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900B1 - 슬라이딩 단추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단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900B1
KR102080900B1 KR1020180136129A KR20180136129A KR102080900B1 KR 102080900 B1 KR102080900 B1 KR 102080900B1 KR 1020180136129 A KR1020180136129 A KR 1020180136129A KR 20180136129 A KR20180136129 A KR 20180136129A KR 102080900 B1 KR102080900 B1 KR 102080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ment
hole
button
button member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중
Original Assignee
김선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중 filed Critical 김선중
Priority to KR1020180136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64Details
    • A44B17/0076Socket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64Details
    • A44B17/007Stud-member

Landscapes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숫단추부재와 암단추부재로 구성되되, 숫단추부재를 암단추부재의 슬라이드관통공에 삽입한 후 옆으로 밀기만 하면 숫단추부재의 걸림돌부가 암단추부재의 고정공부에 걸려서 빠지지 않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결합력이 우수한 슬라이딩 단추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단추{BUTTON}
본 발명은 슬라이딩 단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숫단추부재와 암단추부재로 구성되고, 숫단추부재를 암단추부재의 슬라이드관통공에 삽입한 후 옆으로 밀기만 하면 숫단추부재가 암단추부재에 걸려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 슬라이딩 단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추는 의복에 부착되어 의복을 여미고 푸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다양한 디자인 및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단추 구조의 일례를 들면, 의복의 전면이나 소매 등의 소정 위치에 단추가 부착되고, 단추와 대응하는 의복의 반대편 소정 위치에는 단추의 크기와 비례하도록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되어, 절개홈을 벌려 단추를 삽입하거나 이탈시킴으로서 의복을 착의 또는 탈의 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절개홈을 통해 단추를 삽입하여 의복을 착의하는 종래의 단추 구조는 절개홈을 벌려서 단추를 삽입할 때 손가락에 힘이 많이 들어가 부상의 염려가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절개홈이 작거나 단추 사이즈가 큰 경우에는 단추를 절개홈에 삽입할 때 힘이 더 들어가게 되는데, 이때 손가락이 삐거나 꺽여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010-0007237호에는 슬라이딩 스냅단추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를 보면, 숫단추를 암단추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옆으로 밀어 넣어서 고정시키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슬라이딩 스냅단추는 착탈구가 암단추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숫단추를 체결할 때 숫단추의 착탈돌기를 암단추의 옆에서 폭이 좁은 착탈구 내로 밀어 넣는 작업이 쉽지 않으며, 따라서 단추를 착용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의 슬라이딩 스냅단추는 숫단추의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숫단추를 생산하기 위해 내부덮개, 외부덮개, 고정부재를 각각 제조한 후 내부덮개에 고정부재를 먼저 조립하고 내부덮개의 상면에 외부덮개를 덮어 결합시켜야 하는 제조 공정을 갖기 때문에 생산 구조가 복잡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2010-0007237호(공개일: 2010년07월15일), 발명의 명칭: "슬라이딩 스냅단추"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0-1195042호(등록일: 2012년10월22일), 고안의 명칭: "스냅 단추 및 그 제조방법" 3)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8277호(공개일: 2011년08월24일), 고안의 명칭: "스프링 스냅단추의 구조" 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6756호(등록일: 2015년03월24일), 고안의 명칭: "나사체결부가 구비된 단추"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숫단추부재와 암단추부재로 구성되되, 숫단추부재의 걸림돌부를 암단추부재의 삽입공부에 삽입한 후 옆으로 밀면 자연스럽게 걸림돌부가 고정공부에 걸려 빠지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편리성이 향상된 슬라이딩 단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암단추부재를 생산할 때 커버부재를 베이스부재에 씌운 후 측면 하단부를 내측으로 굴곡시키면 결합이 완성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되고, 의복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슬라이딩 단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의복의 일부분에 암단추부재가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암단추부재와 대응되는 의복의 반대편 일부분에 숫단추부재가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숫단추부재를 암단추부재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켜 의복을 착의 또는 탈의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단추에 있어서, 상기 숫단추부재는 의복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의복밀착부와, 의복밀착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단부에서 연결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연결부의 외측에 걸림홈부가 형성되게 하고, 전면은 반구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걸림돌부로 구성되고, 상기 암단추부재는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부재는 의복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전면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벌어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전면 내부에 숫단추삽입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경사부와, 경사부의 가장자리 단부에서 후방향으로 수직 절곡 형성되어 후면 가장자리에 박힘핀삽입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측면부와, 측면부의 후단 일부분을 내측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걸림절곡부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부재는 베이스부재에 씌워지게 결합되도록 상면과, 상면 가장자리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측면으로 