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395A - 친환경 유기질비료생산 방법에 대한 기술 - Google Patents
친환경 유기질비료생산 방법에 대한 기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16395A KR20170116395A KR1020160044059A KR20160044059A KR20170116395A KR 20170116395 A KR20170116395 A KR 20170116395A KR 1020160044059 A KR1020160044059 A KR 1020160044059A KR 20160044059 A KR20160044059 A KR 20160044059A KR 20170116395 A KR20170116395 A KR 201701163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rganic
- fertilizer
- organic fertilizer
- compost
- usefu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10871 livestock manur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03895 organic fertiliz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2361 compos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2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672 photosynthesi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29553 photosynthesi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41000588724 Escherichia coli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41000255789 Bombyx mori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9733 Fish meal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35558 fertil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4467 fishme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9329 organic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3543 active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7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40088710 antibio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264 compo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6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243 photosynth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186361 Actinobacteria <clas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895 di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31 s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WSOTUBLDIXVET-UHFFFAOYSA-N Dihydrogen sulfide Chemical compound S RWSOTUBLDIXVE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955 Equisetum hyemal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78870 Lavandula angustifo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63 Lavandula angust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OVCWXUNBOPUCH-UHFFFAOYSA-M Nitrite anion Chemical compound [O-]N=O IOVCWXUNBOPUC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44000178231 Rosmarinus officin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87 Su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754 Vitis X bourqui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333 Vitis X labrusc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365 Vitis vin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787 Vitis vin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05 air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29 amm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21 bacteri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5 bacterio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13 cell 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4 cultiv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720 ferti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37 hydrogen sulf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9 insecti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102 lavandula ver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219 lavend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629 microbiological 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864 oxidative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65 perm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81 soil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260 vegetative to reproductive phase transition of meriste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5253 yeast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C05F5/002—Solid waste from mechanical processing of material, e.g. seed coats, olive pits, almond shells, fruit residue, rice hu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친환경 영구유기농 발효 액비 및 유기질비료 (퇴비) 생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깻묵, 어분, 쌀겨, 게껍질, 천매암등 다양한 양질의 유기물을 혼합 유용미생물을 배양 발효 방법에 의해 양질의 액비를 생산 하고, 생초, 왕겨, 우사, 돈사 등에서 발생하는 동물의 배설물등 유기물에 유용미생물을 접균, 유해 미생물을 정균, 부패를 막아 악취 발생을 억제하고 발효하여 친환경 영구유기농 유기질비료(퇴비) 생산 방법으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액비와 유기질비료는 악취가 발생하지 않고 대장균등 유해미생물이 사멸되어 유기질비료(퇴비)가 더럽다거나 병원균을 오염시킨다는 인식을 불식시키고 실내에서 재배되는 야채 또는 화분식물 재배에 이용 할 수 있고, 유용미생물 발효 액비와 유용미생물 발효 유기질비료에 함유된 유용미생물은 토양의 지력 향상, 부패 형 토양을 활성화 시키고, 토양에 잔류한 독성 물질의 분해, 식물의 광합성작용을 도와 일조량이 적은 실내에서도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하고, 아미노산, 당류, 비타민을 합성작용, 항생물질 및 생리 활성물질생성 등으로 식물의 성장촉진, 병충해 예방, 다수확, 품질의 향상 기할 수 있어 유기질 비료만을 사용 친환경 유기농 식물재배, 정원, 공원, 골프장 잔디 등을 친환경적으로 관리 할 수 있어 국민건강을 지키고 삶의 질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기물에 유용미생물 접균 배양 발효하여 친환경 유기농 액비 및 유기질비료 (퇴비) 생산방법에 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유기질 비료인 퇴비는 동물의 배설물, 초본(草本), 왕겨, 깻묵, 기타 다양한 유기물을 부숙 과정을 거쳐 생산 된다. 유기질 비료인 퇴비는 발효와 부패가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이산화가스, 메탄가스 등이 발생 악취가 발생하고 유해 미생물인 대장균, 포도상균, 유독성 곰팡이 균의 서식 등으로 인하여 유기농 농작물 재배시 제한적으로 사용 할 수밖에 없고, 실내 작물재배와 청결을 요하는 공원, 골프장 잔디 등 식물 재배에 퇴비의 사용을 기피한다.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서 악취와 유해세균의 서식을 억제하여 악취가 발생하지 않고 유해 세균이 서식 않는 청결한 유기질비료(퇴비)가 생산 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악취가 발생하지 않고 대장균등 유해 미생물의 서식하지 않은 청결한 유기질 액비와 유기질 비료(퇴비) 생
산 방법에 대한 것으로 유용미생물을 깻묵, 쌀겨, 어분등 양질의 유기물에 접균 발효 방법으로 유기물 발효 액비를 생산하고, 유용미생물을 동물배설물 왕겨 생초등 유기물에 접균 배양 발효 유기질비료(퇴비)를 생산하는 방법으로 악취가 발생하지 않고 대장균, 포도상균 등 유해미생물의 서식과 증식을 억제된 청결한 친환경 영구유기농 액비와 유기질 비료 생산 방법이다.
