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872Y1 - 농기계용 비료살포기 - Google Patents

농기계용 비료살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872Y1
KR200448872Y1 KR2020080000684U KR20080000684U KR200448872Y1 KR 200448872 Y1 KR200448872 Y1 KR 200448872Y1 KR 2020080000684 U KR2020080000684 U KR 2020080000684U KR 20080000684 U KR20080000684 U KR 20080000684U KR 200448872 Y1 KR200448872 Y1 KR 2004488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hopper
spraying
spread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0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339U (ko
Inventor
김완수
Original Assignee
김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완수 filed Critical 김완수
Priority to KR2020080000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872Y1/ko
Publication of KR200900073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33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8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8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5Undercarriages, tanks, hoppers, stirrers specially adapted for seeders or 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006Hoppers
    • A01C15/007Hoppers with agitators in the hopp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A01C15/12Fertiliser distributors with movable parts of the receptac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기계에 부착 및 이탈이 자유롭고, 2가지 이상의 비료를 함께 살포할 수 있는 농기계용 비료살포기에 관한 것으로,
비료살포기내 일체로 연결되고 서로 격벽을 가지고 분리되는 유기질 비료가 저장되는 제1호퍼 및 입상 비료가 저장되는 제2호퍼와, 상기 제1호퍼 및 제2호퍼의 배출구에 각각 장착되어 살포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살포량 조절기를 포함하는 살포조절장치와, 상기 비료살포기의 상부에 보조장치인 고정대가 삽입되게 구성한 고정대 안내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기질 비료, 입상비료, 제1호퍼, 제2호퍼, 살포량 조절기

Description

농기계용 비료살포기{Fertilizer Distributor for Farming Machine}
본 고안은 농기계에 부착 및 이탈이 자유롭고, 2가지 이상의 비료를 함께 살포할 수 있는 농기계용 비료살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료살포기는 트랙터 등의 농기계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비료가 수용되고 하부에 비료배출구가 형성된 호퍼와, 상기 호퍼의 비료 배출구 하부에 고속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살포팬과, 상기 살포팬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비료살포기는 통상적으로 알맹이 굵기가 일정하고, 응집력이 미약한 입상비료만을 외부로 확산살포하는데 사용하고 있었으나, 상호간의 응집력이 강한 유기질비료(퇴비 등)는 살포할 수 없는 구조적인 제한이 있으며, 비료의 2줄 뿌림이 필요한 작물에는 동시에 2가지 이상의 비료를 살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007년 7월 26일자 더블호퍼 비료살포기(출원번호 10-2007-0075186)를 제안한 적이 있다.
상기한 비료살포기의 경우에는 유기질 비료를 저장하는 제1호퍼와, 입상 비료를 저장하는 제2호퍼를 각각 구성하고, 하나의 동력원을 사용하여 기어비로서 그 동력을 분배하여 상기 제1호퍼 및 제2호퍼 내 양방향 스크류를 회전시켜 각각의 배출구로 유기질비료 및 입상비료가 살포되도록 하여 비료의 2줄 뿌림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더블호퍼 비료살포기의 경우에는 상기 제1호퍼 및 제2호퍼에 연결된 배출구내에 별도의 살포량 조절장치가 구비되어있지 아니하여 기어비의 회전에 의하여 살포량이 조절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살포량을 조절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료살포기의 경우에는 트렉터와 같은 농기계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착탈이 자유로워야 하며, 일손이 부족한 농어촌에서 혼자서 착탈하기 용이한 구조가 필요하며, 트렉터와 같은 운송기기에 부착되어 사용하기 때문에 안정상의 주의를 구조가 필요한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비료살포기의 배출구내 비료의 살포량을 조절할 수 있는 살포량 조절장치가 부착되어 원하는 살포량을 선택할 수 있는 농기계용 비료살포기 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트렉터와 같은 농기계에 착탈시 비료살포기가 지상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하는 보조장치를 사용하여 혼자서도 부착 및 착탈이 용이한 농기계용 비료살포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삭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비료살포기 내 일체로 연결되고 서로 격벽을 가지고 분리되는 유기질 비료가 저장되는 제1호퍼 및 입상 비료가 저장되는 제2호퍼와,
상기 제1호퍼 및 제2호퍼의 배출구에 각각 장착되어 살포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살포량 조절기를 포함하는 살포조절장치와,
