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210Y1 -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 - Google Patents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210Y1
KR200270210Y1 KR2020010040407U KR20010040407U KR200270210Y1 KR 200270210 Y1 KR200270210 Y1 KR 200270210Y1 KR 2020010040407 U KR2020010040407 U KR 2020010040407U KR 20010040407 U KR20010040407 U KR 20010040407U KR 200270210 Y1 KR200270210 Y1 KR 2002702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bolt
vertical motor
hollow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4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규
Original Assignee
한전기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기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기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404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2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2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210Y1/ko

Links

Landscapes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직형 대형 전동기의 팬을 회전축에 조립 및 분리함에 있어서, 팬의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팬 조립 및 분리과정에서 팬의 파손을 방지하는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중공(3)이 형성되고 중공(3)의 둘레에 복수의 암나사공(91)이 형성된 팬(2)을 단면에 암나사공(92)이 형성된 수직전동기의 회전축(1)에 억지끼움식 조립 및 분해하기 위한 공구에 있어서, 팬(2)의 암나사공(91)에 대응하는 지점에 관통공(52)이 형성되고 중공(51)이 형성된 플레이트(20)와, 플레이트(20)의 중공(51)을 관통하며 회전축(1)의 단면에 형성된 암나사공(92)에 체결되는 제1 볼트(31)와, 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관통공(52)에 삽입되는 제2 볼트(32)와, 플레이트(20)의 일면에 형성되며 제1 볼트(31)를 감싸는 제1 지지대(21)와, 제2 볼트(32)와 간섭하지 않게 플레이트(20)의 타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지지대(22) 및, 제1 볼트(31)와 제2 볼트(32)에 체결되는 너트(41, 42)를 포함하는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Tool for disassembly and assembly of vertical motor fan}
본 고안은 수직전동기의 상단에 체결된 팬을 분해 및 조립하기 위한 공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 팬과 수직전동기의 회전축에 체결되는 볼트의 이송에 의해 팬을 회전축에 체결 및 분해하는 공구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발전소에 설치된 냉각수공급 펌프는 대용량의 수직전동기를 구비하고 있다. 이런 수직전동기의 회전축의 상단에는 팬이 체결되어 있는데, 이러한 팬을 정비하기 위해서는 수직전동기의 회전축으로부터 팬을 분리하여 정비한 후에 재설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수직전공기의 회전축이 팬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된다.
종래에는 이런 회전축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된 팬을 분리하기 위해서 동해머로 팬의 블레이드 하면을 타격하여 팬을 분리하였으며, 또한, 회전축에 팬을 조립하기 위해서 동해머로 블레이드 상면을 하부방향으로 타격하여 체결하였다. 이러한 팬은 일반적으로 주조물로서, 충격에 취약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타격에 의해 회전축으로부터 팬을 분리 및 조립하다 보면 팬의 블레이드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팬과 수직전동기의 회전축에 볼트체결되어 볼트에 체결된 너트를 회전시킴으로서, 볼트가 상하방향으로 이송되면서 회전축으로부터 팬을 분해조립하는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를 이용하여 전동기 회전축으로부터 팬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를 이용하여 전동기 회전축에 팬을 체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회전축 2 : 팬
20 : 중앙지지대 21, 22 : 지지대
31, 32 : 볼트 41, 42 : 너트
51 : 중공 52, 53 : 관통공
91, 92 : 암나사공 100 :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둘레에 복수의 암나사공이 형성된 팬을 단면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수직전동기의 회전축에 억지끼움식 조립 및 분해하기 위한 공구에 있어서, 상기 팬의 암나사공에 대응하는 지점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중공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중공을 관통하며 상기 회전축의 단면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체결되는 제1 볼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제2 볼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볼트를 감싸는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볼트와 간섭하지 않게 상기 플레이트의 타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1 볼트와 제2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가 제공된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를 이용하여 전동기 회전축으로부터 팬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를 이용하여 전동기 회전축에 팬을 체결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100)는 원형의 중앙지지대(20)와, 중앙지지대(20)의 중심 상면에 위치하는 제1 지지대(21)와, 중앙지지대(20)의 하면 가장자리를 따라 90°의 간격으로 고정되는 