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811Y1 - 솔잎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솔잎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811Y1
KR200447811Y1 KR2020090012742U KR20090012742U KR200447811Y1 KR 200447811 Y1 KR200447811 Y1 KR 200447811Y1 KR 2020090012742 U KR2020090012742 U KR 2020090012742U KR 20090012742 U KR20090012742 U KR 20090012742U KR 200447811 Y1 KR200447811 Y1 KR 200447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microorganism
pine needle
malodor
microorganis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현
Original Assignee
김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현 filed Critical 김태현
Priority to KR2020090012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8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8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01D2257/406Ammon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0Odorous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66Other waste gases from animal far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악취 발생 시설에 설치 또는 연결되어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시키는 악취 저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악취 발생 시설로부터 유입되는 악취 함유 가스를 수용하는 가스 수용부와, 상기 가스 수용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 수용부로부터 유입되는 악취 함유 가스에 물을 분사시켜 상기 악취 함유 가스의 악취를 정화하는 1차 정화부와, 솔잎 미생물 또는 솔잎 미생물의 배양균이 고정되거나 솔잎 미생물의 배양액이 도포된 여과필터를 구비하여 상기 1차 정화부에 의해 정화된 악취 함유 가스를 상기 여과 필터에 통과시켜 정화하는 2차 정화부를 포함하는 솔잎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악취 제거 필요성이 있는 입장(이를테면, 축산농가 등)에서는 솔잎에서 자생되는 솔잎 미생물을 배양하여 이용함으로써, 적은 비용과 노동력으로 악취를 제거하는 물질을 다량 생산할 수 있고, 기존 악취 저감 장치의 악취 저감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악취, 소나무 잎, 솔잎, 미생물, 배양, 악취 저감, 축분뇨

Description

솔잎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APPARATUS USING THE MICROORGANISM TO REMOVE AN ODOR}
본 고안은 솔잎 미생물을 이용하여 악취 발생 시설의 악취를 정화하는 악취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소나무 숲에서 채취할 수 있는 솔잎 미생물을 배양하고, 배양된 솔잎 미생물을 이용하여 악취 발생 시설의 악취를 정화 및 저감시키는 솔잎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주변에는 농업, 축산업, 기술산업 등이 발전함에 따라 악취 발생 시설의 수와 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축산업에 관련된 시설에 의한 축분뇨(畜糞尿)(즉, 돈분뇨(豚糞尿), 계분뇨(鷄糞尿), 우분뇨(牛糞尿) 등)의 악취는 환경 오염의 주 요인으로 예전부터 지적되고 있다.
축산 현장은 날이 갈수록 대형 및 대량시설로 변모함에 따라 악취 문제도 그에 비례하여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에 많은 민원이 제기되기도 한다. 현행 단속법에 따르면 민원 신고가 일정 이상 발생된 경우 사업 등록이 취소되기도 한다.
일례로, 제주도에는 돼지가 그 지역 특산물로 널리 알려진 만큼 많은 돼지 사육 농장들이 소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제주도 행정에서는 돈분뇨로부터 기인하는 악취를 저감시키기 위해 수년 전부터 무상으로 소독약을 농가에 보급하거나, 공무원을 상주시키는 등 부단한 노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공무원을 상주시키거나 소독약을 보급하는 것은 대부분 일회성에 그치고 있으며, 지역 사정에 따라 인력이나 자원공급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제주도에서 양돈 산업은 제주 경제에 있어서 효자 업종이기에 권장해오고는 있지만 오늘날에는 경제적인 이익보다는 환경문제에 더 가치를 두고 있으므로, 돈분뇨에 의해 야기되는 악취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여 생업을 포기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아울러, 사업장에서는 많은 비용을 들여 특수 사료나 첨가물을 사용하거나, 축사내 특수 효소를 살포하는 등 많은 노동력 및 장비를 구축한다 하더라도 대부분의 악취 성분이 그대로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등의 악취 제거 효과가 만족스럽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경우, 방출된 악취 및 악취 성분이 공기 중에 분산되어야 약해질 수 있지만, 가까운 지역의 경우 그 악취와 성분에 그대로 노출된다. 특히 제주도 한림읍 지역의 경우, 인근 지역 주민들은 여름철이면 계절풍인 남풍이 불어 저녁에 문을 열 수 없을 정도라고 한다.
