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857B1 -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 - Google Patents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857B1
KR101992857B1 KR1020160092151A KR20160092151A KR101992857B1 KR 101992857 B1 KR101992857 B1 KR 101992857B1 KR 1020160092151 A KR1020160092151 A KR 1020160092151A KR 20160092151 A KR20160092151 A KR 20160092151A KR 101992857 B1 KR101992857 B1 KR 101992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ase
present
fastened
poll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0054A (ko
Inventor
김세용
김순자
Original Assignee
김세용
김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용, 김순자 filed Critical 김세용
Priority to KR1020160092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857B1/ko
Publication of KR20180010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F16B19/04Rivets; Spigots or the like fastened by riveting
    • F16B19/08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 F16B19/10Hollow rivets; Multi-part rivets fastened by expanding mechanicall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형성된 케이스;
관통홀에 일부 절개된 일측이 삽입되되, 케이스의 외측에 삽입되고, 타측에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1부재; 및 일측이 삽입홀에 삽입되는 제1삽입돌기가 형성된 제2부재;를 포함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화분의 외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되, 상기 관통홀에 쉽게 삽입되는 제1부재를 삽입하고 제2부재를 제1부재의 타측에 삽입시킴으로써, 제2부재의 절개된 부분을 확장시켜 관통홀 내에서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쉽게 결합시키고, 탈거시, 제2부재를 제1부재에서 제거한 후 제1부재를 제거함에 따라 쉽게 탈거시키는 것이 가능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Flowerport With Fastening Member Fastened}
본 발명은 성장하는 식물을 위해 조립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에 판매가 되는 일반적인 화분은 심어진 식물들의 뿌리가 성장하면서 뿌리돌림 현상이 발생하는데, 공기가 유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된 화분의 경우 옆으로 퍼지면서 자라나는 뿌리들이 화분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유통되는 공기 때문에 마르면서 뿌리 중간에서 새로운 뿌리가 돋아나는 것을 촉진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통홀이 형성된 화분은 사용자가 그 용도에 따라 뿌리가 자라는 방향을 조절하거나, 조립하기 위해 특정 관통홀을 밀폐시켜주는 체결부재를 사용해 왔다. 하지만, 기존의 체결부재는, 화분에 나사 결합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화분의 관통홀을 마모시키거나 손상했고, 체결부재에 형성된 나사산들이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비효율적인 문제가 발생함과 동시에 화분과 체결부재는 결합에 의한 마모 때문에 사용횟수가 한정될 수밖에 없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화분의 외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되, 상기 관통홀에 쉽게 삽입되는 제1부재를 삽입하고 제2부재를 제1부재의 타측에 삽입시킴으로써, 제2부재의 절개된 부분을 확장시켜 관통홀 내에서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쉽게 결합시키고, 탈거시, 제2부재를 제1부재에서 제거한 후 제1부재를 제거함에 따라 쉽게 탈거시키는 것이 가능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부재에 형성된 손잡이보다 제2부재에 형성된 손잡이를 더 크게 형성하여, 제2부재를 먼저 탈거시키고 제1부재를 그 후에 탈거하는 것이 가능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분의 밑판이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화분의 밑판에 형성된 외주면에 이격하여 형성되되 케이스의 일측과 타측이 만나 원통을 형성하면 케이스에 형성된 각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보다 쉽게 원통형상으로 조립이 가능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3부재의 특정 제2삽입돌기의 끝단에 요(凹) 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이 형성된 제2삽입돌기의 양 끝단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특정 제2삽입돌기가 상기 케이스의 일측 하단에 위치한 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 하단의 관통홀에 삽입이 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특정 제2삽입돌기를 기준으로 상기 케이스 내면에 형성된 관통홀에 각 제2삽입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가 상기 제3부재의 측면을 감싸며 조립되고, 조립된 상기 케이스의 타측 하단에 위치한 관통홀에 상기 케이스의 일측 하단에 위치한 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특정 제2삽입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보다 쉽게 원통형상으로 조립이 가능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관통홀이 형성된 원통형의 케이스;
일측이 일부 절개되고 타측에 삽입홀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1부재;
일측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제1삽입돌기가 형성된 제2부재; 및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판형의 외주면에 끝단이 유선형으로 형성된 제2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삽입되는 제3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케이스는, 판형으로 형성되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이 결합되어 원통형상을 형성하고, 외면으로 돌출되는 외면돌기와 내면으로 돌출되는 내면돌기가 교차하여 형성되고, 상기 외면돌기의 일부가 절삭되어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부재는, 하나 이상의 제2삽입돌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관통홀에 탈착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가 유통되도록 화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제3부재는, 재활용 수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화분의 