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133Y1 -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133Y1
KR200448133Y1 KR2020090012530U KR20090012530U KR200448133Y1 KR 200448133 Y1 KR200448133 Y1 KR 200448133Y1 KR 2020090012530 U KR2020090012530 U KR 2020090012530U KR 20090012530 U KR20090012530 U KR 20090012530U KR 200448133 Y1 KR200448133 Y1 KR 200448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rail
rail
conveyor
nut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5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석
Original Assignee
에스엔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엔티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엔티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25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1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1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Abstract

본 고안은 표면실장기판 검사기에서 표면실장기판의 크기에 맞도록 제1 컨베이어 레일과 제2 컨베이어 레일 사이의 폭 조절시 제1 컨베이어 레일과 제2 컨베이어 레일 중 어느 하나는 고정시키고 다른 하나는 양 측에 TM 스크류를 결합하여 동기 구동 방식으로 수평 이동시키되, TM 스크류 전체를 분해하지 않더라도 너트하우징을 제1 컨베이어 레일과 제2 컨베이어 레일 중 어느 하나에서 분리하여 다른 하나로 용이하게 체결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이동레일과 고정레일을 용이하게 상호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면실장기판 검사기, 컨베이어 레일, 폭 조절, TM 스크류, 너트하우징.

Description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the width of conveyor rails}
본 고안은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실장기판 검사기에서 표면실장기판의 크기에 맞도록 제1 컨베이어 레일과 제2 컨베이어 레일 사이의 폭 조절시 제1 컨베이어 레일과 제2 컨베이어 레일 중 어느 하나는 고정시키고 다른 하나는 양 측에 TM 스크류를 결합하여 동기 구동 방식으로 수평 이동시키되, TM 스크류 전체를 분해하지 않더라도 제1 컨베이어 레일과 제2 컨베이어 레일 중 어느 하나에서 분리하여 다른 하나로 용이하게 체결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이동레일과 고정레일을 용이하게 상호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과 같이 기판 표면에 다양한 전자소자가 실장되는 표면실장기판에는 한정된 크기의 기판에 고집적화된 회로가 설계되므로 표면실장기판에 형성된 회로의 구조는 매우 복잡하고 선폭 또한 미세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표면실장기판에 전자소자를 장착하기 전에 표면실장기판 검사기를 이용하여 표면실장기판에 형성된 패턴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거나, 표 면실장기판에 전자소자가 정상적으로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이러한 표면실장기판 검사기에는 표면실장기판을 소정의 검사 영역으로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레일이 포함되며, 상기 컨베이어 레일에는 검사대상 표면실장기판의 크기에 대응하여 컨베이어 레일 간의 폭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볼 스크류를 이용한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의 평단면도이다.
종래 컨베이어 레일(100)에는 볼 스크류를 이용한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가 포함된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볼 스크류를 이용한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는, 제1 컨베이어 레일(110)과 제2 컨베이어 레일(120)이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컨베이어 레일(110)과 제2 컨베이어 레일(120)의 양쪽에는 제1 스크류축(132)과 제2 스크류축(142)이 직각으로 관통되어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 레일(110)은 상기 제1 스크류축(132)과의 사이에 다수의 볼(133)이 개재된 제1 너트(134)를 포함하는 제1 볼스크류(130)가 결합되어 수평 이동되고, 상기 제2 컨베이어 레일(120)은 상기 제2 스크류축(142)과의 사이에 다수의 볼(143)이 개재된 제2 너트(144)를 포함하는 제2 볼스크류(140)가 결합되어 수평 이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제1 컨베이어 레일(110)과 제2 컨베이어 레일(120) 간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컨베이어 레일(110)과 제1 볼스크류(130) 간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제1 스크류축(132)에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도면상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제1 너트(134)가 끼위져 회전되면 제1 너트(134)의 몸체부(134b)는 제1 컨베이어 레일(110)에 형성된 홀(112)의 내측에 삽입되고 제1 너트(134)의 플랜지부(134a)는 제1 컨베이어 레일(110)의 외측면에 걸쳐지게 되고, 고정볼트(135)를 통해 상기 플랜지부(134a)와 제1 컨베이어 레일(110)이 결합된다.