유용미생물 EM액은 광합성세균 등 60여종의 미생물을 조합 제조한 유용미생물 군(君)으로, 조합 미생물 군의 일종인 광합성세균은 혐기성 또는 호기성으로 유기물은 물론 암모니아, 황화수소, 메탄, 탄산가스, 아미노산, 당류, 비타민을 합성하고 주로 혐기성 층에서 활동하면서 생태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형태를 띠면서 효모, 유산균의 증식을 돕고 환원 분해 (부패)를 억제하고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돕고, 실내에서 부족한 일조권 보충 생장을 촉진한다. 효모균과 방선균은 호기성으로 혐기성에서도 증식한다, 효모균은 유기물을 발효 분해하면서 생리 활성물질을 생성 한다, 방선균은 유해균의 번식을 억제하는 효소인 항생물질 및 생리활성물질을 생성한다, 유산균은 혐기성으로 유기물을 발효 분해하면서 유기산을 생성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는 이들 유용미생물을 조합한 합성 계 미생물은 병원(病原)의 예방이나 억제 능력이 높다, 이와 같은 특성이 있는 유용미생물인 EM액 (전주대학교 EM연구개발단 시중 판매 중)을 별첨 도 2 유용미생물 배양 방법으로 배양한 유용미생물 배양액을 유기물에 접균 발효방법으로 생산한 친환경 유기농 액비와 유기질비료(퇴비)를 토양에 시비 작물을 재배함으로서 토양의 지력 향상, 부패 형 토양을 활성화시켜 토양의 악취제거 및 활성화시키고, 화학비료등 사용으로 축적되어있는 독성물질의 분해 산화, 오염된 수질의 정화 및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도와 일조량이 부족한 실내에서도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하고, 아미노산, 당류, 비타민을 합성작용, 항생물질 및 생리 활성물질생성 등으로 식물의 성장촉진, 병충해예방, 다수확, 품질의 향상 기할 수 있어 유기질 비료 만으로 화학비료 또는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친환경적 유기농 농작물의 재배 할 수 있으며, 실내 채소 식물 및 화분 식물의 재배할 수 있고, 실외 정원 잔디, 공원 잔디, 골프장 잔디 등을 친환경적으로 관리 할 수 있어 화학비료와 농약 사용으로 사막화 되어가는 농토를 영구농업을 할 수 있도록 활성화시켜 국토를 보전하고 유기농 농작물을 재배 할 수 있는 친환경 유기질 액비와 유기질비료를 생산함으로서 유기농 농산물을 재배 비용을 감소시켜 농민의 소득 증대와 국민 건강을 지킬 수 있어 삶의 질을 높이고 한 것이다
최근 식품의 안전성이 강조되면서 인공적으로 합성된 화학비료와 농약에 의한 <4> 농산물이 오염 된 것을 인식하고, 친환경 농업과 유기농업을 권장하고 소비자들의 유기농 농산물의 소비가 늘어나면서 유기농 농산물 재배 농가가 증가하고 있다. 