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373Y1 -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373Y1
KR200445373Y1 KR20070014542U KR20070014542U KR200445373Y1 KR 200445373 Y1 KR200445373 Y1 KR 200445373Y1 KR 20070014542 U KR20070014542 U KR 20070014542U KR 20070014542 U KR20070014542 U KR 20070014542U KR 200445373 Y1 KR200445373 Y1 KR 2004453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craft
fuselage
landing
post block
emergency l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14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2202U (ko
Inventor
이동춘
Original Assignee
이동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춘 filed Critical 이동춘
Priority to KR20070014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373Y1/ko
Priority to PCT/KR2008/005107 priority patent/WO2009028913A1/en
Publication of KR200900022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2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3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37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rresting aircraft, e.g. net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nchor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1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anchoring aircraft
    • B64F1/16Pickets or ground anchors; Wheel ch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항공기에 비상사태가 발생하여 동체 착륙이 불가피 할 경우 활주로에 동체 착륙하는 항공기를 보다 안전하게 착륙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항공기 동체가 착륙할 경우 마찰을 최대한 줄이면서 항공기 동체의 진행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대차형 유도수단을 구현함으로써, 지면과의 충격을 최소화하고 항공기가 안전하게 소정거리를 활주하면서 동체착륙에 따른 충격과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를 제공한다
항공기, 비상착륙, 대차, 유도장치

Description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Safety landing apparatus for aircraft}
본 고안은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항공기에 비상사태가 발생하여 동체 착륙이 불가피 할 경우 활주로에 동체 착륙하는 항공기를 보다 안전하게 착륙시킬 수 있도록 유도하는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항공기는 착륙시 랜딩기어가 동체 밖으로 전개되어 항공기의 이착륙을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항공기의 기계적 결함 또는 그 외의 다른 이유로 항공기의 착륙시 랜딩기어가 제대로 전개되지 못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한다.
이때에는 어쩔 수 없이 항공기는 동체착륙을 시도할 수밖에 없지만, 이 동체 착륙은 상당히 위험한 방법으로 항공기 자체뿐만 아니라 내부에 탑승한 승객 및 화물에도 치명적 손상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동체 착륙시보다 안전하게 항공기의 동체 착륙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에는 활주로의 끝에 네트를 설치하여 항공기를 급격히 정지시키도록 하거나, 또는 낙하산을 이용하는 방법, 항공기와 활주로에 자성체를 설치하여 자성체 상호 간의 자력으로 활주 거리를 최소화하는 방법 등이 있다.
여기서, 네트의 경우는 대형 항공기의 착륙시 그 충격량을 버틸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 상당히 힘들고, 만약 충격량을 견디더라도 상대적으로 항공기에 가해지는 충격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자성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성체의 자성으로 인해 항공기의 계기 등에 치명적인 문제점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또한 낙하산의 경우는 지면에 항공기가 착륙할 때에는 거의 추락과 마찬가지로 항공기에 치명적인 파손을 유발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항공기 동체가 착륙할 경우 마찰을 최대한 줄이면서 항공기 동체의 진행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대차형 유도수단을 구현함으로써, 지면과의 충격을 최소화하고 항공기가 안전하게 소정거리를 활주하면서 동체착륙에 따른 충격 및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는 원형의 항공기 동체를 수용할 수 있는 상부 개방형태의 동체 고정부를 갖는 동체 지지용 포스트 블럭 및 다수의 바퀴를 포함하는 대차로 이루어 짐으로써, 활주로 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항공기 동체 착륙시 항공기 동체와 함께 이동하면서 진행 방향 그대로 항공기 동체를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 즉 항공기 안전착륙을 유도하는 대차형의 유도장치는 각종 사고 등으로 항공기가 정상적으로 착륙하지 못하고 동체착륙이나 그 외 비상착륙이 이루어지는 경우 착륙시의 지면과의 충격에 의한 승객 또는 탑승 화물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항공기를 보다 안전하게 활주 로 상에 착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있어서 포스트 블럭 구성을 보인 확대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는 활주로 상에서 동체 착륙을 시도하는 항공기와 함께 무인으로 조정, 이동가능한 대차(13)로 이루어져 있으며, 항공기 동체의 앞부분을 지지·고정한 상태에서 등속으로 함께 진행하면서 항공기의 앞쪽 랜딩기어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대차(13)에는 이동을 위한 다수의 바퀴(14)가 구비되며 대차를 무인 조정하는데 따른 동력시스템은 당해 분야에서 이룰 수 있는 기술사상임을 먼저 밝혀둔다.