제2 컨베이어 레일(120)과 제2 볼스크류(140) 간의 조립 과정을 설명하면, 제2 스크류축(142)에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도면상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제2 너트(144)가 끼워져 회전되면 제2 너트(144)의 몸체부(144b)는 제2 컨베이어 레일(120)에 형성된 홀(122)의 내측에 삽입되고 제2 너트(144)의 플랜지부(144a)는 제2 컨베이어 레일(120)의 외측면에 걸쳐지게 되고, 고정볼트(145)를 통해 상기 플랜지부(144a)와 제2 컨베이어 레일(120)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볼 스크류를 이용한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는, 제1 컨베이어 레일(110)에 제1 볼스크류(130)가 체결되어 제1 스크류축(132)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시에 제1 컨베이어 레일(110)이 수평이동하게 되고, 제2 컨베이어 레일(120)에는 제2 볼스크류(140)가 체결되어 제2 스크류축(142)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시에 제2 컨베이어 레일(120)이 수평이동하게 되어, 제1 컨베이어 레일(110)과 제2 컨베이어 레일(120) 모두 또는 어느 하나를 수평이동시켜 레일 간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볼 스크류를 이용한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는 제1,2 볼 스크류(130,140)를 이용하므로 제1,2 스크류축(132,142)과 제1,2 너트(134,144) 사이 에 다수의 볼(133,143)이 개재되어 구름운동하게 되므로 유격이 발생되지 않고 정밀한 위치 이동이 가능한 장점은 있으나, 볼 스크류의 부품 원가가 고가이고 유지 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a와 도 2b는 종래 TM 스크류를 이용한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의 평단면도이다.
상기 볼 스크류를 이용한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의 고비용 문제로 인해 이를 대체하여 TM 스크류를 이용한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가 사용되기도 한다. TM 스크류를 이용한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는, 컨베이어 레일(200)을 구성하는 제1 컨베이어 레일(210)과 제2 컨베이어 레일(220), 제1 스크류축(232)과 제2 스크류축(242)의 구성은 상술한 볼 스크류를 이용한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와 동일하지만,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베이어 레일(210)과 제2 컨베이어 레일(220) 중 어느 하나에만 양측으로 제1 TM 스크류(230)와 제2 TM 스크류(240)가 동기 구동 방식으로 결합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여기서 TM 스크류는 볼 스크류와는 달리 스크류축과 너트 사이에 볼이 개재되지 않은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스크류축과 너트의 접촉면 사이에 유격이 발생되어 이동시 단일의 TM 스크류만으로 구동될 경우에는 좌우측 간에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보완하여 정밀한 이동 제어를 위해서는 제1 컨베이어 레일(210)과 제2 컨베이어 레일(220) 중 어느 하나에 양측으로 제1 TM 스크류(230)와 제2 TM 스크류(240)를 결합시켜 동기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베이어 레일(210)이 이동레일로 작용하고 제2 컨베이어 레일(220)이 고정레일로 작용할 경우에는 제1 컨베이어 레일(210)의 좌측에 삽입된 제1 스크류축(232)에는 도면상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제1 너트(234)가 끼워져 회전되면 제1 너트(234)의 몸체부(234b)는 제1 컨베이어 레일(210)에 형성된 홀(212a)의 내측에 삽입되고 제1 너트(234)의 플랜지부(234a)는 제1 컨베이어 레일(210)의 외측면에 걸치게 되고, 고정볼트(235)를 통해 상기 플랜지부(234a)와 제1 컨베이어 레일(210)이 결합된다.