유기농 농산물을 생산하기위해서는 화학비료 등에 의해 오염된 토양의 정화, 인공적으로 합성된 비료 와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대장균등의 유해미생물에 오염되지 않은 청결한 유기질비료(퇴비)를 사용 농작물을 재배하여야 만이 식품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유기농 농산물을 생산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질 비료인 퇴비 생산은 생초, 왕겨, 톱밥, 동물의 배설물등 유기물을 부숙 생산하는데 유기물의 부숙은 부패와 발효가 동시 이루어지면서 악취를 발생하고 대장균등 유해미생물에 오염 유기농 농산물의 안전성을 유지 할 수 없으며 유기질비료인 퇴비가 더럽다는 인식을 가지고 되었고 또한 유기질 비료는 부숙 과정에서 유기물에 함유 된 질산, 인산, 칼리, 아미노산, 당류 등이 산화 분해되어 유기물의 영양소가 파괴 무기화 된 유기질비료가 생산되게 된다. 이와 같이 무기질화 된 유기질비료를 사용 농작물을 재배함으로서 작물 재배에 필요한 영양소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게 되므로 화학비료를 시비하게 되고 화학비료의 독성물질 등이 토양에 집적되어 토양이 산성화되면서 토양 활성화가 이루어 지지 못하고 부패 형 토양으로 변하여 작물의 성장 저해, 병충해 다발, 수확의 감소, 품질의 약화를 가져와 가격의 경쟁력을 잃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유기질비료(퇴비) 생산하면서 부숙 과정을 거치지 않고 유기물에 유용미생물을 접균 발효하여 유기물의 부패를 억제함으로서 악취가 발생하지 않고 다양한 영양소가 파괴되지 않은 질좋은 유기질 비료를 생산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산된 다양한 영양소가 함유된 유기질 액비와 유기질 비료만으로 농작물에 필요한 영양소를 공급 할 수 있고, 유기물에 접균 된 유용미생물의 유효 기능인 광합성세균은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도와 일조량이 부족한 실내에서도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하고, 아미노산, 당류, 비타민 합성작용, 항생물질 및 생리활성물질생성 등으로 식물의 성장촉진, 병충해예방, 다수확, 품질의 향상 기할 수 있어 화학합성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청결한 유기질 비료만으로 식물을 재배 할 수 있어 안정성이 유지된 유기농 농산물을 생산 할 수 있는 유기질 액비 및 유기질비료 생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기술의 문헌 정보
[문헌1] 미생물의 농업적 이용과 환경보전 (히가 데루오 저)
21쪽 11줄∼21줄, 31쪽 16줄∼21줄, 35쪽 8줄∼17줄, 52쪽 4줄∼54쪽 7줄, 82쪽∼97쪽, 159쪽∼161쪽, 198쪽 1줄∼6줄, 243쪽3줄∼244쪽11줄, 251쪽 10줄∼252쪽 4줄,
[문헌2] 21세기와 자연과학 (서울대 교수 31인 저)
미생물과 인간의 삶 (임종빈교수 편) 239쪽 14줄 ∼ 21줄, 244쪽 7줄∼22줄,
[문헌3] 미래를 들려주는 생물공학 이야기 (김은기 외 24인 저)
[문헌4]작지만 위대한 미생물 세상 (이상엽 저) 170쪽-174쪽.
