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660Y1 - 무 환수 수족관 - Google Patents

무 환수 수족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660Y1
KR200447660Y1 KR2020070018230U KR20070018230U KR200447660Y1 KR 200447660 Y1 KR200447660 Y1 KR 200447660Y1 KR 2020070018230 U KR2020070018230 U KR 2020070018230U KR 20070018230 U KR20070018230 U KR 20070018230U KR 200447660 Y1 KR200447660 Y1 KR 2004476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aquarium
antimicrobial
artificial
pl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2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632U (ko
Inventor
전영희
윤철훈
Original Assignee
(주)에이엠에스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엠에스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주)에이엠에스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20200700182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660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6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6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6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6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3/001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using granular carriers or supports for the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3Textile-type pack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별도로 물을 환수할 필요가 없는 무 환수 수족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수족관 수중에 별도의 항균성 인공수초를 설치함에 따라 인공수초 상에 호기성미생물과 같은 부착성 미생물의 서식율을 높임으로써 인공수초 상의 미생물을 통해 수중 내 동물성 플랑크톤이나 유기퇴적물 및 그로 인해 발생되는 암모니아, 인, 아질산염등을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자연적으로 수족관 내 수질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무 환수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수중의 인 성분을 통해 물고기의 천연먹이인 호기성미생물이 자연적으로 증식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기존에 비해 먹이투여횟수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수질오염정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무 환수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수조본체 내에 항균성 인공수초가 구비되되,
상기 항균성 인공수초는,
합성수지 발포성형물로 이루어진 수초몸체와,
상기 수초몸체 표면에 부착되되, 항균부재가 내포된 항균성 직물부와,
상기 수초몸체 및 항균성 직물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환수 수족관.
수족관, 인공수초, 항균, 미생물, 무 환수

Description

무 환수 수족관 {Water changeless aquarium}
도 1 은 본 고안의 수조본체 내에 인공수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전체 개략도
도 2 는 본 고안 중 인공수초의 구조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3 은 인공수초의 형상변형 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수조본체 110 : 수용실
200 : 산소공급장치 300 : 수류모터
400 : 여과장치 410 : 수중모터
420 : 안내관 430 : 여과필터
500 : 항균성 인공수초 510 : 수초몸체
520 : 항균성 직물부 530 : 고정부재
본 고안은 수족관 내에 호기성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항균성 인공수초를 구비시킴에 따라 인공수초에 상의 미생물을 통해 수중 내 유기물들을 제거하여 자연 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환수작업이 필요 없는 무 환수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수족관이란 가정이나 도심생활공간 내에 수서생물(水棲生物)의 생태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수족관 내 생태환경을 통해 생활 내에서 자연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자연과 인간을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수족관은 흔히 가정의 거실이나 공공장소, 전시장 등에 설치되는데, 사방이 막힌 수조 내의 한정된 공간만으로 이루어진 폐쇄계(閉鎖系)형태이므로 수서생물의 사료나 배설물 등에 의해 내부의 물이 오염되기 쉽다.
따라서 수족관 내에는 잉여 사료나 배설물 등을 여과하기 위한 별도의 여과장치가 설치되는데, 기존 사용되는 여과장치에 의해 일정수준 까지의 수질정화 효과는 얻을 수 있으나, 잉여 사료나 배설물 등은 분해된 후 용존물질, 즉 암모니아, 황화질소, 질산염 등으로 변해 여전히 물 속에 남아 있게 된다.
