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751Y1 - 로만 쉐이드 - Google Patents

로만 쉐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751Y1
KR200446751Y1 KR20070017967U KR20070017967U KR200446751Y1 KR 200446751 Y1 KR200446751 Y1 KR 200446751Y1 KR 20070017967 U KR20070017967 U KR 20070017967U KR 20070017967 U KR20070017967 U KR 20070017967U KR 200446751 Y1 KR200446751 Y1 KR 200446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clip
rotating
roman shad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179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447U (ko
Inventor
최창식
Original Assignee
최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창식 filed Critical 최창식
Priority to KR200700179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751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4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4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7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05Areas of differing opacity for light transmission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17Light path control; means to control refl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2009/2423Combinations of at least two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2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flexibly-interconnected horizontal or vertical strips; Concertina blinds, i.e. upwardly folding flexible screens
    • E06B2009/2622Gathered vertically; Roman, Austrian or festoon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로만 쉐이드의 특징을 유지하되, 종래의 설치면적에 설치되어, 하나의 커튼이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도 차양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실외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고, 통풍조절이 용이하며,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로만 쉐이드에 관한 것으로, 조절몸체, 캡, 가이드, 조절장치 및 클립이 구비된 조절줄로 구성된 조절부와, 체결편이 형성된 회전몸체, 회전장치, 커튼클립이 걸려진 회전줄로 구성된 회전부와, 커튼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 쉐이드 이다.
상기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커튼이 하부로 펼쳐진 상태에서도 차양조절이 용이함과 동시에, 통풍조절이 용이하고, 실내의 사용자가 커튼이 하부로 펼쳐진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실외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효과와, 설치면적을 확장시키지 않고도 종래의 로만 쉐이드의 특징을 유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통풍과 차양 및 실외 풍경을 감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치에 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지 않은 일반 사용자가 용이하게 설치하여 실시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실내의 분위기에 맞는 통상의 로만 쉐이드와 본 고안의 로만 쉐이드를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블라인드, 로만쉐이드, 롤 블라인드, 커튼, 통풍

Description

로만 쉐이드 {roman shade}
본 고안은 단이 형성되는 커튼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 쉐이드에 관한 것으로, 로만 쉐이드의 특징을 유지하되, 종래의 설치면적에 설치되어, 하나의 커튼이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도 차양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실외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고, 통풍조절이 용이하며,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천장에 설치되는 조절부와 그 조절부에 구비되는 회전부 및 그 회전부의 전방에 망사로 형성되되, 천으로 형성된 덮개가 별도로 구비된 커튼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 쉐이드이다.
일반적인 로만 쉐이드는 창문의 천장에 설치되되, 하부 면이 없는 직사각 형태로 형성된 몸체와, 그 몸체를 관통하여 구비된 회전봉과, 그 회전봉이 회전되도록 상기 몸체의 한쪽 끝에 봉과 연결되어 구성된 회전장치와, 다수의 횡 봉이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상기 몸체의 전면에 구비된 커튼과, 상기 회전장치의 동작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도록 회전봉과 커튼의 횡 봉에 연결된 줄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로만 쉐이드는 회전장치를 동작시켜 회전봉이 좌ㆍ우로 회전되고, 그 회전되는 회전봉에 의해 줄이 감기거나 풀리는 작동을 한다.