축사에서 발생되는 분뇨는 그 발효에 따라 암모니아, 황화수소, 황화메틸, 이황화메틸, 트리메틸아민, 아세트알데히드, 스티렌 등의 유해가스 및 악취와 함께 가축의 호흡에 의해 탄산가스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물질 및 가스가 적절히 제거되지 못하면, 사육되는 가축에게도 스트레스와 각종 질병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종사자에게 불쾌감과 건강도 나빠질 수 있어 축산업의 생산성 저하 및 노동 기피현상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축사에서 발생되는 축분뇨를 처분해주기 위해 축분뇨만을 따로 수집하는 정화조, 발효 및 건조하는 시설 등을 만들더라도 그러한 시설에서 여전히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정화조는 축사 인근에 매설되는 것으로서, 정화조 내의 분뇨가 거의 차게 되면 폭기 과정을 통해 악취를 제거하고 분뇨를 꺼내 퇴비 용도 등으로 재활용한다. 이때, 폭기 과정에서 심한 악취가 외부로 다량 발산됨에 따라 많은 민원이 발생하는 실정이다.
또한, 발효 시설 및 건조 시설은 축분뇨에 톱밥 등을 섞어 교반하여 발효 및 건조하는 과정에서 특히 심한 악취가 발생하며, 통상 5분 정도 교반하는 데도 시설내부에 악취가스가 꽉 차는 정도이다. 이러한 악취가스는 그 양도 많고 농도도 진함에 따라 현재에는 어떤 약품처리로도 완전 제거는 힘들다.
이와 같이 축분뇨 처리 시설들은 축분뇨 수거 및 재활용을 위한 처리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개별 축산 농가에서 운용하는 시설보다 규모가 더 큼에 따라 악취 문제가 더 심각해지는 실정이다.
특히, 축분뇨 처리 시설(발효 시설 및 건조 시설 등)도 혐오 시설로 인식되어, 악취 제거를 위해 축분뇨 처리 필요성이 절실함에도 불구하고, 해당 시설의 건축 및 유지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일부 주민들은 발생하는 축분뇨를 바다에 투기하기도 했었지만, 이제는 현행법상 해양 투기가 방지되어 더 이상 실행할 수 없다.
한편,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더불어 중요시 되는 문제는 환경 파괴 문제인데, 최근에는 환경 친화적인 방법으로 이러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추세이다.
특히, 미생물은 다양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자 이용되고 있으며, 본 고안과 같이 악취 저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익히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악취가 발생하는 물질 혹은 공기가 있는 환경에 미생물을 단순히 살포하거나 노출시키는 것은 악취 저감 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악취 발생 문제를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며, 그 방법도 환경 친화적인 방법으로 수행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 기존의 악취 저감 장치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솔잎 미생물의 배양균이 함유된 물을 악취 함유 가스에 분사시키는 솔잎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수의 여과 필터를 구비한 악취 저감 장치에서 그 여과 필터에 솔잎 미생물의 배양균을 고정시켜 악취 함유 가스의 악취 정화율을 높이는 솔잎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악취 제거를 위한 환경 친화적인 물질로서 솔잎 미생물을 채택하여 그 솔잎 미생물을 배양하는 방법 또한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솔잎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악취 발생 시설에 설치 또는 연결되어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시키는 악취 저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악취 발생 시설로부터 유입되는 악취 함유 가스를 수용하는 가스 수용부; 상기 가스 수용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스 수용부로부터 유입되는 악취 함유 가스에 물을 분사시켜 상기 악취 함유 가스의 악취를 정화하는 1차 정화부; 및 솔잎 미생물 또는 솔잎 미생물의 배양균이 고정되거나 솔잎 미생물의 배양액이 도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필터를 구비하여 상기 1차 정화부에 의해 정화된 악취 함유 가스를 상기 여과 필터에 통과시켜 정화하는 2차 정화부;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상기 1차 정화부는, 솔잎 미생물의 배양균이 함유되거나 솔잎 미생물의 배양액이 희석된 물을 구비하여 상기 물을 상기 가스 수용부로부터 유입되는 악취 함유 가스에 분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 필터는, 흙, 제주송이 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이 일정 형태 및 두께로 적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2차 정화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 필터에 상기 솔잎 미생물을 포함시키기 위해 상기 각 여과 필터의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고랑을 