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6168Y1 - 귀걸이 고정구 - Google Patents

귀걸이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6168Y1
KR200446168Y1 KR2020070011601U KR20070011601U KR200446168Y1 KR 200446168 Y1 KR200446168 Y1 KR 200446168Y1 KR 2020070011601 U KR2020070011601 U KR 2020070011601U KR 20070011601 U KR20070011601 U KR 20070011601U KR 200446168 Y1 KR200446168 Y1 KR 2004461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close contact
fixing member
ho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1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0526U (ko
Inventor
심흥섭
Original Assignee
심흥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흥섭 filed Critical 심흥섭
Priority to KR2020070011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6168Y1/ko
Publication of KR200900005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5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61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61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3Ear-studs or their catc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0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emovable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귀걸이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장식부 및 상기 장식부 일면에 형성된 핀을 포함하는 귀걸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 중앙에 상기 핀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 둘레에 복수의 슬라이드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하우징, 상기 수용공간 천장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관통공과 연결된 밀착 공간부를 내부에 형성한 볼 가압 부재,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여 상부 둘레의 일부분이 상기 밀착 공간부에 삽입되어 있고 외부 둘레를 따라 하강경사면을 가지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 중앙에 상기 핀이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상부 둘레에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일 부분이 상기 볼 가압 부재 내부 둘레에 밀착되는 복수의 고정볼, 한쪽 끝이 상기 수용공간 바닥면에 밀착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이 상기 고정 부재 내부에 위치한 완충 부재, 그리고 한쪽 끝이 상기 하강경사면에 닿아 있으며, 다른 쪽 끝이 상기 슬라이드공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고정 해제부를 포함한다.
고정하우징, 볼가압부재, 고정부재, 누름구, 가압경사면

Description

귀걸이 고정구{Earrings fixture}
본 고안은 귀걸이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귀걸이는 여성들이 아름다움을 연출하기 위하여 귀에 착용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귀걸이는 장식부와 장식부의 배면에 형성되어 귓불을 관통하는 핀과, 핀을 고정하기 위하여 고정구가 사용되며, 고정구의 경우 탄성력을 갖는 금속을 이용해 제조되는 경우가 대분이다.
도 1 은 종래의 귀걸이 고정구를 나타낸 것으로, 귀걸이(10)의 미적 표현을 하는 장식부(11)를 구비한 핀(12)의 선단부가 귓불을 관통한 후 핀(12)을 탄성적으로 고정하도록, 귀저부(21)의 중앙에 핀(12)의 선단이 관통하여 고정되는 고정공(22)이 형성되고 관통된 핀(12)을 양쪽에서 탄성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귀저부(21)의 양쪽 끝단에서 뻗어 원통형으로 굴곡된 탄성고정편(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귀걸이 고정구는 원통형으로 굴곡된 탄성고정편의 탄성내구력이 약하여 귀걸이를 자주 사용하다 보면 그 탄성력이 약화되어 핀을 고정하고 있던 고정구가 쉽게 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핀이 쉽게 빠지게 되면서 귀걸이가 귓불에서 이탈됨으로서 귀걸이가 분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목적은 귓불을 관통한 귀걸이 핀이 고정구의 고정하우징을 관통하여 완충부재에 의하여 상승하는 고정부재에 삽입되면서 고정부재의 상부에 형성한 세 개의 고정볼이 내측으로 유입되면서 삽입된 핀의 외주연을 견고히 가압 고정할 수 있는 소형화된 귀걸이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승된 고정부재가 외부에서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하강되면서 고정볼의 가압력이 해제되어 삽입된 핀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귀걸이 고정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귀걸이 고정구는 장식부 및 상기 장식부 일면에 형성된 핀을 포함하는 귀걸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 중앙에 상기 핀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 둘레에 복수의 슬라이드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하우징, 상기 수용공간 천장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관통공과 연결된 밀착 공간부를 내부에 형성한 볼 가압 부재,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여 