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869Y1 - 균일한 패턴 위에 테리를 편직하기 위한 사도뭉치 - Google Patents

균일한 패턴 위에 테리를 편직하기 위한 사도뭉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869Y1
KR200445869Y1 KR2020070020501U KR20070020501U KR200445869Y1 KR 200445869 Y1 KR200445869 Y1 KR 200445869Y1 KR 2020070020501 U KR2020070020501 U KR 2020070020501U KR 20070020501 U KR20070020501 U KR 20070020501U KR 200445869 Y1 KR200445869 Y1 KR 2004458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pattern
penetration hole
knitting
ter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325U (ko
Inventor
방종훈
Original Assignee
방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종훈 filed Critical 방종훈
Priority to KR2020070020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869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3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3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8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8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8Devices for supplying, feeding, or guiding threads to needles
    • D04B15/54Thread guides
    • D04B15/58Thread guid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hread-chang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9/2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colour patter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균일한 패턴 위에 테리를 편직하기 위한 사도뭉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물에 패턴을 균일하게 편직할 수 있으면서 패턴 위에 테리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복수의 사도가 구비되는 사도뭉치 중 양말의 몸통부 편직시 사용되는 제1사도에 제1투입공과 제2투입공을 형성하되, 상기 제1투입공의 일측에 유출구를 형성하여 상기 제1사도로 양말의 몸통부에 테리와 동시에 패턴을 편직할 수 있도록 하고, 양말의 앞/뒤꿈치 편직시 사용되는 제2사도에 장공 형태의 제3투입공과 제4투입공을 형성하여 상기 제2사도로 양말의 앞/뒤꿈치에 테리를 편직할 수 있도록 하면서, 양말의 몸통부 편직용으로만 사용되던 사도를 무늬사 공급용으로 활용하여 근거리에서 공급할 수 있어 균일한 패턴 위에 테리를 편직하기 위한 사도뭉치에 관한 것이다.
테리, 패턴, 사도

Description

균일한 패턴 위에 테리를 편직하기 위한 사도뭉치 {Thread Guide For Knitting Of Textile In Uniform Pattern}
본 고안은 균일한 패턴 위에 테리를 편직하기 위한 사도뭉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직물에 패턴을 균일하게 편직할 수 있으면서 패턴 위에 테리를(PIT:Pattern in Terry)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는 균일한 패턴 위에 테리를 편직하기 위한 사도뭉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도뭉치는 다양한 섬유재의 직물을 편직하는 과정에서 원사(실)를 자동 공급할 수 있도록 직물 직조기의 일측에 설치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사도뭉치는 복수의 사도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도는 양말 등의 직물을 편직할 때 편직부위에 따라 시스템에 의해 선택적으로 원사를 바늘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사도뭉치는(도 1을 참조) 마감사도(11), 스판속사도(12), 앞/뒤꿈치 스판사공급사도(13), 앞/뒤꿈치 면사공급사도(14), 속구이사도(15), 제1겉실사도(16), 제2겉실사도(17) 및 제3겉실사도(18)로 구성된다.
상기 각 사도(10)의 일측에는 원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투입공(11a, 12a, 13a, 14a, 15a, 16a, 17a, 18a)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마감사도(11)는 양말을 편직 후 마감하는 원사를 공급하여 양말의 일단을 마감 편직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스판속사도(12)는 양말의 몸통부 및 밴드부 편직시 스판사를 공급하여 양말을 편직할 수 있도록 구비되되, 상기 앞/뒤꿈치 스판사공급사도(13)와 교체 공급되어 사용된다.
아울러, 상기 앞/뒤꿈치 스판사공급사도(13)는 양말의 몸통부 또는 앞/뒤꿈치에 선택적으로 스판사를 공급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앞/뒤꿈치 스판사공급사도(13)와 상기 앞/뒤꿈치 면사공급사도(14)를 동시에 동작시키면 스판사와 면사가 공급되어 테리 양말의 앞/뒤꿈치를 편직하게 된다.