구성되어, 베이스부재의 전면에 씌워지게 결합된 상태로 측면 후단 일부분을 상기 걸림절곡부와 같이 내측 방향으로 절곡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 중앙에는 슬라이드관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관통공은 삽입공부와 고정공부가 연통공부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되, 삽입공부는 숫단추부재의 걸림돌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걸림돌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고정공부는 삽입공부에 삽입된 걸림돌부를 연통공부를 따라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켰을 때 숫단추부재의 연결부는 통과하고 걸림돌부는 걸려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도록 연결부의 직경보다 크고 걸림돌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숫단추삽입공간 내부에는 커버부재에 형성된 누름편이 배치되어, 숫단추부재의 걸림돌부가 고정공부에 결합되었을 때 걸림돌부를 전면 방향으로 눌러주어 걸림돌부가 고정공부의 단부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누름편은 삽입공부의 단부에서 숫단추삽입공간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제1절곡부와, 제1절곡부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 제2절곡부와, 제2절곡부의 단부에서 다시 하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 제3절곡부로 형성되어, 숫단추부재의 걸림돌부가 삽입공부로 삽입되어 연통공부를 통해 고정공부로 이동할 때 제3절곡부와 제2절곡부가 눌리면서 생기는 복원력에 의해 걸림돌부를 전면 방향으로 눌러주어 걸림돌부가 고정공부의 단부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슬라이드관통공 단부에는 숫단추삽입공간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돌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슬라이드관통공 단부의 강성을 보강하고, 숫단추부재의 걸림돌부가 고정공부에 걸려 밀착될 때 절곡돌기가 숫단추부재의 걸림돌부에 닿아 지지됨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 고정공부의 단부가 외측으로 밀려 벌어지는 현상이 생기지 않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단추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숫단추부재는 의복밀착부 후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이 삽입홈의 단부에는 삽입홈보다 직경이 큰 누름공간이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삽입홈과 누름공간이 만나는 부분에는 걸림단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숫단추부재는 압정부재를 통해 의복의 일부분에 고정되게 구성되되, 상기 압정부재는 밀착부와, 밀착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박힘부로 구성되어, 숫단추부재의 의복밀착부를 의복의 전면에 대고 의복의 후면에서 압정부재의 박힘부가 의복을 관통하여 숫단추부재의 삽입홈 내로 삽입되게 박아 넣어 박힘부의 머리 부분이 누름공간 내에서 눌리면서 압축 변형되어 일부분이 걸림단에 걸려 빠져나오지 않게 고정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암단추부재는 고정핀부재를 통해 의복의 일부분에 고정되게 구성되되, 상기 고정핀부재는 원판 형상의 지지부와, 지지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전방이 날카롭게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박힘핀부로 구성되어, 암단추부재의 바닥부를 의복의 전면에 대고 의복의 후면에서 고정핀부재의 박힘핀부가 의복을 관통하여 암단추부재의 박힘핀삽입공간으로 삽입되게 밀어 넣어 박힘핀부의 전방이 암단추부재의 경사부를 따라 박힘핀삽입공간 내에서 휘어지면서 절곡되어 걸림절곡부에 걸려 빠져나오지 않게 고정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단추는 숫단추부재와 암단추부재를 각각 대응되는 의복에 설치한 상태에서 의복을 착의할 때는 숫단추부재의 걸림돌부를 암단추부재의 삽입공부에 삽입한 후 옆으로 밀기만 하면 자연스럽게 걸림돌부가 고정공부에 걸려 빠지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고 결합력이 우수하며 단추를 채울 때 힘이 들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단추는 암단추부재를 생산할 때 누름편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커버부재를 베이스부재에 씌운 후 측면 하단부를 내측으로 굴곡시키기만 하면 결합이 완성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숫단추부재를 압정부재를 통해 의복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고 암단추부재는 고정핀부재를 통해 의복에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단추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단추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단추가 의복에 착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단추의 작동를 보인 단면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단추는 암단추부재(300), 고정핀부재(600), 숫단추부재(100), 압정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의복(10)의 일부분에 암단추부재(300)가 고정핀부재(600)를 통해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암단추부재(300)와 대응되는 의복(10)의 반대편 일부분에는 숫단추부재(100)가 압정부재(200)를 통해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숫단추부재(100)를 암단추부재(30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켜 의복(10)을 착의 또는 탈의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숫단추부재(100)는 의복(10)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의복밀착부(110)와, 의복밀착부(1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연결부(120)와, 연결부(120)의 단부에서 연결부(120)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연결부(120)의 외측에 걸림홈부(122)가 형성되게 하고, 전면은 반구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걸림돌부(1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숫단추부재(100)는 의복밀착부(110) 후면에 삽입홈(140)이 형성되고, 이 삽입홈(140)의 단부에는 삽입홈(140)보다 직경이 큰 누름공간(142)이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삽입홈(140)과 누름공간(142)이 만나는 부분에는 걸림단(144)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압정부재(200)는 밀착부(210)와, 밀착부(210)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박힘부(220)로 구성되며, 박힘부(220)의 내부를 중공으로 형성되어 외압이 가해지면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숫단추부재(100)의 의복밀착부(110)를 의복(10)의 전면에 대고 의복(10)의 후면에서 압정부재(200)의 박힘부(220)가 의복(10)을 관통하여 숫단추부재(100)의 삽입홈(140) 내로 삽입되게 박아 넣어 박힘부(220)의 머리 부분이 누름공간(142) 내에서 눌리면서 압축 변형되어 일부분이 걸림단(144)에 걸려 빠져나오지 않게 고정된다.
