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744B1 - 귀걸이 핀 고정구 - Google Patents

귀걸이 핀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7744B1
KR101257744B1 KR1020120124735A KR20120124735A KR101257744B1 KR 101257744 B1 KR101257744 B1 KR 101257744B1 KR 1020120124735 A KR1020120124735 A KR 1020120124735A KR 20120124735 A KR20120124735 A KR 20120124735A KR 101257744 B1 KR101257744 B1 KR 101257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ody
pin
earring
insertion hole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4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광수
오사무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손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광수 filed Critical 손광수
Priority to KR1020120124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77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7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7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3Ear-studs or their catc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0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emovable

Abstract

본 발명은 귀걸이를 귀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귀걸이 핀(P)에 끼워져 고정되는 귀걸이 핀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핀 고정구는, 귀걸이 핀(P)을 자체 탄성력으로 가압 지지하는 핀 삽입구멍(11)을 가지는 탄성체(10); 및
상기 귀걸이 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탄성체의 핀 삽입구멍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핀 삽입구멍(21a)을 가지며 상기 탄성체 보다 좁게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베이스부(21)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탄성체의 핀 삽입구멍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전구간이 상기 탄성체의 내부에만 위치되는 복수의 돌출부(22)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탄성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을 발생시키는 걸림수단을 구비한 인서트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귀걸이 핀 고정구{Fixing apparatus for eardrop pin}
본 발명은 귀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상 및 모양으로 디자인된 귀걸이 장식체의 후면에 돌출된 귀걸이 핀의 단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귀걸이 핀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걸이는 착용되는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 및 모양으로 디자인된 귀걸이의 후면에 돌출구성된 귀걸이 핀을 귀에 뚫린 구멍에 결합고정하는 방식과, 다양한 형상 및 모양으로 디자인된 귀걸이의 후면에 돌출구성된 탄성집게를 이용하여 귀볼에 결합고정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이중, 장식체의 후면에 돌출구성된 귀걸이 핀을 귀볼에 뚫린 구멍에 결합고정하는 방식을 따르는 귀걸이는 안정된 착용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귀걸이 핀에 결합되는 고정구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귀걸이 핀 고정구(1)는 귀걸이 핀(20)이 삽입되는 핀 삽입구멍(3)을 가진 탄성체(2)와, 상기 핀 삽입구멍(3)과 합치되는 핀 삽입용 가이드 구멍(5)을 가진 인서트부재(4)와, 상기 인서트부재(4)의 베이스부(11)에 노출된 형태로 밀착되면서 인서트부재(4)의 측면으로부터 탄성체(2)의 좌우측면으로 노출되는 형태로 연장형성된 한 쌍의 밀착편(6,6)과, 상기 탄성체(2)의 측면에 상기 밀착편(6,6)이 박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밀착편(6)의 선단에 형성된 고정부(7,7)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귀걸이 핀 고정구(1)는 탄성체(2)의 핀 삽입구멍(3)에 작용하는 탄성밀착력에 의해 핀 삽입구멍(3)에 끼워진 귀걸이 핀(20)이 적정한 강도로 고정되도록 하기 때문에 사용시 취급과 조작이 쉽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귀걸이 핀 고정구(1)는 인서트부재(4)가 오로지 인서트부재(4)의 고정부(7,7)에만 의존하여 탄성체(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과정에서 자칫 인서트부재(4)가 강하게 잡아 당겨지면 탄성체(2)와 고정부(7,7)의 사이에 틈이 생기게 되면서 상기 밀착편(6,6)이 탄성체(2)로부터 이탈될 위험성이 매우 크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귀걸이 핀 고정구(1)는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반드시 인서트부재(4)가 사용시 변형되지 않도록 정도의 적정한 강도를 가져야 하며 최소한 탄성체(2)의 외측을 절반 이상 덮을 정도의 크기로 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크기와 두께와 중량이 많이 나가게 되는 문제도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인서트부재(4)을 장식으로서 금이나 고가의 귀금속으로 제작하는 경우 가격이 매우 높아지게 되는 문제도 발생된다.
특개2001-54413(일본특허공개공보 2001.2.27.