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522Y1 - 봉인장치가 구비된 케이스 - Google Patents

봉인장치가 구비된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522Y1
KR200447522Y1 KR2020080003175U KR20080003175U KR200447522Y1 KR 200447522 Y1 KR200447522 Y1 KR 200447522Y1 KR 2020080003175 U KR2020080003175 U KR 2020080003175U KR 20080003175 U KR20080003175 U KR 20080003175U KR 200447522 Y1 KR200447522 Y1 KR 2004475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rotrusion piece
sealing
wire ho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3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232U (ko
Inventor
이태원
김용기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20080003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522Y1/ko
Publication of KR200900092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2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5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5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6Windows; Cover glasses; Sealing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케이스(100); 상기 상부케이스(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200); 및, 하나로 결합된 상기 상부케이스(100) 및 상기 하부케이스(2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봉인덮개(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봉인와이어(11)나 봉인납(22)을 파손하고 봉인덮개(300)를 제거하지 않는 한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를 체결하고 있는 나사(33)에 접근이 불가능하여 제3자가 무단으로 케이스를 개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봉인장치가 구비된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상부케이스, 하부케이스, 봉인덮개, 상부돌출편, 나사구멍, 상부봉인와이어구멍, 하부돌출편, 암나사부, 하부봉인와이어구멍, 걸림턱, 걸림턱수용홈, 중앙절개부, 돌출편수용부