외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관통홀을 선택적으로 밀폐시키되, 상기 관통홀에 쉽게 삽입되는 제1부재를 삽입하고 제2부재를 제1부재의 타측에 삽입시킴으로써, 제2부재의 절개된 부분을 확장시켜 관통홀 내에서 제1부재와 제2부재를 쉽게 결합시키고, 탈거시, 제2부재를 제1부재에서 제거한 후 제1부재를 제거함에 따라 쉽게 탈거시키는 것이 가능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부재에 형성된 손잡이보다 제2부재에 형성된 손잡이를 더 크게 형성하여, 제2부재를 쉽게 탈거시키고 제1부재를 그 후에 탈거하는 것이 가능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분의 밑판이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화분의 밑판에 형성된 외주면에 이격하여 형성되되 케이스의 일측과 타측이 만나 원통을 형성하면 케이스에 형성된 각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보다 쉽게 원통형상으로 조립이 가능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따르면, 제3부재의 특정 제2삽입돌기의 끝단에 요(凹) 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이 형성된 제2삽입돌기의 양 끝단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특정 제2삽입돌기가 상기 케이스의 일측 하단에 위치한 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의 일측 하단의 관통홀에 삽입이 되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특정 제2삽입돌기를 기준으로 상기 케이스 내면에 형성된 관통홀에 각 제2삽입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가 상기 제3부재의 측면을 감싸며 조립되고, 조립된 상기 케이스의 타측 하단에 위치한 관통홀에 상기 케이스의 일측 하단에 위치한 관통홀에 삽입된 상기 특정 제2삽입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보다 쉽게 원통형상으로 조립이 가능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서 케이스에 제1부재 내지 제3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서 케이스에 제1부재 내지 제3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서 케이스에 제1부재 내지 제3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서 케이스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서 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의 제3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의 제2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의 제1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의 제2부재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서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결합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서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결합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서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결합한 것을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의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조립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의 제3부재와 결합체 그리고 케이스를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서 케이스에 제1부재 내지 제3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서 케이스에 제1부재 내지 제3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서 케이스에 제1부재 내지 제3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서 케이스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서 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의 제3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의 제2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의 제1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의 제2부재를 나타낸 저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서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결합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서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결합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서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결합한 것을 나타낸 저면도이며,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의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조립단면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의 제3부재와 결합체 그리고 케이스를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은, 케이스(400), 제1부재(100), 제2부재(200) 및 제3부재(300)를 포함한다.
케이스(4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관통홀(4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400)는, 판형(410)으로 형성되되, 외면으로 돌출되는 외면돌기(412)와 내면으로 돌출되는 내면돌기(411)가 교차하여 형성되고, 상기 외면돌기(412)의 일부가 절삭되어 상기 관통홀(4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400)는, 일측 끝단(431)과 타측 끝단(432)이 결합되어 원통형상을 형성하되, 일측 끝단(431)의 각 내면돌기(411)와 타측 끝단(432)의 각 내면돌기(411)가 서로 조립되고, 일측 끝단(431)의 각 외면돌기(412)와 타측 끝단(432)의 각 외면돌기(412)가 서로 조립되어 원통형상을 형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인 결합체(10)는, 상기 일측 끝단(431) 외면돌기(412)의 관통홀과 타측 끝단(432) 외면돌기(412)의 관통홀(420)에 삽입되어 원통형으로 조립된 케이스(400)를 쉽게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부재(100)는, 상기 관통홀(420)에 일부 절개된 일측(123)이 삽입되되, 상기 케이스(400)의 외측에 삽입되고, 타측에 삽입홀(1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부재(100)는, 상기 삽입홀(111)은 상기 일부 절개된 일측(123)의 일부분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부재(100)는, 타측에 원판형의 제1손잡이부(1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부재(200)는, 일측이 상기 삽입홀(111)에 삽입되는 제1삽입돌기(220)가 형성된다.
