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14297A1 -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 - Google Patents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14297A1
WO2022114297A1 PCT/KR2020/017127 KR2020017127W WO2022114297A1 WO 2022114297 A1 WO2022114297 A1 WO 2022114297A1 KR 2020017127 W KR2020017127 W KR 2020017127W WO 2022114297 A1 WO2022114297 A1 WO 202211429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se
protrusion
fastened
flowerpo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712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세용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지에스코리아 농업회사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지에스코리아 농업회사법인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지에스코리아 농업회사법인
Priority to US18/254,032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090386A1/en
Priority to JP2023532371A priority patent/JP2023550984A/ja
Priority to PCT/KR2020/017127 priority patent/WO2022114297A1/ko
Priority to EP20963692.7A priority patent/EP4252524A1/en
Publication of WO202211429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1429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6Foldable pots

Definitions

  • the outer surface of the case 400 is formed in white to reflect ultraviolet and thermal infrared rays irradiated from the outside to suppress the temperature rise of the flowerpot, and the inner surface is formed in black to reflect visible ray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Make sure that the light is not transmitted to the roots. This prevents the root from drying ou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장하는 식물을 위해 조립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외면은 흰색으로 형성되어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일부가 절삭되어 관통홀이 형성된 외면돌기와 내면은 검정색으로 형성되며 내면으로부터 외면돌기와 교차하여 돌출되며 일부가 절삭되어 관통홀이 형성된 내면돌기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판형으로 형성되어,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이 결합되며 원통형상으로 변형되는 케이스;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케이스가 원통형상으로 변형되었을 때, 원통형의 케이스 내면에 삽입되는 제3부재; 일측이 일부 절개되고 타측에 원판형의 제1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제1손잡이부의 중앙에 삽입홀이 형성된 제1부재와, 타측에 제1손잡이부의 내경 보다 더 큰 제2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1삽입돌기가 형성된 제2부재(200)를 포함하여, 제1삽입돌기(220)가 삽입홀(111)에 삽입되며 제1손잡이부(110)의 하면이 관통홀의 최상단면에 접하도록 결합되는 결합체(1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
본 발명은 성장하는 식물을 위해 조립된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화분은 적절한 환경 상에서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현재, 많은 화분들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내외부면에 교차하여 돌기가 형성되고 형성된 돌기에 관통홀이 형성된 구조로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화분은 관톨홀을 통해 공기가 유동하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이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며 내부에 있는 뿌리가 서로 엉키지 않도록 한다.
화분은 자체의 색상에 따라 뿌리 성장에 큰 영향을 준다. 일 예로, 화분이 검정색을 띌 경우 내부 온도를 40℃ 이상 상승시키며 뿌리의 단백질을 파괴시킨다. 나아가 흙을 건조시켜 식물이 자라기에 척박한 환경을 조성한다. 이와 같이, 검정색의 화분은 뿌리의 성장을 억제한다.
현재, 화분을 연구 개발하는 기업들은 검정색의 화분이 갖는 전술 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화분을 활발하게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업들은 빛의 반사율이 높은 색상 즉, 흰색을 띄면서도 내/외부에 형성된 돌기부를 가지는 화분 들을 개발하고 있다. 그러나, 흰색의 화분은 재생원료로 제조되지 못해 제조 원가가 비싼 문제가 있다. 이에, 화분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이 뒤쳐진다.
현재에는 흰색의 화분이 갖는 문제 즉, 화분의 제조 원가가 높은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흰색의 화분이 갖는 장점 즉, 식물의 뿌리가 잘 자랄 수 있도록 하는 점을 나타내는 화분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외면은 하얀색으로 형성되고, 내면은 검정색으로 형성되어 화분의 외면이 검정색일 때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면이 하얀색으로 형성되고 내면이 검정색으로 형성된 판형에 형성된 내/외부 돌기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부재를 통해 용이하게 화분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하며 기존의 판형의 케이스에서 다양한 화분 형상으로 변형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케이스가 판형에서 원통형상으로 변형될 때, 제1부재와 제2부재가 형상적 특징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여, 체결부재가 쉽게 분리되지 못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외면은 흰색으로 형성되어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일부가 절삭되어 관통홀이 형성된 외면돌기와 내면은 검정색으로 형성되며 내면으로부터 외면돌기와 교차하여 돌출되며 일부가 절삭되어 관통홀이 형성된 내면돌기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판형으로 형성되어,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이 결합되며 원통형상으로 변형되는 케이스;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케이스가 원통형상으로 변형되었을 때, 원통형의 케이스 내면에 삽입되는 제3부재;
일측이 일부 절개되고 타측에 원판형의 제1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제1손잡이부의 중앙에 삽입홀이 형성된 제1부재와,
타측에 제1손잡이부의 내경 보다 더 큰 제2손잡이부와 제2손잡이부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1삽입돌기가 형성된 제2부재를 포함하여, 제1삽입돌기가 삽입홀에 삽입되며 제1손잡이부의 하면이 관통홀의 최상단면에 접하도록 결합되는 결합체를 포함한다.