상기 속구이사도(15)는 양말의 개구된 일측 즉, 발이 삽입되는 밴드 부분에 탄력을 주기 위하여 나이론(nylon)사를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겉실사도(16)는 몸통부 및 밴드부의 편직시 스판속사도(12) 또는 앞/뒤꿈치 스판사공급사도(13)의 중 선택적으로 스판사가 공급되되 이때, 상기 스판사와 함께 면사가 공급되어 양말의 몸통부를 편직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2겉실사도(17) 또는 제3겉실사도(18)는 상기 제1겉실사도(16)와 교체 공급되어 양말을 편직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양말의 앞/뒤꿈치에 테리를 편직하려면 상기 앞/뒤꿈치 스판사공급사도(13)의 스판사와 동시에 앞/뒤꿈치 면사공급사도(14)의 면사가 공급되어야 테리 양말의 앞/뒤꿈치가 편직된다.
여기서 상기 테리(Terry)란, 한 면 또는 양면에 고리 모양의 보풀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양말의 몸통부 및 밴드부를 편직하려면 상기 스판속사도(12) 또는 앞/뒤꿈치 스판사공급사도(13)의 스판사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되, 상기 스판사와 함께 제1겉실사도(16), 제2겉실사도(17) 또는 제3겉실사도(18) 중 어느 하나의 면사가 공급되어 양말의 몸통부 및 밴드부가 편직된다.
아울러, 상기 양말의 몸통부 또는 밴드부 및 앞/뒤꿈치에 패턴을 편직하려면 상기 사도뭉치(10)와 소정간격 원주를 따라 이격되어 구비된 복수의 패턴사도(미도시)에서 무늬사가 공급되어야 패턴이 편직된다.
여기서 상기 패턴(Pattern)이란, 일정한 형태나 양식 또는 유형 즉, 모형, 본새, 유형, 틀, 및 무늬 및 를 말한다.
이러한, 종래의 직물 직조기로 양말에 패턴 편직시 패턴사도에서 무늬사의 공급 거리가 멀어 공급되는 무늬사의 처짐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공급되는 무늬사가 싱거의 테리 편직 부분에 제대로 걸리지 않아 패턴이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위의 내용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도 2의 (a), (b)를 참조), 양말(50)의 흰색(20)과 검정색(30)의 원사를 이용하여 상기 양말(50)을 편직시 몸통부(51) 및 앞/뒤꿈치(52, 53)에 상기 검정색(30)의 원사가 균일하게 편직되지 않았고, 상기 흰색(20)의 원사가 외부로 많이 노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원사가 공급되는 과정에서 원사의 공급 길이가 멀어 각기 다른 원사의 겉과 속이 뒤바뀌는 현상이며 특히, 상기 몸통부(51)의 패턴 상부에 흰색(20) 원사 가 도드라지게 노출된 경우는 검정색(30)의 원사가 제대로 공급되지 않아 속실과 겉실이 뒤바뀌어 편직된 것으로 종래의 사도에서 발생되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은 현재 제조되어 사용되는 모든 직물 직조기에서 발생되는 현상으로서, 서술한 바와 같이 생산된 양말(50)은 품질이 저하되어 경쟁력이 떨어지고, 인적, 물적 낭비의 발생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양말에 이중 색상을 갖도록 편직하기 위해서는 멜란사를 사용하여 이중 색상 효과를 내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멜란사는 일반 단색 원사 가격 보다 두배이상 비싸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서술한 상기 멜란사란, 방적회사에서 단색이 아닌 2가지 색상을 혼합하여 이중 색상이 나타나도록 뽑는 원사를 말한다.
또한, 도시된 양말(50)과 같이 이면 양말(50)을 편직하려면 상부면에는 흰색(20) 원사와 하부면에는 검정색(30) 원사를 각기 다른 사도에서 동시에 공급되어 편직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흰색(20) 원사와 검정색(30) 원사의 경계선 내측에는 원사의 컷팅이 이루어지고, 컷팅된 원사는 양말의 내측에 많은 량이 잔존하게 되어 양말(50) 내측이 지저분하고, 원사가 상호 거미줄처럼 엉키어 양말(50) 착용시 발가락이 걸리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직물 직조기는 패턴과 테리를 동시에 접목시켜 구현할 수 없도록 기계적으로 설계되어 있어 별도의 무늬사 나이론을 투입하지 않고는 사실상 테리와 패턴을 함께 편직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서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더욱 향상시켜 안출된 것으로서, 양말(직물)에 형성되는 패턴을 균일하게 편직하여 품질을 증대시키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균일한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 공급되는 원사의 공급거리를 단축시켜 겉실과 속실이 뒤바뀌어 배치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양말에 패턴 편직시 고가의 메란사를 이용하지 않고도 일반원사로 이중 색상의 연사 효과를 갖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양말에 패턴 편직 후 절단되는 원사의 손실을 줄여 원가 절감을 꾀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균일한 패턴 위에 테리를 편직하기 위한 사도뭉치로서, 복수의 사도를 포함하는 사도뭉치에 있어서, 몸체부와 헤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더부의 일측에 수직하향으로 제1투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 방향으로 상기 제1투입공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투입공과 동일방향으로 형성된 제2투입공을 포함하는 제1사도; 및 몸체부와 헤더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더부의 일측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편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에 수직하향으로 장공의 제3투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 방향으로 상기 제3투입공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3투입 공과 동일방향으로 제4투입공이 형성된 제2사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1사도의 헤드부 전면 일측에 상기 제1투입공과 연통되게 유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사도는 직물의 몸통부 직조시 사용되되 상기 제1투입공에 제1 겉실이 투입되고, 상기 제2투입공에 제1속실이 투입된다.
