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425B1 -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425B1
KR100724425B1 KR1020050094034A KR20050094034A KR100724425B1 KR 100724425 B1 KR100724425 B1 KR 100724425B1 KR 1020050094034 A KR1020050094034 A KR 1020050094034A KR 20050094034 A KR20050094034 A KR 20050094034A KR 100724425 B1 KR100724425 B1 KR 100724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delete delete
rotating cylinder
circuit board
antenn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8763A (ko
Inventor
이은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4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425B1/ko
Priority to CNA2006101599862A priority patent/CN1945895A/zh
Publication of KR20070038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8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회로기판을 내장하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된 고정축을 감싸면서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원통; 상기 회전 원통의 외주 상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2 이상의 안테나들;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채로 상기 고정축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원통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안테나들과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부재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 멀티 안테나, 주파수

Description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MOBILE PHONE COMPRISING MULTI-ANTENN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멀티 안테나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B-B' 절단선에 따른 확대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1의 A-A' 절단선에 따른 확대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멀티 안테나가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멀티 안테나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의 A-A' 절단선에 따른 확대 부분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멀티 안테나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것.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멀티 안테나가 회전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휴대 단말기의 멀티 안테나의 전기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
도 10은 도 8의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용 과정을 도시한 순 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단말기 본체 111 : 케이스
112 : 회로 기판 120 : 폴더부
121 : 표시부 130, 230 : 멀티 안테나 모듈
131, 231 : 시디엠에이 안테나 132, 232 : 디엠비 안테나
133, 233 : 회전 원통 134, 234 : 모터
135 : 고정축 235 : 베어링
136, 236 : 접속 부재 137, 237 : 판 스프링
본 발명은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다수개의 안테나를 구비함으로써, 광대역의 전파를 깨끗하고 정확하게 송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의 여러 가지 기능에 따라 적절한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안테나 이용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실내 또는 실외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중에도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이동 통신기기로서, 초기의 음성 송수신에 한정되었던 기능이 게임, MP3 청취, 인터넷 및 TV 시청 등 다양한 기능을 수 행하는 기기로 발전되고 있다.
특히, 이동 통신의 전송 속도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3세대(3G) 통신이 일반화되었으며, 디엠비(DMB :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송 청취 기술이 급격히 발전함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엠비 방송을 시청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3세대 통신 기술은 대략 2GHz 전후의 주파수를 이용하며, 전송 속도가 128kbps에서 2Mbps에 이르고 있으며, 우리 나라에서는 시디엠에이(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에 의한 부호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이용하여 800MHz 대역 또는 1.8GHz 대역의 주파수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디엠비 방송은 위성 디엠비와 지상 디엠비 방송이 있는데, 특히 위성 디엠비는 위성을 통하여 중계된 방송을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시청하는 것으로, L-band(1 내지 2 GHz)와 S-band(2 내지 4 GHz)의 주파수를 이용한다.
한편, 종래에 일반적으로 알려진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는, 헬리컬 안테나와, 그 헬리컬 안테나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모노폴 안테나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상기 헬리컬 안테나(helical antenna)는 금속을 나사선 모양으로 감아서 만든 안테나로서, 꽤 넓은 범위의 주파수 대역에서 이득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안테나이다.