상기 비료살포기의 상부에 보조장치인 고정대가 삽입되게 구성한 고정대 안내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살포조절장치는 살포량 조절기 및 각도 조절기로 구성되는 유기질 살포량 조절장치와, 살포량 조절기 및 각도 조절기로 구성되는 입상비료 살포량 조절장 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살포량 조절기는 투하구멍이 형성된 조절판과, 배출구의 고정봉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조절판에 고정되는 탄설 스프링과, 상기 조절판에 고정되는 케이블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도조절기는 다수개의 고정구멍이 형성된 원호판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고정되며, 케이블선을 권회하고 있는 회전몸체와, 이 회전몸체의 일측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일측으로 연이어 형성된 손잡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구성되는 상기 비료살포기의 외벽에 형성된 표시등 및 방향표시등에 인가되는 전원은 농기계의 표시등 및 방향표시등의 전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의 제1호퍼 및 제2호퍼에서 각각 동시에 배출구를 통하여 유기질 비료 및 입상비료를 살포할 수가 있으며,
이때 유기질 비료 및 입상비료가 살포되는 살포량을 살포량 조절장치를 통하여 조절할 수가 있는 것으로 원하는 비료의 배합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트렉터와 같은 농기계에서 착탈시 비료살포기가 지상에서 일정 높이에 위치하는 보조장치를 사용할 수가 있어 부착 및 착탈이 용이한 효과가 있으며,
부가적으로 트렉터와 같은 운송기기에 표시등 및 방향 표시등을 부착될때 비료살포시 안전사고의 방지 및 트렉터의 운행정보를 외부에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비료살포기의 사시도이다.
상기한 비료살포기(20)는 퇴비와 같은 점성이 큰 유기질 비료가 저장되는 제 1호퍼(5)와 점성이 적은 입자형상의 입상비료가 저장되는 제2호퍼(10)가 서로 칸막이를 가지고 격리된 채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호퍼(5) 및 제2호퍼(10)는 장방형의 상광하협(위방향이 넓고 아래방향이 좁음)의 구조를 가지고 자중에 의하여 비료가 하방으로 투입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1호퍼(5)의 하단 좌우측에 배출구(6)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출구(6)에 살포량 조절기(7)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6)에 연이어 배출통로(8)가 연이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2호퍼(10)의 하단 좌우측에도 배출구(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11)에 살포량조절기(12)가 후술하는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제1호퍼(5)의 정면과 후면에는 고정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대 안내구(9)가 좌우측에 한쌍이 고정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비료살포기(20)의 앞면에는 농기계와 부착시 운행에 대한 정보를 제 공하기 위한 방향표시등(17) 및 표시등(18)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제 1호퍼(5) 및 제 2호퍼(10)의 내부에는 비료를 교반하기 위한 교반기기 등을 장착하고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명확하기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기질 비료를 배출하는 제1호퍼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입상 비료를 배출하는 제2호퍼의 종단면도이다.
제1호퍼(5)의 상부에 교반봉(21)가 장착되어있고, 그 교반봉(21)의 사이에는 교반날개(22)가 부착되어 있으며, 제1호퍼(5)의 하부에는 양방향 스크류(25)가 장착되어 양쪽의 배출구(6)로 비료를 이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방향 스크류(25)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의 각도를 갖고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중심축이 회전시 비료를 양쪽 이송하게 된다.
상기 배출구(6)의 하단에는 후술하는 살포량 조절기(7)가 장착되고, 하부에 배출통로(8)가 고정되어 배출통로로 비료가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출통로(8)는 유기물 비료가 원하는 투하장소로 유도하는 역활을 하며, 후술하는 입상비료의 투하장소를 일치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의 제 2호퍼(10)에는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입상비료가 저장되므로 교반이 필요 없다. 상기 제 2호퍼(10)의 하부에 양방향 스크류(35)가 장착되어 양쪽의 배출구(11)로 비료를 투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방향 스크류(25)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의 각도를 갖고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중심축이 회전시 비료를 양쪽 이송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유기물 비료 및 입상비료가 살포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같이 동력원은 유압모터(27)의 회전축에 회전기어(24)가 체인(26)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고 상술한 체인을 통하여 다수개의 회전기어 들이 서로 연결되어 기어수에 비례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도 6), 비료살포기(20)는 농기계(1)와 부착 및 탈착이 지유로운 것으로 부착시 상기한 유압모터(27)에 농기계(1)의 유압이 공급되게 구성되어 유압모터가 회전하면서 체인을 통하여 연결된 다수개의 회전기어가 회전을 하게 된다.