또한, 상기 제2사도는 직물의 굴곡부 직조시 사용되되 상기 제3투입공에 기능성 원사가 투입되고, 상기 제4투입공에 제2겉실이 투입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본 고안의 균일한 패턴 위에 테리를 편직하기 위한 사도뭉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본 고안은 제1사도에 두 종류의 원사가 공급되기 때문에 양말에 테리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늬사를 근거리에서 공급받아 테리로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1사도와 제2사도 각각에 두 종류의 원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되지 않는 사도를 무늬 원사 공급용으로 사용하여 무늬사를 보다 근거리 즉, 코를 형성하는 위치로 원사를 공급할 수 있어 양말에 패턴 편직시 무늬사의 처짐 현상 또는 강한 장력 현상 등이 방지되어 양말에 균일하게 패턴을 편직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양말의 몸통부에 패턴 편직시 제1사도와 제2사도 각각에서 두 종류의 원사가 공급되기 때문에 공급거리가 단축되어 겉실과 속실이 뒤바뀌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양말의 몸통부에 패턴 편직 후 원사를 절단하게 되는데 제1패턴사도, 제2패턴사도 또는 제3패턴사도에서 무늬사를 공급함으로써, 공급거리가 종래보다 근거리에서 공급되어 양말 내측에 잔존되는 원사의 컷팅 길이를 단축할 수 있어 원가 절감 효과와 더불어, 내측에 잔존되는 원사의 엉킴 현상이 방지되어 착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종래의 이중 색상을 내기 위한 멜란사를 사용하지 않아도 일반 무늬 원사로도 상기 멜란사와 동일 또는 유사한 연사 효과로 패턴을 편직할 수 있어 원가 절감 효과를 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도뭉치와 소정각도 이격되어 구비된 패턴사도에서 무늬사를 공급받아 편직할 수도 있지만, 상기 패턴사도가 아닌 상기 사도뭉치에서 무늬사를 공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근거리에서 무늬사가 공급되어 양말의 몸통부에 편직되는 다양한 패턴 즉, 굴곡을 갖는 다양한 무늬에 테리 무늬를 편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3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균일한 패턴 위에 테리를 편직하기 위한 사도뭉치의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사도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사도의 사시도이며, 도 5의 (a), (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균일한 패턴으로 편직된 상태의 양말을 나타낸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사도를 포함하는 사도뭉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사도(110), 제1사도(120), 스판사공급사도(130), 제2사도(140), 속구이사도(150), 제1패턴사도(160), 제2패턴사도(170), 제3패턴사도(180)로 구성된다.
상기 마감사도(110)는 양말(미도시)이 편직된 후 일측을 마감할 수 있도록 원사를 공급하는 것으로 일측에 원사를 공급할 수 있는 투입공(111)이 형성되어 구비된 것으로 종래기술과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a를 참조) 상기 제1사도(120)는 몸체부(121)와 헤드부(122)로 이루어지되, 상기 헤드부(122)의 일측에 수직하향으로 제1투입공(123)을 형성하되, 상기 제1투입공(123)과 소정간격 상기 몸체부(121) 방향으로 이격시켜 제2투입공(124)이 상기 제1투입공(123)이 형성된 동일 방향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투입공(123)의 형성 길이는 상기 제2투입공(124)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투입공(123)의 상단부에서 소정간격 하측 방향으로 이격되어 유출구(125)를 상기 제1투입공(123)과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사도(120)는 양말의 몸통부 편직시 하향되어 바늘에 원사를 공급하고, 이때 상기 제1투입공(123)을 통해 제1겉실이 공급되되, 상기 공급되는 제1겉실은 면사이다.