제1부재는,
내면에 형성되어 삽입홀로 삽입되는 제2부재의 밀착력을 높이는 밀착모듈을 더 포함하고,
제2부재는,
제1삽입판과 제1삽입판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제2삽입판 및 제1삽입판과 제2삽입판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테이퍼파트 그리고 제1삽입판과 제2삽입판의 외면에 형성된 걸림돌기와 수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외면이 하얀색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및 열 적외선을 반사하며 화분의 온도 상승을 억제한다. 그리고 내면이 검정색으로 형성되어 재생원료가 사용되도록 하며, 외부에서 유입된 가시광선이 뿌리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해, 뿌리가 건조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더욱이, 케이스의 외면이 흰색 그리고 내면이 검정색으로 형성되어 화분의 전체적인 온도 상승을 억제하고 토양에 있는 물이 부패 속도를 가속시키는 문제 및 토양에 곰팡이가 피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판형의 케이스에 형성된 내부돌기 및 외부돌기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용이하게 화분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하며 기존의 판형의 케이스에서 다양한 화분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케이스가 판형에서 원통형상으로 변형될 때, 제1부재와 제2부재가 형상적 특징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여, 체결부재가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서 케이스에 제1부재 내지 제3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서 케이스에 제1부재 내지 제3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서 케이스를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체결되는 화분에서 케이스의 내면돌기와 외면돌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내면돌기와 외면돌기 및 내면돌기와 외면돌기가 결합된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에 체결되는 제1실시예의 제1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에 체결되는 제2실시예의 제1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제1실시예의 제1부재와 체결되는 제1실시예의 제2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제2실시예의 제1부재와 체결되는 제2실시예의 제2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제2실시예의 제1부재와 체결되는 제3실시예의 제2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도 6의 제1부재와 도 9의 제2부재가 체결된 결합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6의 제1부재와 도 9의 제2부재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에 결합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3부재 및 결합체가 체결된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에 결합된 제3부재를 나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정의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정의는 오로지 청구항의 의해 정의된다. 아울러,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해질 수 있도록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 및 케이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 후, 도 6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케이스에 체결되는 제1부재 내지 제3부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서 케이스에 제1부재 내지 제3부재가 결합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에서 케이스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체결되는 화분에서 케이스의 내면돌기와 외면돌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내면돌기와 외면돌기 및 내면돌기와 외면돌기가 결합된 케이스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은 케이스(400)의 외면이 흰색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및 열 적외선을 반사해 화분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고 내면이 검정색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가시광선이 뿌리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통해, 뿌리가 건조되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은 케이스(400), 제1부재(100), 제2부재(200) 및 제3부재(300)를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이하,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케이스(400)는 외면으로 돌출되는 외면돌기(412)와 내면으로 돌출되는 내면돌기(411)가 교차하여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케이스(400)는 일면이 흰색 그리고 타면이 검정색이 하나로 합쳐진 구조로 형성된다. 