상기 대차(13)의 상부에는 원형의 항공기 동체를 수용할 수 있는 동체 고정부(10)를 갖는 일정높이의 동체 지지용 포스트 블럭(11) 및 착지받침대(19)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동체 고정부(10)는 비행기 동체의 1/2 이상을 감쌀수 있도록 되고 단면이 반원형의 홈 형태의 신축성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항공기 동체의 하중은 착지받침대(19)가 흡수하고 동체 고정부(10)와 포스트 블럭(11)은 측면 압력을 흡수하고 비행기 동체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항공기 동체 앞부분은 포스트 블럭(11)의 가운데에 있는 착지받침대(19)에 얹혀진 상태로 동체 고정부(10)에 의해 지지되면서 대차를 밀면서 앞쪽으로 유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포스트 블럭(11)은 일체형의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분리된 2개의 블럭 및 착지받침대(19)의 조합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동체 고정부(10) 역시 양쪽 블럭의 간격에 따라 그 크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함이 더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포스트 블럭(11)은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형태의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쪽의 블럭 간에는 실린더(15) 및 레일(R)이 연결 설치되어 이 실린더(15)의 작동에 따라 블럭 간의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질 수 있고, 결국 동체 고정부(10)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여러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항공기 동체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특히 착지받침대(19)가 비행기의 하중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실린더(15)의 작동 및 간격조절의 시간을 최소화(2~3초 이내)할 수 있도록 하여 훨씬 안전하게 비행기의 착륙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체 고정부(10)의 반원형 홈 바닥면에는 하드한 고무재질의 마찰패드(12)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때의 마찰패드(12)는 항공기 동체의 슬라이드 접촉상태를 보다 탄력적으로 유지하면서 마찰특성을 이용하여 항공기 동체와 대차의 일체화를 얻을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대차(13)의 앞쪽으로는 중량물인 사각블럭 형태의 무게추(17)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때의 무게추(17)는 항공기 동체의 무게에 대응하여 대차의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즉, 항공기 동체가 대차(13)의 포스트 블럭(11)과 접촉되는 순간에는 대차(13)에는 상당한 하중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무게추(13)가 앞쪽에서 균형을 잡아주고 있기 때문에 대차(13)의 앞부분이 위로 들리는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대차(13)상에 안착된 항공기 동체를 보다 안정적으로 잡아주기 위한 수단으로 로프발사장치(18)를 제공한다.
즉, 항공기 동체가 대차(13)의 포스트 블럭(11)상에 안착되는 시점에서 로프발사장치(18)에서 발사된 로프로 항공기 동체를 견고하게 감아줌으로써, 항공기 동체와 대차(13)가 일체식으로 한 몸이 될 수 있고, 결국 대차(13)가 항공기 동체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끝까지 항공기 동체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대차(13)의 일측, 예를 들면 항공기 동체가 안착되는 동체 고정부(10)의 일측에는 통상의 로프발사장치(18)가 설치되고, 동체 고정부(10)의 일측으로는 항공기 동체가 동체 고정부(10) 내에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로프발사장치(18)에 작동신호를 제공하는 센서(16)가 설치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16)는 고정부(10)의 양쪽에 설치하여 항공기 동체에 별도 설치된 센서(미도시)와 상호 작용하여 항공기 동체를 고정부로 안전하게 유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동체 고정부(10) 내에 센서의 작동에 의해 항공기 동체가 안전하게 안착되면, 이것을 센서(16)가 감지하게 되고 계속해서 센서(16)의 감지신호에 의해 로프발사장치(18)에서 로프가 발사되면서 항공기 동체 둘레는 로프로 묶여질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에 항공기 동체가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는 활주로 상에서 항공기 진행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항공기의 기계적 결함 등으로 인해 착륙시 앞쪽의 랜딩기어가 제대로 전개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항공기가 동체착륙을 시도하는 경우, 우선 항공기는 뒷쪽 랜딩기어를 통해 활주로 상에 착지됨과 동시에 항공기 동체의 앞부분은 대차(13)의 포스트 블럭(11)에 있는 착지받침대(19) 및 동체 고정부(10) 내에 유도 안착되고, 계속해서 항공기가 앞쪽으로 진행되는 상황에서 이때의 항공기 동체 앞부분은 동체 고정부(10) 내에 안착된 상태에서 함께 이동하는 대차(13)에 의해 진행방향 그대로 진행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대차가 항공기의 앞쪽 랜딩기어 역할을 대신하면서 항공기의 착륙을 안전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항공기 동체가 동체 고정부(10) 