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775Y1 -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775Y1
KR200449775Y1 KR2020080009143U KR20080009143U KR200449775Y1 KR 200449775 Y1 KR200449775 Y1 KR 200449775Y1 KR 2020080009143 U KR2020080009143 U KR 2020080009143U KR 20080009143 U KR20080009143 U KR 20080009143U KR 200449775 Y1 KR200449775 Y1 KR 2004497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winding
winding member
antenna system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9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380U (ko
Inventor
주영일
Original Assignee
주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일 filed Critical 주영일
Priority to KR2020080009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775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3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3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7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08Means for collapsing antennas or parts thereof
    • H01Q1/085Flexible aerials; Whip aerials with a resilient base
    • H01Q1/087Extensible roll- up a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4Supports; Mounting means for wire or other non-rigid radia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62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 broadside radiating helical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1/00Electrically-long antennas having dimensions more than twice the shortest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11/02Non-resonant antennas, e.g. travelling-wave antenna
    • H01Q11/08Helical antennas

Abstract

안테나의 형태를 감김이 용이하게 한 안테나 시스템은 안테나, 권취 부재, 탄성 부재, 권취 제어부 및 연결부를 포함한다. 안테나는 전파를 송수신하고, 그 단면이 원호 형상이고, 상기 권취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한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권취 부재에 용이하게 감기도록 형성되며, 또한 인출되었을 때, 독립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권취 부재는 안테나를 감는다. 탄성 부재는 권취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며, 권취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안테나를 권취 부재에 감는다. 권취 제어부는 안테나의 권취 여부를 조절한다. 연결부는 안테나를 안테나가 설치될 전자기기와 연결해 준다. 안테나 시스템은 안테나, 권취 부재 및 탄성 부재를 감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권취 부재는 권취 제어부와의 결합을 통해 안테나의 감김을 억제하기 위해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권취 제어부는 안테나의 권취 여부를 조절하기 위해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는 누름 버튼 및 누름 버튼과 연결되어 걸림턱에 걸리거나 해제되는 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이 많거나 복잡한 어느 상황에서도 안테나의 형태를 감김이 용이하게 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안테나가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안테나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ANTENNA SYSTEM AND ELECTR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테나의 형태를 감김이 용이하게 한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테나란 전기적인 신호를 전파로 바꾸어 주거나 그 반대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안테나는 사용목적과 주파수 대역에 따라 크기와 형태가 달리 사용되는데, 송신용 안테나와 수신용 안테나는 그 기본원리는 같으나, 사용하는 주파수에 따라 모양이 여러 가지로 달라진다.
안테나의 특성은 주로 임피던스, 이득, 지향성의 3요소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임피던스는 전류가 흐르기 어려움을 나타내는 양인데, RIG와 동축 케이블, 그리고 안테나 모두 각각의 임피던스 값을 가지고 있다. 이 세 임피던스 값이 일치할 때에 가장 효과적으로 전파가 전해진다. 이득은 안테나의 성능을 의미하는데, 이득이 높은 안테나를 사용하면 작은 출력으로도 멀리 있는 무선국과 효과적인 교신을 할 수 있다.
지향성은 안테나가 특정한 방향으로 전파를 더 많이 보내는 성질을 말하는데, 안테나의 용도에 따라 지향성이 있는 안테나를 사용하거나 모든 방향으로 동일하게 전파를 보내는 무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한다.
안테나의 대표적인 형태로는 TV 방송 수신용 안테나로 많이 쓰이는 야기 안테나와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휩 안테나가 있다.
최근 DMB와 휴대폰, 네비게이션 같이 안테나가 장착되는 전자 기기들이 소형화, 휴대성이 중요시 되면서 안테나의 크기 또한 점점 소형화 되어가는 추세다. 그리고 대부분의 안테나는 전자 기기의 한 곳에 장착되어 직선으로 뻗어있는 형태를 가지는데, 이런 형태의 제약으로 인해 사람들이 많거나 복잡한 곳에서 안테나가 장착되어 있는 전자 기기 사용시 안테나가 손쉽게 부러지거나 휘어져 파손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고안은 사람이 많거나 복잡한 어느 상황에서도 안테나가 장착된 전자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이 간편하고, 안테나가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포함 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은 안테나, 권취 부재, 탄성 부재, 권취 제어부 및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 시스템은 일 실시예로, 상기 안 테나, 상기 권취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를 감싸는 하우징을 덧대어 이동이 편리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하우징을 덧대지 않고, 상기 안테나 시스템이 필요한 전자기기 내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안테나는 전파를 송수신하고, 그 단면이 원호 형상이고, 상기 권취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한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권취 부재에 용이하게 감기도록 형성되며, 또한 인출되었을 때, 독립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권취 부재는 상기 권취 제어부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안테나의 감김을 억제하기 위해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권취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권취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안테나를 상기 권취 부재에 감는다. 상기 권취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의 권취 여부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는 누름 버튼 및 상기 누름 버튼과 연결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거나 해제되는 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누름 버튼은 슬라이드식 버튼을 차용하여 상기 안테나의 권취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안테나와 상기 안테나가 설치될 전자기기와 연결해 주고, 상기 안테나와 상기 전자기기간의 전기에너지 전송을 위한 급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헬리컬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헬리컬 안테나는 상기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상기 안테나와 수직 또는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전자기기에 따르면, 사람이 많거나 복잡한 어느 상황에서도 안테나가 장착된 전자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이 간편하고, 안테나의 형태를 감김이 용이하게 하여 안테나가 휘어지거나 부러지는 불편함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은 안테나(100), 하우징(110), 권취 부재(120), 탄성 부재(130), 권취 제어부(140) 및 연결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100)는 전파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써, 탄성이 좋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10)은 상기 안테나(100), 상기 권취 부재(120) 및 상기 탄성 부재(130)를 감싸주어 상기 안테나 시스템을 보호하고, 상기 안테나 시스템의 이동이 용이하게 해준다.