파서 상기 솔잎 미생물이나 배양균을 묻거나 상기 배양액을 도포 후 일정 기간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솔잎 미생물의 상기 배양액은, 솔잎 미생물의 원균을 채취한 후, 상기 채취된 솔잎 미생물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물로 지어진 밥과 접촉 또는 혼합한 다음, 상기 솔잎 미생물이 접촉 또는 혼합된 상기 밥을 계절이나 온도에 상응하는 기간 동안 발효시킨 후, 상기 발효된 밥을 소정의 흑설탕과 혼합한 다음, 상기 흑설탕과 혼합된 상기 밥을 계절이나 온도에 상응하는 기간 동안 저장하여 숙성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솔잎 미생물을 자연 친화적으로 다량 배양시키는 방법과 그 배양된 배양균을 이용하여 악취 함유 가스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는 악 취 저감 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고안의 배양방법은 소나무가 낙옆이 되어 쌓여지면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솔잎 미생물과 주변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곡물 및 흑설탕을 이용하여 일정 기간의 발효 및 숙성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축산농가와 같이 악취 제거 필요성이 있는 입장에서는 적은 비용과 노동력을 들이고도 악취 제거 효과가 있는 솔잎 미생물을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생산된 솔잎 미생물을 기존 악취 제거를 위한 설비시설의 물에 희석하거나 혹은 여과필터에 고정시켜 비교적 쉽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환경에 해로운 화학성분을 이용하지 않고 친환경 물질인 미생물을 이용함으로써, 악취에 의한 대기 오염을 줄일 뿐 아니라 기존 사용되던 화학성분이 야기하는 2차 오염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에 의해 배양된 균은 미생물의 특성상 일정 환경 조건이 만족되면, 자연 번식이 되므로 한 번의 설치 및 조성으로 장기적인 사용이 가능하여 악취 제거에 필요한 생산비용 및 유지비용을 현저히 줄이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해 배양된 솔잎 미생물은 악취 저감 시설에서 물에 희석되어 악취 함유 가스에 직접 살포되거나, 혹은 구비되는 여과 필터에 고정되어 악취를 정화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양방법 및 정화방법은 농도가 높은 악취 함유 가스에 직접 노출되며, 필터에 고정된 경우에는 가스가 필터안을 통과하는 동안 미생물의 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지므로, 기존 미생물의 정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 악취 저감 시설에서는 별도의 시설 및 장비확충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영세한 업체에서도 적은 비용으로 손쉽게 적용하고 유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게다가, 악취 저감 시설은 그 시설 특성상 내부 습도가 높으므로, 미생물은 본 고안에 의해 물에 희석 또는 여과필터에 고정된 상태로 자연 번색 및 생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실시자는 장기적인 악취 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악취 발생 시설 및 그 악취 처리 시설(이를테면, 정화조, 축분뇨 발효 및 건조 시설 등)은 발생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은 각 산업장 및 시설의 생산성이 높아지고 노동 기피현상이 낮아지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h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잎 미생물의 배양방법의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솔잎 미생물은 수년간 소나무잎이 낙옆이 되어 떨어져 쌓여지면 자연적인 풍한서습으로 인해 발생하여 사시사철 생존하게 된다. 이에 큰 소나무 밑에 잎이 겹겹이 쌓여 있는 곳을 찾아 표면을 걷어보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의 2-3cm 정도 밑에서 미생물의 균사가 누룩덩이 같이 낙옆 속에 증식되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먼저, 솔잎 원균을 채취한다.
이때, 솔잎 원균의 채취과정은 큰 소나무 아래에 겹겹이 쌓여있는 솔잎들을 찾아 미생물이 자생된 균 덩어리를 직접 채취하는 것으로 수행되었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를테면, 솔잎을 미리 채취 및 보관하여 적절환 환경을 조성시켜 미생물을 직접 발생시키거나 원균을 다른 사람으로부터 구입하는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의 채취 과정에서는 다른 나뭇잎이나 풀이 있는지 등을 관찰해서 잡균 방지를 철저히 하였다.
다음, 도 1b를 참조하면, 채취된 솔잎 원균을 다수의 곡물 중 쌀로 지어진 밥과 접촉 또는 혼합하여 일정 기간 유지하여 증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미리 지어진 밥을 양파망에 넣고 공기가 통하도록 얇게 펴주고, 밥이 어느 정도 식으면 채취된 솔잎 종균과 접촉되도록 한다.