또한, 상기 모노폴 안테나(monopole antenna)는 다이폴 안테나(dipole antenna)의 수용 부피를 줄이기 위하여 거울 효과(mirror effect)를 이용하여 1/4 파장에서의 공진 주파수 전파를 수신하는 안테나로서, 접촉 면적이 넓기 때문에 세기가 약한 전파도 수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헬리컬 안테나와, 모노폴 안테나를 조합하여 형성한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는, 시디엠에이 통신용 전파와 디엠비 방송 수신용 전파를 동시에 수신하기 위하여, 매우 넓은 범위의 주파수 대역을 커버할 수 있어야하며, 그에 따라 수신 감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시디엠에이 통신용 안테나는 일반적으로 민감성(sensitivity)이 크기 때문에 디엠비 방송 수신의 사용을 제한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시디엠에이 통신용 전파와 디엠비 방송 수신용 전파를 모두 수신하는 대신에, 양자의 전파를 수신하는 감도나 이득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다수개의 안테나를 구비함으로써, 광대역의 전파를 깨끗하고 정확하게 송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의 여러 가지 기능에 따라 적절한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안테나 이용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로기판을 내장하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된 고정축을 감싸면서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원통; 상기 회전 원통의 외주 상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2 이상의 안테나들;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채로 상기 고정축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원통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안테나들과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기판을 내장하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단말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원통; 상기 회전 원통의 외주 상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2 이상의 안테나들;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채로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원통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안테나들과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부재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멀티 안테나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B-B' 절단선에 따른 확대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 절단선에 따른 확대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멀티 안테나가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확대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100)의 단말기 본체는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폴더부(120)와, 본체부(110)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멀티 안테나 모듈(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10)와 그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폴더부(120)를 구비한 폴더형 휴대 단말기를 제시하였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에 지나지 아니하며, 단말기 본체와 그 전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드부를 구비한 슬라이더형 휴대 단말기 또는 본체부와 폴더부(또는 슬라이드부)가 일체로 형성된 휴대 단말기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상기 본체부(110)는, 본체부(110)의 외함을 형성하는 케이스(111)와, 케이스(111)의 내부에 내장되어 휴대 단말기(100)를 전기적으로 작동 및 제어하는 회로 기판(112)과, 본체부(110)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후술할 폴더부(12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113)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11)는 전면에 번호를 입력하거나 메뉴를 선택하는 버튼 입력부(미도시)가 형성된 전면 케이스(111a)와, 전면 케이스(111a)와 상호 조립되어 본체부(110)의 외함을 형성하는 배면 케이스(111b)로 구성되며, 내부에 회로 기판(112)을 내장하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은 안테나들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휴대 단말기(10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안테나 개구부(111c)가 형성된다.
상기 회로 기판(112)은 휴대 단말기(100)를 전기적으로 작동 및 제어하는 기능을 하며, 일반적으로 인쇄 회로 기판(PCB)으로 이루어지며 가요성 재질로 형성된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FPCB)으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상기 회로 기판(112)은 후술할 폴더부(120)의 표시부(1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후술할 모터(134)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표시부(121)에 표시되는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 모드(예를 들어, CDMA 모드 또는 DMB 모드)에 적합한 안테나가 휴대 단말기(1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모터(134)를 회전시키며, 이와는 반대 로 휴대 단말기(100)의 외부로 특정 안테나가 돌출되면 그 특정 안테나에 적합한 사용 모드가 표시부(12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폴더부(120)는, 본체부(110)의 힌지부(113)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폴더부(120)의 전면에 형성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21)와, 폴더부(120)의 배면에 형성되어 시간, 경보 등과 같은 약식 정보를 표시하는 서브 표시부(122)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 안테나 모듈(130)은, 시디엠에이 안테나(131)와, 디엠비 안테나(132)와, 상기 2개의 안테나(131, 132)가 외주면에 구비되며 중공부(133a)가 형성된 회전 원통(133)과, 회전 원통(133)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134)와, 회전 원통(133)의 중공부(133a)에 삽입되고 휴대 단말기(100)의 내벽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축(135)과, 고정축(135)의 외주면에 설치된 접속 부재(136)로 구성된다.
상기 시디엠에이 안테나(CDMA antenna)(131)는 이동 통신 기술인 부호 분할 다중 접속 방식(CDMA)을 이용하여 전파를 송수신할 경우에 적합하도록 800MHz 또는 1.8GHz 주변의 주파수에 적합한 대역폭을 가진다.