다음으로, 암단추부재(300)는 베이스부재(400)와 커버부재(500)가 결합되어 일체로 사용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베이스부재(400)는 의복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바닥부(410)와, 바닥부(410)의 가장자리에서 전면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벌어지도록 연장 형성된 경사부(420)와, 경사부(420)의 가장자리 단부에서 후방향으로 수직 절곡 형성된 측면부(440)와, 측면부(440)의 후단 일부분을 내측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걸림절곡부(442)로 구성된다. 따라서 전면 내부에는 경사부(420)를 통해 숫단추삽입공간(430)이 형성되고, 후면 가장자리에는 경사부(420)와 측면부(440)의 사이에 박힘핀삽입공간(4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부재(500)는 베이스부재(400)에 씌워지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면(510)과, 상면(510) 가장자리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측면(520)으로 구성되어, 베이스부재(400)의 전면에 씌워지게 결합된 상태로 측면(520) 후단 일부분을 걸림절곡부(442)와 같이 내측 방향으로 절곡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되게 구성된다.
또한, 커버부재(500)의 상면 중앙에는 슬라이드관통공(530)이 관통 형성되는 데, 이 슬라이드관통공(530)은 삽입공부(532)와 고정공부(536)가 연통공부(534)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삽입공부(532)는 숫단추부재(100)의 걸림돌부(1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걸림돌부(13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고정공부(536)는 삽입공부(532)에 삽입된 걸림돌부(130)를 연통공부(534)를 따라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켰을 때 숫단추부재(100)의 연결부(120)는 통과하고 걸림돌부(130)는 걸려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도록 연결부(120)의 직경보다 크고 걸림돌부(13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부재(500)의 슬라이드관통공(530) 단부에는 숫단추삽입공간(430)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돌기(538)가 일체로 형성되어 슬라이드관통공(530) 단부의 강성을 보강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숫단추부재(100)의 걸림돌부(130)가 고정공부(536)에 걸려 밀착될 때 절곡돌기(538)가 숫단추부재(100)의 걸림돌부(130)를 지지하기 때문에 힘이 가해졌을 때 고정공부(536)의 단부가 외측으로 밀려 벌어지는 현상이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숫단추삽입공간(430) 내부에는 커버부재(500)에 형성된 누름편(540)이 배치되어, 숫단추부재(100)의 걸림돌부(130)가 고정공부(536)에 결합되었을 때 걸림돌부(130)를 전면 방향으로 눌러주어 걸림돌부(130)가 고정공부(536)의 단부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누름편(540)은 커버부재(500)에 형성된 삽입공부(532)의 단부에서 숫단추삽입공간(430)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제1절곡부(542)와, 제1절곡부(542)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 제2절곡부(544)와, 제2절곡부(544)의 단부에서 다시 하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 제3절곡부(546)로 형성된다. 따라서 숫단추부재(100)의 걸림돌부(130)가 삽입공부(532)로 삽입되어 연통공부(534)를 통해 고정공부(536)로 이동할 때 제3절곡부(546)와 제2절곡부(544)가 눌리면서 생기는 복원력에 의해 걸림돌부(130)를 전면 방향으로 눌러주어 걸림돌부(130)가 고정공부(536)의 단부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고정핀부재(600)는 원판 형상의 지지부(610)와, 지지부(610)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전방이 날카롭게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박힘핀부(620)로 구성된다. 따라서 암단추부재(300)의 바닥부(410)를 의복(10)의 전면에 대고 의복(10)의 후면에서 고정핀부재(600)의 박힘핀부(620)가 의복(10)을 관통하여 암단추부재(300)의 박힘핀삽입공간(450)으로 삽입되게 밀어 넣으면 박힘핀부(620)의 전방이 암단추부재(300)의 경사부(420)를 따라 박힘핀삽입공간(450) 내에서 휘어지면서 절곡되어 걸림절곡부(442)에 걸려 빠져나오지 않게 고정된다.