상기 제2부재(200)는, 타측에 제2손잡이부(210)가 형성되되, 상기 제1부재(100)의 제1손잡이부(110)의 내경(121)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2부재(200)의 제1삽입돌기(220)는, 제1부재(100)의 삽입홀(111)에 삽입되되, 삽입홀(111)에 삽입 후 상기 절개된 일측(132)으로부터 일정거리 더 돌출되도록 그 길이가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부재(100)는, 관통홀(420)에 일측이 삽입된 후 제2부재(200)가 삽입홀(111)에 삽입됨으로써 일부 절개된 일측(123)이 벌어져 상기 관통홀(42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삽입홀(111)의 넓이보다 일부 절개된 일측(123)의 넓이가 더 넓기 때문에 상기 삽입홀(111)삽입되도록 형성된 제2부재(200)의 제1삽입돌기(220)가 일부 절개된 일측(123)을 벌어지게 하여 벌어진 일부 절개된 일측(123)이 상기 관통홀(420)의 내경보다 더 넓게 벌어져 결합체(10)를 상기 관통홀(420)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통홀(420)에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가 결합된 결합체(10)가 일측 끝단(431) 외면돌기(412)의 관통홀과 타측 끝단(432) 외면돌기(412)의 관통홀(420)이 서로 조립되어 형성된 특정 관통홀(420)을 관통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케이스(400)에 형성된 관통홀(420)을 쉽게 개폐시키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3부재(30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2삽입돌기(310)는 끝단이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420)에 탈착이 용이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3부재(300)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케이스(400)의 내측에 삽입되는 제2삽입돌기(310) 외주면에 이격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제2삽입돌기(310a)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관통홀(420)에 탈착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420)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특정 제2삽입돌기(310a)의 끝단에 요(凹)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특정 제2삽입돌기(310a) 끝단의 일측과 타측이 돌출되어 고정돌기(314)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420)과 결합시, 상기 고정돌기(314)가 상기 관통홀(420)을 관통하여 상기 관통홀(420)에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특정 제2삽입돌기(310a)의 끝단에 요(凹) 홈(312)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312)이 형성된 제2삽입돌기(310a)의 양 끝단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돌기(314)가 형성되며, 상기 특정 제2삽입돌기(310a)가 상기 케이스(400)의 일측 하단에 위치한 관통홀(420)에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400)의 일측 하단의 관통홀(420)에 삽입이 되고, 상기 관통홀(420)에 삽입된 상기 특정 제2삽입돌기(310a)를 기준으로 상기 케이스(400) 내면에 형성된 관통홀(420)에 각 제2삽입돌기(310)가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400)가 상기 제3부재(300)의 측면을 감싸며 조립되고, 조립된 상기 케이스(400)의 타측 하단에 위치한 관통홀(420)에 상기 케이스(400)의 일측 하단에 위치한 관통홀(420)에 삽입된 상기 특정 제2삽입돌기(310a)가 삽입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보다 쉽게 원통형상으로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특정 제2삽입돌기(310a)가 형성된 고정돌기(420)가 유선형으로 형성되어기 때문에 상기 케이스(400)에 형성된 관통홀(420)에 대한 탈착이 용이하다.