이렇게 수중에 상기와 같이 질소, 인과 같은 영양염류들의 함유량이 높을 경우 은 성분들의 함유량이 높을 경우 부영양화(富營養化)가 쉽게 초래되기 때문에, 수중 내 조류(동물성 플랑크톤 등)가 급격하게 번식하게 됨으로 수중의 용존산 소모, 투명도 저하, 악취발생등과 같은 악영향을 미쳐, 결국 물고기들이 쉽게 폐사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더구나 서식하는 물고기 양이 많을 경우 사료의 양도 늘어나게 되고 그로 인해 잉여사료의 양도 늘어나게 됨으로 그 만큼 수조내 부영양화 현상이 빠르게 발생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유해물질들을 근본적으로 제거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물을 갈아주는 수밖에 없는데, 이러한 수족관의 물갈이 작업은 일일이 직접 수조내 물고기와 자갈, 모래등을 모두 옮겨 놓은 후 실시해야 하고 환수 후 다시 바닥에 모래, 자갈 등을 설치해야 함으로 엄청나게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대어와 같이 수조내 환경변화에 민감한 물고기는 상기와 같은 환수작업과정에서 쉽게 죽게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수작업 형태 환수작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344531호 『수족관 자동 환수장치』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수조내에 외부로 물을 빼내기 위한 배수부 및 수조내 수위변화를 감지하여 물을 보충시키는 급수부를 구비시킴으로써, 배수부와 급수부의 밸브조작만으로 수족관 내 물을 쉽게 교환할 수 있는 효과를 갖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바닥의 모래속 퇴적물이나 수조 벽면상에 위치한 조류등의 제거는 이루어질 수 없어 물이 환수 되더라도 수중의 질소와 인 성분의 제거율이 그 다지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로 급수구조와 배수구조 및 수위감지구조 등을 설치해야함으로, 그에따른 비용 및 유지보수 문제점이 발생되고, 기존과 같이 새로운 물을 항시 소비해야 함으로 그에따른 경제적 환경적인 문제가 수반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상기 종래기술과는 별도의 문제점으로써, 일반적인 수족관은 수조내에 자연수초를 키울 경우 자연수초의 광합성 작용을 위해 별도의 조명장치가 구비되어야만 할 뿐만 아니라 외부여과기등에 의해 조명장치의 조사(照射)량이 저하될 경우 자연수초가 고사하여, 결국 자연수초의 부패에 의해 수질오염이 배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환수과정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써,
먼저 별도의 항균성배양여재를 통해 박테리아 및 기타 세균의 증식은 배재시키고 수중의 질소와 인 성분을 먹이로 하는 호기성 미생물만을 선택적으로 배양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수중의 질소와 인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자연적인 수질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환수작업이 필요 없이도 항시 적정 수준의 수질이 유지될 수 있는 무 환수 수족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인 성분의 제거와 동시에 물고기의 천연먹이감인 호기성미생물의 번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기존에 비해 사료의 투여량을 줄일 수 있어 잉여사료에 따른 수질요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무 환수 수족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항균성 인공수초를 구비시킴으로써 수질정화는 물론, 자연수초에 필요한 별도의 조명장치가 필요없어 구조 및 설치비용이 간소화될 뿐만 아니라, 자연수초에 의한 수질오염이 방지되는 무 환수 수족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고안 무 환수 수족관은,
내부의 수용실에 물이 채워지는 수조본체와,
수조본체의 수용실 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수조본체의 수용실 내에 설치되는 항균성 인공수초를 포함한 것을 기본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이러한 기본구성 중 상기 항균성 인공수초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수초몸체와, 항균부재가 내포된 상태로 수초몸체에 부착되는 항균성 직물부와, 수초몸체의 하단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에 예시된 구성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 및 그 작용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 무 환수 수족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수조본체(100)와 공기공급장치(200), 항균성 인공수초(50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수조본체(100)는 실질적으로 수서생물 및 기타 수중 구조물이 수 용되는 것으로, 직방형체를 띠고 내부에는 물이 충만되는 수용실(110)이 형성되되 각 테두리에 고정프레임(120)이 위치되며 각 고정프레임(120)사이에는 투명유리(130)가 설치되어 외부에서 수용실(110)을 볼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조본체(100)의 형상 및 구조는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원형이나 기타 형상으로도 얼마든지 변형 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수조본체(100)에는 물고기(F)의 원활한 서식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데,
먼저 수중에 물고기의 생존에 필요한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수중의 이산화탄소 및 질소를 수면밖으로 빼내기 위한 산소공급장치(200)가 수용실(110)내에 설치된다.
