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222Y1 - 보호커버가 구비된 세면기 - Google Patents

보호커버가 구비된 세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222Y1
KR200448222Y1 KR2020070016119U KR20070016119U KR200448222Y1 KR 200448222 Y1 KR200448222 Y1 KR 200448222Y1 KR 2020070016119 U KR2020070016119 U KR 2020070016119U KR 20070016119 U KR20070016119 U KR 20070016119U KR 200448222 Y1 KR200448222 Y1 KR 200448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basin
protective cover
bathroom
cover
wash ba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1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254U (ko
Inventor
이연숙
이덕철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070016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222Y1/ko
Publication of KR200900032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2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2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6Replaceable hygienic linings or casings for wash-basi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Wash-stand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1/04Basins; Jugs; Hold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면기의 앞부분에 커버를 설치하여 욕실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욕실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면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세면기의 앞부분에 탄력을 갖는 소재의 커버를 설치함으로써, 노약자, 어린이, 일반인,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의 욕실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세면기의 앞부분에 커버를 씌우고, 또 다양한 색상 및 디자인의 커버를 적용함으로써, 대량생산되는 세면기를 개인의 취향 및 특성에 따라 차별화하고 개별화할 수 있는 등 욕실의 미관 향상과 더불어 새로운 욕실 문화를 선도할 수 있는 보호커버가 구비된 세면기를 제공한다.
욕실, 세면기, 보호 커버, 색상 및 디자인

