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178Y1 - 벨트용 버클 - Google Patents

벨트용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178Y1
KR200446178Y1 KR2020090001250U KR20090001250U KR200446178Y1 KR 200446178 Y1 KR200446178 Y1 KR 200446178Y1 KR 2020090001250 U KR2020090001250 U KR 2020090001250U KR 20090001250 U KR20090001250 U KR 20090001250U KR 200446178 Y1 KR200446178 Y1 KR 2004461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ont plate
belt
buckle
ba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1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단효진
Original Assignee
단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효진 filed Critical 단효진
Priority to KR2020090001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1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1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1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벨트용 버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단에 측벽을 가지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에 용접결합되어 벨트가 삽입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후면판으로 이루어진 벨트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의 양 측면에는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의 측벽들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홈이 각각 형성된 것으로써,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을 결합하기 위하여 용접시 상기 후면판이 상면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벨트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벨트, 버클, 걸림돌기, 걸림홈, 용접

Description

벨트용 버클{BUCKLE FOR BELT}
본 고안은 제조하기 편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벨트용 버클에 관한 것이다.
벨트를 구성하는 버클은 일반적으로 착용시 착용자 측에 접하는 후면판과 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전면판이 결합되어 벨트의 일단이 드나들 수 있으며 벨트의 길이 조절 및 고정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버클은 일반적으로 전면판과 후면판이 결합되어 벨트의 드나듦이 가능한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설계되며, 제작 과정에서 전면판과 후면판을 결합하여 공간부를 형성하게 한다.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결합은 대개 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용접에 의해 전면판과 후면판이 결합된 버클은 표면을 다듬는 등의 후처리 과정을 거쳐서 완제품으로 제조된다.
버클이 형성된 경우 외관을 고려하여 전면판과 후면판의 너비는 동일하게 구성되는데, 용접과정에서 전면판과 후면판의 치수가 미세하게 변동되어 전면판과 후면판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지지부를 두어 이들을 용접결합시킨 후 지지부를 제거하는 등으로 작업공정을 개선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지지부를 사용하는 경우,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지지부를 삽입하여 용접을 수행한 후 다시 지지부를 제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지지부의 삽입과 제거 등의 용접과 직접적으로 무관한 작업이 추가되어야 하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지부를 사용하여 용접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전면판과 후면판이 이탈되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할 수는 없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버클을 제조하기 위한 용접결합시에 전면판과 후면판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용 버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벨트용 버클은, 양단에 측벽을 가지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에 용접결합되어 벨트가 삽입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후면판으로 이루어진 벨트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은 평면으로 형성되며 그 양 측면에는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의 측벽들 상부측 내면에 상부 및 전면부가 개방된 형태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어, 용접시 상기 후면판이 전면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을 나타낸다.
상기한 본 고안에 의하면, 버클을 구성하는 전면판과 후면판의 용접결합시 후면판이 전면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전면판과 후면판의 용접결합을 위하여 지지부를 삽입 또는 제거하는 별도의 작업 공정이 요구되지 않아 작업공정을 단축할 수 있으며, 전체 작업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벨트용 버클을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 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벨트용 버클 일례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벨트용 버클 일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버클의 걸림돌기가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진 일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벨트용 버클(1)은, 전면판(10), 후면판(20), 걸림홈(12) 및 걸림돌기(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면판(10)은 양단에 측벽이 구비된 ‘ㄷ’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후면판(20)과 결합되어 벨트의 일단이 삽입되는 공간부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측벽은 반드시 수직으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벨트의 드나듦에 방해가 되지 않을 정도의 공간부를 형성하면 충분할 정도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상기 후면판(20)은 대략 사각형상을 갖는 판으로 전면판(10)의 측벽들에 결합된다.
버클은 금속, 플라스틱, 유리 등의 다양한 재질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을 결합시킬 부분을 녹여서 이어붙이는 용접과정에 의하여 전면판과 후면판을 용접결합시키는데, 기존의 경우 용접결합을 위하여 가열하는 과정에서 전면판과 후면판이 팽창되는 정도가 달라져서 이들의 결합이 쉽지 않았던 문제점을 본 고안에서는 전면판(10)과 후면판(20)에 용접시 서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구조를 형성하여 해결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면판(10)의 측벽들에서는 걸림홈(12)이 형성되고, 상기 후면판(20)의 양 측면에는 걸림돌기(22)가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걸림홈(12)은 걸 림돌기(22)가 걸릴 수 있는 위치에 대응되어 구성된다.
좌우 균형을 유지하기 위하여 이러한 걸림홈(12)과 걸림돌기(22)은 상기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양 측면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이들이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양 끝단측에 각각 형성될 경우 좌우 뿐만 아니라 전후로 균형을 유지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으므로 전면판(10)과 후면판(22)의 지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홈(12)은 전면판(1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측벽의 상부측 내면에 형성되고, 걸림홈(12)의 상부 및 벨트의 드나듦이 이루어지는 공간부를 향하여 전면부가 개방된 형태로 일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2)과 걸림돌기(22)의 형태는 이들이 체결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면 충분하며, 그 형태는 별도로 제한되지 않으나, 걸림돌기(22)와 걸림홈(12)이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 걸림돌기(22)를 걸림홈(12)에 삽입시 걸림돌기(22)의 폭이 좁은 끝단부측이 걸림홈(12)의 폭이 넓은 상부 개방단으로부터 끼워지므로 보다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버클의 전면판(10)에 형성된 걸림홈(12)에 후면판(20)에 형성된 걸림돌기(22)가 걸린 상태로 용접작업을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경우와 같이 별도의 지지부를 전면판(10)과 후면판(2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공간부에 삽입하지 않더라도 이들의 용접과정 중에 전면판(10)과 후면판(20)의 이탈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부가적인 지지부의 삽입 및 제거 공정이 필요없고, 또한 이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 버클 일례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 버클 일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 버클의 걸림돌기가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진 일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부호의 설명]
10 : 전면판 12 : 걸림홈
20 : 후면판 22 : 걸림돌기