상부 둘레의 일부분이 상기 밀착 공간부에 삽입되어 있고 외부 둘레를 따라 하강경사면을 가지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 중앙에 상기 핀이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상부 둘레에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일 부분이 상기 볼 가압 부재 내부 둘레에 밀착되는 복수의 고정볼, 한쪽 끝이 상기 수용공간 바닥면에 밀착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이 상기 고정 부재 내부에 위치한 완충 부재, 그리고 한쪽 끝이 상기 하강경사면에 닿아 있으며, 다른 쪽 끝이 상기 슬라이드공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고정 해제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하우징은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된 일측 내부 둘레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하우징, 그리고 상기 단차부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 결합되어 있는 하부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하부하우징의 중앙에 상기 고정부재 하부가 밀착되어 있으며, 상기 완충부재를 고정하는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 외측으로 상기 하부하우징의 중량을 감소시키 위한 중량감소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해제부는 상기 하강경사면에 밀착된 가압경사면을 가지는 밀착구, 상기 밀착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공을 통하여 상기 상부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누름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경사면은 상기 밀착구의 일측 중앙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구 가압으로 상기 하부측 가압경사면이 상기 하강경사면에 밀착되면서 고정부재를 하강시키고, 상기 고정부재 하강시 상기 걸림턱이 상기 상부측 가압경사면에 밀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귀걸이 고정구는 핀이 고정하우징을 관통하여 고정부재로 삽입되면서 완충부재에 의하여 고정부재가 상부로 상승하면서 세 개로 형성한 복수의 고정볼의 외측이 밀착공간부의 내주연에 밀착되면서 내측이 핀이 삽입된 삽 입공간으로 내입되면서 삽입된 핀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핀의 고정력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귀걸이 고정구는 핀을 고정하는 고정볼이 세 개로 형성되어 삽입공간으로 내입시 고정볼 간의 상호 간격이 협소해 지면서 삽입된 핀의 외주연과 접촉되는 접촉점이 커지면서 고정핀의 고정력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귀걸이 고정구는 핀이 고정부재의 고정볼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로 돌출된 고정해제부의 누름구 누름으로 밀착구의 가압경사면이 고정부재의 하강경사면에 밀착되면서 하강되어 이때 고정볼의 내측와 밀착공간부의 내주연과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고정볼이 자유상태가되어 핀을 가압하는 고정볼의 가압력이 저하되면서 핀의 분리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귀걸이 고정구는 완충부재의 지지력에의하여 고정볼이 핀의 외주연에 밀착되면서 고정하게 되고, 고정해제부의 누름구 누름으로 고정볼의 가압고정력을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귀걸이 고정구는 고정하우징의 내부의 수용공간, 중량감소홈, 고정해제부의 중량감소부 등에 의하여 금, 은 등으로 형성된 고정구의 중량이 감소되면서 귀걸이를 소비자에게 저가로 공급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의 고정부재가 완충부재의 완충력에 의하여 상부로 상승되면서 고정핀을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의 고정부재가 누름구 가압으로 하강되어 고정핀이 이탈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 는 도 3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귀걸이 고정구(100)는; 귀걸이(10)의 핀(12)의 선단부가 관통하는 하우징부(110)와; 상기 하우징부(110) 내부에 수용되어 관통된 핀(12)를 고정하는 고정부(120)와; 상기 고정부(120)에 의해 고정된 핀의 고정력을 해제하는 고정해제부(130)로 구성한다.
상기 귀걸이 고정구(100)의 하우징부(110)는 고정하우징(111)을 가지며, 고정하우징(111)은 상부하우징(111a) 및 하부하우징(111b)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하우징(111a)은 내부에 수공공간(114)이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방향 중앙에 귀걸이(10) 핀(12)의 선단부가 관통되는 관통공(113)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하우징(111a)의 하부측 외부 둘레에는 수용공간(114)으로 연통된 슬라이드공(115)이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공간(114)의 천장면에 관통공(113)이 상협하광 형태인 콘 형상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연장된 밀착공간부(116)를 내부에 구비한 볼가압부재(117)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하우징(111a)은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일측 내부 둘레에는 단차부(114a)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하우징(111b)은 적어도 일부분이 단차부(114a)에 삽입되어 있다. 하부하우징(111b)의 중앙에는 완충부재(128)의 한쪽 끝이 결합되어 있는 고정홈(118)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홈(118)의 중앙에는 핀(12)이 관통하는 관통공(113)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홈(118)의외측으로 중량감소홈(119)을 형성하여 하부하우징(111b)의 중량을 감소시켜 경량화한다.