내에 안착되는 순간, 실린더(15)가 작동하여 양쪽의 포스트 블럭(11) 동체 고정부(10)가 안쪽으로 좁혀지며 동체 앞쪽을 잡아 지지하게 되며, 또한 이와 보조적으로 로프발사장치(18)에서 발사되는 로프가 항공기 동체 둘레를 견고하게 묶어주게 되므로, 대차(13)는 항공기가 정지될 때까지(항공기 자체의 제동력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항공기 동체 앞부분을 잡아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항공기 동체는 대차의 이동 안내를 받게 되므로, 충격에 의한 피해나 지면과의 마찰열로 인한 화재의 우려없이 안전하게 항공기를 착륙시킬 수 있게 되고, 결국 착륙시 지면과의 충돌에 의한 승객이나 탑승 화물의 피해를 줄이면서 항공기를 보다 안전하게 활주로 상에 착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블럭 구성을 보인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비행기 착륙시 대차(13)가 받는 하중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좌우 대칭형태의 분리형으로 된 포스트 블럭(11)의 사이에 고무재 등의 탄력성을 가진 재질로 된 Y형의 착지받침대(19)를 형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동체의 비상착륙시 동체의 선단부가 동체 고정부(10)보다 착지받침대(19)에 먼저 닿게 되면서 하중을 1차 흡수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포스트 블럭(11)도 센스신호에 의해 실린더(15)의 작동으로 동체를 감싸안으며 지지하면서 비행기는 동체 고정부(10)에 안전하게 안착지지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포스트 블럭(11)의 고정부(10)는 비행기의 기종에 따라 대처할 수 있게 전면보다 후면(또는 후면보다 전면)측이 폭이 좁도록 형성함으로써 비행기가 안착시 선단이 포스트 블럭측에 끼움 고정되는 식으로 안착되어 대차(13)를 전방으로 힘을 가하면서 안착하도록 하여 비행기의 하중을 분배시켜 안정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포스트 블럭 구성을 보인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상기 착지 받침대(19)에 동체가 안착시 충격 하중을 더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상기 Y형의 착지받침대(19)의 양 날개부(19a)는 외측으로 더 연장하여 상기 포스트 블럭(11)의 동체 고정부(10)를 관통하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양측 동체 고정부(10)에는 착지받침대(19)의 날개부(19a)가 관통되며 상하 유격을 가지도록 하는 관통홀(10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비행기 동체가 착지받침대(19)에 안착되면 자체 쿠션에 의해 동체의 하부를 지지하며 동체를 안전하게 착지시킬 수 있게 되고, 착지와 동시에 실린더(15)가 작동되면서 동체 고정부(10)가 동체를 감싸며 지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있어서 포스트 블럭 구성을 보인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에 항공기 동 체가 안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블럭 구성을 보인 확대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스트 블럭 구성을 보인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동체 고정부 11 : 포스트 블럭
12 : 마찰패드 13 : 대차
14 : 바퀴 15 : 실린더
16 : 센서 17 : 무게추
18 : 로프발사장치 19 : 착지받침대

Claims (6)

  1. 삭제
  2. 원형의 항공기 동체를 수용할 수 있는 상부 개방형태의 동체 고정부를 갖는 동체 지지용 포스트 블럭 및 다수의 바퀴를 포함하는 대차로 이루어지고, 활주로 상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항공기 동체 착륙시 항공기 동체와 함께 이동하면서 진행 방향 그대로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된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차(13)의 포스트 블럭(11)은 수직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형태의 분리형으로 구성되고, 실린더(15) 및 레일(R)에 의해 서로 간의 간격을 넓혔다 좁혔다 하면서 항공기 동체의 둘레에 맞게 동체 고정부(10)의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블럭(11)의 동체 고정부(10)는 단면이 반원형의 홈 형태로 되어 있어 항공기 동체의 저면부를 받쳐주는 방식으로 접촉 지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좌우 대칭형태의 분리형으로 된 포스트 블럭의 사이로는 Y형의 착지받침대(19)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블럭(11)의 동체 고정부(10) 양측으로는 관통홀(10a)이 형성되며, 관통홀로는 상기 Y형의 착지받침대(19)의 양 날개부(19a)가 통과하여 상하 유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대차(13)는 항공기 동체의 무게에 대응하여 대차의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무게추(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
KR20070014542U 2007-08-31 2007-08-31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 KR2004453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4542U KR200445373Y1 (ko) 2007-08-31 2007-08-31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