이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단추의 조립 설치 및 작용 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의복(10)에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단추를 부착하기 위해 숫단추부재(100), 압정부재(200), 암단추부재(300), 고정핀부재(600)를 각각 준비한다.
이때, 암단추부재(300)를 준비하기 위해 베이스부재(400)와 커버부재(500)를 먼저 준비한다. 그런 다음, 베이스부재(400)에 커버부재(500)를 씌운 후, 베이스부재(400)의 측면(520) 후단 일부분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400)의 걸림절곡부(442)와 같이 내측 방향으로 절곡하여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렇게 각각의 구성 부품들이 준비되면, 먼저 의복(10)의 일부분에 암단추부재(300)가 고정핀부재(600)를 통해 고정적으로 부착되도록 한다. 즉, 숫단추부재(100)의 의복밀착부(110)를 의복(10)의 일부분 전면에 대고 의복(10)의 후면에서 압정부재(200)의 박힘부(220)가 의복(10)을 관통하여 숫단추부재(100)의 삽입홈(140) 내로 삽입되게 박아 넣는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힘부(220)의 머리 부분이 누름공간(142) 내에서 눌리면서 압축 변형되어 일부분이 걸림단(144)에 걸려 분리되지 않게 고정된다.
그리고 암단추부재(300)와 대응되는 의복(10)의 반대편 일부분에는 숫단추부재(100)가 압정부재(200)를 통해 고정적으로 부착되도록 한다. 즉, 암단추부재(300)의 바닥부(410)를 의복(10)의 전면에 대고 의복(10)의 후면에서 고정핀부재(600)의 박힘핀부(620)가 의복(10)을 관통하여 암단추부재(300)의 박힘핀삽입공간(450)으로 삽입되게 밀어 넣는다. 그러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힘핀부(620)의 전방이 암단추부재(300)의 경사부(420)를 따라 박힘핀삽입공간(450) 내에서 휘어지면서 절곡되어 걸림절곡부(442)에 걸려 빠져나오지 않게 고정된다.
이렇게 의복(10)에 숫단추부재(100)와 암단추부재(300)를 부착한 상태에서 의복(10)을 착의할 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숫단추부재(100)의 걸림돌부(130)가 슬라이드관통공(530)의 삽입공부(532)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런 상태에서, 숫단추부재(100)를 고정공부(536) 방향으로 밀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부(130)가 연통공부(534)를 통해 고정공부(536)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고, 걸림돌부(130)가 고정공부(536)에 걸려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걸림돌부(130)가 고정공부(536)로 이동하면 누름편(540)의 제3절곡부(546)와 제2절곡부(544)가 눌리면서 원상태로 복원되려는 복원력이 생기게 되고, 이 복원력에 의해 걸림돌부(130)를 전면 방향으로 눌러주어 걸림돌부(130)가 고정공부(536)의 단부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반대로, 의복(10)을 탈의할 때는 숫단추부재(100)를 삽입공부(532) 방향으로 밀어 걸림돌부(130)가 삽입공부(532)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숫단추부재(100)를 잡아 당겨 걸림돌부(130)를 삽입공부(532)에서 빼내서 분리되도록 하면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단추를 의복(10)에 적용하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의복(10)을 용이하게 착의 및 탈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숫단추부재 110: 의복밀착부
120: 연결부 130: 걸림돌부
140: 삽입홈 142: 누름공간
200: 압정부재 210: 밀착부
220: 박힘부 300: 암단추부재
400: 베이스부재 410: 바닥부
420: 경사부 430: 숫단추삽입공간
440: 측면부 442: 걸림절곡부
450: 박힘핀삽입공간 500: 커버부재
510: 상면 520: 측면
530: 슬라이드관통공 532: 삽입공부
534: 연통공부 536: 고정공부
540: 누름편 600: 고정핀부재
610: 지지부 620: 박힘핀부

Claims (3)

  1. 의복의 일부분에 암단추부재가 고정적으로 부착되고, 암단추부재와 대응되는 의복의 반대편 일부분에 숫단추부재가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숫단추부재를 암단추부재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켜 의복을 착의 또는 탈의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단추에 있어서,
    상기 숫단추부재는 의복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의복밀착부와, 의복밀착부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단부에서 연결부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연결부의 외측에 걸림홈부가 형성되게 하고, 전면은 반구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 걸림돌부로 구성되고,