또한, 제1 컨베이어 레일(210)의 우측에 삽입된 제2 스크류축(242)에는 도면상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제2 너트(244)가 끼워져 회전되면 제2 너트(244)의 몸체부(244b)는 제1 컨베이어 레일(210)에 형성된 홀(212b)의 내측에 삽입되고 제2 너트(244)의 플랜지부(244a)는 제1 컨베이어 레일(210)의 외측면에 걸치게 되고, 고정볼트(245)를 통해 상기 플랜지부(244a)와 제1 컨베이어 레일(210)이 결합된다.
만일 표면실장기판 검사기를 취급하는 업체별 시공 사양이 다른 경우에는 레일의 폭 조절시에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베이어 레일(210)이 고정레일로 작용하고 제2 컨베이어 레일(220)은 이동레일로 작용하도록 제1 TM 스크류(230)와 제2 TM 스크류(240)를 제1 컨베이어 레일(210)로부터 분리하여 제2 컨베이어 레일(220)에 결합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TM 스크류를 이용한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의 구조에 의할 경우 이러한 이동레일과 고정레일의 전환을 위해서는 제1 TM 스크류(230)와 제2 TM 스크류(240)를 제1 컨베이어 레일(210)로부터 모두 분해하여 제2 컨베이어 레일(220)에 재결합시켜야 하는 작업상의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제1 TM 스크류(230)와 제2 TM 스크류(240)를 제1 컨베이어 레일(210)에 결합시에는 제1 TM 스크류(230)와 제2 TM 스크류(240)는 도면상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체결되고, 제1 TM 스크류(230)와 제2 TM 스크류(240)를 제2 컨베이어 레일(220)에 결합시에는 제1 TM 스크류(230)와 제2 TM 스크류(240)는 도면상 하측에서 상측방향으로 체결되므로, 이동레일과 고정레일의 전환시에는 제1 TM 스크류(230)와 제2 TM 스크류(240)의 체결방향이 반대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제1 TM 스크류(230)와 제2 TM 스크류(240)를 분해하여 취출하는 과정에서 제1 스크류축(232)과 제2 스크류축(242)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의 구성부품들 또한 분해 및 재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제1 TM 스크류(230)와 제2 TM 스크류(240)를 제1 컨베이어 레일(210)과 제2 컨베이어 레일(220) 사이에 위치시키고 너트(234,244)의 체결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고정볼트(235,245)의 체결방향만을 반대로 하여 제1 컨베이어 레일(210) 또는 제2 컨베이어 레일(220)에 결합시키는 구조를 고려해 볼 수 있으나, 종래의 컨베이어 레일의 구조에서 너트(234,244)의 플랜지부(234a,244a)는 고정볼트(235,245)가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만 체결되도록 제작되기 때문에 고정볼트(235,245)가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는 체결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1 컨베이어 레일과 제2 컨베이어 레일 사이의 폭 조절시 제1 컨베이어 레일과 제2 컨베이어 레일 간에 이동레일과 고정레일의 전환작업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는, 표면실장기판 검사기에서 표면실장기판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레일의 폭을 검사대상 표면실장기판의 크기에 대응하여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1 컨베이어 레일과 제2 컨베이어 레일; 상기 제1 컨베이어 레일과 상기 제2 컨베이어 레일의 양단에 직각으로 관통되어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1 스크류축과 제2 스크류축;및 상기 제1 컨베이어 레일과 상기 제2 컨베이어 레일 사이에서 상기 제1 스크류축과 상기 제2 스크류축을 타고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의 일측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컨베이어 레일과 상기 제2 컨베이어 레일의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 선택적으로 고정볼트로 고정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컨베이어 레일의 양단 또는 상기 제2 컨베이어 레일의 양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 너트하우징과 제2 너트하우징;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컨베이어 레일과 상기 제2 컨베이어 레일 중 상기 제1 너트하우징과 상기 제2 너트하우징이 결합되는 어느 하나는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시 이동레일로 작용하고, 나머지 하나는 고정레일로 작용하도록 상호 전환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스크류축 및 상기 제2 스크류축과 상기 너트 간의 나사결합 구조는 TM 스크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너트하우징과 상기 제2 너트하우징이 상기 제1 컨베이어 레일 또는 