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909Y1 -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909Y1
KR200447909Y1 KR2020070020775U KR20070020775U KR200447909Y1 KR 200447909 Y1 KR200447909 Y1 KR 200447909Y1 KR 2020070020775 U KR2020070020775 U KR 2020070020775U KR 20070020775 U KR20070020775 U KR 20070020775U KR 200447909 Y1 KR200447909 Y1 KR 200447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bow
connector
hole
wir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7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541U (ko
Inventor
김경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0700207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90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5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5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9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 본체 및 엘보우에 회전가능하도록 돌기를 구성함으로써 최선의 배선 경로를 설계할 수 있고 배선 경로 설정 방법에 따라 별도의 커넥터를 개발할 필요가 없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측에 배선삽입구를 구비한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의 배선삽입구가 구비된 측에 상하부 2단 구조로 결속되고 배선이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관통구와 결속되고 직각으로 절곡된 다각형의 엘보우로 구성된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관통구 내부 일측의 내주면을 따라 돌기가 형성된 커버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엘보우는 상기 관통구와 결속되는 외부 일측면에 상기 커버돌기부와 동일한 형상의 돌기가 엘보우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엘보우돌기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넥터, 배선, 엘보우

Description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 {A CONNECTOR FOR FIXATING WIRING DIRECTION}
도 1은 종래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의 부분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 120: 커버부
121: 커버돌기부 122: 걸림턱
123: 관통구 130: 엘보우
131: 엘보우돌기부 132: 접촉홈
224: 결합홈 233: 링홈
240: 결합링 241: 결합돌기
본 고안은 커넥터와 연결되는 배선의 방향을 고정하기 위한 엘보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고안은 커넥터 본체 및 엘보우에 회전가능하도록 돌기를 구성함으로써 모든 방향으로의 배선방향을 고정할 수 있어 최선의 배선 경로를 설계할 수 있고 배선 경로 설정 방법에 따라 별도의 커넥터를 개발할 필요가 없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사용되는 전자제어장치는 물론 여러 장치들의 작동과 제어를 위한 전원과 신호가 흐르는 와이어를 배선하게 되는데, 이러한 와이어는 통상 커넥터와 같은 연결부재를 매개로 서로 결합시키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는 제어장치등과 같이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 장치로부터 와이어(W)를 매개로 인출되어 삽입홀을 형성한 단자(f)를 구비한 피메일터미널(F)에 제어대상에 대해 생성된 측정 신호가 흐르는 메일터미널을 결합시켜 제어기인 메인 장치와 제어 대상간의 통신 및 통전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메일터미널은 통상, 상기 피메일터미널(F)의 삽입홀을 형성한 단자(f)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다수의 터미널(1')을 매개로 결합시켜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서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커넥터에 연결된 와이어가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해 미감이 해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와 커넥터 접속부에 커넥터 커 버를 결합한다.
또한, 통상의 커넥터는 커넥터가 필요한 장소의 공간이 협소한 경우 와이어에 개방공간으로의 방향성을 부여하여 타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커넥터 커버에 방향성을 갖는 엘보우를 결합시켜고 이에 와이어를 통과시키도록 하여 이를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엘보우는 커넥터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배선 경로 설정 방법에 따라 여러 종류의 커버가 쓰여지고 있어 각 커넥터 시리즈 별로 별도의 방향성 커넥터 커버를 사용해야 하므로 여러 커넥터를 개발함으로써 많은 개발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커넥터 커버 및 커넥터 커버에 결속되는 엘보우에 돌기를 부여하여 엘보우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방향으로 엘보우의 방향성을 갖도록 하여 여러 종류의 커넥터를 개발할 필요가 없어 개발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는, 일측에 배선삽입구를 구비한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의 배선삽입 구가 구비된 측에 상하부 2단 구조로 결속되고 배선이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관통구와 결속되고 직각으로 절곡된 다각형의 엘보우로 구성된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관통구 내부 일측의 내주면을 따라 돌기가 형성된 커버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엘보우는 상기 관통구와 결속되는 외부 일측면에 상기 커버돌기부와 동일한 형상의 돌기가 엘보우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엘보우돌기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는 관통구 내측의 내주면을 따라 관통구의 내주면보다 더 좁게 형성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엘보우는 상기 엘보우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걸림턱에 결속되는 접촉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부는 상기 관통구의 일측에 천공된 다수 개의 결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엘보우는 상기 결합홈에 결속되는 결속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엘보우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속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의 부분확대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100)는 일측에 배선이 결속되는 배선삽입구(111)를 구비한 커넥터 본체(110)와, 상기 커넥터 본 체(110)의 배선삽입구(111)가 구비된 측에 상하부 2단 구조로 결속되고 배선이 관통하는 관통구(123)가 형성된 커버부(120)와, 커버부(120)의 관통구(123)와 결속되고 직각으로 절곡되며 커넥터 본체(110)와 결속된 배선이 관통하는 다각형의 엘보우(130)로 구성된다.
이때, 커버부(120)에는 관통구(123) 내부 일측의 내주면을 따라 돌기가 형성된 커버돌기부(121)와 관통구(123) 내측의 내주면을 따라 관통구(123)의 내주면보다 더 좁게 형성된 걸림턱(122)를 포함한다.
엘보우(130)는 관통구(123)와 결속되는 외부 일측면에 커버돌기부(121)와 동일한 형상의 돌기가 엘보우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엘보우돌기부(131)와, 엘보우(130)의 외주면을 따라 걸림턱(122)에 결속되는 접촉홈(132)을 더 포함한다.
엘보우(130)가 커버부(120)에 결속하는 경우 커버돌기부(121)의 돌기는 엘보우돌기부(131)의 돌기와 산과 골 또는 그 역으로 결합된다.
엘보우(130)와 커버부(120)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다.
엘보우(130)가 커버부(120)에 결속된 상태에서 회전을 하는 경우 엘보우돌기부(131)의 돌기는 결합된 커버돌기부(121)의 돌기로부터 이탈하여 다음 돌기로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회동을 한다.
이 경우 엘보우(130)의 회동으로 인해 엘보우(130)를 관통하는 배선은 360°방향으로 배선 경로 설정이 가능하다.
이때, 엘보우돌기부(131) 및 커버돌기부(121)의 돌기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나 엘보우(13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물결의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200)는 커버부(220)의 관통구(223)는 내면 일측에 결합홈(224)을 형성한다.
이 때, 결합홈(224)는 관통구(223)의 내면을 관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엘보우(230)는 외면 일측에 결합홈(224)에 결합하는 결합돌기(241)가 형성된 결합링(240)이 결속되어 형성된다.
관통구(223)의 내면에 관통된 결합홈(224)과 결합링(240)에 형성된 결합돌기(241)가 결합홈(224)에 관통하여 결속된 경우 관통구(223)의 걸림턱(222)과 엘보우(230)의 걸림홈(232)의 결속과 함께 엘보우를 커버부에 더욱 안정적으로 결속되도록 한다.
이 경우, 결합링(240)은 엘보우(230)에 구비된 링홈(233)에 이격을 두고 결속하도록 함으로써 엘보우(230)의 회동시 결합링(240)에 의한 간섭을 적게 받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 장치의 구성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의 커넥터 커버 및 커넥터 커버에 결속되는 엘보우에 돌기를 부여하여 엘보우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방향으로 엘보우의 방향성을 갖도록 하여 여러 종류의 커넥터를 개발할 필요가 없어 개발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엘보우에 결합링을 구비하고 커넥터의 커버부에 결합홈을 구비하여 이들을 결합함으로써 엘보우와 커넥터의 결합력을 더욱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일측에 배선삽입구를 구비한 커넥터 본체와, 상기 커넥터 본체의 배선삽입구가 구비된 측에 상하부 2단 구조로 결속되고 배선이 관통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관통구와 결속되고 직각으로 절곡된 다각형의 엘보우로 구성된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관통구 내부 일측의 내주면을 따라 돌기가 형성된 커버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엘보우는 상기 관통구와 결속되는 외부 일측면에 상기 커버돌기부와 동일한 형상의 돌기가 엘보우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엘보우돌기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관통구 내측의 내주면을 따라 관통구의 내주면보다 더 좁게 형성된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엘보우는 상기 엘보우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걸림턱에 결속되는 접촉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관통구의 일측에 천공된 다수 개의 결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엘보우는 상기 결합홈에 결속되는 결속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엘보우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속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
KR2020070020775U 2007-12-26 2007-12-26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 KR200447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775U KR200447909Y1 (ko) 2007-12-26 2007-12-26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775U KR200447909Y1 (ko) 2007-12-26 2007-12-26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541U KR20090006541U (ko) 2009-07-01
KR200447909Y1 true KR200447909Y1 (ko) 2010-03-03