또한, 상기 제2투입공(124)에는 속실이 공급되되, 상기 속실은 양말 편직시 내측에 직조되는 것으로 스판사가 공급된다.
상기 제1투입공(123)에 면사와 제2투입공(124)에 스판사가 공급되어 상기 양말의 몸통부를 편직하면 상기 면사와 스판사는 겉실과 속실의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사도뭉치(100)의 하단에 구비되는 싱거를 작동하여 양말을 편직하면 지정된 모양으로 상기 제1패턴사도(160), 제2패턴사도(170) 또는 제3패턴사도(180) 및 이외 별도로 구비된 패턴사도에서 무늬사를 공급받아 다양한 라운드를 갖는 테리와 패턴을 편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사도(120)를 이용하여 양말을 편직하면 양말의 내측에 테리를 편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테리와 함께 패턴을 편직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유출구(125)로 겉실인 면사를 공급하면 연사 효과를 낼 수 있다.
상기 스판사공급사도(130)는 양말의 앞/뒤꿈치 편직시 탄력을 갖는 스판사를 공급할 수 있도록 일측에 투입공(131)이 형성되되, 상기 스판사공급사도(130)는 상기 제2사도(140)와 동시에 사용된다.
(도 4b를 참조) 상기 제2사도(140)는 몸체부(141)와 헤드부(142)로 이루어지되, 상기 헤드부(142)의 일측 끝단에 직각방향으로 돌출편(142a)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돌출편(142a)에 수직하향으로 장공의 제3투입공(143)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41) 방향으로 상기 제3투입공(143)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4투입공(144)이 형성되되, 상기 제4투입공(144)은 상기 제3투입공(143)이 형성된 방향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3투입공(143)으로 기능사가 선택적으로 투입되며, 상기 제4투입공(144)에는 제2겉실이 공급되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제2겉실은 면사를 말하는 것이고, 상기 제2사도(140)는 양말의 굴곡부 즉, 앞/뒤꿈치에 테리 편직시 상기 스판사공급사도(130)에서 스판사를 동시에 공급받아 사용된다.
아울러, 상기 돌출편(142a)은 상기 기능사가 공급될 때 공급되는 거리를 단축하기 위해 그 크기를 종래의 형상보다 축소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투입공(143)으로 투입되는 기능사는 다양한 색상으로 편직되는 무늬사의 조직을 일정하게 감싸주는 원사이다.
상기 속구이사도(150)는 일측 선단에 투입공(151)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공(151)으로 나이론사가 공급되어 양말의 밴드부에 탄력을 주도록 편직된다.
상기 제1패턴사도(160)와 상기 제2패턴사도(170) 및 상기 제3패턴사도(180)는 양말의 몸통부에 무늬사를 공급하여 패턴을 편직하는 것으로 상기 제1패턴사도(160)와 상기 제2패턴사도(170) 및 제3패턴사도(180) 각각의 일측에는 투입공(161, 171, 181)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1패턴사도(160)와 상기 제2패턴사도(170) 및 제3패턴사도(180)는 종래에서 양말의 몸통부를 편직하기 위해 면사를 공급하던 것이었으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제1패턴사도(160)와 상기 제2패턴사도(170) 및 제3패턴사도(180)를 무늬사 공급사도로 사용하여 보다 근거리에서 다양한 색상을 공급하여 양말에 패턴을 편직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몸통부에 다양한 굴곡 형상을 갖는 무늬 즉,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제1사도(120)에 상기 제1투입공(123)과 제2투입공(124)을 형성하여 면사 및 스판사를 동시에 공급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사도(120)만으로 양말의 몸통부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종래의 면사를 공급하던 겉실사도를 본 고안에서는 무늬사를 공급하는 패턴사도로 사용 가능하게 된 것이다.