여기서 회전기어 대신에 풀리를 사용하고, 체인 대신에 벨트를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회전기어 들이 회전하는 경우에 도 2의 제1호퍼(5)내 투입된 유기질 비료(퇴비 종류)는 점성이 높아 잘 혼합되지 못하므로 교반봉(21)의 교반날개(22)가 잘 혼합되게 한 후 하방으로 내려오고, 양방향 스크류(25)에서 서로 양쪽 끝으로 비료가 이송되게 한 후 배출구(6) 및 배출통로(8)를 통하여 유기질 비료가 살포된다.
이때 후술하는 살포량 조절기(7)로 투하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할 수가 있다.
또한 입상비료가 저장되어 있는 제2호퍼(10)는 도 3과 같이 하방에 위치하게 되고, 하방에 장착되어 있는 양방향 스크류(35)에서 서로 양쪽 끝으로 비료가 이송되게한 후 배출구(11))를 통하여 입상 비료가 살포되고, 후술하는 살포량 조절 기(12)로 투하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료살포기가 농기계에 착탈시 사용되는 보조장치를 나타내고 있는 정면도이다.
비료살포기(20)의 제1호퍼(5)의 정면과 후면에는 각각 고정대(3)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대 안내구(9)가 좌우측에 한쌍이 고정부착되어 있다.
상기 고정대(3)는 하부에 발판(2)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도시하지 아니한 암나사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암나사홈에 결합되는 숫나사가 나사결합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의 회전손잡이(4)을 통하여 회전시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비료살포기(20)는 안전운행을 위한 표시등(18) 및 방향표시등 (17)을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전원은 상술한 바와같이 비료살포기(20)와 결합되는 농기계(트렉터 등)의 전원을 그대로 사용하여 농기계의 운행시 방향 표시 및 정지 등을 그대로 표시하게 하여 안전운행을 하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고정대(3)는 회전손잡이(4)의 회전방향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되는 것으로 비료살포기(20)를 농기계에 결합 및 이탈시 혼자서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보조장치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분해시에 비료살포기(20)에 부착된 고정대 안내구(9)내에 고정대(3)를 삽입시키고, 회전손잡이(4)를 회전시켜 발판(2)이 지면에 확실히 고정되게 한 후 농기계에서 분리하면 지상에서 일정한 높이에서 비료살포기(20)가 고정하여 보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보관상태에서 농기계에 비료살포기(20)가 결합시에는 역순으로 작동시켜 결합되는 것으로 무거운 비료살포기(20)의 결합 및 이탈시 혼자서 손쉽게 처리할 수가 있다.
상기한 고정대(3)는 일 실시예인 보조장치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구조로 변형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살포량 조절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살포량 조절장치는 살포량 조절기(7),(12) 및 각도 조절기(40),(50)로 이루어져 있다.
유기질 비료 살포량 조절장치는 살포량 조절기(7) 및 각도 조절기(40)로 구성되며, 입상비료 살포량 조절장치는 살포량 조절기(12) 및 각도 조절기(50)로 구성된다.
상기한 입상비료 살포량 조절장치는 살포량 조절기(12)는 도 3의 배출구(11)의 아래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투하구멍(51)이 형성된 조절판(52)이 장착판(53)의 상부에 올려져 있고, 조절판(52)의 일측에 고정볼트(56)를 통하여 케이블선(57)이 고정되어 장착판(53)에서 조절판(52)이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장착판(52)에는 걸림봉(59)을 용접으로 고정한 후 스프링(55)에 탄설되게 구성하여 케이블선(57)을 당기면 상기 스프링(55)에 의하여 탄설되면서 조절판 (52)이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도조절기(40)는 다수개의 고정구멍(65)이 형성된 원호판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고정된 회전몸체(62)가 고정되고, 이 회전몸체(62)의 일측에 용접으로 고정된 회전체(63)가 부착되고, 이 회전체(63)에 연이어 손잡이(66)가 형성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 손잡이(66)에는 도시되지 아니한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이 고정돌기가 고정구멍(65)내 삽입되어 고정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몸체(63)의 측면에는 삽입홈(67)을 형성하여 케이블선(57)을 권회시켜 고정하고 있다.
