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945Y1 - 위치 단속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외장형 안테나 - Google Patents

위치 단속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외장형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945Y1
KR200446945Y1 KR20070020508U KR20070020508U KR200446945Y1 KR 200446945 Y1 KR200446945 Y1 KR 200446945Y1 KR 20070020508 U KR20070020508 U KR 20070020508U KR 20070020508 U KR20070020508 U KR 20070020508U KR 200446945 Y1 KR200446945 Y1 KR 2004469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part
rotating
housing
helical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20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332U (ko
Inventor
유병훈
성원모
양묘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안테나
Priority to KR20070020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945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3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3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9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9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4Pivotable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5Means for positio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62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 broadside radiating helical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조립이 간단하고, 위치 단속이 용이한 외장형 안테나의 위치 단속 기구가 개시된다. 위치 단속 기구는 구(球) 형태를 갖는 제1 회전부와 표면에 다수의 딤플(dimple)이 형성된 구(球) 형태의 제2 회전부가 하우징 내부에서 접촉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회전에 의해 제1 회전부가 딤플에 선택적으로 수용됨에 따라 커넥팅 로드와 로드 안테나의 회전 및 고정이 단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헬리컬부에 의해 제1 및 제2 회전부가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회전된다. 따라서, 구조가 간단하고, 하우징에 회전부와 헬리컬부를 수용하는 것으로 위치 단속 기구의 조립이 완료되어 조립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다.
Figure R2020070020508
외장형 안테나, 위치 단속 기구, 힌지, 딤플

Description

위치 단속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외장형 안테나{INTERMITANCE DEVICE AND EXTERNAL ANTENNA HAVING THE INTERMITTANCE DEVICE}
본 고안은 외장형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외장형 안테나의 위치를 조절하고 고정시키는 위치 단속 기구의 구조를 개선한 외장형 안테나의 위치 단속 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은 고음질/고화질의 다양한 방송을 언제 어디서나 이동 상태에서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차세대 방송으로 부각되고 있다. DMB 방송은 인공위성을 띄워 방송을 송출하는 위성 DMB와 지상의 중계기를 통해 방송을 송출하는 지상파 DMB로 대별되며, 후자의 지상파 DMB 방송은 휴대전화기, PDA, 차량용 수신기 등 DMB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청할 수 있다.
헬리컬 안테나는 현재 이동 통신용 단말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안테나의 한 형태로서, 절연체인 코어에 구리선을 헬리컬 형태로 권선하여 크기를 줄인 안테나이다. 종래의 헬리컬 안테나는 헬리컬이 형성된 헬리컬부와 로드(rod)부 및 힌지부로 이루어진다.
안테나는 지면으로부터 수직을 향한 상태에서 최적의 수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안테나를 지면과 수직으로 방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수신기의 방향을 바꿔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며,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바로 볼 수 없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테나의 위치를 조절하고 고정시키는 힌지부가 구비된다.
종래의 힌지부는 하우징과 힌지핀, 리벳, 회전캠 등의 부품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힌지부는 힌지부를 통해 2개의 파트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안테나 힌지부는 다수의 부품이 결합되어야 하는데, 부품의 결합을 위한 구조가 복잡하고, 이로 인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힌지부는 안테나가 방송 수신을 위한 최적의 수신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특정 방향 또는 특정 위치로 안테나의 위치를 조절한 후, 조절된 위치에서 안테나를 고정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를 갖는 외장형 안테나의 위치 단속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조립이 간편한 외장형 안테나의 위치 단속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위치 조절이 용이하고, 조절된 상태에서 안테나의 위치를 고정시키기가 용이한 외장형 안테나의 위치 단속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위치 단속 기구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구(球) 형태를 갖는 제1 회전부, 표면에 다수의 딤플(dimple)이 형성된 구(球) 형태를 갖고, 상기 제1 회전부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제2 회전부, 상기 하우징에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회전부에 탄성을 가하는 헬리컬부 및 일단이 상기 제2 회전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연장되도록 수용된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가 접촉 상태로 서로에 대해 회전하되 상기 제1 회전부가 상기 딤플에 수용되면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의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단속적으로 회전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는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딤플은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딤플이 상기 제1 회전부의 일부가 수용가능하도록 상기 제1 회전부 표면에 대응되는 대략적으로 반구 형태를 갖고, 상기 딤플의 직경이 상기 제1 회전부의 직경에 비해 1/3 내지 2/3의 크기를 갖는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2 회전부와 상기 로드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회전부와 상기 로드는 일체로 소결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하우징의 일 단부는 상기 제2 회전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반구형의 안착면이 형성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회전부에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헬리컬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개폐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회전부의 회전 및 고정 시 상기 제2 회전부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전부의 회전 및 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헬리컬부에 고정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위치 단속 기구를 구비하는 외장형 안테나를 개시한다. 