PCT/KR2008/005107 WO2009028913A1 (en) 2007-08-31 2008-08-30 Safety landing apparatus for aircraf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14542U KR200445373Y1 (ko) 2007-08-31 2007-08-31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202U KR20090002202U (ko) 2009-03-04
KR200445373Y1 true KR200445373Y1 (ko) 2009-07-23

Family

ID=40387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14542U KR200445373Y1 (ko) 2007-08-31 2007-08-31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45373Y1 (ko)
WO (1) WO20090289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074B1 (ko) 2013-04-15 2014-06-18 국방과학연구소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항공기 장착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3706A (en) 1985-07-29 1987-03-31 Youssef Ragiab Emergency aircaft landing device
JPH10305800A (ja) 1997-05-06 1998-11-17 Atsushi Kanai 安全不時着装置
US6394391B1 (en) * 2001-03-22 2002-05-28 Wen-Chi Lo Landing truck for an aircraft in a forced landing
KR20050009439A (ko) * 2003-07-16 2005-01-25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 안전 착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804A (ko) * 2004-07-08 2006-01-16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 동체 비상 운반장치
KR101137291B1 (ko) * 2004-09-20 2012-07-02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에어크래프트 스키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3706A (en) 1985-07-29 1987-03-31 Youssef Ragiab Emergency aircaft landing device
JPH10305800A (ja) 1997-05-06 1998-11-17 Atsushi Kanai 安全不時着装置
US6394391B1 (en) * 2001-03-22 2002-05-28 Wen-Chi Lo Landing truck for an aircraft in a forced landing
KR20050009439A (ko) * 2003-07-16 2005-01-25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항공기 안전 착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074B1 (ko) 2013-04-15 2014-06-18 국방과학연구소 전자파송수신장치를 탑재한 항공기의 전자기 환경영향 평가를 위한 항공기 장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202U (ko) 2009-03-04
WO2009028913A1 (en) 200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580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ed launch, retrieval, and servicing of a hovering aircraft
US4311290A (en) Arrestment system
EP3268277B1 (en) Uav capture system
EP4219265A1 (en) Trolley system and associated rails and tracks
US2854201A (en) Aircraft barrier
CN105620779A (zh) 无人驾驶航空器的包括轨道携带的捕捉索的捕捉装置以及相关的系统和方法
US20080308673A1 (en) Secure System and Method for Aircraft Emergency Landing
WO2016137877A1 (en) Rocket landing system
CN105438914A (zh) 一种轿厢式电梯防坠落安全系统
BR112012020456B1 (pt) trator de avião tendo um sistema de acoplamento para acoplar a bequilha do avião, método para acoplar a bequilha de um avião usando um trator de avião, e método para tracionar um avião
US7819031B2 (en) Parachute opening and shock emulator
KR20100132395A (ko) 무인 비행체 착륙기
KR200445373Y1 (ko)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
KR101276168B1 (ko) 활주로가 필요 없는 비행기 이륙과 상승장치
KR101165232B1 (ko) 무인항공기 점검용 거치 장치
US4890802A (en) Apparatus for capturing securing and traversing remotely piloted vehicles and methods therefor
US7871037B2 (en) Emergency landing apparatus
KR200443680Y1 (ko) 항공기 비상착륙 유도장치
NZ281407A (en) Swing comprising a support structure with a support line secured to it and to a rider, also included is a launch structure and a pendulum damper
KR102516528B1 (ko) 항공기 비상 안전착륙장치
CN108792876A (zh) 风阻感应式电梯安全制动仪器
US3323762A (en) Aerial delivery system
KR20050009439A (ko) 항공기 안전 착륙장치
US2413724A (en) Airplane catapult
CA1165718A (en) Aircraft stores handling apparatus an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