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237U - 슬라이딩 스냅단추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스냅단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237U
KR20100007237U KR2020090000122U KR20090000122U KR20100007237U KR 20100007237 U KR20100007237 U KR 20100007237U KR 2020090000122 U KR2020090000122 U KR 2020090000122U KR 20090000122 U KR20090000122 U KR 20090000122U KR 20100007237 U KR20100007237 U KR 201000072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male
protrusion
cover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01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은모
Original Assignee
양은모
조남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은모, 조남기 filed Critical 양은모
Priority to KR20200900001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7237U/ko
Publication of KR201000072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23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44B1/1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 A44B1/28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shank and counterpiece
    • A44B1/34Buttons adapted for special ways of fastening with shank and counterpiece with snap-action counterpiec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05Fastening of press-button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7/00Press-button or snap fasteners
    • A44B17/0064Details

Landscapes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이딩 스냅단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암단추의 측면으로 숫단추를 밀어넣어 숫단추를 고정시킴으로써 숫단추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스냅단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숫단추덮개, 상기 숫단추덮개에 돌출형성되는 제 1 끼움돌기, 상기 제 1 끼움돌기가 삽입되는 제 1 끼움공을 구비한 제 1 고정판, 상기 제 1 고정판에 돌출형성되는 착탈돌기, 및 상기 착탈돌기의 단부에 형성되는 착탈링을 포함하는 숫단추;와 상기 숫단추가 삽입되는 착탈구가 구비된 외부덮개, 및 상기 외부덮개와 결합하는 내부덮개로 이루어지는 암단추를 포함하며, 상기 숫단추는 상기 암단추에 구비된 상기 착탈구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스냅단추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단추를 끼울 수 있고 단추를 끼우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단추, 스냅단추, 스프링을 구비한 단추