[문헌5] 생태마을과 영구 농업 환경설계 가이드 (임기표 저) 574쪽∼603쪽
최근 친환경 유기농 농산물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친환경 유기농 작물을 재배하려는 농민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유기농에 대한 이렇다 할 대책이 강구되지 못하고 있어 친환경 유기농 경작 농가들은 각각 전통적인 방법에 따라 친환경 유기농법으로 농작물을 재배 생산하고 있으나, 유기농을 위한 유기질비료 및 유기농약 생산의 어려움과 생산비의 과다소요로 친환경 유기농 농산물의 생산에 많은 어려움을 격고 있다, 친환경 유기농 농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친환경 농법 기술의 적극 개발, 친환경 유기질비료와 친환경 유기농약의 생산, 독성물질 등으로부터 오염되지 않은 배양토 등에 대해 연구 개발, 농산물의 맛과 향, 색깔과 모양, 안전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농산물을 생산 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유기농업을 위해서는 토양의 개량, 화학비료와 화학농약을 대체 할 수 있는 유기질비료와 유기농약의 생산이 우선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주변 환경자원과 생태학적 시스템을 구성하여 식량을 자급자족하면서 농사에 필요한 에너지를 자급자족하는 영구농업(permaculture)과 친환경 유기농업의 기초가 되는 친환경유기농 액비와 유기질비료 생산 방법에 대한 것으로 유기물에 유용미생물을 접균 배양 발효 액비와 유기질비료(퇴비)를 생산 농경지와 농작물 등에 시비함으로서 유용 미생물의 생리 활성작용으로 지력의 향상, 오염 토양 정화, 농업용수 정화, 생리 면역물질 생성, 생육의 촉진,병충해 예방, 악취 소취, 유해 미생물의 정균 능력 등 기능성으로 유기물의 부패가 이루어지지 않고 발효되므로 유기물에 함유된 다양한 영양소가 산화되거나 파괴되지 않고 유용미생물이 함유된 액비와 유기질 비료를 토양에 시비 또는 식물에 제공됨으로서 토양의 활성화를 기하고, 식물의 생장 촉진, 병충해 예방, 맛과 향, 색깔과 모양, 안전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친환경 유기농산물을 생산 할 수 있는 영구농업과 친환경 유기농을 위한 유용미 생물 발효 액비 및 유용미생물 발효 유기질비료 생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질비료(퇴비)는 초본(草本), 동물의 배설물, 기타 유기물 <13> 등을 부숙 과정을 거처 생산하고 있다. 유기질비료(퇴비)는 생산과정에서 유기물의 부패와 발효가 동시에 일어나는 부숙 과정을 거처 생산되는데 부숙 과정에서 유기물이 일부 부패되면서 악취 발생, 유해세균의 서식, 해충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기물에 유용미생물을 접균하면 유용미생물이 폭발적으로 증식하고 발효가 이루어진다. 유기물에 접균된 유용미생물 조합 군(君)인 유산균은 유해미생물 정균, 유기물의 부패를 억제 발효 효소 화하고, 광합성세균의 광합성 작용, 방선균의 면역물질 생성기능 등 유용미생물의 다양한 생리기능을 가진 액비 와 유기질 비료 생산은, 유용미생물 배양단계, 유기물에 유용미생물 접균 단계, 발효단계, 건조단계, 친환경 유기질 액비 및 유기질비료 사용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유기물에 유용미생물 접균 발효 방법으로 친환경 유기농 액비 및 친환경 유기농 유기질비료(퇴비) 생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기물의 부패를 억제 유기물 함유 된 다양한 영양소의 소실을 막고, 악취 소취, 대장균등 유해 미생물 서식을 억제하고 유용미생물의 유효기능으로 화학비료 등에 의해 산성화되고 부패 형으로 오염 된 토양을 활성화시키고, 지력의 향상, 토양에 잔존한 독성물질의 산화분해, 농업용수 정화, 식물의 광합성작용을 돕고, 아미노산, 당류, 비타민의 합성작용, 항생물질 및 생리 활성물질생성 등으로 식물의 생장촉진, 병충해 예방, 다수확, 품질의 향상을 기할 수 있어 화학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유기질비료만으로 친환경 유기농법에 의해 농작물을 제배 할 수 있고, 악취가 발생하지 않고 유해미생물인 대장균 등이 서식하지 않은 청결한 유기질비료를 사용 실내 야채 재배, 실내 화분식물, 실외 정원, 공원, 골프장 잔디 등을 친환경적으로 관리 할 수 있고, 친환경 유기농 농산물을 생산 할 수 있어 농가 소득을 높이고, 국토의 오염 방지하여 국민 건강을 지키고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함이다.
이하 첨부 된 절차 도에 의해 친환경 발효 유기질비료 생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용미생물 배양 발효액 생산 단계
별첨 도 2 방법에 따라 유용미생물 배양 발효하여 유용미생물 발효액을 생산한다.
2, 유용미생물 발효액비 생산 단계
별첨 도3 유용미생물 발효 액비 생산 방법에 따라 쌀겨, 깻묵, 어분, 게 껍질 등과 양질의 유기물과 천매암 또는 맥반석을 2:1:1:1:0,5 비율로 혼합 발효 유용미생물 발효 액비를 생산한다.