상기 제2 컨베이어 레일에 체결 전환될 때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제1 컨베이어 레일 또는 상기 제2 컨베이어 레일을 향하는 방향으로 체결되도록 체결방향이 반대방향으로 전환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스크류축과 상기 제2 스크류축은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시 동일한 구동원에 의해 동시에 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너트의 플랜지부 저면에 면접촉되어 고정되고, 일측단에는 상기 제1 컨베이어 레일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1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단에는 상기 제2 컨베이어 레일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2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에 의하면, 제1 컨베이어 레일과 제2 컨베이어 레일 간의 이동레일과 고정레일의 전환시에 너트 하우징의 고정볼트만을 분리하여 재결합할 수 있는 간이한 구조를 도입함으로써 TM 스크류 전체를 분해하지 않더라도 제1 컨베이어 레일과 제2 컨베이어 레일 간의 이동레일과 고정레일의 전환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의 평단면도로서, 도 3a는 제1 컨베이어 레일이 이동레일로 작용하고 제2 컨베이어 레일이 고정레일로 작용할 경우 제1 너트하우징과 제2 너트하우징이 제1 컨베이어 레일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3b는 이동레일과 고정레일의 전환을 위해서 제1 컨베이어 레일에서 제1 너트하우징과 제2 너트하우징이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3c는 제1 컨베이어 레일이 고정레일로 작용하고 제2 컨베이어 레일이 이동레일로 작용할 경우 제1 너트하우징과 제2 너트하우징이 제2 컨베이어 레일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는, 컨베이어 레일(300)을 구성하는 제1 컨베이어 레일(310)과 제2 컨베이어 레일(320)이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컨베이어 레일(310)과 제2 컨베이어 레일(320)의 양단에는 제1 스크류축(332)과 제2 스크류축(342)이 직각으로 관통되어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컨베이어 레일(310)과 상기 제2 컨베이어 레일(320) 사이에서 상기 제1 스크류축(332)과 제2 스크류축(342)을 타고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너트(334)와 상기 너트(334)를 제1 컨베이어 레일(310)과 상기 제2 컨베이어 레일(320)의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 고정볼트(338)를 통해 선택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연결부재(336)로 이루어진 제1 너트하우징(330)과 제2 너트하우징(330a)을 포 함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1 컨베이어 레일(310)이 이동레일로 작용하고 제2 컨베이어 레일(320)이 고정레일로 작용할 경우에는, 제1 컨베이어 레일(310)에는 양쪽으로 제1 너트하우징(330)과 제2 너트하우징(330a)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너트하우징(330)과 제2 너트하우징(330a)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이하에서는 제1 너트하우징(330)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 너트하우징(330)은 제1 스크류축(332)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제1 컨베이어 레일(310)과 제2 컨베이어 레일(320)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너트(334)와, 상기 너트(334)의 일측에 결합되어 너트(334)와 제1 컨베이어 레일(310) 간의 결합을 매개하는 연결부재(336)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재(33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334)의 플랜지부(334a) 저면에 면접촉되어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플랜지 접촉면(336a)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너트(334)의 몸체부(334b) 외측을 감싸도록 외측으로 연장되어 그 일측 단면이 대략 'ㄴ'자 모양을 갖도록 상기 제1 컨베이어 레일(310) 측으로 절곡된 끝단에는 제1 접촉면(336b)이 형성되고, 타측단에는 상기 제2 컨베이어 레일(32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2 접촉면(336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1 컨베이어 레일(310)에 제1 너트하우징(330)과 제2 너트하우징(330a)이 결합될 경우에는 너트(334)와 연결부재(336)를 회전시켜 연결부재(336)의 제1 접촉면(336b)이 제1 컨베이어 레일(310)의 내측면에 밀착시킨 후 에 고정볼트(338)를 통해 연결부재(336)와 제1 컨베이어 레일(310)을 결합하게 된다.