Description

슬라이딩 스냅단추{Sliding Snap Button}
본 고안은 슬라이딩 스냅단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암단추의 측면으로 숫단추를 밀어넣어 숫단추를 고정시킴으로써 숫단추를 용이하게 끼울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 스냅단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냅단추(Snap Button)는 의복이나 가방, 신발 등의 피부착물에 형성된 개방부를 닫아 주기 위하여 암단추와 숫단추가 개방부상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마주하는 면이 서로 끼워 맞춰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숫단추부와 암단추부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스냅단추는 통상 합성수지나 얇은 금속편을 성형하여 제조되는바, 스냅단추가 빈번하게 사용되는 경우에 숫단추부상의 끼움돌기와 암단추부상의 끼움홈의 접촉면이 마모되기 때문에 서로 제대로 끼워 맞춰지지 않게 되는 것은 물론, 작은 힘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끼워 맞추어진 상태로부터 쉽게 분리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억지끼움된 숫단추와 암단추가 빈번하게 분리하는 과정에서 의복의 암단추와 숫단추가 부착된 부분이 손상되기 쉽고 숫단추와 또는 암단추가 부착된 부 분이 손상될 경우 단추가 의복에서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숫단추와 암단추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숫단추와 암단추를 끼우고 분리하는 과정에서 의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라이딩 스냅단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숫단추덮개와 상기 숫단추덮개에 돌출형성되는 제 1 끼움돌기와 상기 제 1 끼움돌기가 삽입되는 제 1 끼움공을 구비한 제 1 고정판과 상기 제 1 고정판에 돌출형성되는 착탈돌기 및 상기 착탈돌기의 단부에 형성되는 착탈링을 포함하는 숫단추와, 상기 숫단추가 삽입되도록 착탈구와 가이드부가 구비된 외부덮개 및 상기 외부덮개와 결합하는 내부덮개로 이루어지는 암단추를 포함하며, 상기 숫단추는 상기 암단추에 구비된 상기 착탈구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스냅단추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내부덮개는 암단추에 삽입된 숫단추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고정시키는 끼움편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덮개의 내부면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덮개의 내부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공이 억지끼움되어 상기 외부덮개와 상기 내부덮개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덮개의 외부면에는 제 2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끼 움돌기가 삽입되는 제 2 끼움공을 구비한 제 2 고정판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제 2 끼움돌기를 상기 제 2 끼움공에 억지끼움하여 상기 내부덮개와 상기 제 2 고정판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숫단추와 상기 암단추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숫단추와 암단추를 용이하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숫단추와 암단추가 마모되어 숫단추와 암단추 간의 결합력이 약해지는 경우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숫단추와 암단추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숫단추와 암단추를 억지끼움하였다가 분리하는 방법이 아닌 슬라이딩하여 단추를 결합함으로 의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스냅단추가 의복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스냅단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스냅단추(1)는 숫단추(10)와 암단추(20)로 이루어진다.
숫단추(10)와 암단추(20)는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숫단추(10)는 숫단추덮개(100)와 제 1 고정판(104)을 포함한다.
숫단추덮개(100)의 하부면에는 제 1 끼움돌기(102)가 돌출형성되고, 제 1 끼움돌기는 제 1 고정판(104)에 형성되는 제 1 끼움공(110)에 억지끼움되어 상호간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끼움돌기(102)는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제 1 끼움공(110)에 더욱 타이트하게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숫단추덮개(100)와 제 1 고정판(104)을 결합하는 수단으로는 나사와 같은 체결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제 1 고정판(104)의 하부면에는 착탈돌기(106)가 돌출형성되고, 착탈돌기(106)의 단부에는 착탈링(108)이 형성되는데 착탈링(108)은 후술하는 착탈구(204)에 숫단추(10)가 삽입될 경우 숫단추(10)가 착탈구(204)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숫단추덮개(100)에 돌출형성되는 제 1 끼움돌기(102)는 직물(300)을 관통한 후 제 1 고정판(104)에 형성되는 제 1 끼움공(110)에 억지끼움 됨으로써 숫 단추(10)가 직물(300)에 부착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스냅단추(1)에 있어서, 암단추(20)는 외부덮개(202), 내부덮개(210), 제 2 고정판(230)을 포함한다.
외부덮개(202)에는 착탈돌기(106)가 착탈구(204)에서 외부덮개(202)의 중심부까지 가이드되도록 하는 가이드부(205)가 형성되고, 외부덮개(202)의 측면에는 착탈링(108)이 삽입되는 착탈구(204)가 형성된다.
외부덮개(202)의 내측면에는 결합돌기(206)가 돌출형성되는데 결합돌기(206)는 내부덮개(210)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는 결합공(220)에 억지끼움됨으로써 외부덮개(202)와 내부덮개(210)가 상호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결합돌기(206)는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결합공(220)에 더욱 타이트하게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한다.
내부덮개(210)의 내측면에는 삽입홈(214)을 구비한 끼움편(212)이 형성된다.
또한, 내부덮개(210)에는 착탈구(204)에 삽입된 숫단추(1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216)가 구비되는데 상기 끼움편(212)에 구비된 삽입홈(214)에 고정부재(216)의 일측 단부가 삽입됨으로써 고정부재(216)가 내부덮개(210)에 결합된다.
고정부재(216)는 탄성을 가진 판형의 스프링으로 형성하여 숫단추(1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일정한 힘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숫단추(10)가 착탈구(204)로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덮개(210)의 외측면에는 제 2 끼움돌기(218)가 돌출형성되도록 하여 제 2 고정판(230)에 형성되는 제 2 끼움공(232)에 억지끼움되어 내부덮개(210)와 제 2 고정판(230)이 상호 결합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2 끼움돌기(218)는 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더 크게 형성되도록 하여 제 2 끼움공(232)에 더욱 타이트하게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내부덮개(210)와 제 2 고정판(230)의 사이에는 직물(300)이 삽입되어 암단추(20)가 직물(300)에 부착되는데 이때 제 2 끼움돌기(218)가 직물(300)을 관통한 후 제 2 끼움공(232)에 억지끼움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스냅단추에 있어서 숫단추와 암단추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되는 숫단추(10)와 암단추(20)가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외부덮개(202)의 측면에 형성되는 착탈구(204)에는 착탈링(108)이 삽입되고 착탈돌기(106)의 외주면은 외부덮개(202)에 형성된 가이드부(205)를 따라 가이드 되어 암단추(20)의 중심부로 이동한다.
이때, 고정부재(216)는 착탈링(106)에 의해 밀려나서 암단추(20)의 내부로 휘어지고 착탈링(106)이 암단추(20)의 중심으로 이동하게 되면 복원된다.
상기와 같이 착탈링(108)이 가이드부(205)와 고정부재(216)에 의해 안착하게 됨으로써 숫단추(10)와 암단추(20)가 체결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 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스냅단추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스냅단추에 있어서 숫단추와 암단추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슬라이딩 스냅단추 10 : 숫단추
20 : 암단추 100 : 숫단추덮개
102 : 제 1 끼움돌기 104 : 제 1 고정판
106 : 착탈돌기 108 : 착탈링
110 : 제 1 끼움공 202 : 외부덮개
204 : 착탈구 205 : 가이드부
206 : 결합돌기 210 : 내부덮개
212 : 끼움편 214 : 삽입홈
216 : 고정부재 218 : 제 2 끼움돌기
220 : 결합공 230 : 제 2 고정판
232 : 제 2 끼움공 300 : 직물