3, 유용미생물 접균단계
-, 생초, 왕겨, 톱밥 등 건조된 유기물에 유용미생물 접균
생초, 왕겨, 톱밥등 비교적 함수율이 적은 유기물을 이용 유기질비료를 대량 물을 대량 생산하고자 할 때에는 유기물을 넓게 펼치고 도 2에서 생산한 유용미생물 배양액을 물과 1: 100비율로 희석 조루를 이용 골고루 뿌려 접균, 함수율 50% 이하가 되도록 함수율을 조정 한다. ( 밀봉 가능한 비닐 봉지등 용기를 담아 생산하고자 할 때에는 함수율을 30∼35%, 손으로 꼭 쥐면 뭉쳐지고 살짝 쥐면 부서질 정도 조정 한다, 유기물 100kg 접균에 필요한 미생물 혼합 수 25ℓ∼35ℓ가 소요 된다)
-, 우사, 돈사 등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동물 배설물의 유용미생물 접균
우사, 돈사 등에서 발생하는 배설물은 일시 대량 발생하고 강한 악취가 발생하고 함수율이 높은 유기물의 경우 건초, 왕겨, 톱밥 등 함수율이 낮은 유기물 혼합 함수율을 낮추고 넓게 펼친다음 유용미생물 배양액을 물과 1:50 비율로 혼합 조루 등을 이용 골고루 뿌려 함수율 50% 이하가 유지되도록 하면서 접균 한다.4, 유기질 액비 및 유기질비료(퇴비) 생산단계
-, 생초, 왕겨, 톱밥 등 건조된 유기물에 유용미생물 접균
유용미생물을 접균 함수율을 맞춘 생초, 왕겨, 톱밥 등은 밀봉 가능한 봉지에 담고 밀봉 혐기성 상태가 되도록 하여 직사광선이 들지 않고 따뜻한 (25℃∼45℃이하)장소에 보관하면 2∼3주가 지나면 향긋한 냄새가 나면서 발효가 완성 된다.
-. 우사 또는 돈사 배설물 또는 생초 등을 이용 대량 생산하고자하는 경우 전항에서 유용미생물을 접균 함수율 50%이하 되도록 유지하여 쌓아 올리고 비닐 등을 이용 덮어 씌워 빗물이 스며들지 않고 혐기성 상태가 되도록 유지 하면 유용미생물이 폭발적으로 증식하면서 발효가 이루어지면서 발열되므로 중심 부분이 50℃ 이상 오르면 물과 희석한 유용미생물 배양액을 뿌리면서 뒤집기 하여 산소를 공급을 공급하여 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3∼4차례 뒤집기하면 악취가 소멸되면서 함수율이 낮아지고 4∼5일이 지나면 더 이상 열이 오르지 않고 안정화 되면서 발효가 완성된다.
5. 건조단계
전 3항에서 발효가 완성된 유용미생물 발효 유기질 비료는 건조되지 않은 상태에서 비닐봉지 등에 담아 밀봉 보관하거나 건조 보관한다. 건조 시 풍건하고 열 건조 시 45℃ 이하 (유기질 비료에는 유용미생물이 살아 있고 유용미생물은 50℃ 이상 고온에서는 사멸 된다)에서 건조 한다.
6. 향초 첨가 단계
실내 화초 또는 실내 채소 재배 또는 행사장 잔디 관리를 위해서 건조한 유기질비료에 라벤다, 로즈마리 등 향초 0,5%∼1%를 혼합 허브 향을 첨가하여 허브향 유기질 비료를 생산 한다.
7. 친환경 유기농 유기질 액비 및 유기질비료 사용방법
1) 실내 유기농 야채 재배용, 묘판용 배양토 만들기
흙을 섞인 돌과 오물 등을 골라내고 위에서 제조한 친환경 발효 유기질비료유기물 1:1로 혼합하여 비닐봉지 등에 담고 밀봉하거나, 노상에서 배양토를 만들 경우 흙과 유기질비료를 섞은 다음 쌓아 올리고 비닐 등을 이용 덮어 혐기성 상태가 되도록하여 3∼4 뒤집기하고 2∼3개월 지나면 배양토가 완성되면서 토양의 활성화가 이루어지고 세균의 살균, 해충, 해충의 알, 애벌레 등이 박멸되면서 토양의 살균, 살충 효과가 있고, 악취 소취, 식물의 광합성 작용, 아미노산, 당류, 비타민을 합성작용, 항생물질 및 생리활성물질 생성 등으로 식물의 성장촉진, 병충해 예방, 다수확, 품질의 향상 기할 수 있어 일조량이 적은 실내 친환경 유기농 야채 재배용, 묘목생산을 위한 묘판용 배양토가 만들어 진다. (이때 백색 균이 발생 할 수 있으나 효과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
2) 벼농사 관리
① 벼농사 가을처리
가을걷이 후 친환경 영구유기농 발효 유기질비료를 20∼50/100평 살포하고 물을 대어 둔다. (토양의 활성화, 화학성 독성물질 제거, 병충해 예방효과, 잡초제거 등 효과가 있다)
② 벼농사 봄 처리
봄에 논을 경운 할 때 영구유기농 발효유기질비료를 20∼30/100평 살포하고 논을 간다.
