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473Y1 - 조립식 브러쉬 - Google Patents

조립식 브러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473Y1
KR200446473Y1 KR2020090004880U KR20090004880U KR200446473Y1 KR 200446473 Y1 KR200446473 Y1 KR 200446473Y1 KR 2020090004880 U KR2020090004880 U KR 2020090004880U KR 20090004880 U KR20090004880 U KR 20090004880U KR 200446473 Y1 KR200446473 Y1 KR 200446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handle portion
connecting frame
seedling
seedl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48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자
Original Assignee
김명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자 filed Critical 김명자
Priority to KR20200900048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4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4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7/00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 A46B7/04Bristle carriers arranged in the brush body interchangeably removable bristle carriers
    • A46B7/042Clip or snap connection for bristle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20Brushes for applying products to surfaces in general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조립식 브러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브러쉬는 하단에 단턱이 형성된 식모체; 내측면에 상기 식모체의 단턱이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식모체와 하기의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연결 프레임에 삽입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프레임에 삽입되는 손잡이부의 양 측면에는 상기 연결 프레임을 원터치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탄성체결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립식, 브러쉬, 후크, 식모체, 단턱, 걸림턱, 연결 프레임

Description

조립식 브러쉬{Prefabricated brush}
본 고안은 조립식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러쉬 조립시 본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사출물 자체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사용 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조립식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용이나 미술용 브러쉬 또는 페인트 도색작업용 브러쉬와 같은 형태의 브러쉬는 동물로부터 얻어진 모(毛)부와 상기 모(毛)부를 고정시키도록 된 구관 및 이 구관이 끼워지는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브러쉬는 먼저 동물로부터 털을 뽑아 또는 그 털을 잘라 모은 후, 이 털들의 한 쪽 끝을 서로 접착제로 접착하여 고정시키고서 일정한 길이로 절단한 다음에, 이 모(毛)부를 구관에 끼우게 되는데, 이 때, 모(毛)부가 끼워진 부분을 프레스로 압축하여 상기 모가 구관으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 그 후에, 상기 모(毛)부가 끼워진 구관을 손잡이부에 끼우고서 핫멜트(hot-melt)와 같은 접착제로 고정시켜 제조된다.
이와 같이 종래와 같은 브러쉬는 모(毛)부를 구관이나 손잡이부에 고정하는 데에 있어 본드와 같은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화장용 브러쉬나 식품용 브러쉬와 같은 경우,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노출된 유해성분에 의해 발병을 일으키게 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브러쉬를 구성하는 식모체를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손잡이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브러쉬 조립시 본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사출물 자체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사용 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조립식 브러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브러쉬는 하단에 단턱이 형성된 식모체; 내측면에 상기 식모체의 단턱이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식모체와 하기의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연결 프레임에 삽입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프레임에 삽입되는 손잡이부의 양 측면에는 상기 연결 프레임을 원터치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탄성체결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탄성체결편은 손잡이부에 고정되는 고정단에 형성된 누름 버튼부와, 상기 누름 버튼부로부터 연장된 자유단에 형성된 후크부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기 후크부가 체결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턱은 식모체의 하단 둘레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것으로 식모체의 저면부가 열 융착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단턱은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재질의 식모체가 융착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부의 상부에는 연결 프레임에 삽입된 식모체의 저면부를 눌러 상기 식모체를 상기 연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조립식 브러쉬에 따르면, 식모체를 고정하기 위해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인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화장용 브러쉬나 식품용 브러쉬와 같은 경우, 사용 시에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전혀 노출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조립식 브러쉬에 의하면 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부재 사용없이 간편한 조립과정을 거쳐 브러쉬를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브러쉬를 구성하는 부품 교환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추가적인 장점도 있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 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고안은 화장용, 미술용 또는 페인트 도색작업용으로 사용되는 브러쉬의 제작에 있어서, 본드 등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구성 부품 전체를 일체형 완전 조립식으로 개선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모(毛)로 이루어진 식모체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식모체와는 별개의 구성으로 하여 식모체를 고정부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식모체 자체를 가공하여 식모체로부터 구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브러쉬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식모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브러쉬는 식모체(10), 연결 프레임(20) 및 손잡이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식모체(10)는 저면부에 단턱(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단턱(12)은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재질의 식모체(10)의 저면부를 녹여서 만든 것으로, 연결 프레임(20)과의 조립 결합 시, 연결 프레임(20)의 걸림턱(22)으로 하여금 연결 프레임(20)에 삽입된 식모체(10)가 연결 프레임(20)의 개방부를 통해 완전히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처럼, 본 고안은 다수의 모(毛)들로 이루어진 식모체(10) 자체를 녹여서 일체로 고정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다시 말해, 식모체(10)의 다수의 모(毛)들의 저면부를 서로 열 융착시켜서 단턱(12)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단턱(12)은 다수의 모(毛)들을 결합하는 동시에 연결 프레임(20)에 고정되는 고정수단을 제공하고, 식모체(10) 전체가 유기적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완전 조립이 가능하게 한다.