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서트부재가 탄성체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으면서 인서트부재가 얇고 작은 형태를 갖게 되는 귀걸이 핀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핀 고정구는 귀걸이 핀을 자체 탄성력으로 가압 지지하는 핀 삽입구멍을 가지는 탄성체; 및 상기 귀걸이 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탄성체의 핀 삽입구멍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핀 삽입구멍을 가지며 상기 탄성체 보다 좁게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탄성체의 핀 삽입구멍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전구간이 상기 탄성체의 내부에만 위치되는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탄성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을 발생시키는 걸림수단을 구비한 인서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가 성형될 때 충진된 탄성체가 걸려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공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돌출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가 성형될 때 충진된 탄성체가 걸려 빠지지 않도록 하는 절취홈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탄성체에는 귀걸이 핀을 베이스부로 유도하는 요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면부에 인서트부재의 베이스부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핀 고정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외부로 노출되게 인서트부재의 베이스부가 탄성체에 설치되는 한편,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된 돌출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탄성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을 발생시키는 걸림수단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가 탄성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돌출부는 탄성체의 내부에 위치되므로 인서트부재의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잡아 당겼을때 손쉽게 끊어지지 않을 정도의 강도면 충분하기 때문에 인서트부재의 박형화와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상기 걸림수단이 돌출부에 형성된 걸림공이거나 돌출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절취홈인 경우에는 인서트부재의 사용재료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상기 인서트부재를 금이나 백금 등의 고가의 귀금속으로 제작할 수 있다.
넷째, 상기 탄성체에는 귀걸이 핀을 베이스부로 유도하는 요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를 요면부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베이스부가 좁더라도 요면부에 의해 귀걸이 핀을 베이스 부의 핀 삽입구멍으로 쉽게 삽입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귀걸이 핀 고정구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핀 고정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핀 고정구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핀 고정구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인서트부재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핀 고정구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핀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핀 고정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중복되지 않게 상이한 부분만을 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핀 고정구는 귀걸이 핀(P)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에 형성된 핀 삽입구멍(11)이 형성된 탄성체(10)를 구비한다.
상기 탄성체(10)는 실리콘 고무제 탄성체(10) 폴리프로피렌 등의 투명 합성수지재로 제작이 가능하며, 상기 핀 삽입구멍(11)은 귀걸이 핀(P)을 자체 탄성력으로 가압 지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귀걸이 핀 고정구는 상기 귀걸이 핀(P)이 삽입되도록 상기 탄성체(10)의 핀 삽입구멍(11)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핀 삽입구멍(21a)을 가지면서 상기 탄성체(10) 보다 좁게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베이스부(21)와, 상기 탄성체(10)의 핀 삽입구멍(11)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부(21)로부터 돌출되며 전구간이 상기 탄성체(10)의 내부에만 위치되는 복수의 돌출부(22)와, 상기 돌출부(22)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22)가 탄성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을 발생시키는 걸림수단을 구비한 경질성 재질(금속, 금이나 백금과 같은 귀금속, 티탄 등의 기능성 금속, 경질성 합성수지 및 세라믹 등)로 제작된 인서트부재(20)를 구비한다.
상기 인서트부재(20)는 탄성체(10)와 일체로 성형되는데, 일체 성형시 상기 베이스부(21)의 핀 삽입구멍(21a)과 탄성체(10)의 핀 삽입구멍(11)은 귀걸이 핀(P)의 삽입방향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21)는 외부에서 잘 보이는 노출형태로 되는 한편, 상기 돌출부(22)에 형성된 걸림수단은 탄성체(10)와 인서트부재(20)가 일체로 성형되는 과정에서 탄성체(10)가 내부로 충진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22)에 형성된 걸림공(23)일 수 있다.
상기 걸림공(23)은 탄성체(10)와 긴밀히 밀착되면서 돌출부(22)가 탄성체(10)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기능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10)에는 귀걸이 핀(P)을 베이스부(21)로 유도하는 요면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요면부(12)에는 인서트부재(20)의 베이스부(21)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위치된다.
미설명부호 24는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슬릿홈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탄성체(10)는 직경 5.3mm(가로폭), 높이 4.0mm이고, 인서트부재(20)는 두께 0.05mm이며, 상기 베이스부(21)의 직경은 1.9mm 이고, 돌출부(22)의 폭은 0.9mm이며, 돌출부(22)의 높이는 1.0mm이고, 걸림공(23)의 직경은 0.5mm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체(10)는 투명 부재, 반투명 부재, 비투명 부재, 컬러 부재 등 다양한 색채와 투명도(비투명 포함)의 것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서트부재(20)의 돌출부(22)는 4개로 구성될 수 있고 3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수단은 돌출부(22) 가장자리에 형성된 절취홈(25)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절취홈(25)은 탄성체(10)와 긴밀히 밀착되어 돌출부(22)가 탄성체(10)에 걸려 빠지지 않도록 기능한다.
이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10...탄성체 11,21a...핀 삽입구멍
12...요면부 20...인서트부재
21...베이스부 22...돌출부
23...걸림공 24...슬릿홈
25...절취홈 P...귀걸이 핀