상기 제1패턴사도(160)와 제2패턴사도(170) 및 제3패턴사도(180)를 통해 무늬사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사도뭉치(100)와 소정간격 원주를 따라 이격되어 구비된 복수의 패턴사도(미도시)에서 공급되던 무늬사를 상기 사도뭉치(100)의 상기 제1패턴사도(160) 또는 제2패턴사도(170) 및 제3패턴사도(180)를 통해 무늬사를 공급하기 때문에 보다 가까운 거리에서 무늬사가 공급되어 상기 무늬사의 처짐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양말에 균일한 패턴을 편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패턴사도(160)와 제2패턴사도(170) 및 제3패턴사도(180)를 무늬사 공급 사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본 고안의 제1사도(120)와 제2사도(140)를 두 종류의 원사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가능하게 된 것이다.
도 5의 (a),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서술한 본 고안의 사도뭉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양말(10)을 직조하면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말(10)의 몸통부(11)와 밴드부(12) 및 앞/뒤꿈치(13)에 패턴을 균일하게 편직할 수 있고, 더불어 상기 몸통부(11) 및 앞/뒤꿈치(13)에 테리의 두께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편직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사도뭉치로 직조된 양말(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세 종류의 흰색 원사(20)와 검정색 원사(30) 및 회색 원사(40)의 무늬 원사를 공급하여 상기 몸통부(11) 및 앞/뒤꿈치(13)에 패턴이 균일하게 편직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사도(미도시)와 제2사도(미도시)가 두 종류의 원사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면사 공급을 하지 않는 사도를 무늬사 공급용 패턴사도로 사용하여 보다 근거리에서 무늬사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양말(10) 내측에 잔존되는 원사량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말(10)에 패턴을 균일하게 편직할 수 있게된다.
도 6의 (a), (b)를 참조, 상기 서술한 본 고안의 사도뭉치(미도시)로 양말(10)을 편직하면, (a)와 같이 양말의 하단부 즉, 몸통부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을 3중 무늬 원사로 다양하게 양말(10)의 어느 위치에든 편직할 수 있고, 패턴이 편직된 양말(10) 내측에 테리를 동시에 편직하여 하프쿠션을 갖게 편직할 수 있다.
또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사도뭉치를 이용하여 등산용 또는 보온 및 스포츠용 양말(10) 등을 편직하면 양말(10)의 몸통부에 다양한 무늬 즉, 패턴을 다양하게 편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편직된 굴곡 등의 라운드를 부드럽게 편직할 수 있다.
더불어, 다양한 패턴이 형성된 양말(10)의 내측에 테리가 편직되어 양말(10)의 몸통부 하단에 하프쿠션을 갖게 되고, 이로 인해 양말(10)의 착용감과 보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직물 직조기 사도뭉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직물 직조기로 편직된 양말.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균일한 패턴 위에 테리를 편직하기 위한 사도뭉치의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사도의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사도의 사시도.
도 5의 (a), (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균일한 패턴으로 편직된 상태의 양말을 나타낸다.
도 6의 (a), (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띠른 사도뭉치를 이용하여 편직된 양말의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양말 11 : 몸통부
12 : 밴드부 13 : 앞/뒤꿈치
20 : 흰색 원사 30 : 검정색 원사
40 : 회색 원사
100 : 사도뭉치 110 : 마감사도
120 : 제1사도 121 : 몸체부
122 : 헤드부 123 : 제1투입공
124 : 제2투입공 125 : 유출구
130 : 스판사공급사도 140 : 제2사도
141 : 몸체부 142 : 헤드부
142a : 돌출편 143 : 제3투입공
144 : 제4투입공 150 : 속구이사도
160 : 제1패턴사도 170 : 제2패턴사도
180 : 제3패턴사도
111, 131, 151, 161, 171, 181 : 투입공

Claims (4)

  1. 복수의 사도를 포함하는 사도뭉치에 있어서,
    몸체부와 헤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더부의 일측에 수직하향으로 제1투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 방향으로 상기 제1투입공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투입공과 동일방향으로 형성된 제2투입공을 포함하는 제1사도; 및
    몸체부와 헤더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더부의 일측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편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에 수직하향으로 장공의 제3투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 방향으로 상기 제3투입공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3투입공과 동일방향으로 제4투입공이 형성된 제2사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패턴 위에 테리를 편직하기 위한 사도뭉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도의 헤드부 전면 일측에 상기 제1투입공과 연통되게 유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패턴 위에 테리를 편직하기 위한 사도뭉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사도는 직물의 몸통부 직조시 사용되되 상기 제1투입공에 제1겉실이 투입되고, 상기 제2투입공에 제1속실이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패턴 위에 테리를 편직하기 위한 사도뭉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도는 직물의 굴곡부 직조시 사용되되, 상기 제3투입공에 기능성 원사가 투입되고, 상기 제4투입공에 제2겉실이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일한 패턴 위에 테리를 편직하기 위한 사도뭉치.