또한, 제3부재(300)는, 비교적 박판인 플라스틱 재질로써, 재활용 수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기재된 케이스(400), 제1부재(100) 및 제2부재(200) 역시 비교적 박판인 플라스틱 재질로써, 재활용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결합체 100: 제1부재
110: 제1손잡이부 111: 삽입홀
120: 제1돌기 121: 내경
122: 삽입홀의끝단 123: 절개된 일측
200: 제2부재 210: 제2손잡이부
220: 제1삽입돌기
300: 제3부재 310: 제2삽입돌기
312 : 요(凹)홈 314: 고정돌기
400: 케이스 410: 판형
411: 내면돌기 412: 외면돌기
420: 관통홀 431: 일측 끝단
432 : 타측 끝단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관통홀이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원통형의 케이스;
    일측이 일부 절개되고 타측에 원판형의 제1손잡이부 형성되고, 상기 제1손잡이부 중앙에 삽입홀이 형성된 제1부재;
    일측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제1삽입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1손잡이부의 내경 보다 더 큰 제2손잡이부가 형성된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제2부재의 제1삽입돌기가 상기 제1부재의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며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의 끝단에 상기 제1손잡이부의 일면이 접하도록 결합체;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판형의 외주면에 끝단이 유선형으로 형성된 제2삽입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삽입되는 제3부재;
    상기 케이스는,
    판형으로 형성되되,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이 결합되어 원통형상을 형성하고, 외면으로 돌출되는 외면돌기와 내면으로 돌출되는 내면돌기가 교차하여 형성되고, 상기 외면돌기의 일부가 절삭되어 상기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3 부재는, 하나 이상의 제2삽입돌기 중 어느 하나가 끝단이 요(凹) 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 홈이 형성된 양 끝단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고정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유선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에 탈착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92151A 2016-07-20 2016-07-20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 KR101992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151A KR101992857B1 (ko) 2016-07-20 2016-07-20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151A KR101992857B1 (ko) 2016-07-20 2016-07-20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054A KR20180010054A (ko) 2018-01-30
KR101992857B1 true KR101992857B1 (ko) 2019-06-25

Family

ID=61070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151A KR101992857B1 (ko) 2016-07-20 2016-07-20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8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297A1 (ko) * 2020-11-27 2022-06-02 유한회사 지에스코리아 농업회사법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386A (ko) 2019-06-12 2020-12-22 김세용 텃밭용 화분
KR102379728B1 (ko) 2020-03-27 2022-03-28 주식회사 지에스코리아 농업회사법인 텃밭용 화분을 이용한 모듈형 정원
KR102260518B1 (ko) * 2021-03-22 2021-06-02 차영선 화분커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0460A (ja) * 2005-12-20 2007-07-05 Piolax Inc 2ピースク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477Y1 (ko) * 2011-04-15 2013-06-14 (주)수프로 화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화분 제조용 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0460A (ja) * 2005-12-20 2007-07-05 Piolax Inc 2ピースク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297A1 (ko) * 2020-11-27 2022-06-02 유한회사 지에스코리아 농업회사법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054A (ko) 201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857B1 (ko)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
KR101893251B1 (ko) 걸이끈과 마스크의 연결을 위한 결합체가 조립되는 마스크
CA2628197A1 (en) Open bottomed planting pot with releasable bottom cover
US10426101B2 (en) Plant pot with irregular bottom edge
KR20080048064A (ko) 식물 또는 화초를 심기 위한 용기 및 이의 평면형 전개물
US20120000127A1 (en) Flower pot having removable base
EP0089291A1 (fr) Dispositif d'agencement de plantes
CA2346629C (en) Plan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8171669B1 (en) Air rooting shell
IE42461B1 (en) Containers for growing plants
JP2007252267A (ja) 接木用クリップ
CN106793850A (zh) 一种用于手镯和/或项链的装饰部件
KR101880539B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구 및 그 고정방법
KR200480088Y1 (ko) 농작물 지지구
US20130284200A1 (en) Hair accessory system and methods
KR102091850B1 (ko) 스냅파스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스냅파스너
KR200297338Y1 (ko) 분갈이가 용이한 화분
US5979112A (en) Seedling planter
KR102331272B1 (ko) 버섯 성장용기
EP4252524A1 (en) Flowerpot to which fastening members are fastened
KR200403037Y1 (ko) 가지재배통
NL2015930B1 (en) A pot and a method.
KR20050067124A (ko) 퍼머로드 세트
TWI572276B (zh) Planting pots
US11399598B2 (en) Ornament c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