    상기 암단추부재는 베이스부재와 커버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베이스부재는 의복에 밀착되게 고정되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전면 외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벌어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전면 내부에 숫단추삽입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경사부와, 경사부의 가장자리 단부에서 후방향으로 수직 절곡 형성되어 후면 가장자리에 박힘핀삽입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측면부와, 측면부의 후단 일부분을 내측 방향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걸림절곡부로 구성되며,
    상기 커버부재는 베이스부재에 씌워지게 결합되도록 상면과, 상면 가장자리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 측면으로 구성되어, 베이스부재의 전면에 씌워지게 결합된 상태로 측면 후단 일부분을 상기 걸림절곡부와 같이 내측 방향으로 절곡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결합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상면 중앙에는 슬라이드관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관통공은 삽입공부와 고정공부가 연통공부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갖되, 삽입공부는 숫단추부재의 걸림돌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걸림돌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고정공부는 삽입공부에 삽입된 걸림돌부를 연통공부를 따라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켰을 때 숫단추부재의 연결부는 통과하고 걸림돌부는 걸려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도록 연결부의 직경보다 크고 걸림돌부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숫단추삽입공간 내부에는 커버부재에 형성된 누름편이 배치되어, 숫단추부재의 걸림돌부가 고정공부에 결합되었을 때 걸림돌부를 전면 방향으로 눌러주어 걸림돌부가 고정공부의 단부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누름편은 삽입공부의 단부에서 숫단추삽입공간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 제1절곡부와, 제1절곡부의 단부에서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 제2절곡부와, 제2절곡부의 단부에서 다시 하향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 제3절곡부로 형성되어, 숫단추부재의 걸림돌부가 삽입공부로 삽입되어 연통공부를 통해 고정공부로 이동할 때 제3절곡부와 제2절곡부가 눌리면서 생기는 복원력에 의해 걸림돌부를 전면 방향으로 눌러주어 걸림돌부가 고정공부의 단부에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슬라이드관통공 단부에는 숫단추삽입공간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절곡돌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슬라이드관통공 단부의 강성을 보강하고, 숫단추부재의 걸림돌부가 고정공부에 걸려 밀착될 때 절곡돌기가 숫단추부재의 걸림돌부에 닿아 지지됨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 고정공부의 단부가 외측으로 밀려 벌어지는 현상이 생기지 않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단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숫단추부재는 의복밀착부 후면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이 삽입홈의 단부에는 삽입홈보다 직경이 큰 누름공간이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되어, 삽입홈과 누름공간이 만나는 부분에는 걸림단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숫단추부재는 압정부재를 통해 의복의 일부분에 고정되게 구성되되,
    상기 압정부재는 밀착부와, 밀착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박힘부로 구성되어, 숫단추부재의 의복밀착부를 의복의 전면에 대고 의복의 후면에서 압정부재의 박힘부가 의복을 관통하여 숫단추부재의 삽입홈 내로 삽입되게 박아 넣어 박힘부의 머리 부분이 누름공간 내에서 눌리면서 압축 변형되어 일부분이 걸림단에 걸려 빠져나오지 않게 고정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암단추부재는 고정핀부재를 통해 의복의 일부분에 고정되게 구성되되,
    상기 고정핀부재는 원판 형상의 지지부와, 지지부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전방이 날카롭게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박힘핀부로 구성되어, 암단추부재의 바닥부를 의복의 전면에 대고 의복의 후면에서 고정핀부재의 박힘핀부가 의복을 관통하여 암단추부재의 박힘핀삽입공간으로 삽입되게 밀어 넣어 박힘핀부의 전방이 암단추부재의 경사부를 따라 박힘핀삽입공간 내에서 휘어지면서 절곡되어 걸림절곡부에 걸려 빠져나오지 않게 고정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단추.