위와 같이 회전장치에 의해 회전봉에 줄이 감길 경우, 그 줄과 연결된 다수의 횡봉에 의해 커튼이 단이 형성되어 상부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단이 형성되는 커튼에 의해, 실내의 분위기가 한층 돋보이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간편한 조작으로 실내의 거주자가 실외의 풍경도 감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차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 1과 같이 제1회전장치(1a)와 제2회전장치(1b)를 천장에 설치하고, 제1횡봉(2a)과 제2횡봉(2b)이 상기 제1회전장치(1a)와 제2회전장치(1b)가 각각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구성하며, 제1횡봉(2a)의 회전에 따라 감기거나 풀어지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한 제1커튼(3a)을 구비하고, 제2횡봉(2b)의 회전에 따라 감기거나 풀어지도록 통상의 커튼으로 형성한 제2커튼(3b)을 구비한 것으로 구성됨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성의 롤 블라인드도 실시되고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이중구성의 롤 블라인드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각각의 회전장치(1a, 1b)를 조작하여 각각의 회전봉(2a, 2b)을 개별적으로 회전시켜, 그 회전되는 각각의 회전봉(2a,2b)에 의해 투명한 제1커튼(3a)과 투명하지 않은 제2커 튼(3b)이 개별적으로 상ㆍ하로 이동되고, 이렇게 개별적으로 이동되는 투명한 제1커튼(3a)과 투명하지 않은 제2커튼(3b)이 교차하는 면적의 위치와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작동한다.
상기 배경기술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단이 형성되면서 커튼이 상부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일반적인 로만 쉐이드는 실내의 차양을 조절하거나, 실외의 풍경을 감상하기 위해, 커튼 전체를 상ㆍ하로 이동시켜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상기 배경기술에 기재된 이중구조의 롤 블라인드는 투명한 커튼과 투명하지 않은 커튼이 각각 구비되고, 그 각각의 커튼을 개별적으로 상ㆍ하 이동시키기 위해 2개의 회전장치와 2개의 회전봉이 수평으로 구비됨에 따라, 설치면적이 넓은 문제가 있고, 실내의 원활한 통풍을 위해 두 개의 회전장치를 개별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두 개의 커튼을 상부로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의 로만 쉐이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망사로 형성된 망사커튼의 전방에 천으로 형성된 덮개를 별도로 구비한 커튼을 구비하되, 천장에 설치되어 상기 덮개를 독립적으로 상ㆍ하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조절부와 그 조절부의 하부에 결합홈과 결합편을 통해 상기 커튼 전체를 독립적으로 상ㆍ하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회전부로 구성하여, 종래의 로만 쉐이드가 설치될 수 있는 천장의 면적에 설치되어, 하나의 커튼이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도 차양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고, 실외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으며, 통풍조절이 용이하고, 사용자가 간 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조절부와 회전부가 상ㆍ하로 결합하고 그 회전부에 커튼이 구비되어 그 회전부에 의해 커튼이 상ㆍ하로 조절되고, 조절부에 의해 커튼의 덮개가 독립적으로 상ㆍ하로 조절되는 구성을 통해, 커튼이 하부로 펼쳐진 상태에서도 실내의 사용자가 용이하게 실외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고, 사용자가 간편하게 실내의 차양과 통풍을 조절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조절부의 체결홈과 회전부의 체결편을 통해 일체로 형성되어, 조절부의 상부 면이 천장에 접하여 설치되는 본 고안의 구성을 통하여, 설치면적을 확장시키지 않고도 일반적인 로만 쉐이드의 특징을 유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통풍과 차양 및 실외 풍경을 감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절부와 회전부가 체결홈과 체결편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되고, 덮개클립과 커튼클립을 통해, 회전줄과 커튼이 끼움 방식으로 용이하게 연결되고, 조절줄과 덮개 또한 끼움 방식으로 용이하게 연결되는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해, 설치에 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지 않은 일반 사용자가 간편하게 설치하여 실시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실내의 분위기에 맞는 통상의 로만 쉐이드와 본 고안의 로만 쉐이드를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단이 형성되는 커튼을 특징으로 하는 일반적인 로만 쉐이드의 특징을 유지하되, 종래의 설치면적에 설치되어, 하나의 커튼이 펼쳐져 있는 상태에서도 차양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실외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고, 통풍조절이 용이하며,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로만 쉐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대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로만 쉐이드에 있어서,