상기한 유기질 비료 살포량 조절장치는 살포량 조절기(7) 및 각도 조절기(40)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도 조절기(40)는 상술한 각도조절기(5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만 손잡이(46)의 형상에 차이가 있다.
그리고 살포량조절기(7)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살포량조절기(12)와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며, 다만 유기질 비료는 점성이 크기 때문에 투하구멍(41)을 사각으로 크게 형성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입상 비료 투입시 살포량을 조절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각도 조절기(50)의 손잡이(66)를 회전시키면, 케이블선에 권회된 회전몸통(62)이 회전하면서 케이블선을 당기게 되고, 이와 같이 케이블선을 당긴 상태에서 회전체(63)을 회전시켜 도시되지 아니한 고정돌기를 고정구멍(65)내 삽입시키어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케이블선(57)이 당겨지면 이에 따라 조절판(52)이 이동하면서 투 하구멍(51)이 도 3의 배출구(11)의 구멍과 겹치면서 입상비료가 투하되는 양이 조절하게 된다.
이때 스프링(55)에 탄설되어 투하구멍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한 각도조절기(50)의 손잡이(66)을 원위치로 이동시키면 탄설된 스프링(55)에 의하여 조절판(52)이 원위치로 이동하여 투하구멍을 폐쇄시키는 것으로 유지질 비료 살포량 조절장치도 상기와 동일한 원리로 구동하게 된다.
특히 도 2 및 도 3과 같이 배출구(7),(12)가 좌우 2개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 5의 살포량 조절기(7),(12)는 하나씩 도시하고 있으나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는 물론이다.
도 6는 본 고안의 비료 살포기가 농기계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트렉터와 같은 농기계(1)에 본 고안의 비료살포기(20)가 부착된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상술한 바와같이 비료살포기(20)는 착탈이 자유로운 특징이 있다.
또한 상술한 농기계(1) 로터리(70)가 부착되고, 그 전단에는 두둑형성부(90)를 비닐 피복부(100)가 연결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농기계(1)가 전진시(우측방향) 로터리(70)를 통하여 흙을 갈고, 그 위에 상술한 비료살포기(20)에서 유기질 비료 및 입상비료를 동시에 살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비료가 살포되면 상기 두둑형성부(90)에서 두둑을 형성하여 지면보다 두툼하게 유지한후 비료의 주변 흙을 파헤쳐 고랑을 형성함과 동시에 파헤쳐진 흙을 배출된 상기 비료상에 복토하면서 동시에 비닐피복부(100)에서 비닐을 피복하는 것으로 상기 농기계(1)를 운행하게 되면 토양이 잘게 분쇄하는 작업, 상기비료를 2줄 뿌림으로 살포하는 작업, 두둑을 형성하는 작업 및 두둑에 비닐을 피복하는 작업을 동시에 하게 되므로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비료살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기질 비료를 배출하는 제 1호퍼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입상 비료를 배출하는 제 2호퍼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비료살포기가 농기계에 착탈시 사용되는 보조장치를 나타내고 있는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살포량 조절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본 고안의 비료 살포기가 농기계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농기계 2 : 발판
3 : 고정대 4 : 회전손잡이
5 : 제 1호퍼 6, 11 : 배출구
7, 12 : 살포량 조절기 9 : 고정대 안내구
10 : 제 2호퍼 17 : 방향표시등
18 : 표시등 20 : 비료살포기
21 : 교반봉 22 : 교반날개
25, 35 ; 스크류
27 : 유압모터 28 : 체인
40, 50 : 각도조절기 45, 55 : 스프링
46, 66 : 손잡이 47, 57 : 케이블선

Claims (4)

  1. 비료살포기(20)내 일체로 연결되고 서로 격벽을 가지고 분리되는 유기질 비료가 저장되는 제1호퍼(5) 및 입상 비료가 저장되는 제 2호퍼(10)와,
    상기 제1호퍼(5) 및 제2호퍼(10)의 배출구(6),(11)에 각각 장착되어 살포되는 비료의 양을 조절하는 살포량 조절기(7),(12)를 포함하는 살포조절장치와,