Claims (5)

  1. 숫단추덮개(100), 상기 숫단추덮개(100)에 돌출형성되는 제 1 끼움돌기(102), 상기 제 1 끼움돌기(102)가 삽입되는 제 1 끼움공(110)을 구비한 제 1 고정판(104), 상기 제 1 고정판(104)에 돌출형성되는 착탈돌기(106), 상기 착탈돌기(106)의 단부에 형성되는 착탈링(108)을 포함하는 숫단추(10); 및
    상기 숫단추(10)가 삽입되도록 착탈구(204)와 가이드부(205)가 구비된 외부덮개(202), 상기 외부덮개(202)와 결합하는 내부덮개(210)로 이루어지는 암단추(20)를 포함하며,
    상기 숫단추(10)는 상기 암단추(20)에 구비된 상기 착탈구(204)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스냅단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덮개(210)는 암단추(20)에 삽입된 숫단추(1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부재(216)와 상기 고정부재(216)를 고정시키는 끼움편(212)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스냅단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덮개(202)의 내부면에는 결합돌기(206)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덮개(210)의 내부면에는 상기 결합돌기(206)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220)이 형성 되어 상기 결합돌기(206)와 상기 결합공(220)이 억지끼움되어 상기 외부덮개(202)와 상기 내부덮개(210)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스냅단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덮개(210)의 외부면에는 제 2 끼움돌기(218)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끼움돌기(218)가 삽입되는 제 2 끼움공(232)을 구비한 제 2 고정판(230)이 더 구비되어 상기 제 2 끼움돌기(218)를 상기 제 2 끼움공(232)에 억지끼움하여 상기 내부덮개(210)와 상기 제 2 고정판(230)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스냅단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숫단추(10)와 상기 암단추(20)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스냅단추.
KR2020090000122U 2009-01-06 2009-01-06 슬라이딩 스냅단추 KR201000072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122U KR20100007237U (ko) 2009-01-06 2009-01-06 슬라이딩 스냅단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0122U KR20100007237U (ko) 2009-01-06 2009-01-06 슬라이딩 스냅단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237U true KR20100007237U (ko) 2010-07-15

Family

ID=44452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0122U KR20100007237U (ko) 2009-01-06 2009-01-06 슬라이딩 스냅단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723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900B1 (ko) 2018-11-07 2020-02-24 김선중 슬라이딩 단추
KR102357976B1 (ko) 2020-09-17 2022-02-07 김선중 슬라이딩 단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900B1 (ko) 2018-11-07 2020-02-24 김선중 슬라이딩 단추
KR102357976B1 (ko) 2020-09-17 2022-02-07 김선중 슬라이딩 단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1498B1 (en) Buckle
US10667584B2 (en) Wearable device and main body of wearable device
US4425689A (en) Separable fastener for garments, belts and the like
US20130241216A1 (en) Lock shell assembly
US9629751B2 (en) Fixed structure for the constricting band of snow goggles
US20070186324A1 (en) Protective mask
JPH0591905A (ja) バツクル
US20150289598A1 (en) Buckle Assembly and Respiratory Mask Including the Same
TWI273951B (en) Retaining device
US10588383B2 (en) Buckle
JP6193990B2 (ja) 安全バックル・デバイス
KR20100007237U (ko) 슬라이딩 스냅단추
KR200476926Y1 (ko) 착탈식 버클
KR200413079Y1 (ko) 스냅단추
EP3123890A1 (en) Buckle having easy separation operation
KR101632531B1 (ko) 버클장치
US20080282516A1 (en) Apparatus of Fixing a Belt Buckle
JP6297995B2 (ja) シングルホイールキャスター
KR101660504B1 (ko) 스냅단추용 수단추
JP3196242U (ja) クイックバックル
CN114145549A (zh) 可穿戴设备
JP3135957U (ja) 装身具
US7250912B2 (en) Fixing structure
US9557514B2 (en) Lens cap
KR200444116Y1 (ko) 가압부재가 형성된 벨트용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