상기 디엠비 안테나(DMB antenna)(132)는 디엠비 방송 수신이 가능하도록 L-band(1 내지 2 GHz) 또는 S-band(2 내지 4 GHz) 주변의 주파수에 적합한 대역폭을 가진다. 특히, 국내에서는 S-band 범위 내의 전파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S-band 주변의 주파수에 적합한 대역폭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시디엠에이 안테나(131) 또는 디엠비 안테나(132)는 도 3에 상 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컬 안테나(1311)와, 모노폴 안테나(131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헬리컬 안테나(1311)는, 헬리컬 안테나 케이스(1311a)의 내부에 밀봉되어 있으며, 금속이 나사선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헬리컬 안테나(1311)의 피치, 리드, 산/골의 크기 등에 따라 주파수 대역이 달라지므로 원하는 주파수 대역에 맞도록 헬리컬 안테나(1311)의 상기 인자(factor)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모노폴 안테나(1312)는, 헬리컬 안테나(1311)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헬리컬 안테나 케이스(1311a)의 상부 개구부를 통하여 상하로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모노폴 안테나(1312)는, 상부 모노폴(1312a)과, 상부 모노폴(1312a)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공부를 통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하부 모노폴(1312b)의 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상부 모노폴(1312a)의 상단에는 둥근 접시 형상의 모노폴 단부(1312c)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모노폴(1312a)을 상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하부 모노폴(1312b)이 상부 모노폴(1312a)의 중공부에서 슬라이딩 하게 되어 상부 모노폴(1312a)이 상방향으로 길게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모노폴 안테나(1312)의 길이 변화는 주파수 대역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원하는 주파수 대역에 맞도록 모노폴 안테나(1312)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시디엠에이 안테나(131)와 디엠비 안테나(132)를 상기와 같이 헬리컬 안테나(1311)와 모노폴 안테나(1312)의 조합으로 형성할 경우, 각각의 장점을 수용하게 되므로, 넓은 범위의 주파수 대역에서 약한 세기의 전파도 잘 수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와 같은 헬리컬 안테나와 모노폴 안테나의 조합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디엠에이 안테나(131)와 디엠비 안테나(132)는 상호 90도 만큼 이격하여 회전 원통(133)의 외주면에 삽입된다. 상기 안테나(131, 132)들의 하단에는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한 접속 핀(131a, 13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접속 핀(131a, 132a)이 회전 원통(133)의 내주면보다 더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터(134)는 회전 원통(133)에 직접 연결되어, 회전 원통(133)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 경우, 모터(134)는 펄스 신호에 따라 90도씩 회전하는 스텝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상기 고정축(135)은 회전 원통(133)의 중공부(133a)에 삽입되며, 휴대 단말기(100)의 내벽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축(135)의 외주면 일부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시디엠에이 안테나(131) 및 디엠비 안테나(132)의 하단에 형성된 접속 핀(131a, 132a)과 전기 접속이 가능한 접속 부재(136)가 부착된다.
이 경우, 접속 부재(136)는 시디엠에이 안테나(131)와 디엠비 안테나(132)가 이격한 거리만큼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4 및 도 5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디엠비 안테나(132)가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에 위치한 경우에는 접속 부재(136)와 전기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디엠비 안테나(132)를 사용하지 않고, 모터(134)가 90도 회전하여 디엠비 안테나(132)가 휴대 단말기(100)의 외부에 위치하게 된 경우에는 접속 부재(136)와 전기 접속이 이루어져서 디엠비 안테나(132)와 시디엠에이 안테나(131)를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접속 부재(136)의 일단에는 고정축(135)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 크기 돌출 형성되며 절연체로 구성된 판 스프링(137)이 구비된다. 이 판 스프링(137)은 시디엠에이 안테나(131)가 도 4에서 반시계 방향(C.C.W)으로 회전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디엠비 안테나(132)가 사용자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시계 방향(C.W)으로 회전함으로써 접속 부재(136)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100)의 작용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멀티 안테나가 회전한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휴대 단말기의 멀티 안테나의 전기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고, 도 10은 도 8의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용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112)은 표시부(121)와 모터(134)에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체부(110)의 전면에 형성된 버튼 입력부를 눌러서, 표시부(121)에 표시되는 여러 가지 메뉴 중에서 DMB 모드를 선택(Y1)하는 경우에는, 회로 기판(112)이 모터(134)에 제어 신호(F1)를 송신하여 모터(134)를 시계 방향(C.W)으로 회전(S1)시키게 된다.