이렇게 제1 컨베이어 레일(310)에 제1 너트하우징(330)과 제2 너트하우징(330a)이 결합되어 제1 컨베이어 레일(310)이 이동레일로 작용하는 경우에 제2 컨베이어 레일(320)은 고정핀(미도시됨)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컨베이어 레일(300)의 폭 조절은 동일한 구동모터와 풀리 및 벨트 등으로 구성되는 동일한 구동원을 이용하여 제1 스크류축(332)과 제2 스크류축(342)을 동기 구동시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1 컨베이어 레일(310)이 수평 이동되어 제2 컨베이어 레일(320)과의 폭을 조절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양측의 제1 스크류축(332)과 제2 스크류축(342)이 동일한 구동원에 의해 동기 구동되도록 구성될 경우, 제1 컨베이어 레일(310)의 좌,우측 간의 이동 길이를 편차없이 동일한 정도로 조절할 수 있고, 각각의 구동원을 사용할 경우와 비교할 때 동기 구동 방식을 적용할 경우에는 구동 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컨베이어 레일(310)과 제2 컨베이어 레일(320)의 이동레일과 고정레일 작용을 반대로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컨베이어 레일(310)로부터 제1 너트하우징(330)과 제2 너트하우징(330a)을 분리하게 된다.
종래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TM 스크류를 이용한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에서는 이동레일과 고정레일의 전환시에 제1 컨베이어 레일(210)에 결합되어 있던 TM 스크류의 구성부품을 모두 분해한 후에 제2 컨베이어 레일(220)에 재결합시키는 작업이 번거롭고 많은 시간을 소요할 뿐만 아니라 TM 스크류의 구성부품을 분해하여 취출하는 과정에서 제1 스크류축(232)과 제2 스크류축(242)을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의 구성부품들 또한 분해 및 재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고안의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에서는 이동레일과 고정레일의 전환 작업시에 제1 컨베이어 레일(310)의 양측에 결합되어 있던 제1 너트하우징(330)과 제2 너트하우징(330a)의 구성부품 중 고정볼트(338)만을 분리하여 너트(334)와 연결부재(336)를 회전시켜 제2 컨베어어 레일(320)측으로 이동시키고,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336)의 제2 접촉면(336b)이 제2 컨베이어 레일(32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볼트(338)를 통해 연결부재(336)와 제2 컨베이어 레일(320)을 결합시키면 되며, 이때 제1 너트하우징(330)과 제2 너트하우징(330a)의 너트(334) 몸체부(334b)는 제2 컨베이어 레일(320)에 형성된 홀(322a,322b)의 내측에 삽입된다.
여기서, 도 3a와 같이 제1 너트하우징(330)과 제2 너트하우징(330a)이 제1 컨베이어 레일(310)에 결합될 경우에는 상기 고정볼트(338)의 체결방향이 연결부재(336)의 제2 접촉면(336c)에서 제1 접촉면(336b)을 향하는 방향으로 체결됨에 반하여, 도 3c와 같이 제1 너트하우징(330)과 제2 너트하우징(330a)이 제2 컨베이어 레일(320)에 결합될 경우에는 상기 고정볼트(338)의 체결방향이 연결부재(336)의 제1 접촉면(336b)에서 제2 접촉면(336c)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환되어 체결된다.