Description

봉인장치가 구비된 케이스{Case with Sealing Device}
본 고안은 각종 검측기나 유량계, 또는 계량기와 같은 장치를 수납하는 케이스로서 효과적인 봉인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종 검측기나 유량계, 또는 계량기와 같은 장치를 수납하는 케이스의 경우 제3자의 임의 개방을 방지하기 위하여 봉인장치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종래의 케이스 봉인방식은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결합한 후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통과하여 체결되는 나사의 머리부분과 케이스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을 봉인와이어로 연결하고 납으로 봉인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봉인방법은 봉인와이어가 느슨하게 결속될 경우 제3자가 나사를 풀어서 케이스 내부에 수납된 유량계를 임의로 조작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고안은 새로운 구조의 봉인장치가 구비된 케이스를 제공하여 제3자가 임의로 봉인된 케이스를 개방할 수 없도록 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부케이스(100); 상기 상부케이스(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200); 및, 하나로 결합된 상기 상부케이스(100) 및 상기 하부케이스(2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봉인덮개(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00)는 상기 상부케이스(100)의 일측면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상부돌출편(110); 상기 상부돌출편(110)을 상하로 관통하는 나사구멍(111); 및, 상기 상부돌출편(110)의 중앙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을 상하로 관통하는 상부봉인와이어구멍(1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200)는 상기 하부케이스(200)의 일측면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돌출편(110)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하부돌출편(210); 상기 나사구멍(111)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하부돌출편(210)에 구비되는 암나사부(211); 및, 상기 상부봉인와이어구멍(112)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하부돌 출편(210)을 상하로 관통하는 하부봉인와이어구멍(2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봉인덮개(300)는 상기 상부케이스(100)와 상기 하부케이스(200)가 결합되고 상기 나사구멍(111) 및 상기 암나사부(211)에 나사(33)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돌출편(110)과 상기 하부돌출편(210)을 수용하는 돌출편수용부(320)가 구비되고, 상기 봉인덮개(300)의 중앙에는 상기 상부봉인와이어구멍(112)이 형성된 상기 상부돌출편(110)의 중앙부와 상기 하부봉인와이어구멍(212)이 형성된 상기 하부돌출편(210)의 중앙부가 통과하는 중앙절개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봉인와이어나 봉인납을 파손하고 봉인덮개(300)를 제거하지 않는 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체결하고 있는 나사에 접근이 불가능하여 제3자가 무단으로 케이스를 개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및 조립상태를 도시하고, 도2는 본 고안의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를 다른 방향(반대 방향)에서 본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이고, 도3은 봉인덮개의 내측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고안은 상부케이스(100), 하부케이스(200) 및 봉인덮개(300)로 구성된다.
상부케이스(100)에는 상부돌출편(110), 나사구멍, 상부봉인와이어구멍(112), 및 걸림턱(120)이 구비된다.
상부돌출편(11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00)의 일측면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부돌출편(110)의 좌우에는 상부돌출편(110)을 상하로 관통하는 나사구멍(111)이 구비되어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를 하나로 결합하는 나사(33)가 통과하게 된다.
상부돌출편(110)의 중앙부는 다른 부위와는 달리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가 되고, 돌출된 부분에는 상부돌출편(110)을 상하로 관통하는 상부봉인와이어구멍(112)이 구비되어 봉인와이어(11)가 통과하게 된다.
하부케이스(200)에는 하부돌출편(210), 암나사부(211), 및 하부봉인와이어구멍(212)가 구비된다.
하부돌출편(21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200)의 일측면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데, 상부돌출편(110)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암나사부(211)는 상부돌출편(110)의 나사구멍(111)에 대응하도록 하부돌출편(210) 좌우에 구비되어 나사구멍(111)을 통과한 나사(33)가 체결된다.
하부돌출편(210)의 중앙부도 상부돌출편(110)과 마찬가지로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가 되고, 하부봉인와이어구멍(212)이 상부돌출편(110)의 상부봉인와이어구멍(112)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봉인와이어(11)가 통과하게 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돌출편(110)이 형성된 반대측의 상부케이스(100)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120)이 구비된다.
또한 하부돌출편(210)이 형성된 반대측의 하부케이스(200) 상단부에는 걸림턱(12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걸림턱(120)을 수용하는 걸림턱수용홈(22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의 일측은 걸림턱(120)과 걸림턱수용홈(220)에 의하여 체결되고 타측은 나사(33)에 의하여 체결되는 구조가 되며, 나사(33)에 의하여 체결되는 곳에는 나사를 임의로 제거하지 못하도록 봉인덮개(300)가 부착된다.
봉인덮개(300)는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편수용부(320)와 중앙절개부(310)가 구비되어 있다.
상부케이스(100)와 하부케이스(200)가 결합되고, 나사구멍(111) 및 암나사부(211)에 나사(33)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돌출편(110)과 하부돌출편(210)은 돌출편수용부(320)에 수용되는데, 봉인덮개(300)의 중앙에는 상부봉인와이어구멍(112)이 형성된 상부돌출편(110)의 중앙부와 하부봉인와이어구멍(212)이 형성된 하부돌출편(210)의 중앙부가 통과하는 중앙절개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봉인와이어구멍(112)과 하부봉인와이어구멍(212)은 봉인덮개(300)의 중앙절개부(310)를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봉인와 이어(11)와 봉인납(22)을 이용하여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인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및 조립상태를 도시한다.
도2는 본 고안의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및 부분단면도이다.
도3은 봉인덮개의 내측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상부케이스
110:상부돌출편
111:나사구멍
112:상부봉인와이어구멍
120:걸림턱
200:하부케이스
210:하부돌출편
211:암나사부
212:하부봉인와이어구멍
220:걸림턱수용홈
300:봉인덮개
310:중앙절개부
320:돌출편수용부
11:봉인와이어
22:봉인납
33;나사

Claims (2)