그러면, 모터(134)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 원통(133)의 외주면에 구비된 디엠비 안테나(132)는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에 위치해 있다가, 휴대 단말기(100)의 외부로 돌출됨과 동시에 접속 핀(132a)이 접속 부재(13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디엠비 안테나(132)가 전기적으로 작동되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121)를 통하여 디엠비 방송을 시청하게 된다.
이 경우, 디엠비 안테나(132)는 휴대 단말기(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디엠비 방송에 적합한 주파수 대역에서 깨끗하고 정확한 전파를 수신하여 표시부(121)를 통하여 디엠비 방송을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가 본체부(110)의 전면에 형성된 버튼 입력부를 눌러서, 표시부(121)에 표시되는 여러 가지 메뉴 중에서 DMB 모드를 제외한 다른 모드(예를 들어, 카메라, 데이터 전송, 기타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Y2)에는, 회로 기판(112)이 모터(134)에 제어 신호(F1)를 송신하여 모터(134)를 반시계 방향(C.C.W)으로 다시 역회전(S2)시키게 된다.
그러면, 모터(134)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 원통(133)의 외주면에 구비된 디엠비 안테나(132)는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로 위치됨과 동시에 접속 핀(132a)이 접속 부재(136)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 된다. 따라서, 디엠비 안테나(132)는 작동을 멈추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사용자가 강제로 디엠비 안테나(132) 또는 시디엠에이 안테나(131)를 시계 방향(C.W)으로 회전(Y3)시킴으로써,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에 위치하던 디엠비 안테나(132)를 휴대 단말기(100)의 외부로 돌출시킴과 동시에 디엠비 안테나(132)의 접속 핀(132a)을 접속 부재(136)에 전기 접속시키면, 모터(134)는 회로 기판(112)에 역 제어 신호(F2)를 송출하게 되고, 회로 기판(112)은 자동으로 표시부(121)를 DMB 모드로 전환(S3)하게 된다.
따라서, 디엠비 안테나(132)가 전기적으로 작동되며, 사용자는 표시부(121)에 송출된 디엠비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강제로 디엠비 안테나(132) 또는 시디엠에이 안테나(131)를 반시계 방향(C.C.W)으로 역회전(Y4)시킴으로써 디엠비 안테나(132)를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로 위치시킴과 동시에 디엠비 안테나(132)의 접속 핀(132a)과 접속 부재(136)의 전기 접속을 차단하게 되면, 모터(134)는 회로 기판(112)에 역 제어 신호(F2)를 송출하게 되고, 회로 기판(112)은 자동으로 표시부(121)를 DMB 모드를 제외한 다른 모드(예를 들어, 기본 화면)로 전환(S4)하게 된다.
따라서, 디엠비 안테나(132)는 동작을 멈추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시디엠에이 안테나(131)는 회전을 하게 되더라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상 휴대 단말기(100)의 외부에 돌출되어 있고, 시디엠에이 안테나(131)의 접속 핀(131a)은 항상 접속 부재(136)와 전기 접속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디엠비 방송을 시청중이라도, 전화가 걸려오거나 문자 메세지가 오더라도 문제없이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접속 부재(136)의 일단에는 판 스프링(13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디엠에이 안테나(131)가 반시계 방향(C.C.W)으로 회전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디엠비 안테나(132)가 사용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휴대 단말기(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부품 또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멀티 안테나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A-A' 절단선에 따른 확대 부분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 구비되는 멀티 안테나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단말기 본체는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120)와, 본체부(110)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멀티 안테나 모듈(230)로 구성된다.
여기서, 멀티 안테나 모듈(230)은, 시디엠에이 안테나(231)와, 디엠비 안테나(232)와, 상기 2개의 안테나(231, 232)가 외주면에 구비된 회전 원통(233)과, 회전 원통(233)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234)와, 휴대 단말기 내벽에 설치되어 모터(234)의 회전을 지지하는 베어링(235)과, 휴대 단말기의 내벽에 설치된 접속 부재(236)로 구성된다.