③ 모심기 전후
-. 모심기 전 모심기 전 논을 고를 때 유용미생물 발효 액비를 물과 1000배 액으로 희석 600ℓ/100평 살포한다.
-. 모심은 후 10∼15일 유용미생물 발효 액비를 물과 1:1,000 비율로 희석 500∼600ℓ/100평 살포 한다.
④ 생육기
생육 상태를 보면서 유용미생물 발효 친환경 유기질비료 15∼20kg/100평 1∼2개월 간격으로 4∼5회 살포 한다 (단 비효가 늦게 발하므로 기존 화학비료 시비보다 15일 빠르게 사용 한다)
⑤ 효과
친환경 영구유기농 발효 유기질비료를 시비함으로서 토양의 생리활성, 악취 소취, 식물의 광합성 작용, 아미노산, 당류, 비타민을 합성 작용, 항생물질 및 생리활성물질 생성 등으로 식물의 성장촉진, 병충해 예방, 다수확, 품질의 향상을 기 할 수 있다.
3) 채소 및 밭갈이
① 채소 및 밭갈이는 정식 (파종) 1∼2개월 전 친환경 유기질비료 30∼50kg/100평 뿌리고 관수하여 밭을 간다.
② 종자처리는 유용미생물 발효액비 1,000배 희석 액을 만들어 30분간 담궈 두었다가 묘판에 파종 한다. 묘판에 파종 후 7∼10일이 지나면 또다시 액비를 1:1,000 비율로 희석 분무 살포 한다.
③ 정식(파종)3∼5일 전 액비를 1,000배로 희석 500∼600ℓ/100평 살포한다.
④ 생육기에는 전항과 같은 방법으로 유기질 액비를 3주∼1개월 간격으로 3∼5회 살포 한다. 유용미생물 발효 친환경 유기질비료(퇴비)살포시 30∼50kg/100평 살포하고, 유기질비료가 작물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한다.
4) 과수 관리
① 가을 처리
과일 수확 후 수지 끝부분을 20cm∼30cm 넓이로 둥근 파고 친환경 유기질비료를 50∼100kg/100평 시비하고 덮어준다.
② 봄 처리
꽃이 피기 전 유용미생물 발효 액 1,000배 희석 액을 400ℓ∼600ℓ/100평 살포 한다.
③ 옆면살포
유용미생물 발효액을 1,000로 희석 400ℓ∼600ℓ/100평 매월 정기적으로 살포 살포한다.
④ 관수
유용미생물 발효 유기질비료 100∼200g/평 살포하고 관수 하거나, 유용미생물 배양 발효 액비를 물에 1,000배로 희석 400ℓ/100평/월 살포 한다5) 정원, 공원, 골프장 등 잔디 관리 정원, 공원, 골프장 등 잔디관리 경우 유용미생물 발효액비 1,000배로 희석 400ℓ∼600ℓ/100평 살포하거나 친환경 유기질비료 100∼150g/평 시비한다.
이와 같이 시비를 하면 화학비료 또는 농약 등으로 오염된 토양의 정화, 악취소취, 토양의 활성화를 기하고 식물의 광합성 작용을 돕고 성장촉진 면역성을 길러 화학비료 또는 농약 등을 사용하지 않고 싱싱하고 건강한 친환경 잔디를 관리 할 수 있다.