도 1b는 소나무 숱에서 채취 또는 발견한 솔잎 원균 위에 양파망을 얹어 노지에서 증식시키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때,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이나 비 혹은 짐승의 침투를 막기 위해 큰 고무 대야로 덮고 돌을 얹은 후, 날씨나 온도에 따라 일정 기간(이를테면, 여름철인 경우 6일 내지 7일, 겨울철인 경우 10일 정도)이 지나면 양파망에 보관된 밥에 솔잎 미생물이 솜털과 같이 망 전체에 퍼져 다량 증식된 것을 볼 수 있었다(도 1d에 도시됨).
이와 다르게, 노지로부터 솔잎 미생물을 채취해와 항아리 내에 채취해온 솔잎 미생물과 밥이 담긴 양파망을 접촉되도록 넣어 일정 시간 경과시키는 것에 의해 솔잎 미생물을 증식시킬 수도 있다.
이어서, 도 1e와 같이, 미생물이 다량 증식된 밥을 양파망에서 꺼내어 항아리에 넣고, 그 밥과 흑설탕을 1:1의 비율로 혼합시켰다(도 1f에 도시됨). 이때, 본 실시예는 혼합된 밥과 흑설탕을 손으로 주물러 으깨고(도 1g에 도시됨), 한지로 항아리를 덮어 줄로 결속시켰다(도 1h에 도시됨). 그리고, 날씨나 온도에 따라 일정 기간(이를테면, 여름인 경우 약 5일 정도, 겨울인 경우 10일 정도가 바람직함) 보관하여 발효 및 숙성시킨다.
이로써, 솔잎 미생물의 배양액이 얻어진다.
솔잎 미생물은 미생물의 분해 특성상 악취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배양균은 일반적인 시설내 구비되는 악취 제거 물질로 사용하거나, 또는 악취 발생 시설의 악취 저감 장치에도 유용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악취 저감 장치 및 시설에 배양된 솔잎 미생물을 적용시키고자, 다수 물질 중 제주산 송이, 흙으로 구성된 여과 필터를 사용하는 악취 저감 장치에 솔잎 미생물을 적용시키는 것으로 행해졌으나,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정의 공간을 조성하여, 내부에 제주산 송이와 흙을 깔고 미리 배양된 솔잎 미생물을 일정 간격으로 묻고 일주일째 숙성시킨 모습을 사진으로 볼 수 있다.
이때, 날씨나 환경에 의해 증식이 잘 안될 수 있으므로, 그러한 경우 종균을 심은 후 며칠 있다가 당그네(농기구의 일종)와 같은 기구를 이용하여 윗부분의 흙을 긁어모아 다시 펴주면 된다.
숙성된 제주산 송이 및 흙은 솔잎 미생물이 증식된 것으로서, 악취 저감 장치의 여과 필터로 사용한 결과, 그 여과 필터를 통과하는 악취 함유 가스를 여과 필터내의 솔잎 미생물이 정화시켜 기존 여과 필터 및 악취 저감 장치의 효과가 더욱 높아질 수 있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잎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를 보여주는 간단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악취를 발생시키는 악취 발생 시설(100)과, 악취 발생 시설(200)의 악취를 저감시키기 위해 설치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악취 저감 장치(200)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악취 발생 시설(100)은 가축을 사육하는 축사, 하수 정화조 및 폐수 재활용 시설, 축분뇨 저장시설, 축분뇨 건조장, 음식 쓰레기 처리시설, 악취를 발생시키는 제조공장과 같이 악취가 발생하는 다수 시설이 될 수 있다.
또한, 악취 저감 장치(20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서, 고안자의 악취 저감 장치(등록특허번호 10-0889486, 20-0445643)에 적용해보았으나,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고안은 특정 악취 저감 시설에 한정되지 않도록 악취 저감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토대로 솔잎 미생물의 악취 저감 시설에 대한 적용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였음을 밝힌다.