KR2020070020501U 2007-12-21 2007-12-21 균일한 패턴 위에 테리를 편직하기 위한 사도뭉치 KR2004458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501U KR200445869Y1 (ko) 2007-12-21 2007-12-21 균일한 패턴 위에 테리를 편직하기 위한 사도뭉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501U KR200445869Y1 (ko) 2007-12-21 2007-12-21 균일한 패턴 위에 테리를 편직하기 위한 사도뭉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325U KR20090006325U (ko) 2009-06-25
KR200445869Y1 true KR200445869Y1 (ko) 2009-09-08

Family

ID=41320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501U KR200445869Y1 (ko) 2007-12-21 2007-12-21 균일한 패턴 위에 테리를 편직하기 위한 사도뭉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8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4214A (zh) * 2013-07-10 2013-10-02 江西井竹实业有限公司 一种多层棉麻袜及其织造方法
KR20200091512A (ko) * 2019-01-22 2020-07-31 이승종 통풍양말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292Y1 (ko) * 2017-02-13 2018-05-02 이명신 벗겨지지 않는 덧버선 및 그 덧버선 제조용 편직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2699U (ko) * 1994-12-12 1996-07-20 안정기 양말직기의 링글장치용 사도
KR19980026417U (ko) * 1996-11-11 1998-08-05 최곤 양말편직기의 급사장치
KR100521409B1 (ko) 2005-05-30 2005-10-13 미리넷 주식회사 편직기. 이에 의해 제조된 발열사를 포함하는 편직물 및양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2699U (ko) * 1994-12-12 1996-07-20 안정기 양말직기의 링글장치용 사도
KR19980026417U (ko) * 1996-11-11 1998-08-05 최곤 양말편직기의 급사장치
KR100521409B1 (ko) 2005-05-30 2005-10-13 미리넷 주식회사 편직기. 이에 의해 제조된 발열사를 포함하는 편직물 및양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34214A (zh) * 2013-07-10 2013-10-02 江西井竹实业有限公司 一种多层棉麻袜及其织造方法
KR20200091512A (ko) * 2019-01-22 2020-07-31 이승종 통풍양말 제조방법
KR102235147B1 (ko) * 2019-01-22 2021-04-02 이승종 통풍양말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325U (ko)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80617B (zh) 具有多根弹性纱的可拉伸圆形针织织物
EP3237662B1 (en) Easily settable stretch fabrics including low-melt fiber
US8156768B2 (en)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a toe seam
JP5342974B2 (ja) 経編地及び筒状経編地とその製造方法
CN101113547A (zh) 超柔拉舍尔毛绒织物及其制作方法
CN101096793B (zh) 在编织终端侧具有开口部的筒状针织物及其编织方法
CN107794621A (zh) 一种隐藏提字松紧织带的制造方法
KR101802184B1 (ko) 덧버선 강화밴드의 편직방법과 그 장치
CN111005147A (zh) 一种蕾丝花边面料及其生产方法
KR101029274B1 (ko) 반회전 x사, 반회전 y사 3차원 조직의 편직 방법 및 그사안내구
KR200445869Y1 (ko) 균일한 패턴 위에 테리를 편직하기 위한 사도뭉치
US6516637B1 (en) Elastic knitted band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N102105630A (zh) 精饰针
CN107385666A (zh) 一种经编舒适弹绒类外衣面料的生产工艺
KR101550707B1 (ko) 보풀 발생 및 형태 변형을 방지하는 니트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니트 의류
TW202016383A (zh) 圓編織物
JP2017125278A (ja) 複合紡績糸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繊維構造物
US2219240A (en) Method of knitting
KR101191775B1 (ko) 스큐현상이 없는 싱글 져지 편물의 제조방법
CN105603623B (zh) 一种通过纱线制作虎纹状针织制品的方法
JP2011144479A (ja) 連続生地及びその編成方法
JP7036787B2 (ja) Rsj経編み機に基づくフリーカット経編み生地の製造方法
KR100680874B1 (ko) 방적기용 트럼펫
KR200458996Y1 (ko) 정렬 가이드
CN221052109U (zh) 一种纬编针织汗布布边防卷边提花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