Claims (4)

  1. 양단에 측벽을 가지는 전면판과, 상기 전면판에 용접결합되어 벨트가 삽입되는 공간부를 형성하는 후면판으로 이루어진 벨트용 버클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은 평면으로 형성되며 그 양 측면에는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면판의 측벽들 상부측 내면에 상부 및 전면부가 개방된 형태로 일정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가 걸리는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어, 용접시 상기 후면판이 전면판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버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과 걸림돌기는 상기 전면판과 후면판의 양 끝단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버클.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와 걸림홈은 아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용 버클.
KR2020090001250U 2009-02-05 2009-02-05 벨트용 버클 KR2004461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250U KR200446178Y1 (ko) 2009-02-05 2009-02-05 벨트용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1250U KR200446178Y1 (ko) 2009-02-05 2009-02-05 벨트용 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6178Y1 true KR200446178Y1 (ko) 2009-10-05

Family

ID=41648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1250U KR200446178Y1 (ko) 2009-02-05 2009-02-05 벨트용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178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0458A (ja) 1999-08-17 2001-03-27 Delphi Automotive Systems Sunwoo Corp シートベルトのバックル
US6578241B1 (en) 1999-05-14 2003-06-17 Hong Tok Tan Belt buckle
KR200358987Y1 (ko) * 2004-04-13 2004-08-21 신혁주 간이식 벨트 버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8241B1 (en) 1999-05-14 2003-06-17 Hong Tok Tan Belt buckle
JP2001080458A (ja) 1999-08-17 2001-03-27 Delphi Automotive Systems Sunwoo Corp シートベルトのバックル
KR200358987Y1 (ko) * 2004-04-13 2004-08-21 신혁주 간이식 벨트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55454A1 (ja) バックル
TWI397385B (zh) Zipper with the slider
JP2006017300A (ja) クリップ
JP2002101915A (ja) バックル
EP2974616B1 (en) Zipper with stamped metal zipper teeth
ITTO990914A1 (it) Fibbia.
JP4143927B2 (ja) バックル
EP3168483B1 (en) Drawer part assembly and mounting fitting thereof
US10588383B2 (en) Buckle
JP3259964B2 (ja) エネルギー案内チェーン
ITUA20164516A1 (it) Impugnatura per un recipiente da cucina e relativo sistema di fissaggio a tale recipiente da cucina.
KR200446178Y1 (ko) 벨트용 버클
US11167707B2 (en) Front fascia assembly for a vehicle
KR101281540B1 (ko)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배수판
KR101976667B1 (ko) 조립식 가구용 프레임 연결장치
JP5990043B2 (ja) フック装置
CN103976518A (zh) 多点式带扣
JP3477060B2 (ja) 机における連結板の取付装置
ITMI20101645A1 (it) Modulo per un convogliatore, in particolare un convogliatore a tappeto, con elemento blocca perno perfezionato
JP2016087416A (ja) 立体模型用ピースセット及び板状ピース
JP2007110806A (ja) 取付具
JP2019136299A (ja) バックル
ITMI20000686U1 (it) Elemento di collegamento per divisori per la suddivisione del vano diun cassetto
JP4124904B2 (ja) 足場板およびその製造法
KR200186274Y1 (ko) 파티션의 플레이트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