4개의 제2 지지대(22)와, 상기 제1 지지대(21)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1 롱볼트(31)와, 상기 중앙지지대(20)의 원주를 따라 가장자리에 90°의 간격으로 형성된 4개의 관통공(52)을 관통한 4개의 제2 롱볼트(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수직전동기의 회전축(1)의 상단면에는 그 중심에 상기 제1 롱볼트(31)가 체결되는 암나사공(92)이 형성되고, 팬(2)의 상면에는 상기 제2 롱볼트(32)가 체결되는 4개의 암나사공(9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중앙지지대(20)는 원형판으로서, 그 중심에 중공(51)이 형성되고 중앙지지대(20)의 원주둘레를 따라 4개의 관통공(52)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런 중앙지지대(20)의 상면에는 제1 지지대(21)가 고정되는데, 제1 지지대(21)는 원통형으로 상단은 폐쇄되며 하단은 개방되어 중앙지지대(20)의 중공(51)을 감싸도록 중앙지지대(20)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때 제1 지지대(21)의 외경은 중앙지지대(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4개의 관통공(52)의 안쪽에 위치하며 제1 지지대(21)의 내경은 중앙지지대(20)의 중공(51)의 직경보다 크다. 또한 제1 지지대(21)의 상단 폐쇄면 중심에는 관통공(53)이 형성되는데, 이런 제1 지지대(21)의 관통공(53)과 중앙지지대(20)에 형성된 중공(51)은 상호 대응하여 위치한다.
한편, 중앙지지대(20)의 하면에는 4개의 제2 지지대(22)가 90°의 간격으로배치되어 중앙지지대(20)의 가장자리에 고정되는데, 중앙지지대(20)의 자장자리에 형성된 관통공(52)들 사이에 제2 지지대(22)가 위치한다.
또한, 제1 롱볼트(31)는 제1 지지대(21)의 관통공(53)과 중앙지지대(20)의 중공(51)을 관통하여 위치하며, 4개의 제2 롱볼트(32)는 중앙지지대(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4개의 관통공(52)을 관통하여 위치한다. 그리고, 제1 롱볼트(31)와 제2 롱볼트(32)에는 제1, 제2 너트(41, 42)가 각각 체결된다.
그리고, 제1 롱볼트(31)는 수직전동기의 회전축(1) 상단면에 형성된 암나사공(92)에 체결되며, 제2 롱볼트(32)는 팬(2)의 중공(3) 가장자리에 형성된 4개의 암나사공(91)에 체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를 이용하여 수직전동기의 회전축에 팬을 조립 및 분리하는 관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우선, 수직전동기의 회전축(1)으로부터 팬(2)을 분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전동기의 회전축(1) 둘레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된 팬(2)의 상면에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100)를 위치한다. 이때, 제1 지지대(21)의 폐쇄부가 팬(2)의 중공(3)을 관통한 회전축(1)의 상단과 접하도록 위치한다. 그리고, 중앙지지대(20)의 중공(51)과 제1 지지대(21)의 관통공(53)을 관통한 제1 롱볼트(31)의 하단이 회전축(1)의 상단에 형성된 암나사공(92)에 체결된다. 그리고, 제1 롱볼트(31)의 상단에 제1 너트(41)를 체결하고 제1 너트(41)를 회전시켜 중앙지지대(20)와 접하도록 한다. 그러면, 본 고안의 수직전동기 팬분해조립용 공구(100)는 회전축(1)에 고정된다.
이때, 중앙지지대(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4개의 관통공(52)에 제2 롱볼트(32)를 삽입하고, 제2 롱볼트(32)의 하단을 팬(2)에 형성된 4개의 암나사공(91)에 체결한다. 그리고 제2 롱볼트(32)의 상단에 제2 너트(42)를 체결하고 제2 너트(42)를 회전시켜 중앙지지대(20)와 접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100)는 제1 롱볼트(31)에 의해 회전축(1)에 고정되고, 제2 롱볼트(32)에 의해 팬(2)과 고정된다.
이런 상태에서 제2 롱볼트(32)에 체결된 제2 너트(4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롱볼트(32)는 제2 너트(42)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부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회전축(1)과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100)는 제1 롱볼트(31)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롱볼트(32)의 상부방향 이동은 팬(2)을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회전축(1)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된 팬(2)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축(1)과 분리된다.
반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과 정비된 팬(2)을 억지끼움식으로 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회전축(1)을 팬(2)의 중공(3)에 삽입한다. 이런 상태에서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100)의 제1 롱볼트(31)와 제2 롱볼트(32)를 팬(2)과 회전축(1)의 암나사공(91, 92)에 체결한다. 이때, 제2 지지대(22)는 팬(2)의 상면과 접한 상태로서, 제1 지지대(21)는 중앙지지대(20)의 상부를 향해 위치한다.
이런 상태에서 제1 롱볼트(31)와 제2 롱볼트(32)의 상단에 제1 너트(41)와제2 너트(42)를 각각 체결한다. 제1 너트(41)는 제1 지지대(21)의 폐쇄부와 접하도록 위치하고, 제2 너트(42)는 중앙지지대(20)와 접하도록 위치한다.
이때, 제1 너트(4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너트(41)는 제1 롱볼트(31)를 따라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지지대(21)를 가압한다. 이런 가압력은 중앙지지대(20)와 제2 지지대(22)를 따라 팬(2)으로 전달되며, 팬(2)은 회전축(1)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회전축(1)에 억지끼움식으로 조립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는 수직전동기 회전축에 팬을 조립 및 분리함에 있어서, 팬에 체결된 제2 롱볼트와 회전축에 체결된 제1 롱볼트의 길이를 따라 이동하는 너트의 조임력에 의해 팬을 회전축으로부터 분리 및 조립함으로써, 팬을 타격하지 않고서도 팬을 회전축으로부터 분리 또는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팬을 회전축에 분리 또는 조립함에 있어 주물로 제작된 팬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1)