즉, 이중 사출로 제조되며 일면이 흰색 그리고 타면이 검정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으로 형성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아울러, 케이스의 내면인 검정색은 재생 원료로 사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400)는 일측 끝단(431)과 타측 끝단(432)이 결합되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일측 끝단(431)의 각 내면돌기(411)와 타측 끝단(432)의 각 내면돌기(411)가 서로 조립되고, 일측 끝단(431)의 각 외면돌기(412)와 타측 끝단(432)의 각 외면돌기(412)가 서로 조립되며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400)는 일면이 외면이 되고, 타면이 내면이 되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케이스(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윗면이 검정색 그리고 아랫면이 흰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아랫면은 외면 그리고 윗면은 내면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400)는 흰색면이 외측면 검정색면이 내측면이 되도록 화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돌기(411)가 형성된 흰색면과 외면돌기(412)가 검정색면은 공정 과정에서 부착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화분은 화분의 전체적인 온도 상승을 억제하며 화분에 있는 물이 부패되는 문제 및 토양에 곰팡이가 피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더욱이, 케이스(400)의 검정색 면은 외부에서 유입된 가시광선을 차단하며 가시광선이 뿌리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뿌리가 건조되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400)는 전체가 검정색인 케이스로 화분이 형성되었을 때, 검정색이 아닌 케이스로 화분이 형성되었을 때 보다, 평균 5℃ 이하의 온도가 올라가도록 할 수 있다. 통상, 화분의 내부 온도가 40℃ 이상 올라가게 되면 식물 뿌리의 단백질이 녹아 식물 성장에 악형향을 끼친다. 본 발명의 케이스(400)는 외면이 흰색으로 조성되어, 외부에서 전달되는 빛을 반사하며 화분의 내부 온도가 40℃에 도달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결합체(10)는 제1부재와 제2부재가 결합되어 케이스(400)가 판형에서 원통형상으로 변형되었을 때, 원통형상이 유지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체(10)는 일측 끝단(431)의 외면돌기(412)의 관통홀과 타측 끝단(432)의 외면돌기(412)의 관통홀(420) 또는 일측 끝단(431)의 내면돌기의 관통홀과 타측 끝단의 내면돌기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원통형으로 조립된 케이스(400)가 풀리지 않도록 한다.
이하, 도 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제1부재와 제2부재 그리고 제1부재와 제2부재가 체결된 결합체 및 케이스에 결합체가 체결되는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에 체결되는 제1실시예의 제1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에 체결되는 제2실시예의 제1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6의 제1실시예의 제1부재와 체결되는 제1실시예의 제2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도 8의 제2실시예의 제1부재와 체결되는 제2실시예의 제2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8의 제2실시예의 제1부재와 체결되는 제3실시예의 제2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 내지 도 14는 도 6의 제1부재와 도 9의 제2부재가 체결된 결합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5 내지 도 17은 도 6의 제1부재와 도 9의 제2부재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에 결합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제1실시예의 제1부재(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부재(100)는 중앙에 삽입홀(111)이 형성된 원판형의 제1손잡이부(110)와 제1손잡이부(110)의 타측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제1돌기(120)와 복수 개의 제1돌기(120) 사이에 형성된 일부 절개된 일측(123)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부재(100)는 관통홀(420)에 일부 절개된 일측(123)이 삽입되어 케이스(400)의 외면에 삽입된다.
제2실시예의 제1부재(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면에 밀착모듈(120-1)이 형성되어 삽입홀(111)로 삽입되는 제2부재의 밀착력을 높인다. 여기서, 밀착모듈(120-1)은 도 8의 삽입홀(111)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삽입홀(111)로 유입되는 제2부재(200)의 제1삽입돌기(220)을 가압할 수 있다.
제2부재(200)는 일측이 삽입홀(111)에 삽입되는 제1삽입돌기(220)와 제1삽입돌기(220)의 타측에 형성된 제2손잡이부(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손잡이부(210)는 제1부재(100)의 제1손잡이부(110)의 내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제2부재(200) 전체가 제1부재(100)의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제2부재(200)의 제1삽입돌기(220)는 제1부재(100)의 삽입홀(111)에 삽입되며 삽입홀(111)에 삽입 후 절개된 일측(132)으로부터 일정거리 더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부재(100)는 관통홀(420)에 일측이 삽입된 후 제2부재(200)가 삽입홀(111)에 삽입됨으로써 일부 절개된 일측(123)이 벌어져 관통홀(420)에 고정되도록 한다.
아울러, 제2부재(200)는 이와 같이 제1실시예 외에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는 제2손잡이부(210)의 형상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이에,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의 제2부재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해질 수 있도록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의 제2부재를 하나로 묶어 설명한다.