상기 시디엠에이 안테나(231) 및 디엠비 안테나(232)에 대한 설명은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준용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와 달리, 접속 핀(231a, 232a)은 시디엠에이 안테나(231) 및 디엠비 안테나(232)의 하부 배면측에 형성된다.
회전 원통(233)은 모터(234)의 모터축(234a)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회전 원통(233)의 외주면에는 상기 2개의 안테나(231, 232)가 90도 간격으로 설치된다.
모터축(234a)은 휴대 단말기의 내벽에 설치된 베어링(235)에 의하여 회전 지지된다.
상기 접속 부재(236)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모터(234)가 회전할 경우, 시디엠에이 안테나(231)의 접속 핀(231a)이 그리게 되는 회전 경로와 일치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속 핀(231a, 232a)과 전기 접속될 수 있도록 휴대 단말기의 내벽과 상기 2개의 안테나(231, 232) 사이에 위치하도록 휴대 단말기의 내벽에 고정 설치된다.
접속 부재(236)의 일단에 돌출 형성된 판 스프링(237)에 대한 설명은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준용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작용 원리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표시부(121)의 사용 모드를 DMB 모드로 선택(Y1)하게 되면, 회로 기판(112)으로부터 제어 신호(F1)를 받은 모터(234)가 회전(S1)하게 되고, 그에 연동되어 회전 원통(233)의 외주면에 설치된 디엠비 안테나(232)는 휴대 단말기의 외부로 돌출됨과 동시에, 디엠비 안테나(232)의 접속 핀(232a)은 접속 부재(236)에 전기 접속된다. 따라서, 디엠비 안테나(232)가 전기적으로 작동되며, 사용자는 디엠비 방송을 시청하게 된다.
사용자가 표시부의 사용 모드를 DMB 모드가 아닌 다른 모드로 전환하거나 DMB 모드를 오프(OFF)(Y2)하게 되면, 회로 기판(112)으로부터 제어 신호(F1)를 받은 모터(234)가 회전하게 되고, 그에 연동되어 회전 원통(233)의 외주면에 설치된 디엠비 안테나(232)는 휴대 단말기의 내부로 위치하게 되고 디엠비 안테나(232)의 접속 핀(232a)은 접속 부재(236)로부터 전기 분리된다. 따라서, 디엠비 안테나(232)는 동작을 멈추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강제로 디엠비 안테나(232) 또는 시디엠에이 안테나(231)를 회전(Y3)시켜서 디엠비 안테나(232)를 휴대 단말기의 외부로 돌출시킴과 동시에 디엠비 안테나(232)의 접속 핀(232a)을 접속 부재(236)에 전기 접속시키면, 모터(234)는 회로 기판(112)에 역 제어 신호(F2)를 송출하게 되고, 회로 기판(112)은 표시부(121)의 사용 모드를 DMB 모드로 전환(S3)하게 된다. 따라서, 디엠비 안테나(232)가 전기적으로 작동되며, 사용자는 디엠비 방송을 시청하게 된다.
사용자가 강제로 디엠비 안테나(232) 또는 시디엠에이 안테나(231)를 회전(Y4)시켜서 디엠비 안테나(232)를 휴대 단말기의 내부로 위치시킴과 동시에 디엠비 안테나(232)의 접속 핀(232a)을 접속 부재(236)로부터 전기 분리시키면, 모터(234)는 회로 기판(112)에 역 제어 신호(F2)를 송출하게 되고, 회로 기판(112)은 표시부(121)의 사용 모드를 DMB 모드가 아닌 다른 모드로 전환하거나 DMB 모드를 오프(Y4)하게 된다. 따라서, 디엠비 안테나(232)는 동작을 멈추게 된다.