상기 귀걸이 고정구(100)의 고정부(120)는 상협하광 형태의 고정부재(121), 그리고 고정부재(121)에 결합된 고정볼(127)을 포함한다.
고정부재(121)는 상부측의 밀착경사면(122), 그리고 하강경사면(124)으로 이루어져 있다. 밀착경사면(122)의 적어도 일부분이 밀착공간부(116)에 삽입되어 있다. 고정부재(121)의 길이 방향 중앙에는 삽입공(125)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공(125)의 하부 둘레에는 완충부재(128)의 다른 쪽 끝이 밀착지지되도록 완충지지턱(126)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공(125)에는 관통공(113)을 관통한 핀(12)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하부하우징(111b)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밀착경사면(122)에는 적어도 복수의 고정볼(127)이 자유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고정볼(127)의 일부분은 고정부재(121) 내부에 위치하며 타부분은 고정부재(121) 외부에 위치하여 볼가압부재(117)의 내측 둘레에 닿아 있다.
고정볼(127)의 갯수는 적어도 세 개로 형성되어 있다.
삭제
삭제
상기 귀걸이 고정부(120)의 고정해제부(130)는 하우징부(110)의 슬라이드공(115)을 통하여 각각 외부로 돌출된 누름구(131)를 자유상태가 되도록 형성하고, 누름구(131)의 선단에 하강경사면(124)을 따라 형성된 밀착구(132)를 형성한다.
더불어, 밀착구(132)의 선단부에 하강경사면(124)과 대응되어 밀착되는 가압경사면(133)을 형성한다.
아울러, 상기 가압경사면(133)을 밀착구(132)의 선단부 중앙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각각 형성하여 누름구(131) 가압시 밀착구(132)의 선단에 형성한 하부측 가압경사면(133)이 고정부재(121)의 하강경사면(124)에 밀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후 일측으로 장식부(11)를 구비한 핀(12)의 선단부를 귓불을 관통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부하우징(111a)의 양측으로 형성한 고정해제부(130)의 누름구(131)를 파지한 상태에서 내측으로 가압시키면 완충부재(128)의 완충력에 의하여 상부로 지지되어 있던 고정부(120)의 하강경사면(124)을 고정해제부(130)의 가압경사면(133)이 가압하게 되면서 완충부재(128)의 완충력이 제거되어 고정부재(121)가 하부로 하강한다.
이와 동시에 완충부재(128)의 완충력에 의하여 볼가압부재(117)의 밀착공간부(116) 상부측으로 삽입되어 있던 밀착경사면(122)이 하강하게되고, 이때 협소한 상부측 밀착공간부(116)의 내주연에 외측이 밀착되어 내측이 삽입공(125)으로 밀착되어 있던 고정볼(127)이 상부측 보다 공간이 넓은 하부측으로 이동되면서 고정볼(127)의 외측과 밀착공간부(116) 하부와의 간격이 커지면서 고정볼(127)이 자유상태가 된다.