상세하게는, 외장형 안테나는 헬리컬부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구 형태의 제1 회전부와 표면에 다수의 딤플(dimple)이 형성된 구 형태의 제2 회전부가 접촉되어 안테나의 위치를 단속한다. 여기서, 로드는 외장형 안테나의 로드부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첫째, 구형(球形)의 회전부들이 서로 접촉되어 절곡 힌지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의 표면에 소정 깊이의 딤플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회전부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둘째, 하우징 내부에 회전부들과 헬리컬부를 순차적으로 수용시킴으로써 위치 단속 기구의 조립이 완료되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단순한 조작만으로 안테나의 방향과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더불어 별도의 조작 없이도 조절된 위치에서 안테나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안테나의 위치 단속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위치 단속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안테나의 위치 단속 기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위치 단속(斷續) 기구(100)는 하우징(110), 제1 회전부(131), 제2 회전부(132), 커넥팅 로드(120) 및 헬리컬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제1 회전부(131)와 상기 제2 회전부(132) 및 상기 헬리컬부(140)를 수용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커넥팅 로드(120)가 수용되도록 소정 길이의 원통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은 내측이 상기 제1 회전부(131) 또는 상기 제2 회전부(132)가 수용되며, 상기 제1 회전부(131) 또는 상기 제2 회전부(132)의 직경보다 적어도 크거나 같은 직경의 원통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131, 132)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서 서로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수용되며,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131, 132)가 서로에 대해 상대 회전, 즉, 접촉된 상태로 미끄럼 구동이 가능하도록 수용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일 단부는 상기 회전부(131, 132) 및 상기 헬리컬부(14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구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113)에는 상기 개구부(113)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부재(115)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개폐부재(115)는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부(113)에 삽입 가능한 형태를 갖는다. 즉, 상기 개폐부재(115)는 상기 개구부(113)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소정 두께의 원형 플레이트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115)는 상기 헬리컬부(140)의 후방에서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상기 헬리컬부(1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110)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2 회전부(132)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안착면(111)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안착면(111)은 상기 제2 회전부(132)에 대응되는 반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안착면(111)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커넥팅 로드(120)가 인출될 수 있도록 인출구(112)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출구(112)는 상기 커넥팅 로드(120)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형의 개구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출구(112)의 형상이 원이 아닌 임의의 다각형 홀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출구(112)는 단일 슬릿 또는 방사상으로 겹쳐진 다수개의 슬릿 형태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출구(112)는 상기 커넥팅 로드(120)가 인출 가능한 개구부의 역할 뿐만 아니라, 상기 커넥팅 로드(120)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가이드의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커넥팅 로드(120)는 상기 인출구(112)를 따라 움직이게 되므로, 상기 커넥팅 로드(120)는 상기 인출구(112)의 형상에 의해 그 움직임이 제한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 로드(120)의 최대 회전 가능한 범위 역시 상기 인출구(112)의 형상 및 크기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제1 회전부(131)는 소정 직경을 갖는 구(球)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헬리컬부(140)는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헬리컬 안테나의 역할을 한다. 더불어, 상기 헬리컬부(140)는 외장형 안테나의 방향 및 위치 조절을 위한 동작을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헬리컬부(140)는 전도성 금속 재질로 형성된 코일을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서 소정 직경의 나선형으로 권선된다.
또한, 상기 헬리컬부(140)는 상기 제1 회전부(131)를 탄성지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헬리컬부(140)는 소정 길이의 코일 스프링이다.
즉, 상기 헬리컬부(140)는 상기 제1 회전부(131)를 상기 제2 회전부(132)를 향해 가압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도록 상기 하우징(110) 내에서 약간 압축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커넥팅 로드(120)는 상기 하우징(110) 외측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 로드(120)는 상기 제1 회전부(131)와 상기 제2 회전부(132)에 의해 회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커넥팅 로드(120)는 외장형 안테나에서 로드 안테나와 연결되는 외부 연결단이다.