기타 구체적인 작용 원리는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를 준용 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다수개의 안테나를 구비함으로써, 광대역의 전파를 깨끗하고 정확하게 송수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의 여러 가지 기능에 따라 적절한 안테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안테나 이용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 모드를 전환하면 자동으로 안테나가 휴대 단말기의 내외부를 회동할 수 있으며, 반대로 안테나를 휴대 단말기의 내외부로 회동시키면 자동으로 사용 모드가 전환될 수 있는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다만, 상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하여야만 본 발명이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31)

  1. 회로기판을 내장하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에 장착된 고정축을 감싸면서 상기 고정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원통;
    상기 회전 원통의 외주 상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2 이상의 안테나들;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채로 상기 고정축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원통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안테나들과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부재를 포함하는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2. 회로기판을 내장하는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단말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 원통;
    상기 회전 원통의 외주 상에 이격되게 배치되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2 이상의 안테나들;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 채로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원통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안테나들과 선택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부재를 포함하는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에는 안테나 개구부가 개구되고,
    상기 안테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회전 원통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안테나 개구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외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 원통의 회전을 탄성 제한하는 판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원통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 원통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안테나들이 상기 회전 원통의 외주면에 이격된 각도만큼씩 회전되는 스텝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회로 기판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 원통이 강제 회전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회로 기판에 역 제어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디엠에이 안테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엠비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들 각각의 일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접속 부재와 접촉되는 접속 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050094034A 2005-10-06 2005-10-06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724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034A KR100724425B1 (ko) 2005-10-06 2005-10-06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NA2006101599862A CN1945895A (zh) 2005-10-06 2006-09-29 具备有多重天线的便携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4034A KR100724425B1 (ko) 2005-10-06 2005-10-06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763A KR20070038763A (ko) 2007-04-11
KR100724425B1 true KR100724425B1 (ko) 2007-06-04

Family

ID=38045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034A KR100724425B1 (ko) 2005-10-06 2005-10-06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24425B1 (ko)
CN (1) CN194589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415B1 (ko) * 2006-09-11 2007-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KR101056309B1 (ko) * 2010-01-29 2011-08-11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의 안테나 접속부
CN102931485B (zh) * 2012-11-12 2014-07-23 深圳市首达电子有限公司 多功能WiFi装置
CN106027086B (zh) * 2014-09-04 2019-03-26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Wi-Fi天线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032A (ko) * 2003-12-09 2005-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밴드 내장 안테나 구동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6032A (ko) * 2003-12-09 2005-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밴드 내장 안테나 구동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8763A (ko) 2007-04-11
CN1945895A (zh) 200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2158B2 (ja) 放送用受信機付き携帯電話
JP4269183B2 (ja) 携帯端末のアンテナ装置および放送波を受信可能な無線機
EP2448065B1 (en) Mobile communiction terminal with a frame and antenna
JP3955041B2 (ja) 携帯電話機
EP1770875A1 (en) Mobile telephone device
KR20030019636A (ko) 휴대무선 단말장치
KR20110123995A (ko) 휴대용 단말기의 가변형 내장 안테나 장치
WO2005107082A1 (ja) 放送用受信機付き携帯電話
WO2006082860A1 (ja) 携帯無線機
JPH11317616A (ja) 移動電話用指向性アンテナ
EP0872023A1 (en) Flip cover and antenna assembly for a portable phone
KR100724425B1 (ko) 멀티 안테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WO2010028522A1 (en) Mobile multimedia terminal antenna system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JP2007074491A (ja) 携帯端末機器
WO2007138682A1 (ja) 携帯無線機
JP2006304072A (ja) 携帯無線装置
EP1758201A2 (en) Antenna device using support for portable terminal
US20100053456A1 (en) Mobile Multimedia Terminal Antenna System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JP4830544B2 (ja) 多周波共振アンテナ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端末
JP4201696B2 (ja) 携帯無線機
KR100663518B1 (ko) 휴대 단말기의 안테나 스위치 장치
WO2011135851A1 (ja) 無線端末
JP4480046B2 (ja) 携帯無線機
JP2006166260A (ja) 折畳式携帯無線機
JP2005318407A (ja) 放送用受信機付き携帯電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