참고로, 본 고안의 식모체(10) 재질로 사용되는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 폴리 부틸 텔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레이트(terephthalic acid)와 부틸렌(butylene glycol)을 원료로 중합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빠른 결정화 속도와 우수한 내마모성, 그리고 220~230℃의 높은 온도에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는 등의 다양한 이점들을 가지고 있다.
연결 프레임(20)은 식모체(10)가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식모체(10)가 관통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내부가 빈 연결 프레임(2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삽입되는 식모체(10)는 연결 프레임(20)의 하부 측 개방부를 통해 삽입된 다음, 상부의 개방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연결 프레임(20)의 상부 측에 형성된 걸림턱(22)에 의해 식모체(10)는 저면부에 형성된 단턱(12)이 상기 걸림턱(22)에 걸림에 따라 상부의 개방부로 완전히 빠져 나가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 프레임(20)에 끼워진 식모체(10)는 단턱(12)이 포함된 일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식모체(10)만이 외부로 돌출하게 된다.
이때, 단턱(12)은 전술한 바와 같이, PBT 재질로 이루어진 여러가닥의 식모체(10)를 한데 모아서 전체를 한꺼번에 열 융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 프레임(20)은 손잡이부(30)와도 결합된다. 즉, 본 고안의 조립식 브러쉬는 연결 프레임(20)의 상부측에 식모체(10)가 결합되고, 하부측에 손잡이부(30)가 결합되는 것이다.
단, 이때, 조립 순서는 식모체(10)가 먼저 연결 프레임(20)의 하부 개방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부로 이동하고, 그 다음 손잡이부(30)가 연결 프레임(20)의 하부 개방부를 통해 삽입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결 프레임(20)에는 손잡이부(30)와의 결합을 위해 측면에 체결돌기(24)가 형성되는데, 여기서, 체결돌기(24)는 후술되는 손잡이부(30)에 구비된 후크부(34)와 체결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연결 프레임(20)의 내부로 삽입되는 손잡이부(30)의 후크부(34)가 용 이하게 상승하여 상기 체결돌기(24)에 안착할 수 있도록, 후크부(34)의 상승 시 상접(相接)하는 체결돌기(24)의 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34)와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30)는 외형이 통상의 브러쉬 손잡이 구조와 유사하나, 다음과 같은 구조상의 특징이 있다.
손잡이부(30)의 상부에는 소정 높이를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를 기준으로 양측면에 후크부(34)가 설치된다.
여기서, 돌출부(36)는 손잡이부(30)가 연결프레임(20)에 삽입 결합될 때, 상기 연결프레임(20)에 결합된 식모체(10)의 저면부를 밀어 올려 식모체(10)를 연결프레임(20)의 걸림턱(22) 측으로 지지할 수 있는 높이를 갖도록 손잡이부(3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립식 브러쉬의 손잡이부(30)는 연결 프레임(20)과의 결합을 위한 후크부(34)를 구비한다.
다시 말해, 손잡이부(30)의 양 측면에는 연결 프레임(20)을 원터치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탄성 가압이 가능한 탄성 체결편이 형성된다.
여기서, 탄성 체결편은 일단이 손잡이부(30)에 고정되는 누름 버튼부(32)와 상기 누름 버튼부(32)로부터 연장된 자유단에 형성된 후크부(34)로 구성된다.
이때, 누름 버튼부(32)는 탄성 가압 및 복원이 가능하도록 양측이 절개된 상태로 손잡이부에 고정되어 형성된다.
한편, 후크부(34)는 조립 시 연결 프레임(20)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돌기(24)에 안착됨으로써, 손잡이부(30)와 연결 프레임(20)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누름 버튼부(32)는 손잡이부(30)와 연결 프레임(20)의 사이에서 자체 탄성력을 이용하여 후크부(34)를 체결돌기(24)로부터 결합 및 분해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고안의 손잡이부(30)는 합성수지재가 적용되는 것이 좋을 수 있으나, 본 고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조립식 브러쉬의 조립 및 분해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브러쉬는 다음과 같은 조립동작이 이루어진다.
먼저, PBT 재질의 식모체(10)의 저면부를 녹여서 단턱(12)을 형성한다.
이어, 단턱(12)이 형성된 식모체(10)를 연결 프레임(20)의 하단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삽입하여, 상단의 개방부로 꺼내도록 한다. 이때, 식모체(10)는 연결 프레임(20)의 내부 상측에 형성된 걸림턱(22)에 상기 단턱(12)이 걸림에 따라, 완전히 통과되지 못하게 된다.
이어, 손잡이부(30)를 식모체(10)와 같이, 연결 프레임(20)의 하단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해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손잡이부(30)의 돌출부가 식모체(10)의 저면부를 밀어 올려 단턱(12)의 상면이 걸림턱(22)에 상접(相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 위치한 후크부(34)가 연결 프레임(20)의 내측에 형성된 체결돌기(24)에 안착하게 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손잡이부(30)가 연결 프레임(20)에 삽입될 때, 체결돌기(24)는 후크부(34)의 경사면을 따라 내려가게 되고, 후크부(34)는 체결돌기(24)에 의해 내측 방향으로 가압되다가 경사면을 완전히 지나게 되면, 후크부(34)는 외측 방향으로 탄성 복원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후크부(34)는 체결돌기(24)에 안착되어 손잡이부(30)와 연결 프레임(20)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 고안의 조립식 브러쉬는 손잡이부(30)의 돌출부가 사전에 삽입된 식모체(10)의 저면부를 걸림턱(22) 부근까지 밀어 올려 단턱(12)과 걸림턱(22)이 서로 상접하도록 하여 연결 프레임(20)에 조립된 식모체(10)의 유동을 최소화시키고, 이후, 상기 돌출부의 양측에 마련된 후크부(34)가 걸림 돌기(24)에 체결되도록 하여 조립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누름 버튼부(32)를 가압하면 누름 버튼부(32)와 일체로 형성된 후크부(34)는 체결돌기(24)로부터 분리되어 손잡이부(30)와 연결 프레임(20)의 분해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조립이 완료된 브러쉬의 부품 교체가 요구될 때에는, 손잡이부(30)의 측면에 형성된 누름 버튼부(32)을 누른 다음, 손잡이부(30)와 연결 프레임(20)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손쉽게 분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은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브러쉬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부품 교체 시에도 각 구성요소에 대한 분해가 용이하여 교체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등 다양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브러쉬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식모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식 브러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식모체 12 : 단턱
20 : 연결 프레임 22 : 걸림턱
24 : 체결돌기 30 : 손잡이부
32 : 누름 버튼부 34 : 후크부