제2실시예의 제2부재(200-1)과 제3실시예의 제2부재(200-2)는 제1삽입판(221)과 제1삽입판(221)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제2삽입판(222) 및 제1삽입판(221)과 제2삽입판(222)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테이퍼파트(Taper part, 240) 그리고 제1삽입판(221)과 제2삽입판(222)의 외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31)와 수용홈(232)을 포함하는 삽입돌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삽입판(221)과 제2삽입판(222)는 연결되어 도 8의 (c)와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X형으로 형성되며 제1사분면 내지 4사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테이퍼파트(230, 240)는 제1삽입관(221)과 제2삽입판(222)의 위에 형성된 상부테이퍼파트(230)와 제1삽입관(221)과 제2삽입판(222)의 아래에 형성된 하부테이퍼파트(2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테이퍼파트(240)는 데투리홈(241)을 포함하여 제2실시예의 제1부재에 보다 강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부테이퍼파트(230)와 하부테이퍼파트(240)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사분면과 제2사분면, 제2사분면과 제3사분면, 제3사분면과 제4사분면 그리고 제4사분면과 제1사분면 사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사분면 내지 제4사분면에 형성된 상부테이퍼파트 및 하부테이퍼파트에 형성된 부분을 합쳤을 때, 중심선에 관하여 하방으로 경사진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실시예의 제1부재와 제1실시예의 제2부재는 결합되어 도 10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체(10)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실시예의 제1부재는 제2실시예의 제2부재 또는 제3실시예의 제2부재와 결합되어 결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실시예에 따른 제1부재와 제1실시예에 따른 제2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된 결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결합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재의 제1삽입돌기(220)는 삽입홀(111)에 삽입되며 제1부재(100)의 일부 절개된 일측(123)을 벌어지게 하여 벌어진 일부 절개된 일측(123) 및 복수 개의 제1돌기(120)가 벌어지도록 하며 벌어진 복수 개의 제1돌기 사이의 거리가 관통홀(420)의 내경보다 더 넓어 지도록 함으로써 관통홀(420)에 결합체(10)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결합체(10)는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끝단(431)에 형성된 외면돌기(412)의 관통홀과 타측 끝단(432)에 형성된 외면돌기(412)의 관통홀(420)이 서로 조립되어 형성된 특정 관통홀(420)을 관통하여 케이스(400)가 원통형상으로 유지되도록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을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원통형상의 케이스의 내부 하단에는 제3부재(300)가 설치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에 결합된 제3부재를 나낸 도면이다.
제3부재(30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케이스(400)의 내면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제3부재(300)는 박판인 플라스틱 재질로써 재활용 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기재된 케이스(400)의 내면 또한 재활용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

  1. 외면은 흰색으로 형성되어 외면으로부터 돌출된 외면돌기(412)와 내면은 검정색으로 형성되며 내면으로부터 상기 외면돌기와 교차하여 돌출된 내면돌기(411)를 포함하도록 이중 사출된 케이스(400);
    일측이 일부 절개되고 타측에 원판형의 제1손잡이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손잡이부(110)의 중앙에 삽입홀(111)이 형성된 제1부재(100);
    일측이 상기 삽입홀(111)에 삽입되는 제1삽입돌기(220)가 형성되고, 타측에 제1손잡이부(110)의 내경 보다 더 큰 제2손잡이부(210)가 형성된 제2부재(200);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삽입되는 제3부재(300);
    상기 케이스(400)는,
    플라스틱 재질의 판형으로 형성되어 일측 끝단과 타측 끝단이 결합되어 원통형상으로 변형되고, 상기 외면돌기 및 상기 내면돌기의 일부가 절삭되어 형성된 관통홀(420)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100)와 상기 제2부재(200)는,
    상기 제2부재(200)의 제1삽입돌기(220)가 상기 제1부재(100)의 상기 삽입홀(111)에 삽입되며 결합되어, 상기 관통홀의 끝단에 상기 제1손잡이부(110)의 일면이 접하는 결합체(10)를 포함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
  2. 제1항에 있어서,
    제1부재는,
    내면에 형성되어 삽입홀(111)로 삽입되는 제2부재의 밀착력을 높이는 밀착모듈(120-1)을 더 포함하고,
    제2부재는,
    제1삽입판(221)과 제1삽입판(221)과 수직하게 교차하는 제2삽입판(222) 및 제1삽입판(221)과 제2삽입판(222) 사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테이퍼파트(240) 그리고 제1삽입판(221)과 제2삽입판(222)의 외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31)와 수용홈(232)을 포함하는,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