상기 커넥팅 로드(120)는 상기 제2 회전부(132)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커넥팅 로드(120)는 상기 제2 회전부(132)와 일체로 소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132)는 상기 커넥팅 로드(120)에 연결되고, 표면에 다수의 딤플(dimple)이 형성된 소정 직경의 구(球)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회전부(132)는 상기 제1 회전부(131)와 동일한 직경을 갖는 구(球)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딤플(135)은 상기 제2 회전부(132) 및 상기 커넥팅 로드(120)의 위치를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2 회전부(132)의 표면에서 소정 깊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딤플(135)은 상기 제2 회전부(132)의 외주연부를 따라 균일한 간격으로 동일한 크기의 홈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딤플(135)의 크기와 배치가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딤플(135)의 위치가 상기 커넥팅 로드(120)의 위치를 결정하게 되므로, 필요한 수와 위치에 다수의 딤플(135)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딤플(135)을 조밀하게 배치하면 상기 커넥팅 로드(120)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딤플(135)의 크기를 크게 형성할수록 상기 제1 회전부(131)와 상기 제2 회전부(132)의 결합력을 증가시켜 상기 커넥팅 로드(120)의 위치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131)와 상기 제2 회전부(132)는 상기 제1 회전부(131)가 상기 딤플(135) 내부로 수용되도록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 로드(1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회전부(131)가 상기 각 딤플(135)에 선택적으로 수용됨으로써, 상기 커넥팅 로드(120)의 위치가 단속된다. 특히, 상기 헬리컬부(140)가 상기 제1 회전부(131)를 상기 제2 회전부(132)에 대해 탄성력을 가해 가압시키므로, 상기 제1 회전부(131)와 상기 제2 회전부(132)는 항상 일정 이상의 결합력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팅 로드(120)가 임의의 일 위치로 조절되면 다시 상기 커넥팅 로드(120)의 위치를 변경하기 전까지는 상기 헬리컬부(140)에 의해 안정적으로 상기 커넥팅 로드(120)의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1 회전부(131)가 상기 딤플(135)에 수용되면, 상기 제1 회전부(131)와 상기 제2 회전부(132)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상기 제1 회전부(131)와 상기 제2 회전부(132) 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딤플(135)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딤플(135)은 상기 제1 회전부(131) 직경의 1/3 크기의 직경을 갖는 원일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131)가 상기 딤플(135)에서 인출되어 상기 제2 회전부(132)의 표면과 접촉되면, 상기 제2 회전부(132) 및 상기 커넥팅 로드(120)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기 커넥팅 로드(1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1 회전부(131)와 상기 제2 회전부(132)는 구(球) 형태를 갖고,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회전부(131)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딤플(135)의 가장자리 부분은 완만한 곡면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제2 회전부(132)는 상기 하우징(110)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반구형의 안착면(111)에 수용된다. 상기 안착면(111)은 상기 제2 회전부(132)를 둘러싸서 상기 제2 회전부(13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회전 동작시 상기 제2 회전부(13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구 형태의 상기 제1 회전부(131)는 상기 제2 회전부(13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회전부(131) 역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131)가 같이 회전하는 경우, 상기 커넥팅 로드(120)의 위치를 정확히 고정시킬 수 없으므로, 상기 제1 회전부(131)는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부(131)를 상기 하우징(110)에 대해 고정시키는 경우 상기 회전부(131, 132)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상기 제1 회전부(131)는 상기 헬리컬부(140)에 대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회전부(131)는 상기 헬리컬부(140)에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회전부(131)와 상기 헬리컬부(140)의 고정수단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헬리컬부(140)의 일단이 상기 제1 회전부(131)를 관통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그 이외에도 실질적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단속 기구(100)는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위치 단속 기구(100)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위치 단속 기구(100)는 상기 하우징(110)에 상기 제2 회전부(132), 상기 제1 회전부(131), 상기 헬리컬부(140)를 순차적으로 수용시키고, 상기 개폐부 재(115)로 상기 하우징(110)을 폐쇄시킴으로써 조립이 완성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110)의 개구부(113)는 상기 제1 회전부(131) 및 상기 제2 회전부(132)의 출입이 가능한 크기로 개구되어 있다.