상기 산소공급장치(200)는 일반적인 에어펌프를 사용하여 공기공급 및 수류형성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하거나, 에어레이션(aeration)을 사용하여 기포발생을 통해 보다 충분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산소공급장치(200)는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작동되고, 에어레이션 형태로 구현할 경우 수용실(110)일측 바닥에 설치하되, 에어펌프를 사용할 경우에는 전원공급 중단 시 물이 역류하여 펌프내로 들어가는 것을 막기 위해 수용실 상측에 설치하거나 별도의 역류방지밸브를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산소공급장치(200)외에 별도의 수류모터(300)가 수용실 일측벽에 더 설치되는데, 상기 수류모터(300)는 인위적인 수류(水流)형성을 통해 해수어와 같이 서식환경에 민감한 물고기에게 최대한 자연수중환경과 흡사한 서식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수중에서 영양분이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퇴적물의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수류모터(300)의 출력이 지나치게 클 경우 형성된 수류에 의해 물고기들이 떠밀리게 됨으로 물고기들에게 스트레스가 가해질 수 있고, 적정이하의 출력을 사용할 경우 자연서식환경과의 다른 수류에 의한 스트레스 및 영양분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으로, 수용실(110)의 크기와 물고기 종류에 따라 적합한 출력을 적용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수류모터(300)는 상기 산소공급장치(200)의 상측에 설치함으로써 산소공급장치(200)로부터 발생된 공기가 수류를 통해 수조 전체로 원활하게 분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류모터(300)와 산소공급장치(200)외에 후술하는 항균성 인공수초(500)와 더불어 수질개선을 위한 여과장치(400)가 더 설치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여과장치(400)는 일반적인 상면여과장치 형태로서, 수중 내 수용실 측벽에 설치되는 수중펌프(410)와, 상기 수중펌프(410)와 연결되어 펌핑된 물을 수면위로 안내하는 안내관(420) 및 수면위에 설치되어 안내관(420)을 통해 배출된 물이 걸러지는 여과필터(430)로 구성된다.
이러한 여과장치(400)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상면여과방식 외에, 여과기를 수용실 측벽에 설치하는 측면여과방식이나, 모래를 여과재로 사용하여 물을 빨아들이는 저면여과방식, 일정수위 이상 되면 물이 넘쳐 여과조를 거쳐 다시 공급되도록 하는 순환식 여과방식 중에서 선택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적용된 상면여과방식은 안내관(420)과 여과필터(430)가 수면상에 위치됨으로써 조명장치의 설치공간 확보에 방해가 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인공수초를 사용하여 광합성 용도의 조명장치 사용이 필수적이지 않기 때문에 적용에 따른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물론 상기 여과장치()는 후술하는 항균성 인공수초()만으로도 충분한 수질개선이 이루어질 경우 굳이 구비시키지 않아도 무관하다.
이상 설명한 산소공급장치(200)와 수류모터(300), 여과장치(400)외에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중의 용존 유기물에 의한 단백질을 흡착하여 거품형태로 배출시킴으로써 후술하는 항균성 인공수초와 더불어 수질을 안정시키는 단백질 제거장치(스키머;skimmer)등을 더 구비시킬 수도 있다.
상기 항균성 인공수초(500)는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무 환수 수질개선에 필요한 핵심구성요소로서, 일반적인 자연수초와 같은 형상을 띠고 수조(100)의 수용실(110)내 수중에 설치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수초몸체(510)와 항균성 직물부(520), 고정부재(530)로 구분된다.
상기 수초몸체(510)는 후술하는 항균성 직물부(520)의 부착과 수중에서의 형태고정을 위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수초잎과 같은 형상을 띠되, 두께는 약 1 내지 3mm이고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이나 폴리우레탄(polyurethane)과 같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다.