PCT/KR2020/017127 2020-11-27 2020-11-27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 WO2022114297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254,032 US20240090386A1 (en) 2020-11-27 2020-11-27 Flowerpot to which fastening members are fastened
JP2023532371A JP2023550984A (ja) 2020-11-27 2020-11-27 締結部材が締結される植木鉢
PCT/KR2020/017127 WO2022114297A1 (ko) 2020-11-27 2020-11-27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
EP20963692.7A EP4252524A1 (en) 2020-11-27 2020-11-27 Flowerpot to which fastening members are fasten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7127 WO2022114297A1 (ko) 2020-11-27 2020-11-27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4297A1 true WO2022114297A1 (ko) 2022-06-02

Family

ID=81755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7127 WO2022114297A1 (ko) 2020-11-27 2020-11-27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90386A1 (ko)
EP (1) EP4252524A1 (ko)
JP (1) JP2023550984A (ko)
WO (1) WO202211429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38U (ja) * 1992-06-26 1994-01-25 株式会社コバヤシ 育苗箱
JPH1075665A (ja) * 1996-08-30 1998-03-24 Tanaka Sangyo Kk セル成型苗の育苗トレイ
JP2007170460A (ja) * 2005-12-20 2007-07-05 Piolax Inc 2ピースク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6279029B2 (ja) * 2016-08-05 2018-02-14 永興化成株式会社 植物栽培用トレイ
KR101992857B1 (ko) * 2016-07-20 2019-06-25 김세용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38U (ja) * 1992-06-26 1994-01-25 株式会社コバヤシ 育苗箱
JPH1075665A (ja) * 1996-08-30 1998-03-24 Tanaka Sangyo Kk セル成型苗の育苗トレイ
JP2007170460A (ja) * 2005-12-20 2007-07-05 Piolax Inc 2ピースク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92857B1 (ko) * 2016-07-20 2019-06-25 김세용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
JP6279029B2 (ja) * 2016-08-05 2018-02-14 永興化成株式会社 植物栽培用ト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90386A1 (en) 2024-03-21
JP2023550984A (ja) 2023-12-06
EP4252524A1 (en) 202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34325A1 (en) Multiports having a connection port insert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2267503B1 (en) Fiber access terminal
CN102197557B (zh) 机械式入线口
US11703652B2 (en) Fiber optic cable assembly with integrated shuffle and fabrication method
US6240228B1 (en) Duplex fiber optic connector system and method of fabrication
JP2001281497A (ja) 複数の光ファイバの編成および整列装置と方法
US9151922B2 (en) Cable support for distribution boxes, in particular for FTTH environments
US6763166B2 (en) Flexible shuffle circuit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CA2215639A1 (en) Optical cable for data transmission on local area networks
WO2022114297A1 (ko) 체결부재가 체결되는 화분
US20040037534A1 (en) Fixture for a flexible shuffle circuit
JP2000121876A (ja) 二重光ファイバコネクタシステム及びその製造方法
US5166993A (en) Molded polymeric resin-filled optical coupler
CN101539650A (zh) 光纤接入终端
DE102010007783A1 (de) Vermittlungszentrale für Glasfasernetze
US20210018708A1 (en) Telecommunications Boxes With Movable Adapter Holder
CN211263858U (zh) 一种用于光纤头的固定结构
CN210294620U (zh) 一种光缆加强芯表面上色装置
DE69807258D1 (de) KABEL MIT FASEROPTISCHEN BÄNDERN und METHODE ZUR INSTALLATION VON OPTISCHEN FASERN IN EINEM KABEL
CN216248447U (zh) 一种便于安装光缆且密封性好的分纤箱
CN211718572U (zh) 一种兼容odva和mpo的防水光纤跳线
CA2045149A1 (en) Injection molded star-couplers and methods of making same
CN220221738U (zh) 蝶形裸光纤包装吸塑盒
DE19706968B4 (de) Verschluß für Kabelverbindungen
CN208076763U (zh) 一种高密度光纤连接器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636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254032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32371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96369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