Family

ID=41323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775U KR200447909Y1 (ko) 2007-12-26 2007-12-26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909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6387U (ko) * 1988-05-31 1989-12-15
KR0120097Y1 (ko) * 1992-12-23 1998-07-15 전성원 와이어 하니스 콘넥터
KR200223467Y1 (ko) 2000-11-30 2001-05-15 김정수 고주파열을 이용하여 조립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구조
JP2001244010A (ja) 2000-02-28 2001-09-07 Uro Electronics Co Ltd 多角形コイルスプリング接触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6387U (ko) * 1988-05-31 1989-12-15
KR0120097Y1 (ko) * 1992-12-23 1998-07-15 전성원 와이어 하니스 콘넥터
JP2001244010A (ja) 2000-02-28 2001-09-07 Uro Electronics Co Ltd 多角形コイルスプリング接触子
KR200223467Y1 (ko) 2000-11-30 2001-05-15 김정수 고주파열을 이용하여 조립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541U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36988B2 (ja) 接続箱を備えたハウジング装置、並びにこのハウジング装置のための接続箱
US9004951B2 (en) Multi-functional transfer connector for connecting with different receptacles
US6270358B1 (en) Low-voltage male connector
EP3251175B1 (en) Electrical contact device
JP2010510623A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8198780B2 (en) Stator for an electronically commutated DC motor
US20150071590A1 (en) Rotatable connector and assembly methods
US8449316B2 (en) Press-contacting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ic wire
KR102047677B1 (ko) 플러그 커넥터
JP4813079B2 (ja) 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用絶縁カバー
KR101348404B1 (ko) 와이어가이드 및 그를 이용한 구동장치
KR200447909Y1 (ko) 배선방향 고정용 커넥터
US7329131B1 (en) Electrical track and connector assembly
WO2013174979A1 (en) Connector housing,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ble and manufactured electrical cable
US7550670B2 (en) Cable assembly
TWI373887B (en) Electrical connector
TWM595917U (zh) 線材轉換器
JP4316430B2 (ja) 積み重ね型アース端子
JP2001283967A (ja) 組み合わせ型の光学的及び電気的プラグ/ソケット接続のためのプラグ部品
JP2006244854A (ja) 多重通信線用コネクタ
US20050124193A1 (en) Connection structure of connector
KR100514693B1 (ko) 에프피씨비와 컨넥터 구조
KR20010052100A (ko) 케이블 커넥션
CN218386085U (zh) 线束接头和发动机
TWI720751B (zh) 線材轉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