  1.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둘레에 복수의 암나사공이 형성된 팬을 단면에 암나사공이 형성된 수직전동기의 회전축에 억지끼움식 조립 및 분해하기 위한 공구에 있어서,
    상기 팬의 암나사공에 대응하는 지점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중공이 형성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중공을 관통하며 상기 회전축의 단면에 형성된 암나사공에 체결되는 제1 볼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제2 볼트와,
    상기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볼트를 감싸는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볼트와 간섭하지 않게 상기 플레이트의 타면에 형성된 복수의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1 볼트와 제2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
KR2020010040407U 2001-12-27 2001-12-27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 KR2002702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407U KR200270210Y1 (ko) 2001-12-27 2001-12-27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407U KR200270210Y1 (ko) 2001-12-27 2001-12-27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210Y1 true KR200270210Y1 (ko) 2002-03-28

Family

ID=7311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407U KR200270210Y1 (ko) 2001-12-27 2001-12-27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2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0319B2 (en) 2004-09-06 2008-04-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dry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0319B2 (en) 2004-09-06 2008-04-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lothing dry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89789B (zh) 联轴器保护件
EP1438531B1 (en) Setting foot comprising a base and a carrier of which the level can be set by a lift mechanism with at least one screw thread
KR101184441B1 (ko) 장착이 편리한 전동 푸시 로드
CN110784055A (zh) 一种牵引电机及其转子轴承免解体拆装结构
AU740489B2 (en) Housing support
KR200270210Y1 (ko) 수직전동기 팬 분해조립용 공구
KR100389470B1 (ko) 큰 두 행정 크로스헤드 기관 및 이로부터 부서진 스테이볼트를제거하는방법
CN107336188A (zh) 航空发动机左右液压作动筒节流门安装和拆卸专用工具
KR200405409Y1 (ko) 고정용 볼트
US2421592A (en) Dynamoelectric machine
CN207171936U (zh) 航空发动机左右液压作动筒节流门安装和拆卸专用工具
CN211439775U (zh) 一种皮带轮拆卸装置
CN213381323U (zh) 关于进口电动机轴承油封固定环的拆装工具
CN220348313U (zh) 一种防冰活门电磁阀专用分解工装
CN215934644U (zh) 一种跑步机用电机安装结构
KR101377439B1 (ko) 마그네틱 커플링
CN109882493B (zh) 一种螺母螺丝防盗保护装置
CN209429534U (zh) 一种建筑铝模板锁紧装置
KR19980041052U (ko) 끼워맞춤공구 분해용 지그
CN210886310U (zh) 单晶炉用连接组件及单晶炉
KR100984427B1 (ko) 유체 커플링의 사이드 커버 분해용 지그
KR200254494Y1 (ko) 크랭크기어용 탈착공구
CN215541837U (zh) 一种适配多种电机轴的离心机转子
KR200179082Y1 (ko) 해체가 용이한 어댑터 슬리브
KR960003504Y1 (ko) 굴삭기의 조향장치 부착용 콘솔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