  1. 상부케이스(100);
    상기 상부케이스(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케이스(200); 및,
    하나로 결합된 상기 상부케이스(100) 및 상기 하부케이스(2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봉인덮개(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케이스(100)는,
    상기 상부케이스(100)의 일측면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상부돌출편(110);
    상기 상부돌출편(110)을 상하로 관통하는 나사구멍(111); 및,
    상기 상부돌출편(110)의 중앙부가 외측으로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을 상하로 관통하는 상부봉인와이어구멍(112);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200)는,
    상기 하부케이스(200)의 일측면 상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돌출편(110)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하부돌출편(210);
    상기 나사구멍(111)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하부돌출편(210)에 구비되는 암나사부(211); 및,
    상기 상부봉인와이어구멍(112)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하부돌출편(210)을 상하로 관통하는 하부봉인와이어구멍(212);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봉인덮개(300)는,
    상기 상부케이스(100)와 상기 하부케이스(200)가 결합되고 상기 나사구멍(111) 및 상기 암나사부(211)에 나사(33)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돌출편(110)과 상기 하부돌출편(210)을 수용하는 돌출편수용부(320)가 구비되고, 상기 봉인덮개(300)의 중앙에는 상기 상부봉인와이어구멍(112)이 형성된 상기 상부돌출편(110)의 중앙부와 상기 하부봉인와이어구멍(212)이 형성된 상기 하부돌출편(210)의 중앙부가 통과하는 중앙절개부(3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장치가 구비된 케이스.
  2. 제1항에서,
    상기 상부돌출편(110)이 형성된 반대측의 상기 상부케이스(100) 하단부에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120);이 더 구비되고,
    상기 하부돌출편(210)이 형성된 반대측의 상기 하부케이스(200) 상단부에 상기 걸림턱(12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120)을 수용하는 걸림턱수용홈(22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장치가 구비된 케이스.
KR2020080003175U 2008-03-11 2008-03-11 봉인장치가 구비된 케이스 KR2004475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175U KR200447522Y1 (ko) 2008-03-11 2008-03-11 봉인장치가 구비된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3175U KR200447522Y1 (ko) 2008-03-11 2008-03-11 봉인장치가 구비된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232U KR20090009232U (ko) 2009-09-16
KR200447522Y1 true KR200447522Y1 (ko) 2010-01-28

Family

ID=41532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3175U KR200447522Y1 (ko) 2008-03-11 2008-03-11 봉인장치가 구비된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52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125B1 (ko) * 2021-11-19 2024-01-15 주식회사 큐셀네트웍스 하드웨어의 해킹 방지용 안전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8289A (ja) 2002-02-05 2003-08-15 Yazaki Corp 封印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8289A (ja) 2002-02-05 2003-08-15 Yazaki Corp 封印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232U (ko) 2009-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6111C2 (ru) Навесной замок
KR200447522Y1 (ko) 봉인장치가 구비된 케이스
US9440061B2 (en) Intravenous connection site protective device
JP2017002923A (ja) 施錠機構付きバルブと集積弁
KR200451239Y1 (ko) 다공 콘센트 보호 커버
JP6497273B2 (ja) テーブルタップ
JP6292806B2 (ja) ガス遮断装置のための保安カバー
ITMI20120672A1 (it) Dispositivo di chiusura
KR101180129B1 (ko) 공동주택용 매입형 안전 콘센트
KR200294503Y1 (ko) 수도계량기용 도수방지장치
KR20090010287U (ko) 덮개를 갖는 멀티탭
JP6710109B2 (ja) 回路遮断器
JP6845543B2 (ja) ガス栓の誤操作防止具及びそれを装着させたガス栓
EP2784253A1 (en) Electrical installation box
CN207234920U (zh) 摄像机保护装置
JP6845542B2 (ja) ガス栓の誤操作防止具及びそれを装着させたガス栓
JP2005188551A (ja) バルブの開閉ハンドルロック機構
KR100650317B1 (ko) 접착제용 용기
JP6233703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体
KR200460204Y1 (ko) 노출형 콘센트의 모서리 덮개구조
KR200472549Y1 (ko) 출입 통제용 rf카드 케이스
SK8216Y1 (sk) Skriňa elektromeru zabezpečená proti neoprávnenému otvoreniu
TWM467625U (zh) 瓶蓋結構
RU2318251C2 (ru) Пломба контрольная
KR200404378Y1 (ko) 모터기동릴레이와 과부하보호기 통합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