부연하면, 제1 컨베이어 레일(310)과 제2 컨베이어 레일(320) 간의 이동레일과 고정레일 전환시에 제1 너트하우징(330)과 제2 너트하우징(330a)을 구성하는 너트(334)와 연결부재(336)는 조립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연결부재(336)에 체결되어 있던 고정볼트(338)만을 분리한 후에 너트(334)와 연결부재(336)를 회전시켜 타측의 컨베이어 레일을 향하여 위치 이동시키고 고정볼트(338)의 체결방향을 달리하여 연결부재(336)와 타측의 컨베이어 레일 간을 결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제1 너트하우징(330)과 제2 너트하우징(330a) 전체를 분해하지 않고서도 이동레일과 고정레일 간의 전환이 용이해지며, 이에 수반되는 제1 스크류축(332)과 제2 스크류축(342)의 동기 구동을 위한 구동원의 재설치 작업을 요하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볼 스크류를 이용한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의 평단면도,
도 2a와 도 2b는 종래 TM 스크류를 이용한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의 평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고안에 따른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300 : 컨베이어 레일 110,210,310 : 제1 컨베이어 레일
112,122,212a,212b,222a,222b,322a,322b : 홀
120,220,320 : 제2 컨베이어 레일 130 : 제1 볼스크류
132,232,332 : 제1 스크류축 133,143 : 볼
134,234 : 제1 너트 135,145,235,245,338 : 고정볼트
140 : 제2 볼스크류 142,242,342 : 제2 스크류축
144,244 : 제2 너트 230 : 제1 TM 스크류
240 : 제2 TM 스크류 330 : 제1 너트하우징
330a : 제2 너트하우징 334 : 너트
336 : 연결부재 336a : 플랜지 접촉면
336b : 제1 접촉면 336c : 제2 접촉면

Claims (5)

  1. 표면실장기판 검사기에서 표면실장기판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레일의 폭을 검사대상 표면실장기판의 크기에 대응하여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1 컨베이어 레일과 제2 컨베이어 레일;
    상기 제1 컨베이어 레일과 상기 제2 컨베이어 레일의 양단에 직각으로 관통되어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1 스크류축과 제2 스크류축;및
    상기 제1 컨베이어 레일과 상기 제2 컨베이어 레일 사이에서 상기 제1 스크류축과 상기 제2 스크류축을 타고 왕복 이동 가능하도록 나사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너트의 일측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컨베이어 레일과 상기 제2 컨베이어 레일의 서로 마주보는 양 측면 중 어느 일측면에 선택적으로 고정볼트로 고정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컨베이어 레일의 양단 또는 상기 제2 컨베이어 레일의 양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1 너트하우징과 제2 너트하우징;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컨베이어 레일과 상기 제2 컨베이어 레일 중 상기 제1 너트하우징과 상기 제2 너트하우징이 결합되는 어느 하나는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시 이동레일로 작용하고, 나머지 하나는 고정레일로 작용하도록 상호 전환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류축 및 상기 제2 스크류축과 상기 너트 간의 나사결합 구조는 TM 스크류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너트하우징과 상기 제2 너트하우징이 상기 제1 컨베이어 레일 또는 상기 제2 컨베이어 레일에 체결 전환될 때 상기 고정볼트는 상기 제1 컨베이어 레일 또는 상기 제2 컨베이어 레일을 향하는 방향으로 체결되도록 체결방향이 반대방향으로 전환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류축과 상기 제2 스크류축은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시 동일한 구동원에 의해 동시에 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너트의 플랜지부 저면에 면접촉되어 고정되고, 일측단에는 상기 제1 컨베이어 레일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1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단에는 상기 제2 컨베이어 레일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제2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
KR2020090012530U 2009-09-23 2009-09-23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 KR200448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530U KR200448133Y1 (ko) 2009-09-23 2009-09-23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530U KR200448133Y1 (ko) 2009-09-23 2009-09-23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133Y1 true KR200448133Y1 (ko) 2010-03-18

Family

ID=44211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530U KR200448133Y1 (ko) 2009-09-23 2009-09-23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13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145B1 (ko) * 2012-11-16 2013-05-15 대원강업주식회사 압축선스프링 연마장치 및 연마방법