"H"자 형태의 빔으로 형성되되, 하부의 양 끝단에 체결홈(111)이 형성된 조절몸체(110)가 구비되고, 구멍(10)이 형성된 가이드(130)가 조절몸체(110) 내부에 삽입되며, 조절몸체(110)의 한쪽에 조절줄(150)을 고정하는 조절장치(140)가 구비되고, 덮개클립(160)이 구비되되, 그 덮개클립(160)에 커튼클립(240a)이 끼움 된 조절줄(150)이 가이드(130)의 구멍(10)과 조절장치(140)를 통과하면서 구비되어, 상기 조절줄(150)에 의해서 커튼클립(240a)이 상·하 이동하는 조절부(100)와;
"ㄱ"자 형태의 빔으로 형성되되, 상부 면에 상기 체결홈(111)에 삽입되는 체결편(21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30) 하부의 조절줄(150)이 통과하는 또 다른 구멍(10)이 형성된 회전몸체(210)가 구비되고, 그 회전몸체(210) 하부에 회전줄(250)을 감거나 풀어내는 회전장치(230)가 구비되며, 또 다른 커튼클립(240b)이 구비된 회전줄(250)이 그 회전장치(230)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줄(250)에 의해서 커튼클립(240b)이 상·하 이동하는 회전부(200)와;
직사각형태로 형성되되, 후면에 상기 회전줄(250)에 구비된 커튼클립(240b)이 고정되어 상·하 이동하는 망사커튼(310)과, 망사커튼(310)보다 작은 직사각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조절줄(160)의 또 다른 커튼클립(240a)이 고정되어 상·하 이동하는 덮개(320)가 망사커튼(310)의 전면에 층층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몸체(210)의 전면에 망사커튼(310)의 상부가 고정되는 커튼(300)으로 구성됨 특징으로 하는 로만 쉐이드.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시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배경기술을 도시한 사시 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 도이며, 도 3은 도 2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조절부와 회전부의 분해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장치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상기 본 고안의 조절부(100)는 도 4와 같이, 단면이 "H"자인 빔(beam)으로 형성하되, 양 측면의 상ㆍ하부에 "ㄷ"자 모양의 체결홈(111)을 형성한 조절몸체(110)와, 그 조절몸체(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형성한 캡(120)을 한쪽 측면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구멍(10)을 형성한 수평면 형태의 가이드(130)를 형성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덮개클립(160)을 고정하여, 그 덮개클립(160)에 커튼클립(240a)을 연결한 조절줄(150)을 상기 가이드(130)의 구멍(10)에 통과시켜 하부로 연장되도록 구비한 후, 상기 조절몸체(110)의 하부에 형성한 체결홈(111)의 상부로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도 5와 같이, 물품이 고정된 줄이 그 물품의 무게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 통상의 조절장치(140)가 상기 캡(130)을 구비한 조절몸체(110)의 다른 반대쪽에 상기 조절줄(150)과 연결시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조절부(100)의 구성요소 중, 덮개클립(160)은 도 3의 커튼클립(240a)과 동일한 형태인, "8"자 형태의 링으로 형성하되, 상부의 링이 하부의 링보다 작고, 하부 링의 일부가 절개된 형태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회전부(200)는 도 4와 같이, 단면의 형태가 "ㄱ"자인 빔(beam)으로 형성하되, 상부 면의 양 끝단에 상기 조절몸체(110)의 체결홈(111)과 대응하는 체결편(211)을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130)의 구멍(10)과 대응하는 또 다른 구멍(10)을 형성하고, 수직부재의 전면에 걸림 편을 형성한 회전몸체(210)와 그 회전몸체(21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한 지지구(220)를 상기 회전몸체(210)의 양 측면에 구비한다.
그리고 원형 파이프 형태로 형성하되, 측면에 홈(231a)을 형성한 회전봉(231)과, 다수의 커튼클립(240b)을 꿴 회전줄(250)을 상기 회전봉(231)의 홈(231a)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봉(231)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고정구(232)를 회전봉(231)의 양 끝단에 구비되며, 다수의 구슬을 일정한 간격으로 꿴 기어줄(235)과, 그 구슬이 걸리도록 형성된 기어(233)가 구비되고, 커버(234)로 덮인 회전장치(230)가 상기 지지구(220) 사이에 구비하는 것으로 구성된 것이다.