그 중에서도 햇빛에 부식이 쉽게되는 폴리우레탄보다는 상대적으로 햇빛에 강한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사용되는 폴리에틸렌은 일반적인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거나 상대적으로 인장강도나 신율이 높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수초몸체(510)는 수중에서 자체부력을 통해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발포성형을 통해 제작된다.
이와 같은 수초몸체(510)의 표면에는 항균성 직물부(520)가 구비되는데,
상기 항균성 직물부(520)는 수초몸체(510)에 부착되어 상기 항균성 직물부(520)는 수초몸체(510)에 부착되어 항균성 인공수초(500) 중 실질적으로 미생물이 서식하게 되는 부분으로, [도 2]와 같이 일반적인 직물형태로 제작되고 외형 및 크기는 수초몸체(510)와 동일하게 제작된다.
이때 직물 중에서도 부직포를 사용하는데, 이는 부직포가 일반 직물에 비해 경량성이 우수하여 수중에서 수초몸체(510)에 가해지는 무게를 최소화 할 수 있어 어느 한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또한 부직포 특성상 각 섬유간의 간격이 불규칙하기 때문에 각 섬유간 형성된 공간부 크기도 제각각 이므로, 각 공간부에 다양한 크기 및 종류의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부직포는 각 원사의 두께가 약 10㎛내지 35㎛로 미세하게 제작되어 각 원사간 공간부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생물의 서식율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항균성 직물부(520)상에는 수중의 박테이라와 악성세균등의 서 식을 차단하기 위한 항균부재(521)가 부가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항균부재(521)는 세라믹파우더의 일종으로 항균성이 우수한 일라이트(illite)분말이 수지바인더를 통해 항균성 직물부(520)상에 견고하게 부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표면에 항균성 직물부(520)가 부착된 상태의 수초몸체(510)의 하단에는 수중에서 인공수초의 위치고정을 위해 추(錘) 역할을 하는 고정부재(5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530)는 직물로 이루어진 수용주머니(532)내에 모래와 같은 충진부재(534)가 담겨있는 형태로 제작하거나, 단순히 무게중심 역할만 하기 위한 판재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수용주머니(532)내에 충진부재(534)가 충진된 형태로 제작하였을 경우, 수용주머니(532)는 부직포와 같은 직물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앞에서 설명한 항균성 직물부(520)와 마찬가지로 수용주머니(532) 상에 미생물의 서식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수용주머니(532)내의 모래(534)에서도 미생물의 서식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용주머니(532)를 부직포로 사용함으로 수초몸체(510)와 결합할 때에도 단순한 제봉만으로도 쉽게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수초몸체(510)와 수용주머니(530)간의 결합은 제봉방식 외에 별도의 체결클립(미도시)등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항균성 인공수초(500)는 다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530)를 수조바닥의 자갈 및 모래(S)속에 매설함으로써, 그 위치가 고정됨은 물론 마치 모래바닥에 서식하는 자연수초와 같은 느낌을 갖게 된다.
또한 고정부재(530)를 모래속에 직접 매설하지 않고 별도의 설치그릇(540)에 넣은 상태로 위치시킴으로써 설치그릇(540)의 디자인을 통해 장식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
[도 3]은 이러한 인공수초 형상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발포과정에서 수초몸체(510)의 형상을 물고기형상으로 제작하고 고정부재와 와이어(W)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설치 시 마치 물고기가 떠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수초형태와 이러한 물고기형태를 복합적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수조 내 내용물이 보다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항균성 인공수초의 형상 변형 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산소공급장치(200)의 작동에 의해 수중에 산소가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공급된 산소는 상측의 수류모터(300)에 의해 형성된 수류를 통해 수중 전체에 골고루 분포된다.
이와 동시에 여과장치(400)의 수중펌프(410)에 의해 토출된 물이 안내관(420)을 따라 상승하여 수면위에서 배출되고, 배출된 물은 여과필터(430)를 거친 상태로 다시 수조내에 공급되므로 수질정화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중의 자연적인 미생물이나 임의로 공급된 미생물들이 항균성 인공 수초(500)의 항균성 직물부(520)중 각 섬유사이의 공간부 내에 배양되어 서식하게 된다.