Description

보호커버가 구비된 세면기{washstand with protector}
본 고안은 욕실이나 화장실 등에 설치되는 세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기의 앞부분에 커버를 설치하여 욕실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욕실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호커버가 구비된 세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욕실이나 화장실 등에는 세면시설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세면시설은 통상 욕실 등의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설치되어 물을 담아두고 쓸 수 있는 세면기, 세면기에 물을 공급 및 단속하는 수도꼭지, 세면기의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라, 세면기에 물을 일정한 수위로 받아 놓은 후 세수를 하거나 머리를 감는 등의 세면행위를 할 수 있다.
또한, 수도꼭지의 적절한 조작으로 뜨거운 물에서 차거운 물까지 사용하고자 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한 후 적당한 온도의 물을 받아서 사용할 수 있다.
보통 세면기의 경우 도자기 재질로 되어 있으며,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도 있기는 하지만 대부분 일반 성인체형을 기준으로 한 적당한 높이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기존 세면기의 경우 일반인들이 이용하는데에는 별다른 불편이 없어 보이지만,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세면기 설치 높이에 비해 키가 작은 어린이들이나 휠체어 등을 이용하는 장애인 또는 환자들은 세면기를 사용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면, 어린이나 휠체어 이용자의 경우 자신의 키 높이 또는 앉은 높이 보다 높게 위치되어 있는 세면기 윗쪽으로 팔을 뻗어 손 등을 닦을 때, 옷소매 등이 세면기 앞부분에 닿아서 물에 젖게 되거나 또는 팔이 걸리는 등의 간섭으로 인해 사용하는데 많은 어려움과 불편한 점이 있다.
특히, 위와 같은 사용상의 불편함 이외에도 세면기 사용시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들의 경우, 간혹 미끄러지는 등의 실수로 딱딱한 세면기의 앞부분에 부딪히는 등의 사고가 종종 있고, 특히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이나 환자의 경우 세면기의 높이와 앉은 키의 높이가 대충 일치하기 때문에 이동시 충돌 등의 위험에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세면기의 앞부분에 탄력을 갖는 소재의 커버를 설치되어, 쉽게 벗겨지는 등의 일없이 세면기 앞부분에 보다 꼭맞게 씌워질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부딪혔을 때 그 충격을 저감시켜줄 수 있는 등, 노약자, 어린이, 일반인,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의 욕실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보호커버가 구비된 세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세면기의 앞부분에 커버를 씌우고, 또 다양한 색상 및 디자인의 커버를 적용함으로써, 대량생산되는 세면기를 개인의 취향 및 특성에 따라 차별화하고 개별화할 수 있는 등 욕실의 미관 향상과 더불어 새로운 욕실 문화를 선도할 수 있는 보호커버가 구비된 세면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는 앞부분에 탄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착탈이 가능한 보호커버를 설치하고, 이때의 보호커버는 개인의 취향 및 특성에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 디자인한 것을 적용함으로써, 노약자, 어린이 등이 부딪혔을 때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또 욕실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보호커버가 구비된 세면기에 따르면, 앞부분에 탄력 소재의 커버가 설치되어 있으며, 쉽게 벗겨지는 등의 일없이 세면기 앞부분에 꼭맞게 씌워질 수 있으며, 부딪혔을 때 그 충격을 저감시켜줄 수 있는 등, 노약자, 어린이, 일반인,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의 욕실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세면기의 앞부분에 설치하는 커버를 다양한 패턴의 디자인으로 제작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개인의 취향 및 특성에 따라 차별화하고 개별화할 수 있는 등 욕실의 미관 향상과 더불어 새로운 욕실 문화를 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에서 보호커버의 설치 전/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면기 본체(10)는 보편적인 세면기의 기본적인 형태 및 구조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물을 받을 수 있는 움푹 패인 형태, 물 공급을 위한 수도꼭지, 벽면에 부착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구조, 물 공급 및 배수를 위한 배관 구조 등과 같이 통상의 세면기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세면기 본체(10)는 지지대를 이용하여 바닥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설치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특히,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세면기 본체(10)의 앞부분, 예를 들면 세 면기 사용시 사용자쪽과 접하는 부분에 실리콘이나 고무 등과 같은 탄력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보호커버(20)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세면기 앞부분에 부딪혔을 때 이때의 보호커버(20)가 충격을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욕실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잇점을 제공한다.
상기 보호커버(20)는 한쪽면이 뚫린 대략적인 하우징의 형태를 하는 커버로서, 뚫려 있는 쪽을 이용하여 세면기 본체(10)의 앞부분에 맞게 씌울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보호커버(20)는 안쪽으로 움푹 패인 형태의 요입부(50)를 이용하여 앞쪽으로 둥글게 튀어나온 세면기 본체 부분을 감싸면서 세면기 앞부분으로 전체적으로 마감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커버의 경우 세면기 본체의 형태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20)는 사용자의 취향이나 훼손 및 오염 등의 상황에 따라 임의로 교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호커버(20)의 후면부 위아래 가장자리의 일부 구간에 훅부(40)를 형성하고, 이때의 훅부(40)를 세면기 본체(10)에 있는 홈부(30)에 끼워서 거는 형태로 보호커버(20)를 설치함으로써, 홈부(30)에 훅부(40)를 걸거나 벗겨내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보호커버(20)를 손쉽게 장착 및 탈거할 수 있다. 즉, 다시말해, 도 3에서 사용되는 세면기는 얼굴을 씻을 수 있도록 형성된 움푹 파여진(볼 모양을 이루는) 세면기 본체 내측의 가장자리에 홈부(30)를 형성하며, 세면기 본체 외측의 밑부분에도 홈부(30)을 형성하며, 또한, 보호커버(20)의 위 가장자리 및 아래 가장자리에 훅부(40)를 형성하여, 세면기 본체 내측의 가장자리 홈부(30)에 보호커버(20)의 위 가장자리 훅부(40)를 결합하며, 세면기 본체 외측의 밑부분 홈부(30)에 보호커버(20)의 아래 가장자리에 훅부(40)를 결합하여, 보호커버(20)가 세면기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보호커버는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일반 세면기에 쉽게 적용할 수 있고, 또 세면기 앞부분에 씌워지면서 앞부분을 파손 등으로부터 보호해줌으로 써 세면기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보호커버는 실리콘 소재나 고무 소재 등이 갖는 특성상 탄력이 강하고 탈착력이 높기 때문에 부딪혔을 때, 충격을 효과적으로 완화시켜 큰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쉽게 벗겨지는 등의 일없이 세면기 앞부분에 꼭맞게 씌워질 수 있다.
특히, 보호커버의 경우 다양한 패턴이나 색상 등의 디자인으로 제작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개인의 취향 및 특성에 따라 차별화하고 개별화할 수 있는 등 새로운 욕실 문화를 선도할 수 있고, 또 세면기 자체 뿐만 아니라 이 세면기가 속해 있는 욕실의 전체적인 미관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세면기의 앞부분에 있는 실리콘, 고무 소재 등의 보호커버가 자체 탄력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완충수단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부딪혔을 때의 충격을 상당부분 완화시킬 수 있게 되고, 결국 바닥이 미끄러운 욕실 등에서 거동시 일반인들은 물론 휠체어를 이용하는 장애인,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 어린이들이 세면기에 부딪혔을 때 그 충격을 저감시켜줄 수 있는 등 욕실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한편, 개인의 취향 및 특성에 따라 차별화하고 개별화할 수 있는 보호커버로 세면기를 장식함으로써, 욕실의 미관 향상과 더불어 새로운 욕실 문화를 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에서 보호커버의 설치 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에서 보호커버의 설치 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 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기에서 보호커버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세면기 본체 20 : 보호커버
30 : 홈부 40 : 훅부
50 : 요입부