위 회전부(200)의 구성요소 중, 회전장치(230)는 일반적인 롤 블라인드에 사용되는 것으로, 기어줄(235)을 당김으로써 기어(233)가 회전되고, 그 기어(233)의 회전에 의해 회전봉(231)이 회전되도록 구성된 것이고, 커튼클립(240a, 240b)은 덮개클립(160)보다 크게 형성하되, 상기 덮개클립(160)의 하부 링이 커튼클립(240a)의 상부 링에 끼워지도록 형성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커튼(300)은 도 1과 도 3 및 도 6과 같이, 빛을 투과하거나 실외의 풍경을 볼 수 있으며, 공기가 원활하게 통하는 망사형태의 직물 지로 형성하되, 조절줄(150)이 관통할 수 있는 구멍(10)을 상부에 형성하고, 그 망사형태의 직물지 후방에 상기 커튼클립(240a)의 하부 링이 끼워져서 고정되는 크기의 횡봉(330)을 일정한 간격에 맞추어 다수 구비한 망사커튼(310)과, 망사커튼(310)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하되, 빛이 투과되지 않은 통상의 덮개(320)로 형성하고, 하부에 횡봉(330)을 구비한 덮개(320)를 상기 망사커튼(310) 전면에 층층이 구비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절부(100)와 회전부(200) 및 커튼(300)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창문이 형성된 천장에 조절부(100)의 상부 면을 접합시켜 고정하고, 그 조절부(100) 하부에 형성된 체결홈(111)에 회전부(200)의 체결편(211)을 삽입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하되, 조절부(100)의 하부로 연장된 조절줄(150)을 상기 회전부(200)의 회전몸체(210)에 형성된 구멍(10)을 통과하여, 회전부(200)의 하부로 연장되도록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몸체(210)의 전방에 커튼(300)을 결합하고, 상기 회전부(200)의 하부로 연장된 조절줄(150)을 커튼(300)의 구멍(10)에 통과시켜서 그 커튼(300)의 전방으로 연장하고, 그 조절줄(150)에 고정된 덮개클립(160)에 연결된 커튼클립(240a)의 절개된 하부 링을 상기 커튼(300)의 전면에 층층이 구비된 덮개(320)의 횡봉(330)에 끼워 연결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회전부(200)의 하부로 연장된 회전줄(250)에 구비된 커튼클립(240b)을 상기 커튼(300)의 후방에 구비된 횡봉(230)에 끼워 고정하는 것으로 결합완성한다.
위와 같이, 상기 통상의 덮개(320)와 연결된 조절부(100)만이 천장에 접하는 것만으로, 설치면적을 확장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설치되어 실시되는 효과가 있고, 덮개클립(160)과 연결된 커튼클립(240a)을 용이하게 착ㆍ탈 시킬 수 있어서, 본 고안의 설치에 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지 않은 일반 사용자들이 다양한 크기의 덮개(220)가 구비된 커튼(300)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가 직접 조절부(100)와 회전부(200)를 간편하게 착ㆍ탈 할 수 있음에 따라, 종래의 롤 블라인드와 본 고안을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실내 분위기를 간편하게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렇게 결합완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를 도 1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사용자가 천장에 설치된 본 고안의 기어줄(235)을 당기게 되면, 기어줄(235)의 구술에 걸려진 기어(233)가 회전하게 되고, 그 기어(233)의 회전에 의해 회전봉(231)이 연동하게 된다.
상기 회전봉(231)의 회전으로 그 회전봉(231)의 홈(231a)에 구비된 회전줄(250)이 회전봉(231)에 감기어 길이가 줄어들게 되고, 그 회전줄(250)의 커튼클립(240b)에 연결된 횡봉(330)을 상부로 이동시켜서, 커튼(300)의 전면에 단을 형성시켜 로맨틱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조절부(100)의 조절장치(140)를 통과한 조절줄(150)을 하부로 당기면, 상기 조절몸체(110)의 하부로 연결된 조절줄(150)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고, 그 조절줄(150)과 연결된 커튼(300)의 덮개(320)가 상부로 이동되어, 망 사커튼(310)이 노출된다.