이때 항균성 직물부(520) 자체에 구비된 항균성분에 의해 수중의 악성박테리아와 세균들은 항균성 직물부(520)상에 서식이 불가능하게 되고 일반적인 호기성 미생물들이 주로 서식하게 된다.
이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항균성 직물부(520)는 각 섬유의 크기를 제한하여 제작되었기 때문에 각 섬유 간 형성된 공간부의 크기가 다양하게 형성되므로 미생물서식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 및 종류의 미생물이 모두 서식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항균성 직물부(520)상에 증식된 호기성미생물들에 의해 수중내 질소, 인 암모니아가 소비되어 여과장치(400)와 더불어 수질정화가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와 같은 서식환경에 의해 호기성미생물의 증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에 따라 기타 부유성 미생물과의 먹이경합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렇게 증식된 호기성미생물과 수중내 산소 및 암모니아성분에 의해 세포물질이 형성되며 이렇게 형성된 세포물질과 호기성미생물로부터 배출된 이산화탄소 및 물간의 동화작용에 의해 암모니아성 아민을 분해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호기성 미생물로부터 배출된 이산화탄소에의해 수중 산성(PH)도가 조절될 뿐만 아니라, 수중내 질소의 질산이온은 질소, 산화질소등으로 환원되어 제거된다.
따라서 저질 수조 바닥쪽에 영양분의 공급이 저하되므로 자연스레 영양분의 소비가 촉진됨에 따라 수질이 개선되고 이로인해 녹조류등의 증식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인 성분등의 소비를 통해 호기성미생물이 빠르게 증식되고 이러한 호기성 미생물은 다시 물고기의 천연먹이가 되므로 기존에 비해 적은양의 사료공급이 가능하게됨으로써, 잉여사료에 따른 수질오염문제도 자연스레 해결된다.
이와 같이 항균성 인공수초 상에서 배양 및 증식된 호기성미생물을 통해 활발한 생물학적 수질정화가 가능하므로 별도의 환수작업 없이도 항시 적정수준의 수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생물학적 수질개선은 항균성 거의 대부분 항균성 인공수초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단순히 항균성 인공수초의 구비 비율을 높임으로써 대형 수족관에서도 간단한 수질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인공수초를 제작하되, 항균성분이 부여된 직물부를 통해 수질개선에 필수적인 호기성미생물만을 선택적으로 배양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보다 효율적으로 수족관내 수질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이다.
또한 이렇게 유기성분의 소비를 통해 증식된 호기성미생물이 물고기의 먹이로 사용됨에 따라 기존에 비해 사료소비를 줄일 수 있어 잉여사료에 따른 수질오염문제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이다.
더불어 자연수초와 같은 형상을 통해 미생물을 배양하도록 함에 따라 미관적 으로 자연스러울 뿐만 아니라 물고기에게도 자연서식지와 같은 서식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 물고기의 생존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 무 환수 수족관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항균처리된 직물부를 통해 직물부 상에 호기성 미생물이 선택적으로 배양 증식될 수 있는 인공수초를 구비시킴으로써 호기성미생물을 통해 수중의 질소, 인 등의 성분이 소비되어 수질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기존에 비해 사료공급을 줄일 수 있어 잉여 사료에 따른 수질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 무 환수 수족관은,
먼저 항균처리된 직물부 상에 호기성미생물만 선택적으로 서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중의 질소와 인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자연적인 수질정화가 가능하므로 별도의 환수작업이 필요없이도 항시 적정수준의 수질이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 등의 성분 소비를 통해 호기성미생물의 번식이 활할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기존에 비해 사료투입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잉여사료에 따른 수질오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자연수초와 같은 형상에 미생물을 배양함에 따라 미생물의 배양환경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시각적 이질감을 전혀 느낄 수 없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사방이 막히고 내부의 수용실에 물이 채워지는 수조본체와,
    상기 수조본체의 수용실 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와,
    상기 수조본체의 수용실 내에 설치되고 표면상에 호기성미생물이 서식 및 번식되는 인공수초를 구비하되,
    상기 인공수초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수초몸체와,
    상기 수초몸체 표면에 부착되고 항균부재가 내포된 항균성 직물부와,
    상기 수초몸체 및 항균성 직물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수용실 바닥에 위치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환수 수족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성 직물부는,
    부직포와,
    상기 부직포에 일라이트(illite)분말과 수지바인더가 도포 또는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환수 수족관.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초몸체와 고정부재는 별도의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어 상호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 환수 수족관.