Claims (4)

  1. 탄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세면기 본체의 앞부분에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보호커버를 설치하여 부딪혔을 때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한 보호커버가 구비된 세면기에 있어서,
    상기 세면기는, 얼굴을 씻을 수 있도록 형성된 움푹 파여진 세면기 본체 내측의 가장자리에 홈부(30)를 형성하며, 상기 세면기 본체 외측의 밑부분에도 홈부(30)을 형성하고,
    상기 보호커버의 후면부 위 가장자리 및 아래 가장자리에 각각 훅부(40)를 형성하고,
    상기 보호커버의 훅부를 상기 세면기의 홈부에 걸어서 상기 보호커버를 상기 세면기 본체측에 밀착 상태로 장착할 수 있고, 상기 보호커버의 훅부를 상기 세면기의 홈부로부터 벗겨내는 형태로 탈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세면기 본체 내측의 가장자리 홈부(30)에 상기 보호커버의 위 가장자리 훅부(40)를 결합하며, 상기 세면기 본체 외측의 밑부분 홈부(30)에 상기 보호커버의 아래 가장자리에 훅부(40)를 결합하여, 보호커버가 세면기에 고정되고,
    상기 보호커버는 탄력이 강하고 탈착력이 높은 실리콘 소재나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커버가 구비된 세면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070016119U 2007-10-02 2007-10-02 보호커버가 구비된 세면기 KR200448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119U KR200448222Y1 (ko) 2007-10-02 2007-10-02 보호커버가 구비된 세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119U KR200448222Y1 (ko) 2007-10-02 2007-10-02 보호커버가 구비된 세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254U KR20090003254U (ko) 2009-04-07
KR200448222Y1 true KR200448222Y1 (ko) 2010-03-25

Family

ID=41320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119U KR200448222Y1 (ko) 2007-10-02 2007-10-02 보호커버가 구비된 세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22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8903A (en) 1958-12-01 1960-08-16 Gilmer Mary Katherine Neck rest for hair shampoo bowls
US4763364A (en) 1987-04-10 1988-08-16 Morgan Millie D Shampoo bowl neck cushioning device
JPH1014678A (ja) * 1996-06-27 1998-01-20 Noda Corp 洗面化粧台
KR100296519B1 (ko) 1999-04-16 2001-07-12 이만택 미용실 세면대용 목받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8903A (en) 1958-12-01 1960-08-16 Gilmer Mary Katherine Neck rest for hair shampoo bowls
US4763364A (en) 1987-04-10 1988-08-16 Morgan Millie D Shampoo bowl neck cushioning device
JPH1014678A (ja) * 1996-06-27 1998-01-20 Noda Corp 洗面化粧台
KR100296519B1 (ko) 1999-04-16 2001-07-12 이만택 미용실 세면대용 목받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254U (ko) 2009-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38705A (ko) 욕조가 달린 침대
KR200448222Y1 (ko) 보호커버가 구비된 세면기
CN205814235U (zh) 一种婴儿浴床
US7152256B1 (en) Padded tub liner
JP3670352B2 (ja) 浴用椅子
CN211243079U (zh) 一种无障碍入浴浴缸
CN209463882U (zh) 一种老人用浴缸
KR102026572B1 (ko) 욕실 의자
CN210471990U (zh) 一种失能老人护理专业用浴盆
KR101648372B1 (ko) 승강장치 및 세족대가 구비된 세면대
JP3062783U (ja) 腰掛用水洗便器の保護カバー
JP3043385U (ja) 手摺カバー
CN215533841U (zh) 一种防滑浴缸
JP2958874B2 (ja) 高齢者用浴槽タライ
KR200309057Y1 (ko) 욕조용 수도꼭지의 출수관 보호구
KR20090008189U (ko) 좌대 및 차가운 변좌 냉기차단 커버
GB2465086A (en) An outlet plug
CN2471335Y (zh) 浴袋
CN210204588U (zh) 方便提起的马桶盖板
KR20190030289A (ko) 목욕용 휠체어
US20210015311A1 (en) Toilet seat stabilization device
CN210301541U (zh) 便盆护套
JP3035410U (ja) 衛生保護便座
JP3108801U (ja) 衛生的便座取手
ES1290461U (es) Cortina de duch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