상기 커넥팅 로드(120)가 상기 인출구(1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 회전부(132)를 상기 하우징(110)에 수용시키고, 상기 제2 회전부(132)는 상기 안착면(111)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부(131)와 상기 헬리컬부(140)를 순차적으로 수용하면, 상기 헬리컬부(140)에 의해 상기 제1 회전부(131)가 상기 제2 회전부(132)에 가압 접촉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회전부(131)는 상기 딤플(135) 중 하나의 딤플(135)에 수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회전부(131)는 상기 커넥팅 로드(120)가 상기 인출구(112)의 중심을 관통하는 초기 위치에 고정시키는 딤플(135)에 안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개폐부재(115)로 상기 개구부(113)를 폐쇄하면 상기 위치 단속 기구(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115)는 상기 하우징(110)을 폐쇄시켜 상기 위치 단속 기구(100)의 구성요소들을 일체화 시키고, 상기 헬리컬부(140)의 후방에서 상기 헬리컬부(140)의 탄성력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球) 형태를 갖고, 표면에 딤플(135)이 형성된 회전부(131, 132)를 이용하여 간단한 구조로서 절곡 힌지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개구부(113)를 통해 구성요소들을 수용시킴으로써 조립이 완료되므 로, 구성요소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가 불필요하며, 고정을 위한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장형 안테나의 위치 단속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개시도;
도 2는 도 1의 위치 단속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위치 단속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위치 단속 기구 110: 하우징
111: 안착면 112: 인출구
113: 개구부 115: 개폐부재
120: 로드(rod) 131: 제1 회전부
132: 제2 회전부 135: 딤플(dimple)
140: 헬리컬부

Claims (8)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구(球) 형태를 갖는 제1 회전부;
    표면에 다수의 딤플(dimple)이 형성된 구(球) 형태를 갖고, 상기 제1 회전부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제2 회전부;
    상기 하우징에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1 회전부에 탄성을 가하는 헬리컬부; 및
    일단이 상기 제2 회전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연장되도록 수용된 커넥팅 로드;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가 접촉 상태로 서로에 대해 회전하되 상기 제1 회전부가 상기 딤플에 수용되면 상기 제1 및 제2 회전부의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단속적으로 회전하는 외장형 안테나의 위치단속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와 상기 제2 회전부는 동일한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안테나의 위치 단속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딤플은 상기 제1 회전부의 표면 일부가 수용되는 반구 형태를 갖고, 상기 딤플의 직경은 상기 제1 회전부의 직경의 1/3 내지 2/3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안테나의 위치 단속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와 상기 커넥팅 로드는 일체로 소결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안테나의 위치 단속 기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 단부에는 상기 제2 회전부를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반구형의 안착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안테나의 위치 단속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헬리컬부와 상기 제1 회전부는 고정 형성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장형 안테나의 위치 단속 기구.
  8. 삭제
KR20070020508U 2007-12-21 2007-12-21 위치 단속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외장형 안테나 KR2004469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20508U KR200446945Y1 (ko) 2007-12-21 2007-12-21 위치 단속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외장형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20508U KR200446945Y1 (ko) 2007-12-21 2007-12-21 위치 단속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외장형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332U KR20090006332U (ko) 2009-06-25
KR200446945Y1 true KR200446945Y1 (ko) 2009-12-11

Family

ID=41320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20508U KR200446945Y1 (ko) 2007-12-21 2007-12-21 위치 단속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외장형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9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682Y1 (ko) 2008-10-01 2011-03-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꺾임 구조를 갖는 안테나 지지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524B1 (ko) * 2013-08-23 2014-11-07 주식회사 알.에프.텍 안테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413U (ko) * 1996-11-22 1998-08-05 박병재 절첩식 로드 안테나
JP2007295450A (ja) * 2006-04-27 2007-11-08 Nippon Antenna Co Ltd 携帯電子機器用アンテナ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413U (ko) * 1996-11-22 1998-08-05 박병재 절첩식 로드 안테나
JP2007295450A (ja) * 2006-04-27 2007-11-08 Nippon Antenna Co Ltd 携帯電子機器用アンテ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682Y1 (ko) 2008-10-01 2011-03-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꺾임 구조를 갖는 안테나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332U (ko)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945Y1 (ko) 위치 단속 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외장형 안테나
KR100320056B1 (ko) 무선 통신 장치용 비신축식 안테나 조립체
JP2004128982A (ja) 着脱式アンテナ装置
US7869842B2 (en) Folder type portable terminal with variable-type grounding unit
KR20100068896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0724425B1 (ko)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2007300525A (ja) 携帯電子機器用アンテナ
JPH08288722A (ja) 多重アーム・アンテナ素子を収容するレドームおよびその方法
JP2008146981A (ja) 導通ヒンジ
US20060125699A1 (en) Collapsible antenna device
JP2007295450A (ja) 携帯電子機器用アンテナ
KR20070023987A (ko) 휴대 단말기용 안테나 장치
KR200431969Y1 (ko) 위치조절이 용이한 안테나
US6975275B2 (en) Electric wave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of portable terminal
JP2007174486A (ja) 携帯電子機器用アンテナ
JP2010041421A (ja) 携帯電子機器用のアンテナ
JP2002330013A (ja) アンテナ装置
KR20110015984A (ko) 스파이럴 안테나가 구비된 안테나 모듈
KR100779745B1 (ko) 절첩식 휴대용 단말기의 프리 스탑 힌지 모듈
JP2007318207A (ja) 伸縮式アンテナ
KR200449775Y1 (ko)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20050031035A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100749743B1 (ko) 힌지안테나결합체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77387B1 (ko) 피치 조절이 가능한 헬리컬 안테나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0123797Y1 (ko) 무선통신기의 주파수 선택형 안테나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