이렇게 노출된 망사커튼(310)을 통하여 커튼(300)이 하부로 펼쳐진 상태에서도 실내의 통풍이 원활화게 이루어지며, 실내에서도 노출된 망사커튼(310)을 통해 감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실내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차양의 효과가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조절장치(140)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되는 조절줄(150)을 통하여, 망사커튼(310)의 노출면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원하는 통풍과 차양을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배경기술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절부와 회전부의 분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조절부 110 : 조절몸체
111 : 체결홈 120 : 캡
130 : 가이드 140 : 조절장치
150 : 조절줄 160 : 덮개클립
200 : 회전부 210 : 회전몸체
220 : 지지구 230 : 회전장치
231 : 회전봉 231a : 홈
232 : 고정구 233 : 기어
234 : 커버 235 : 회전줄
240a, 240b : 커튼클립 300 : 커튼
310 : 망사커튼 320 : 직물지
330 : 횡봉

Claims (3)

  1. 로만 쉐이드에 있어서,
    "H"자 형태의 빔으로 형성되되, 하부의 양 끝단에 체결홈(111)이 형성된 조절몸체(110)가 구비되고, 구멍(10)이 형성된 가이드(130)가 조절몸체(110) 내부에 삽입되며, 조절몸체(110)의 한쪽에 조절줄(150)을 고정하는 조절장치(140)가 구비되고, 덮개클립(160)이 구비되되, 그 덮개클립(160)에 커튼클립(240a)이 끼움 된 조절줄(150)이 상기 가이드(130)의 구멍(10)과 조절장치(140)를 통과하면서 구비되어, 상기 조절줄(150)에 의해서 커튼클립(240a)이 상·하 이동하는 조절부(100)와;
    "ㄱ"자 형태의 빔으로 형성되되, 상부 면에 상기 체결홈(111)에 삽입되는 체결편(21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130) 하부의 조절줄(150)이 통과하는 또 다른 구멍(10)이 형성된 회전몸체(210)가 구비되고, 그 회전몸체(210) 하부에 회전줄(250)을 감거나 풀어내는 회전장치(230)가 구비되며, 또 다른 커튼클립(240b)이 구비된 회전줄(250)이 그 회전장치(230)에 감겨서 구비되어, 상기 회전줄(250)에 의해서 커튼클립(240b)이 상·하 이동하는 회전부(200)와;
    직사각형태로 형성되되, 후면에 상기 회전줄(250)에 구비된 커튼클립(240b)이 고정되어 상·하 이동하는 망사커튼(310)과, 망사커튼(310)보다 작은 직사각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조절줄(160)에 구비된 또 다른 커튼클립(240a)이 고정되어 상·하 이동하는 덮개(320)가 망사커튼(310)의 전면에 층층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몸체(210)의 전면에 망사커튼(310)의 상부가 고정되는 커튼(300)으로 구성됨 특징으로 하는 로만 쉐이드.
  2.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줄(150)에 구비되는 덮개클립(160)은 "8"자 형태의 링으로 형성되되, 상부의 링이 하부의 링보다 작고, 하부 링의 일부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고, 그 덮개클립(160)과 회전줄(250)에 구비되는 커튼클립(240a, 240b)은 덮개클립(16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되, 그 덮개클립(160)보다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로만 쉐이드.
  3. 상기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튼(300)은 망사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조절줄(160)이 통과되는 구멍(10)이 형성되고, 후면에 상기 회전줄(250)에 구비된 커튼클립(240b)이 고정되는 횡봉(330)이 구비된 망사커튼(310)과, 망사커튼(310)보다 작은 직사각형태로 형성되되, 하부 끝단에 상기 조절줄(160)의 또 다른 커튼클립(240a)이 고정되는 또 다른 횡봉(330)이 구비된 덮개(320)가 그 망사커튼(310)의 전면에 층층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몸체(210)의 전면에 망사커튼(310)의 상부가 고정되는 커튼(300)으로 구성됨 특징으로 하는 로만 쉐이드.