Claims (5)

  1. 하단에 단턱이 형성된 식모체;
    내측면에 상기 식모체의 단턱이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식모체와 하기의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및
    상기 연결 프레임에 삽입 결합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 프레임에 삽입되는 손잡이부의 양 측면에는 상기 연결 프레임을 원터치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탄성체결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브러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결편은 손잡이부에 고정되는 고정단에 형성된 누름 버튼부와, 상기 누름 버튼부로부터 연장된 자유단에 형성된 후크부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 프레임의 내측면에는 상기 후크부가 체결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브러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은 식모체의 하단 둘레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것으로 식모체의 저 면부가 열 융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브러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은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재질의 식모체가 융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브러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상부에는 상기 연결 프레임에 삽입된 상기 식모체의 저면부를 눌러 상기 식모체를 상기 연결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브러쉬.
KR2020090004880U 2009-04-23 2009-04-23 조립식 브러쉬 KR2004464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880U KR200446473Y1 (ko) 2009-04-23 2009-04-23 조립식 브러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4880U KR200446473Y1 (ko) 2009-04-23 2009-04-23 조립식 브러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473Y1 true KR200446473Y1 (ko) 2009-11-04

Family

ID=41561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4880U KR200446473Y1 (ko) 2009-04-23 2009-04-23 조립식 브러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4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5708A (zh) * 2014-10-17 2015-01-28 常熟建工建设集团有限公司苏州分公司 可拆卸的多功能油漆刷
WO2020263959A1 (en) * 2019-06-24 2020-12-30 HCT Group Holdings Limited Brush with replaceable bristl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575Y1 (ko) 2006-08-29 2006-11-13 윤천하 세척용 브러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575Y1 (ko) 2006-08-29 2006-11-13 윤천하 세척용 브러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05708A (zh) * 2014-10-17 2015-01-28 常熟建工建设集团有限公司苏州分公司 可拆卸的多功能油漆刷
WO2020263959A1 (en) * 2019-06-24 2020-12-30 HCT Group Holdings Limited Brush with replaceable bristl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66357A (en) Toothbrush with exchangeable bristle carrier
KR101893251B1 (ko) 걸이끈과 마스크의 연결을 위한 결합체가 조립되는 마스크
KR200446473Y1 (ko) 조립식 브러쉬
KR20100098603A (ko) 우유젖꼭지
US20150026905A1 (en) Hygienic Brush Head
CN202525218U (zh) 一种可拆卸式运动鞋
KR101992857B1 (ko)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
CN206699579U (zh) 易更换表带的手表
KR200445246Y1 (ko) 조립식 브러쉬
KR20090116067A (ko) 유아용 젖병 세척솔
KR102143857B1 (ko) 칫솔 제조방법
CA1281154C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formation of a cleaning implement made up of strips of absorbing material, and implement thus realized
KR101875096B1 (ko) 청소용 빗자루
CN104107015B (zh) 刷头可拆卸式扫帚
CN115886430A (zh) 化妆刷
KR20170004241U (ko) 벌통용 소광
KR200416404Y1 (ko) 조립빗자루
KR102080900B1 (ko) 슬라이딩 단추
CN209450047U (zh) 一种牙刷制备过程的中间结构
KR20160002940U (ko) 3바늘 결합형 루어 채비
CN208144729U (zh) 刷头可移动的多功能牙刷
CN211609568U (zh) 一次性替换头马桶刷
CN208286632U (zh) 整束型刷毛牙刷
KR200468407Y1 (ko) 고글
KR102143860B1 (ko) 칫솔헤드 킷트를 활용한 칫솔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