    상기 비료살포기(20)의 상부에 보조장치인 고정대가 삽입되게 구성한 고정대 안내구(9)를 구비하며,
    상기 살포조절장치는 살포량 조절기(7) 및 각도 조절기(40)로 구성되는 유기질 살포량 조절장치와, 살포량 조절기(12) 및 각도 조절기(50)로 구성되는 입상비료 살포량 조절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살포량 조절기(7),(12)는 투하구멍(41),(51)이 형성된 조절판(42),(52)과,
    배출구의 고정봉(49),(59)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조절판(42),(52)에 고정되는 탄설 스프링(45),(55)과,
    상기 조절판(42),(52)에 고정되는 케이블선(47),(57)으로 구성되며,
    상기 각도조절기(40),(50)는 다수개의 고정구멍(65)이 형성된 원호판에서 회전이 자유롭게 고정되며, 케이블선을 권회하고 있는 회전몸체(62)와,
    이 회전몸체(62)의 일측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일측으로 연이어 형성된 손잡이(46),(6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용 비료살포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호퍼 및 제 2호퍼에 장착되는 살포유기질 비료살포장치 및 입상비료 살포장치가 각각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기계용 비료살포기
  4. 삭제
KR2020080000684U 2008-01-16 2008-01-16 농기계용 비료살포기 KR2004488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684U KR200448872Y1 (ko) 2008-01-16 2008-01-16 농기계용 비료살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0684U KR200448872Y1 (ko) 2008-01-16 2008-01-16 농기계용 비료살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339U KR20090007339U (ko) 2009-07-21
KR200448872Y1 true KR200448872Y1 (ko) 2010-05-27

Family

ID=43658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0684U KR200448872Y1 (ko) 2008-01-16 2008-01-16 농기계용 비료살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8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5151A (zh) * 2014-05-08 2015-01-07 浙江大学 一种用于有机肥的施肥装置
CN106717399B (zh) * 2016-11-25 2019-03-01 同济大学 一种自动化有机肥施肥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864Y1 (ko) * 1994-07-15 1996-11-18 아세아종합기계 주식회사 퇴비 및 비료 자동 투입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864Y1 (ko) * 1994-07-15 1996-11-18 아세아종합기계 주식회사 퇴비 및 비료 자동 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339U (ko) 2009-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3852A (en) Lawnmower attachment spreader
KR102003266B1 (ko) 비료를 균형살포할 수 있는 줄뿌림 비료살포기
CN110731255B (zh) 水稻深根施肥设备
CN109496525B (zh) 一种用于精量施肥的农用设备
JP5839983B2 (ja) 作業機
KR200448872Y1 (ko) 농기계용 비료살포기
CN106718675A (zh) 一种可同步精准施肥或喷洒农药的喷灌一体机
US10986771B2 (en) Manual granule spreader
KR101781472B1 (ko) 육묘장 분무장치
KR20100034911A (ko) 트랙터 탑재형 더블호퍼 살포기
CN206371250U (zh) 可同步精准施肥或喷洒农药的喷灌一体机
KR20190021109A (ko) 줄뿌림 비료살포기
KR101358327B1 (ko) 관리기용 비료 살포 장치
KR101973927B1 (ko) 무논 작업기
JPH09168323A (ja) 肥料散布アタッチメント
JP3585447B2 (ja) 田植機の施肥装置
CN111201868A (zh) 一种农业机械用施肥装置
JPH06209614A (ja) 直播機
CN109220430A (zh) 一种谷子地膜覆盖膜侧播装置
JP2002084825A (ja) 田植機用施肥装置
JP3242324U (ja) 散布装置及びトラクター
KR102518899B1 (ko) 비료살포장치
JPH0442986Y2 (ko)
CN213694757U (zh) 一种自动翻土施肥的播种小车
JPH05168309A (ja) 田植え機用薬剤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