악취 저감 장치(200)는 기본적으로 악취 발생 시설(100)로부터 유입되는 악취 함유 가스를 수용하는 가스 수용부(210)와, 가스 수용부(210)의 악취 함유 가스 를 수집하여 그 악취 함유 가스에 물을 분사시키는 1차 정화부(220)와, 솔잎 미생물이 고정된 여과 필터를 구비하여 1차 정화부(220)로부터 유입되는 악취 함유 가스를 해당 여과 필터에 통과시키는 2차 정화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1차 정화부(220)와 2차 정화부(230)의 구성위치나 구성순서는 당업자의 편리에 따라 변경되거나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먼저, 악취 저감 장치(200)의 가스 수용부(210)는 악취 발생 시설(100)로부터 악취 함유 가스를 유입받아 수집하기 위해 내부에 밀폐공간을 갖으며,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나 벽돌로 축조될 수 있다. 또한, 가스 수용부(210)는 기본적으로 내부 가스를 배기하기 위한 장치나 송풍 팬을 별도 또는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다음, 1차 정화부(220)는 물을 미리 저장하여 분사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물 탱크 및 분사 노즐을 구비하고, 가스 수용부(210)로부터 유입되는 악취 함유 가스에 물을 분사시켜 악취를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1차 정화부(22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미리 배양된 솔잎 미생물을 물에 희석시켜 악취 함유 가스에 분사시킨다. 이때, 1차 정화부(220)는 솔잎 미생물이 희석된 물을 종래의 물을 이용한 악취 제거 방법에 의거하여 내부를 향해 물의 폭이 좁게 집속되어 물살이 센 물 줄기 형태로 물을 분사시키거나, 혹은 넓은 형태의 물 분사 판을 이용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2차 정화부(230)는 악취 함유 가스의 악취를 여과시키기 위한 여과 필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1차 정화부(220)로부터 유입되는 악취 함유 가스를 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여과 필터는 악취 제거를 위한 다수 물질(이를테면, 제주송이, 흙 등)이 일정 형태 및 두께로 적재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2에서 수행한 방법과 같이 그 물질 내에 솔잎 미생물을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주송이는 제주도의 수만년에서 수백만년에 걸친 110여 회의 화산 활동에 따라 기생 화산(오름)으로 생성되어 제주 전역에 널리 분포하는 것으로, 주성분이 이산화규소 및 산화알루미늄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제주도만의 부존 천연 자원이며, 화산 분출물 또는 화산석의 일종으로 흙이나 숯과 같이 악취 제거 효과가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를 이용하여, 본 고안자가 제주송이와 흙에 솔잎 미생물을 고정시켜 여과필터로 사용해 본 결과, 악취 제거 효과는 솔잎 미생물을 물에 희석하여 살포한 경우보다 훨씬 좋았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악취 저감 장치(200)는 일부 폐쇄된 공간 내에서 물을 이용함에 따라 폐쇄된 습식 환경을 조성하는 바, 고정된 솔잎 미생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원활히 생존을 유지하면서 증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여과 필터에 고정된 솔잎 미생물이 악취 함유 가스를 직접 정화할 수 있도록, 악취 저감 장치(200)의 1차 정화부(220) 혹은 2차 정화부(230)에 고정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스 수용부(210) 혹은 악취 발생 시설로부터 악취 함유 가스가 유입되는 부분이나 바깥으로 배기되는 부분 등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상의 본 고안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고안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도 1a 내지 도 1h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잎 미생물 배양방법의 과정을 촬영한 사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솔잎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에 사용할 여과필터에 솔잎 미생물을 고정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사진.
도 3은 도 2에서 솔잎 미생물이 고정된 여과필터를 사용하는 악취 저감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악취 발생 시설 200 : 악취 저감 시설
210 : 가스 수용부 220 : 1차 정화부
230 : 2차 정화부

Claims (5)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악취 발생 시설에 설치 또는 연결되어 상기 악취 발생 시설로부터 유입되는 악취 함유 가스에 물을 분사시켜 상기 악취 함유 가스의 악취를 정화하는 1차 정화부와, 미생물 또는 미생물의 배양균이 고정되거나 미생물의 배양액이 도포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여과필터를 구비하여 상기 1차 정화부에 의해 정화된 악취 함유 가스를 상기 여과 필터에 통과시켜 정화하는 2차 정화부를 포함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악취 발생 시설과 상기 1차 정화부의 사이에는 상기 악취 발생 시설로부터 유입되는 악취 함유 가스를 수용하는 가스 수용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미생물로는 솔잎 미생물이 사용되며;