KR2020070018230U 2007-11-12 2007-11-12 무 환수 수족관 KR2004476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230U KR200447660Y1 (ko) 2007-11-12 2007-11-12 무 환수 수족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230U KR200447660Y1 (ko) 2007-11-12 2007-11-12 무 환수 수족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632U KR20090004632U (ko) 2009-05-15
KR200447660Y1 true KR200447660Y1 (ko) 2010-02-11

Family

ID=41299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230U KR200447660Y1 (ko) 2007-11-12 2007-11-12 무 환수 수족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66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09374A (zh) * 2015-11-12 2016-02-10 重庆绿氧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水草生态法增氧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5064A (ja) * 2002-01-11 2003-09-24 Yahagi Ryokka Kk 人工藻場材
KR200415115Y1 (ko) * 2006-02-08 2006-04-27 한영복 수족관용 수초의 거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5064A (ja) * 2002-01-11 2003-09-24 Yahagi Ryokka Kk 人工藻場材
KR200415115Y1 (ko) * 2006-02-08 2006-04-27 한영복 수족관용 수초의 거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632U (ko)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2277B2 (en) Floating treatment streambed
US5176100A (en) Aquarium with closed water recirculatory system for culturing fish and shellfish
KR102242705B1 (ko) 바이오플락 발효조와 아쿠아포닉스를 이용한 순환여과식 양식시스템
CN1105809C (zh) 用于水体生物养护的人造结构物
WO2012108456A1 (ja) 二枚貝等の底棲生物の多段式養殖装置及び養殖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バイオフィルター
CN107018941B (zh) 一种循环生态养殖系统及浮箱
JP6297816B2 (ja) アワビの養殖方法とその養殖システム
KR20080007964A (ko) 수생초목을 이용한 오수의 자연고도 정화장치
US6387265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water system habitat environment
MXPA00012318A (es) Base de resina para cultivo, dispositivo purificador de agua y metodo para utilizar la base de resina para cultivo.
CN111204920A (zh) 一种山区流水养殖尾水处理方法
KR200447660Y1 (ko) 무 환수 수족관
CN209143839U (zh) 一种用于修复黑臭水体的一体化浮岛生物床
KR102143415B1 (ko) 고순도 순환여과시스템을 이용한 아쿠아포닉스장치
KR100968614B1 (ko) 패류서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질정화 시스템
KR101281792B1 (ko) 정착성 저서동물의 사육조와 이를 이용한 순환사육장치 및 사육방법
JP3902476B2 (ja) ホタルの累代飼育システム及び方法
DE69832959T2 (de) Kunststoffaquariumaufbau, überwachungsverfahren für eine wässrige umgebung, und aquarium
JP6480071B1 (ja) 養殖装置
CN108975518B (zh) 高有机废物含量景观水体的净化装置
KR100893674B1 (ko) 내부 순환형 식생 여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과시스템
CN111087079A (zh) 附着藻优势生长的水体生物净化处理装置
JPH10244290A (ja) 水槽水の濾過方法及び濾過装置
KR20000036996A (ko) 수경 농업에 이용되는 플라스틱 파이프 부체 구조물 및이를 이용한 수질 정화방법
CN214206860U (zh) 鱼植共生负压景观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