Claims (2)
- 본 발명은 유용미생물을 배양액을 생초, 왕겨, 동물의 배설물, 기타 유기물 등에 접균 배양 발효 친환경 유기질 액비 및 유기질비료(퇴비)를 생산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유용미생물 배양 단계, 유용미생물 접균단계, 유용 미생물 발효 액비 생산 단계, 발효단계, 건조단계, 발효액비 및 유기질비료(퇴비)를 이용 유기농 작물 재배 방법을 특징으로, 유용미생물 접균 발효 친환경 유기농 액비 및 유기질비료(퇴비) 생산방법.
- 청구 항 1의 방법으로 제조한 유기질비료에 향초 첨가 허브 향 친환경 유기질발효비료(퇴비) 생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4059A KR20170116395A (ko) | 2016-04-11 | 2016-04-11 | 친환경 유기질비료생산 방법에 대한 기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4059A KR20170116395A (ko) | 2016-04-11 | 2016-04-11 | 친환경 유기질비료생산 방법에 대한 기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6395A true KR20170116395A (ko) | 2017-10-19 |
Family
ID=60298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4059A Withdrawn KR20170116395A (ko) | 2016-04-11 | 2016-04-11 | 친환경 유기질비료생산 방법에 대한 기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16395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2761A (ko) * | 2018-01-31 | 2019-08-08 | 전일조경주식회사 | 염분 제거용 퇴비 제조방법 |
KR102409954B1 (ko) * | 2021-11-17 | 2022-06-16 | 정윤택 | 식물 영양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2016
- 2016-04-11 KR KR1020160044059A patent/KR20170116395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92761A (ko) * | 2018-01-31 | 2019-08-08 | 전일조경주식회사 | 염분 제거용 퇴비 제조방법 |
KR102409954B1 (ko) * | 2021-11-17 | 2022-06-16 | 정윤택 | 식물 영양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WO2023090539A1 (ko) * | 2021-11-17 | 2023-05-25 | 정윤택 | 식물 영양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487621B (zh) | 一种有效减轻设施土壤连作障碍的方法 | |
CN101875571B (zh) | 增强型液体微生物有机肥料的制备方法 | |
CN101165016A (zh) | 防治线虫危害的生物有机肥制备方法及用途 | |
CN102633544B (zh) | 一种以农家肥为原料生产烟草生物肥料方法 | |
CN102206104B (zh) | 一种有机栽培土及其制备方法 | |
CN103271095A (zh) | 防治果树再植病的复合微生物菌剂及其防病方法 | |
CN101781153A (zh) | 一种灭杀地下害虫的有机肥及其制备方法 | |
CN105859338A (zh) | 一种功能性微生物土壤改良剂及其制备方法 | |
CN102124922A (zh) | 一种高营养多功能原生态能高产保健稻及其生产方法 | |
KR20100004908A (ko) | 친환경 유기농 액비 및 유기질비료(퇴비)생산 방법에 대한 기술 | |
CN104803800A (zh) | 利用蝇蛆大规模处理猪粪生产生物有机肥的方法 | |
CN107298593A (zh) | 一种牛粪尿生物处理工艺及其制备的混合栽培基质 | |
Kaur | Jeevamrutham: An effective activator of soil microorganisms | |
JPH0569801B2 (ko) | ||
CN103891447A (zh) | 一种适用于循环农业的施作工艺 | |
KR20170116395A (ko) | 친환경 유기질비료생산 방법에 대한 기술 | |
CN101928166A (zh) | 生物沃土法 | |
CN112374936A (zh) | 一种稻鸭共生复合微生物肥料及其制备方法 | |
KR100356762B1 (ko) | 복합 미생물 배양체 제조방법 및 복합 미생물 배양체를이용한 비료 제조방법 | |
CN106431661A (zh) | 一种寡雄腐霉菌肥的制备方法及应用 | |
CN108863557A (zh) | 一种抑制土传病虫害的鹿粪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 | |
JP3549268B2 (ja) | 電子有機肥料及び電子飼料の製造方法 | |
CN107148849A (zh) | 一种自然农作方法和应用 | |
CN108812113B (zh) | 平菇菌渣用于盆栽基质的方法及在蔬菜栽培中的应用 | |
CN113647317A (zh) | 一种基于无土栽培的综合果蔬种植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1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