    상기 1차 정화부는 상기 솔잎 미생물의 배양균이 함유되거나 상기 솔잎 미생물의 배양액이 희석된 물이 구비되어 이러한 물을 상기 가스 수용부로부터 유입되는 악취 함유 가스에 분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2차 정화부의 여과 필터는 흙, 제주송이 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이 일정 형태 및 두께로 적재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각 여과 필터에 상기 솔잎 미생물이 포함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여과 필터의 표면에 형성된 일정간격의 고랑에 상기 솔잎 미생물 또는 배양균이 묻히거나 그 배양액이 도포된 상태에서 일정 기간 숙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솔잎 미생물의 배양액은,
    솔잎 미생물의 원균을 채취하고, 상기 채취된 솔잎 미생물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곡물로 지어진 밥과 접촉 또는 혼합하며, 상기 솔잎 미생물이 접촉 또는 혼합된 밥을 계절이나 온도에 상응하는 기간 동안 발효시키고, 상기 발효된 밥을 소정의 흑설탕과 혼합하며, 상기 흑설탕과 혼합된 밥을 계절이나 온도에 상응하는 기간 동안 저장하여 숙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KR2020090012742U 2009-09-29 2009-09-29 솔잎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KR200447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742U KR200447811Y1 (ko) 2009-09-29 2009-09-29 솔잎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742U KR200447811Y1 (ko) 2009-09-29 2009-09-29 솔잎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7811Y1 true KR200447811Y1 (ko) 2010-02-23

Family

ID=44211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742U KR200447811Y1 (ko) 2009-09-29 2009-09-29 솔잎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81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403B1 (ko) * 2010-04-28 2010-11-03 주식회사 부강테크 악취 저감 오폐수 처리 시설 및 그 방법
KR101935966B1 (ko) 2017-11-01 2019-01-07 비케이환경종합건설 주식회사 축사용 악취 저감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축사용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652A (ko) * 1999-09-17 2000-02-07 임재신 미생물을 순환공급하는 VOCs 및 악취 제거용트리클에어바이오필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6652A (ko) * 1999-09-17 2000-02-07 임재신 미생물을 순환공급하는 VOCs 및 악취 제거용트리클에어바이오필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403B1 (ko) * 2010-04-28 2010-11-03 주식회사 부강테크 악취 저감 오폐수 처리 시설 및 그 방법
KR101935966B1 (ko) 2017-11-01 2019-01-07 비케이환경종합건설 주식회사 축사용 악취 저감 장치 및 이 장치를 포함하는 축사용 축산폐수 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thur Composting processes
US6365384B1 (en) Method for disposing waste
CN111801006B (zh) 智能化植保与养护系统
CN101803545A (zh) 农林生态园区病虫草无害综合防治方法
CN103703952A (zh) 有机八角栽培生产方法
RU2347808C1 (ru) Биопрепарат из эффективных микроорганизмов для деградации органических отходов
CN108821810A (zh) 一种分散畜禽养殖废弃物收集处理方法
Petersen et al. Perspective greenhouse gas mitigation by covers on livestock slurry tanks and lagoons?
CN104496586A (zh) 一种基于牲畜尸体的堆垛式堆肥方法
KR200447811Y1 (ko) 솔잎 미생물을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CN101569289B (zh) 畜禽棚舍除臭及粪尿综合处理的方法
JP2013017450A (ja) 混合菌体及び中性化消臭・防虫剤
KR20110109346A (ko) 미생물이 활착된 다공질매체를 구비한 화분시스템
CN202232440U (zh) 一种迷你有机水培水族花盆
CN209866935U (zh) 一种综合治理典型农业面源污染的系统
CN102826876A (zh) 利用餐厨垃圾、污泥和粪便处理成复合土的方法
KR20000002846A (ko) 지렁이 배설물을 이용한 유기설 폐기물의 원예용 상토 및 그 제조방법
CN103238503B (zh) 利用废弃的塑料瓶或易拉罐将土生植物转变成水生植物的栽培方法
CN106359309A (zh) 一种在斜坡上用蚯蚓处理混合基质的方法
KR20170116395A (ko) 친환경 유기질비료생산 방법에 대한 기술
CN206262355U (zh) 用于餐厨垃圾处理设备的除臭系统
JP2021040525A (ja) 新規子嚢菌Pezizales sp.,及び新規子嚢菌Pezizales sp.と根粒菌Rhizobium sp.の共生を利用した減肥料栽培及び減農薬及び無農薬栽培方法
Voicea et al. Considerations concerning the composting of organic waste
CN2669585Y (zh) 干式猪舍
DuPonte et al. The Natural Farming Concept: A new economical waste management system for small family swine farms in Hawai ‘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