과 결합되며, 상기 밀봉해제핀 부분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소켓을 포함하여,
    상기 강선의 상기 용기 외측 단부와 상기 밀봉해제핀 부분을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해제용 구멍은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밀봉수단은, 상기 밀봉해제용 구멍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며 중심에 강선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밀봉해제용 구멍을 안에서 밖으로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중공형 볼트와, 내주면 일측에 부분적으로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형 볼트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결합되는 고정소켓과, 상기 중공형 볼트와 상기 용기의 내측면 사이 및 상기 고정소켓과 상기 용기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가스켓, 및 상기 강선 관통공을 밀봉함과 동시에 상기 강선을 고정하도록 상기 강선 관통공의 상기 용기 내측 입구부분에 시공되는 상기 땜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강선연결수단은,
    분할플렌지를 경계로 수축성 재질의 O-링을 부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오링 수용홈을 구비하는 일측의 오링부와 수나사가 형성되는 다른 일측의 나사부로 외주면이 구분되고, 중심을 관통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하되 수용공간의 오링부 측 단부는 상기 강선의 통과만을 허용하도록 수용공간보다 작은 직경의 강선통공을 구비하는 제한통과벽으로 막히도록 형성되며, O-링을 끼운 상태에서 오링부가 상기 고정소켓의 내주면에 부분적으로 중첩되도록 압입되어 상기 고정소켓과 연결되는 연결 니플,
    상기 강선통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강선통공을 통과한 상기 강선의 상기 용기 외부측 단부에 결합되는 강선고정판, 및
    암나사를 내주면에 구비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하도록 상기 연결 니플과 결합되며, 상기 밀봉해제핀 부분의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소켓을 포함하여,
    상기 강선의 상기 용기 외측 단부와 상기 밀봉해제핀 부분을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
KR2020080006353U 2008-05-15 2008-05-15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 KR2004493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353U KR200449379Y1 (ko) 2008-05-15 2008-05-15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353U KR200449379Y1 (ko) 2008-05-15 2008-05-15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766U KR20090011766U (ko) 2009-11-19
KR200449379Y1 true KR200449379Y1 (ko) 2010-07-07

Family

ID=44242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353U KR200449379Y1 (ko) 2008-05-15 2008-05-15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379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857U (ko) * 1989-10-18 1991-06-18
JPH09173489A (ja) * 1995-12-27 1997-07-08 Miwa Lock Co Ltd 消火器の持出し報知装置
JPH09185776A (ja) * 1995-12-29 1997-07-15 Masaaki Imae 消火器警報システム
KR20030030492A (ko) * 2001-10-11 2003-04-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면탄성파 필터 패키지의 반사파 차단 구조
KR200330492Y1 (ko) * 2003-06-03 2003-10-22 유겐가이샤로이트레이딩 소화기의 도난방지용 고정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1857U (ko) * 1989-10-18 1991-06-18
JPH09173489A (ja) * 1995-12-27 1997-07-08 Miwa Lock Co Ltd 消火器の持出し報知装置
JPH09185776A (ja) * 1995-12-29 1997-07-15 Masaaki Imae 消火器警報システム
KR20030030492A (ko) * 2001-10-11 2003-04-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면탄성파 필터 패키지의 반사파 차단 구조
KR200330492Y1 (ko) * 2003-06-03 2003-10-22 유겐가이샤로이트레이딩 소화기의 도난방지용 고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766U (ko) 2009-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47226A1 (en) Security bolt
US5853093A (en) Reclosable, two-part cap assembly for soda bottles
JP2008100717A (ja) 不正開封防止キャップ
KR200449379Y1 (ko) 도난방지형 소화기 세트
MX2007009483A (es) Sujetador para cerrojo/retenedor para equipos interiores de doble cilindro.
US6463953B1 (en) Fire hydrant protection device
FR2991432A1 (fr) Bouchon pour raccord fluidique, robinet, bouteille et procede de remplissage correspondants
US3556131A (en) Protection device for fire hydrants
US1636641A (en) Bung-plug lock
KR100704893B1 (ko) 오발 방지용 안전 소화기
JP4817558B2 (ja) ガスメーター接続部配管の保護カバー
JP2005016709A (ja) ガス容器及びガス容器用バルブ装置並びにガス容器とバルブ装置の接続構造
JP4144764B2 (ja) パチンコ機における基板ボックス
KR100457545B1 (ko) 유류저장탱크의 탐침자용 원터치 캡
KR20180021356A (ko) 풀림방지용 압력 용기
CN218408116U (zh) 一种带防盗功能的紧固连接结构
JP2895477B1 (ja) マンホール蓋類のロック装置
CN208216488U (zh) 一种工程机械油箱盖锁紧防盗装置
KR20160033539A (ko) 가스통 보호 및 도난방지 장치
WO2011022796A2 (pt) Conjunto de tampa e sobretampa com trava para fechamento de segurança com evidência de violação, e, retentor para trava
CN201224588Y (zh) 集装箱锁杆防盗装置
CN205814945U (zh) 防火水泵接合器
CA2677839A1 (en) Anti-theft ink tag
JPH1129951A (ja) マンホールにおける中蓋のロック装置
CN106958355B (zh) 公寓楼用紧急通道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