상기 권취 부재(120)는 상기 안테나(100)를 감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권취 부재(120)는 상기 권취 제어 부(140)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안테나(100)의 감김을 억제하기 위해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1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30)는 상기 권취 부재(120)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탄성 부재(130)는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되어 있는 중심축(112)을 중심으로 상기 권취 부재(120)를 회전시켜 상기 안테나(100)를 상기 권취 부재(120)에 감는다.
상기 연결부(150)는 상기 안테나(100)를 상기 안테나(100)가 설치될 전자기기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150)의 일단은 상기 권취 부재(120)에 감긴 상기 안테나(100)의 가장 안쪽 부분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150)의 타단은 상기 전자기기와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150)의 타단에는 상기 전자기기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커넥터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150)는 상기 안테나(100)와 상기 전자기기간의 전기 에너지 전송을 위한 급전선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권취 제어부(140)는 상기 안테나(100)의 권취 여부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110) 외부에 설치되는 누름 버튼(142) 및 상기 누름 버튼(142)과 연결되어 상기 걸림턱(144)에 걸리거나 해제되는 턱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누름 버튼(142)은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고, 상기 누름 버튼(142)의 누름 여부에 따라 상기 안테나(100)의 권취 여부가 조절된다. 상기 턱부(146)는 상기 누름 버튼(142)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 버튼(142)의 누름 여부에 따라 상기 걸림턱(144)에 걸리거나 해제된다.
이하, 상기 누름 버튼(142)에 의하여 상기 안테나(100)의 권취 여부가 조절 되는 메커니즘을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1의 안테나 시스템을 B-B'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인출되어 있는 상기 안테나(100)를 되감기 위하여 상기 누름 버튼(142)을 누르면, 상기 누름 버튼(142) 측은 하강하고 상기 누름 버튼(142)의 반대측에 형성된 턱부(146)는 상승하게 된다. 상기 턱부(146)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턱부(146)에 걸려 있던 상기 걸림턱(144)이 걸림에서 해제되어 안테나(100)의 되감기가 이루어진다.
반대로, 상기 안테나(100)를 인출하여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안테나(100)를 외부로 잡아 당기면 상기 안테나(100)가 일방향으로 돌아가면서 상기 권취 부재(120)에 한 방향으로 경사면을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는 상기 걸림턱(144)을 상기 턱부(146)가 경사면을 타고 회전하게 되어 상기 안테가(100)가 인출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 안테나(100)를 놓으면, 상기 탄성 부재(130)의 되감기 탄력에 의해 상기 안테나(100)가 타방향으로 감겨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상기 걸림턱(144)에 상기 턱부(146)가 걸리게 되면서, 상기 안테나(100)가 정지되어 독립하여 지탱하게 된다.
도 4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안테나 부분 측면도이고, 도 5 는 도 1의 안테나 부분을 A-A'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안테나(100)는 상기 권취 부재(120)에 감김이 용이하고, 펼쳤을 때 독립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권취 부재(120)를 향하 는 방향으로 오목한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00)의 단면이 곧은 선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권취 부재(120)에 감김은 용이하지만 펼쳤을 때, 독립하여 지지 되기 힘들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100)는 독립하여 지지 될 수 있도록 그 단면을 원호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안테나(100)가 상기 권취 부재(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볼록한 단면을 갖는 경우, 상기 권취 부재(120)에 용이하게 감기지 아니한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100)는 상기 권취 부재(1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한 단면을 갖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안테나가 인출되어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안테나를 약간 더 인출하는 경우, 상기 안테나가 상기 탄성 부재(130)의 되감기 탄력에 의해 감겨 들어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안테나 시스템은 권취 제어부를 제외하면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누름 버튼(142) 대신 슬라이드식 버튼(143)을 차용하여 상기 안테나(100)의 권취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식 버튼(143)을 하단으로 내리면, 인출되어 있는 상기 안테나(100)가 상기 슬라이드식 버튼(143)에 걸리게 되어 인출이 정지되고, 상기 슬라이드식 버튼(143)을 상단으로 올리면,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안테나(100)가 상기 탄성 부재(130)의 되감기 탄력에 의해 감겨 들어가게 된다.
도 7 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7 에 도시된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하우징(110)을 제외하면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하우징(110)을 덧대지 않고, 안테나 시스템을 필요로 하는 전자기기(160) 내에 배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LCD(162)와 조작 버튼(164) 등을 구비하고 있는 전자기기(160)는 연결부(150)를 통해 안테나 시스템과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헬리컬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헬리컬 안테나(152)를 제외하면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은 상기 하우징(110) 외부에 노출된 상기 안테나(100)와 수직 또는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10)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헬리컬 안테나(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헬리컬 안테나(152)는 전방향 지향성을 가지고, 통상 소형으로 제작되어 위성통신 및 휴대용 단말기 등의 내부에 적용되어 이동용이나 휴대용으로 쓰일 수 있다.
이렇게, 헬리컬 안테나(152)를 더 포함하는 경우, 안테나의 수신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안테나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100)를 감을 수 있는 상기 권취 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권취 부재(120)를 상기 중심축(11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는 되감기 탄력이 있는 상기 탄성 부재(130)를 포함하여, 상기 안테나(100)의 형태를 감김이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안테나(100)의 권취 여부를 상기 누름 버튼(142) 및 상기 누름 버튼(142)과 연결된 상기 턱부(146) 및 상기 권취 부재(120)의 측면에 있는 상기 걸림턱(144)을 이용해 조절하여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이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이 많거나 복잡한 어느 상황에서도 본 고안에 의한 안테나가 장착된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안테나가 휘어지더라도 탄성에 의해 다시 본래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휘어져 파손되거나 부러지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설명 및 아래의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고안을 예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져야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설명을 위한 도 1 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안테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1을 B-B'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안테나 부분 측면도이다.
도 5 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시스템의 안테나 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도 1의 안테나 부분을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식 버튼을 차용한 안테나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덧대지 않은 안테나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리컬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시스템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안테나 110: 하우징
120: 권취 부재 130: 탄성 부재
140: 권취 제어부 150: 연결부