Claims (5)

  1. 귀걸이 핀을 자체 탄성력으로 가압 지지하는 핀 삽입구멍을 가지는 탄성체; 및
    상기 귀걸이 핀이 삽입되도록 상기 탄성체의 핀 삽입구멍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핀 삽입구멍을 가지며 상기 탄성체 보다 좁게 형성되고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탄성체의 핀 삽입구멍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전구간이 상기 탄성체의 내부에만 위치되는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탄성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을 발생시키는 걸림수단을 구비한 인서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핀 고정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가 성형될 때 충진된 탄성체가 걸려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핀 고정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상기 돌출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체가 성형될 때 충진된 탄성체가 걸려 빠지지 않도록 하는 절취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핀 고정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에는 귀걸이 핀을 베이스부로 유도하는 요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면부에 인서트부재의 베이스부가 설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걸이 핀 고정구.
  5. 삭제
KR1020120124735A 2012-11-06 2012-11-06 귀걸이 핀 고정구 KR101257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735A KR101257744B1 (ko) 2012-11-06 2012-11-06 귀걸이 핀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4735A KR101257744B1 (ko) 2012-11-06 2012-11-06 귀걸이 핀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7744B1 true KR101257744B1 (ko) 2013-04-24

Family

ID=48443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4735A KR101257744B1 (ko) 2012-11-06 2012-11-06 귀걸이 핀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77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687A (ko) 2021-07-09 2023-01-17 김희경 귀걸이 핀 고정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0313A (ja) 1999-08-13 2001-05-08 Maruyama:Kk ピアスイヤリング用キャッチ
KR200304227Y1 (ko) 2002-11-04 2003-02-19 주식회사키골드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
JP2007007025A (ja) 2005-06-29 2007-01-18 Naito Kikinzoku Seisakusho:Kk ピアス用キャッチとその構成部品
JP2008017977A (ja) * 2006-07-12 2008-01-31 Kosaikogei Co Ltd ピアスイヤリング用キャッ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0313A (ja) 1999-08-13 2001-05-08 Maruyama:Kk ピアスイヤリング用キャッチ
KR200304227Y1 (ko) 2002-11-04 2003-02-19 주식회사키골드 핀형귀걸이 뒷장식부재
JP2007007025A (ja) 2005-06-29 2007-01-18 Naito Kikinzoku Seisakusho:Kk ピアス用キャッチとその構成部品
JP2008017977A (ja) * 2006-07-12 2008-01-31 Kosaikogei Co Ltd ピアスイヤリング用キャッ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687A (ko) 2021-07-09 2023-01-17 김희경 귀걸이 핀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08386S1 (en) Wearable information terminal
USD837084S1 (en) Bracelet
CA134806S (en) Attachment clip for table
US9122081B2 (en) Eyewear frame ornamentation
KR101257744B1 (ko) 귀걸이 핀 고정구
CA182217S (en) Light fixture
ITRM20130486A1 (it) Articolo di gioielleria o bigiotteria con elemento ornamentale sostituibile.
CA179938S (en) Dental scalar with mirror
US20170079387A1 (en) Decorative stopper and decorative fixture
KR101581016B1 (ko) 내부 장식체를 장착할 수 있는 반지
KR20130006622U (ko) 핀형 귀걸이
KR102010763B1 (ko) 스톤 비드를 이용한 귀금속 장신구의 체결유닛
KR102641357B1 (ko) 착탈식 핀을 이용한 교체형 귀걸이
CA182224S (en) Light fixture
KR101992990B1 (ko) 엘이디 빛이 장식부재의 표면을 투과하여 표출되게 되는 원터치로 손목에 감기는 엘이디 시계
KR101531580B1 (ko) 장신구 난집장식의 체결구조
KR20150022546A (ko) 장식물 장착 구조
KR101632999B1 (ko) 귀걸이 뒷장식 부재
KR20140104869A (ko) 장신구 잠금장치
KR200240225Y1 (ko) 귀걸이용 보석고정구
KR200462475Y1 (ko) 액세서리 고정구
KR101255999B1 (ko) 보석 고정구
KR101815554B1 (ko) 고정핀과의 체결력이 증대되는 귀걸이용 고정구
KR200476961Y1 (ko) 얼굴 부착용 스티커
KR200446168Y1 (ko) 귀걸이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