  3. 삭제
KR1020180136129A 2018-11-07 2018-11-07 슬라이딩 단추 KR102080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129A KR102080900B1 (ko) 2018-11-07 2018-11-07 슬라이딩 단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129A KR102080900B1 (ko) 2018-11-07 2018-11-07 슬라이딩 단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0900B1 true KR102080900B1 (ko) 2020-02-24

Family

ID=69637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129A KR102080900B1 (ko) 2018-11-07 2018-11-07 슬라이딩 단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9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976B1 (ko) * 2020-09-17 2022-02-07 김선중 슬라이딩 단추
RU2778909C1 (ru) * 2021-11-03 2022-08-29 Наталия Михайловна Кулаева Пуговица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2686A (en) * 1873-09-09 Improvement in buttons
US1182069A (en) * 1915-02-26 1916-05-09 Edward D Kibben Garment-fastener.
US1205053A (en) * 1915-12-31 1916-11-14 Bernhard Steiner Fastener.
US2193802A (en) * 1937-06-16 1940-03-19 Ersyl F Chambless Fastener
US6961980B1 (en) * 1999-02-12 2005-11-08 Cobra Trade S.A. Press-stud with lateral locking
KR200413079Y1 (ko) * 2006-01-23 2006-04-05 정태석 스냅단추
JP2008036337A (ja) * 2006-08-10 2008-02-21 Morito Co Ltd ホック具
KR20100007237U (ko) 2009-01-06 2010-07-15 양은모 슬라이딩 스냅단추
KR20110008277U (ko) 2010-02-18 2011-08-24 대한메디칼시스템(주) 스프링 스냅단추의 구조
KR101195042B1 (ko) 2011-06-20 2012-10-29 강도웅 스냅 단추 및 그 제조방법
KR200476756Y1 (ko) 2015-01-06 2015-04-02 김동일 나사체결부가 구비된 단추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2686A (en) * 1873-09-09 Improvement in buttons
US1182069A (en) * 1915-02-26 1916-05-09 Edward D Kibben Garment-fastener.
US1205053A (en) * 1915-12-31 1916-11-14 Bernhard Steiner Fastener.
US2193802A (en) * 1937-06-16 1940-03-19 Ersyl F Chambless Fastener
US6961980B1 (en) * 1999-02-12 2005-11-08 Cobra Trade S.A. Press-stud with lateral locking
KR200413079Y1 (ko) * 2006-01-23 2006-04-05 정태석 스냅단추
JP2008036337A (ja) * 2006-08-10 2008-02-21 Morito Co Ltd ホック具
KR20100007237U (ko) 2009-01-06 2010-07-15 양은모 슬라이딩 스냅단추
KR20110008277U (ko) 2010-02-18 2011-08-24 대한메디칼시스템(주) 스프링 스냅단추의 구조
KR101195042B1 (ko) 2011-06-20 2012-10-29 강도웅 스냅 단추 및 그 제조방법
KR200476756Y1 (ko) 2015-01-06 2015-04-02 김동일 나사체결부가 구비된 단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976B1 (ko) * 2020-09-17 2022-02-07 김선중 슬라이딩 단추
RU2778909C1 (ru) * 2021-11-03 2022-08-29 Наталия Михайловна Кулаева Пуговиц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6783B2 (en) Articles adapted to releasably receive interchangeable ornaments and system therefor
US8146211B2 (en) Slide adjuster for belt and buckle
JP7085769B2 (ja) スナップボタン
KR102080900B1 (ko) 슬라이딩 단추
KR101639751B1 (ko) 조립형 장식구
KR101626753B1 (ko) 프라이팬용 착탈식 손잡이
KR200471390Y1 (ko) 액세서리 연결고리
JP3954557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の引手
US5953798A (en) Buckle
KR102035848B1 (ko) 장식부재가 착탈가능한 단추
US4813110A (en) Snap connector, lever
KR100875500B1 (ko) 택 단추
KR200483243Y1 (ko) 스냅단추용 암단추
JP2005179791A (ja) 腰回り長さ調節具
KR101819439B1 (ko) 피스식 스냅 단추
KR200483882Y1 (ko) 장신구용 체결구
USD899967S1 (en) Snap button
CN211298621U (zh) 装饰扣的连接机构
JPWO2011096424A1 (ja) 連結部材
KR20200072204A (ko) 헤어핀에 장착되는 액세서리부재
KR102357976B1 (ko) 슬라이딩 단추
KR200486879Y1 (ko) 장식물 교체가 가능한 클립장치
KR200278141Y1 (ko) 뒤축이 탈, 부착되는 구두
CN216534132U (zh) 一种腕带连接机构及穿戴设备
KR200472888Y1 (ko) 장식구 치환이 가능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