Claims (9)

  1. 탄성이 있는 금속으로 형성되며,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를 감기 위한 권취 부재;
    상기 권취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권취 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안테나를 상기 권취 부재에 감는 탄성부재;
    상기 안테나의 권취 여부를 조절하는 권취 제어부; 및
    상기 안테나를 상기 안테나가 설치될 전자기기와 연결해 주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테나는 그 단면이 원호 형상이고, 상기 권취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한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권취 부재에 용이하게 감기도록 형성되며, 또한 인출되었을 때, 독립하여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상기 권취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를 감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부재는 상기 권취 제어부와의 결합을 통해 상기 안테나의 감김을 억제하기 위해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제어부는,
    상기 안테나의 권취 여부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는 누름 버튼; 및
    상기 누름 버튼과 연결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리거나 해제되는 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안테나와 상기 전자기기간의 전기에너지 전송을 위한 급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7. 제1항,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안테나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헬리컬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헬리컬 안테나는 상기 하우징 외부에 노출된 상기 안테나와 수직 또는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시스템.
KR2020080009143U 2008-05-02 2008-07-09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200449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9143U KR200449775Y1 (ko) 2008-05-02 2008-07-09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838 2008-05-02
KR2020080009143U KR200449775Y1 (ko) 2008-05-02 2008-07-09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380U KR20090011380U (ko) 2009-11-05
KR200449775Y1 true KR200449775Y1 (ko) 2010-08-09

Family

ID=4155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9143U KR200449775Y1 (ko) 2008-05-02 2008-07-09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77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4094A (ja) * 2005-04-22 2006-11-02 Casio Comput Co Ltd 携帯電話機
KR100793303B1 (ko) * 2006-07-28 2008-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이중 대역 안테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4094A (ja) * 2005-04-22 2006-11-02 Casio Comput Co Ltd 携帯電話機
KR100793303B1 (ko) * 2006-07-28 2008-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이중 대역 안테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380U (ko)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7364B1 (en) Antenna device, conversion adaptor, and receiver
US10811764B2 (en) Wireless wearable electronic device communicatively coupled to a remote device
CN1973403A (zh) 便携式电话装置
US8525740B2 (en) Mobile terminal
JP4861093B2 (ja) アンテナ装置
JP2005286895A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携帯無線装置
KR100449436B1 (ko) 안테나 각도조절이 가능한 휴대폰
EP0961343A2 (en) Telescopic antenna assembly for portable phone
KR200449775Y1 (ko)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US7383060B2 (en) Mobile phone with FM antenna
US8125404B2 (en) Monopole antenna with high gain and wide bandwidth
JP2006332749A (ja) アンテナ内蔵ストラップ
KR101888986B1 (ko) 무선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KR20100003052U (ko) 안테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JP4469760B2 (ja) 携帯型無線装置
US7397441B1 (en) Antenna element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486515B1 (ko) 무선 이어-마이크
KR101098419B1 (ko) 듀얼공진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장치
KR10050480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파송수신장치
JP3763244B2 (ja) 受信装置
KR101030141B1 (ko) 내장형 안테나 모듈
WO2009035180A1 (en) Strap-typed dmb antenna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612723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tenna arrangement
KR100451921B1 (ko) 안테나및그제조방법
KR20110015984A (ko) 스파이럴 안테나가 구비된 안테나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