여기서, 고정해제부(130)의 밀착구(132) 선단 상하부에 형성한 가압경사면(133)중 상부측 가압경사면(133)이 걸림턱(123)에 밀착되면서 고정부재(121)의 밀착경사면(122)의 하부가 밀착공간부(116)를 내부에 구비한 볼가압부재(117)의 하단부 보다 더욱 하강되어 고정볼(127)의 외측이 밀착공간부(116)의 내주연과의 간격이 더욱 커지면서 고정볼(127)의 간격을 외측으로 더욱 벌리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귓불을 관통한 핀(12)의 선단부를 고정하우징(111)의 관통공(113)으로 관통시키게 되면 내부에 형성한 삽입공(125)으로 삽입되는 데 이때 핀(12)이 자유상태의 고정볼(127) 내측에 밀착되면서 내입되어 있던 복수의 고정볼(127) 핀(12)의 두께 간격만큼 벌어지면서 핀(12)의 선단부가 고정하우징(111)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이렇게, 핀(12)이 고정부(120)로 삽입되면서 고정하우징(111)을 완전히 관통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해제부(130)의 누름구(131)를 누르고 있던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고정홈(118)에 고정되어 있던 완충부재(128)의 완충력에 의하여 고정부(120)의 고정부재(121)가 상부측으로 지지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이때, 고정부재(121)가 상승되면서 하강경사면(124)에 밀착되어 있던 가압경사면(133)이 마찰되면서 자연스럽게 점차적으로 후퇴하여 누름구(131)가 슬라이드공(115)을 통하여 외부로 슬라이드 돌출되면서 밀착구(132)의 후단부가 수용공간(114)의 내주연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고정부재(121)의 밀착경사면(122)이 볼가압부재(117)의 밀착공간부(116) 상부로 내입되면서 공간이 점차 협소해지는 밀착공간부(116) 상부 내주연에 세 개의 고정볼(127)이 점차 밀착되면서 내측이 삽입공(125)으로 유입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세 개의 고정볼(127)의 벌어진 간격이 점차적으로 좁혀지면서 상호 접촉되면서 삽입된 핀(12)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핀(12)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정부재(121)의 밀착경사면(122)이 완충부재(128)의 완충력에 의하여 볼가압부재(117)의 밀착공간부(116)로 삽입되면서 고정볼(127)이 점착 협소해지는 밀착공간부(116)에 의하여 삽입공(125) 내부로 내입되면서 삽입된 핀(12)의 외주연에 밀착되어 핀(12)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더불어, 귀걸이(10)를 귓불에서 제거할 때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고정해제부(130)의 누름구(131) 누름으로 고정부(120)의 고정부재(121)가 하강되면서 고정볼(127)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핀(12)을 고정구(100)에서 간편하게 뺄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귀걸이 고정구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의 고정부재가 완충부재의 완충력에 의하여 상부로 상승되면서 고정핀을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귀걸이 고정구의 고정부재가 누름구 가압으로 하강되어 고정핀이 이탈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도 3의 A-A' 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귀걸이 11: 장식부
12: 핀 100: 고정구
110: 하우징부 111: 고정하우징
111a: 상부하우징 111b: 하부하우징
113: 관통공 114: 수용공간
115: 슬라이드공 116: 밀착공간부
117: 볼가압부재 118: 고정홈
119: 중량감소홈 120: 고정부
121: 고정부재 222: 밀착경사면
123: 걸림턱 124: 하강경사면
125: 삽입공 126: 완충지지턱
127: 고정볼 128: 완충부재
130: 고정해제부 131: 누름구
132: 밀착구 133: 가압경사면

Claims (3)

  1. 장식부 및 상기 장식부 일면에 형성된 핀을 포함하는 귀걸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 중앙에 상기 핀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 둘레에 복수의 슬라이드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과 연결되고, 내부에 밀착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볼 가압 부재,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여 상부 둘레의 일부분이 상기 밀착 공간부에 삽입되어 있고 외부 둘레를 따라 하강경사면을 가지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길이 방향 중앙에 상기 핀이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상부 둘레에 움직일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일 부분이 상기 볼 가압 부재 내부 둘레에 밀착되는 복수의 고정볼,
    한쪽 끝이 상기 수용공간 바닥면에 밀착되어 있고 다른 쪽 끝이 상기 고정 부재 내부에 위치한 완충 부재, 그리고
    한쪽 끝이 상기 하강경사면에 닿아 있으며, 다른 쪽 끝이 상기 슬라이드공을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고정 해제부
    를 포함하는 귀걸이 고정구.