KR20160146005A (ko) 2015-06-11 2016-12-2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이송장치
RU2679410C1 (ru) * 2017-05-29 2019-02-08 ДЭВОН Эплайд Инж. Ко Шлифов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оволочных пружин сжатия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я, выполненное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легкой замены двух параллельных шлифовальных кругов, расположенных на противоположных сторонах
CN116040207A (zh) * 2023-03-10 2023-05-02 浙江欧胜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同步带传输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3445A (ja) * 1994-11-14 1996-05-28 Nichiden Mach Ltd ワーク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KR0166156B1 (ko) * 1995-10-31 1998-12-01 김광호 콘베이어의 폭조절 장치
KR20030041731A (ko) 2001-11-21 2003-05-27 미래산업 주식회사 버퍼 컨베이어 폭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3445A (ja) * 1994-11-14 1996-05-28 Nichiden Mach Ltd ワーク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KR0166156B1 (ko) * 1995-10-31 1998-12-01 김광호 콘베이어의 폭조절 장치
KR20030041731A (ko) 2001-11-21 2003-05-27 미래산업 주식회사 버퍼 컨베이어 폭 조절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145B1 (ko) * 2012-11-16 2013-05-15 대원강업주식회사 압축선스프링 연마장치 및 연마방법
WO2014077448A1 (ko) * 2012-11-16 2014-05-22 대원강업 주식회사 압축선스프링 연마장치 및 연마방법
CN104755226A (zh) * 2012-11-16 2015-07-01 大圆钢业株式会社 压缩线弹簧研磨装置及研磨方法
CN104755226B (zh) * 2012-11-16 2016-12-28 大圆钢业株式会社 压缩线弹簧研磨装置及研磨方法
US9694463B2 (en) 2012-11-16 2017-07-04 Dae Won Kang Up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rinding compression line spring
KR20160146005A (ko) 2015-06-11 2016-12-21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이송장치
RU2679410C1 (ru) * 2017-05-29 2019-02-08 ДЭВОН Эплайд Инж. Ко Шлифов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оволочных пружин сжатия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я, выполненное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легкой замены двух параллельных шлифовальных кругов, расположенных на противоположных сторонах
CN116040207A (zh) * 2023-03-10 2023-05-02 浙江欧胜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同步带传输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133Y1 (ko) 컨베이어 레일의 폭 조절장치
US20080159833A1 (en) Printed circuit board transferring apparatus for chip mounter and printed circuit board transferr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20056680A (ko) 회로기판용 고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 표시 장치
KR100839348B1 (ko) 모터 방진장치
KR200486676Y1 (ko) 전동식 커튼용 구동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식 커튼
CN101369756B (zh) 电机固定结构和电机组件
JP4734280B2 (ja) 基板重装用昇降装置、バックアップ用昇降装置、基板支持ユニット、及び印刷装置
KR20130000764U (ko) 마그네틱 기어의 축 결합구조
JP2008265141A5 (ko)
JP4794497B2 (ja) 基板搬送装置
US7506741B2 (en) Wheel conveyor
KR100833922B1 (ko) 가열로의 로울러 높이 조절장치
KR200229999Y1 (ko) 롤러 컨베이어
KR200443525Y1 (ko) 클린룸 바닥판넬용 패드 고정구조를 갖는 포스트 헤드
JP2005104604A (ja) 支軸の固定装置、並びに、搬送装置
JP4198626B2 (ja) 基板搬送装置
KR200451540Y1 (ko) 편심방지 장치
JP2019031346A (ja) コンベヤ支持部材及びコンベヤシステム
KR100432180B1 (ko) 음식물 건조장치
KR100519791B1 (ko) 모터고정장치
KR200270210Y1 (ko)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
AU2020400846A1 (en) Door drive with a motor unit, having an advantageous basic shape
KR200430187Y1 (ko) 모터 방진장치
KR20110005565U (ko) 리드 스크류 어셈블리
KR200394211Y1 (ko) 컨베이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