KR20070017967U 2007-11-07 2007-11-07 로만 쉐이드 KR200446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7967U KR200446751Y1 (ko) 2007-11-07 2007-11-07 로만 쉐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7967U KR200446751Y1 (ko) 2007-11-07 2007-11-07 로만 쉐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447U KR20090004447U (ko) 2009-05-12
KR200446751Y1 true KR200446751Y1 (ko) 2009-11-25

Family

ID=41299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7967U KR200446751Y1 (ko) 2007-11-07 2007-11-07 로만 쉐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7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661B1 (ko) 2012-04-16 2013-03-11 주식회사 윈플러스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037B1 (ko) * 2010-12-22 2013-01-21 류일선 2방향 로만쉐이드형 직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321Y1 (ko) 2001-05-19 2001-10-29 홍승주 커튼
JP2002238735A (ja) 2001-02-14 2002-08-27 Nichibei Co Ltd ローマンシェード
KR200371905Y1 (ko) 2004-09-21 2005-01-10 창 목 이 매직 쉐이드
KR200412622Y1 (ko) 2006-01-05 2006-03-29 김성철 개선된 밝기조절 구조를 가진 쉐이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8735A (ja) 2001-02-14 2002-08-27 Nichibei Co Ltd ローマンシェード
KR200246321Y1 (ko) 2001-05-19 2001-10-29 홍승주 커튼
KR200371905Y1 (ko) 2004-09-21 2005-01-10 창 목 이 매직 쉐이드
KR200412622Y1 (ko) 2006-01-05 2006-03-29 김성철 개선된 밝기조절 구조를 가진 쉐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661B1 (ko) 2012-04-16 2013-03-11 주식회사 윈플러스 로만쉐이드 타입 블라인드지 및 이를 이용한 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447U (ko) 2009-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3165B2 (ja) ローマンシェードタイプブラインドファブリック及びこれを用いたブラインド
KR100876183B1 (ko) 커튼지원단 및 그의 창문차단장치
CN101384790B (zh) 通过编织结成的百叶窗
KR100959028B1 (ko) 제직물로 만들어진 블라인드지 및 그 블라인드지의 제조 방법 및 그 블라인드지를 적용한 블라인드
KR100911052B1 (ko) 입체커튼지 원단의 제조방법
ES2949856T3 (es) Tela de bloqueo de la luz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la misma
JP2005248672A (ja) 布製ブラインド
KR20130006983U (ko) 롤 스크린을 갖는 다기능 이중 롤 블라인드
KR200446751Y1 (ko) 로만 쉐이드
KR101314871B1 (ko) 개폐 작동성이 좋은 버티컬타입 커튼장치
US20230151685A1 (en) Roman shade curtain having viewing part
JP2009034411A (ja) 物干し用カバー
KR20110126529A (ko) 후방 바탕지를 갖는 입체커튼지 및 그의 롤블라인드
KR101620607B1 (ko) 우드 블라인드
KR101034982B1 (ko) 부분걷힘기능 장식커튼지
KR20170064766A (ko) 버티컬 블라인드용 단위편 및 그 제조방법
KR101863242B1 (ko) 수평블라인드용 다목적 슬래트 방향전환 및 기울기 조절장치
JP4492979B1 (ja) 窓開口遮光装置
KR100866614B1 (ko) 이중 롤 블라인드
KR20060076681A (ko) 부분차양이 가능한 차양장치
ES1063513U (es) Conjunto de cortina panel japones.
KR101221573B1 (ko) 망사 블라인드
JP3229435U (ja) 一部に遮光生地を施したカーテン
KR20110004340A (ko) 횡 방향부분 개폐가 가능한 블라인드
KR200349174Y1 (ko) 암막 겸용 버티컬 블라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