  2. 제1항에서,
    상기 고정하우징은
    일측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일측 개방된 내부 둘레에 단차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부하우징, 그리고
    상기 단차부에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 결합되어 있는 하부하우징
    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하부하우징의 중앙에 상기 고정부재 하부가 밀착되어 있으며, 상기 완충부재를 고정하는 고정홈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홈 외측으로 상기 하부하우징의 중량을 감소시키 위한 중량감소홈을 형성한
    귀걸이 고정구.
  3. 제2항에서,
    상기 고정해제부는
    상기 하강경사면에 밀착된 가압경사면을 가지는 밀착구,
    상기 밀착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공을 통하여 상기 상부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누름구
    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경사면은, 상기 밀착구의 일측 중앙을 중심으로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누름구 가압으로 상기 가압경사면의 하부측이 상기 하강경사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고정부재를 하강시키고, 상기 고정부재 하강 시 상기 걸림턱이 상기 가압경사면의 상부측에 밀착되는
    귀걸이 고정구.
KR2020070011601U 2007-07-13 2007-07-13 귀걸이 고정구 KR2004461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601U KR200446168Y1 (ko) 2007-07-13 2007-07-13 귀걸이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1601U KR200446168Y1 (ko) 2007-07-13 2007-07-13 귀걸이 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526U KR20090000526U (ko) 2009-01-16
KR200446168Y1 true KR200446168Y1 (ko) 2009-10-05

Family

ID=41298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1601U KR200446168Y1 (ko) 2007-07-13 2007-07-13 귀걸이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616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97633A (zh) * 2018-05-25 2018-09-07 蔡汉荣 插孔钉式锁定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0918A (ja) 1998-08-05 2000-02-22 Zaza International:Kk ピアスキャッチ及びこれを含むピアス
JP2004141193A (ja) 2002-10-21 2004-05-20 Jewelry Hoseki No Shiro:Kk 装身用装飾具のキャッチ
JP2005204752A (ja) 2004-01-20 2005-08-04 Light Planning:Kk 止め具及びその止め具を含む身飾り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0918A (ja) 1998-08-05 2000-02-22 Zaza International:Kk ピアスキャッチ及びこれを含むピアス
JP2004141193A (ja) 2002-10-21 2004-05-20 Jewelry Hoseki No Shiro:Kk 装身用装飾具のキャッチ
JP2005204752A (ja) 2004-01-20 2005-08-04 Light Planning:Kk 止め具及びその止め具を含む身飾り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526U (ko) 200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56620S1 (en) Item of jewelry for use as a pendant, earring, ring, brooch, bracelet, hair pin, cuff link or tiepin
CN207574655U (zh) 按压式开关手链
KR101426023B1 (ko) 장신구의 탄성식 연결기구
CN104780800A (zh) 带扣
KR200446168Y1 (ko) 귀걸이 고정구
KR100943245B1 (ko) 귀걸이 고정구
KR20090006171U (ko) 장신구용 연결구
IT201900007536A1 (it) Chiusura per gioielli, particolarmente per bracciali, orecchini e collane
US9516929B1 (en) Fastening structure of jewellery
KR101202235B1 (ko) 귀걸이 체결구조
KR102010763B1 (ko)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
KR200373540Y1 (ko) 보석이 회전되는 장신구
KR101887487B1 (ko) 귀걸이 고정구
KR101079521B1 (ko) 귀걸이 핀 고정구를 구비한 귀걸이
ITMI20072117A1 (it) Oggetto di abbellimento per unghie
KR200315243Y1 (ko) 귀걸이 고정구
KR100895097B1 (ko) 손발톱 장식을 위한 악세서리 및 이를 부착하기 위한 방법
KR101257744B1 (ko) 귀걸이 핀 고정구
KR200472032Y1 (ko) 귀고리 핀고정부재 구조
CN208624757U (zh) 一种手链、项链夹扣
JP3115496U (ja) ピアスイヤリング
KR20170001737U (ko) 펜던트 톱 겸용 반지
US20230189942A1 (en) Band and timepiece
KR101354465B1 (ko) 장식용 체인의 암수 연결고정구
KR200174917Y1 (ko) 팔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