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5241Y1 -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우산손잡이 - Google Patents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우산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5241Y1
KR200445241Y1 KR2020070015452U KR20070015452U KR200445241Y1 KR 200445241 Y1 KR200445241 Y1 KR 200445241Y1 KR 2020070015452 U KR2020070015452 U KR 2020070015452U KR 20070015452 U KR20070015452 U KR 20070015452U KR 200445241 Y1 KR200445241 Y1 KR 2004452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umbrella handle
extension
umbrella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2281U (ko
Inventor
장수민
Original Assignee
장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수민 filed Critical 장수민
Priority to KR20200700154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5241Y1/ko
Publication of KR200800022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22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52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524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는 우산손잡이로 내부에 제어단추 및 제어기구를 설치하고 우산손잡이 내부에는 우산손잡이 안쪽 시트가 있고 우산손잡이에는 우산손잡이 연장건이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 연장건는 우산손잡이에 맞추어져 우산손잡이를 감싸 우산손잡이의 제어단추가 무의식적인 오조작을 하지 않도록 보호하며 우산손잡이 연장건와 우산손잡이 사이에는 연결기구를 설치하여 두 부분의 도킹과 위치배합을 실현함으로써 우산손잡이 길이를 증가하는 효과를 크게 증가시킨다.
우산손잡이, 길이 조절, 손잡이 연장건, 분리이탈 방지

Description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우산손잡이{Umbrella handle with increasable length}
본 고안은 우산손잡이에 관련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우산손잡이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는 우산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우산손잡이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람들이 사용함에 편리하고 안전성이 증가되며 사용과정에서 무심결에 단추를 누르는 것을 방지하여 자동으로 우산을 펼치고 접는데 적용되는 것이다.
우산은 사람들이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는 일종의 도구로 비에 맞지 않고 햇빛에 쪼이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일용품이다.
최초의 우산은 방수 도구로 사용되었으며 중봉,산골 및 산면으로 구성되었는 바, 중봉은 산골을 지탱하는 작용을 하는 동시에 우산손잡이로 쥘 수 있다.
공업이 발전함에 따라 우산은 손잡이의 길이를 늘려서 사람이 잡는데 편리하도록 하는 동시에 중봉도 개선을 거쳐 다절 구조로 우산의 접힌 체적을 감소하여 사람들이 방치 및 휴대하는데 편리하도록 되였으며 접고 펼치는데 편리하고 제어하기 편하게 발전되었다.
그러나 이는 사람들이 날로 늘어나는 고품질 생활수요를 만족할 수 없었기 때문에 20세기 90년대에 이르러 자동으로 접고 펼치는 우산을 개발하였는데, 이는 우산 손잡이 내에 설치한 자동제어기구를 통하여 우산의 자동제어를 실현함으로써 제어의 편리성을 제고시켰다.
자동우산, 특히 휴대식 자동우산의 손잡이에서 우산을 접고 펼치는 주요부품은 내부에 설치한 제어기구를 제외하고 부단한 변화와 개선을 거쳤지만 구조상 아무런 변화가 없었으며, 작고 구조가 치밀하여 휴대하기 편리하지만 길이가 사람 손의 넓이보다 훨씬 작아 손에 쥐기 불편했다.
그리고 사용과정에서 사람들의 쥐임이 고정 장악이 아닌데다 여러 가지 원인으로 외부 주요부품과의 마찰, 충돌 등 사유로 오류조작을 초래하며 휴대중 외력의 작용으로 인해 손잡이의 단추를 눌러 오류조작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필요한 안전에 대한 신뢰성이 결여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우산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우산손잡이는 사용자의 제어하에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이 편리하게 하는 동시에 우산 손잡이 내의 제어단추에 대한 보호 성능을 좋게 하여 사용 안전성을 확보하고 사용과정에서 무의식적으로 단추를 누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우산 손잡이 내의 제어를 개선하고 우산 손잡이 길이의 기구적 작동 신뢰성을 증가시켜 조립이 편리하고 제조원가를 낮추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내부에 우산 손잡이 안쪽 시트가 설치되어 있고, 제어단추의 조작에 의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우산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손잡이 연장건이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 연장건이 상기 손잡이에 맞추어져 상기 손잡이를 감싸고, 상기 손잡이 연장건과 상기 손잡이 사이에는 연결기구가 설치되어 있어 양자의 도킹과 위치 결합을 실현하여 우산 손잡이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기구에는 돌기 및 상기 돌기에 결합되는 홈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돌기는 상기 손잡이 외벽에 또는 상기 손잡이 연장건 내벽에 손잡이의 세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홈은 상기 손잡이 연장건 내벽에 또는 상기 손잡이 외벽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와 상기 홈이 끼워 맞춤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손잡이 연장건이 손잡이를 따라 운동하도록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는 상기 손잡이 연장건 내벽에 설치된 볼록한 블록이며, 상기 홈은 상기 손잡이 외벽에 설치된 연장 홈 부재이며, 상기 연장 홈 부재의 말단에는 플랜지가 있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볼록한 블록의 아래까지 연장되어 구성되어 우산 손잡이와 손잡이 연장건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장 홈 부재는 탄성부재로 탄성 작용을 할 수 있어 조립이 편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록한 블록 및 연장 홈 부재는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 연장건 및 상기 손잡이의 축 선 상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안정된 구조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은 위에서 서술한 구조를 사용하여 자동우산의 손잡이 길이를 적당하게 늘릴 수 있으므로 쥐는데 편하고 제어하기 편리하며 휴대 혹은 사용하지 않을시 손잡이를 회수하여 손잡이 길이를 효과적으로 줄이고 부피를 줄이며 우산 손잡이의 제어단추는 우산 손잡이 연장건에 덮혀 효과적인 외층 보호를 받음으로써 외력작용으로 인한 오류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서술한 구조는 간단하고 가공가공과 조립이 편리하여 자동형 우산에 광범위하게 응용할 수 있다.
아래에서 서술한 실시 방식 중 우산 손잡이, 제어단추 및 제어기구 등 부품은 모두 현재기술로 다양한 구현 형식이 가능한 동시에 많은 자료에서 이미 제어기구 및 제어 단추의 형태를 확실하게 묘사하였고 제어단추 및 제어기구의 형태가 본 고안의 실시에 대하여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1의 구조 설명도이다.
우산손잡이(10)는 우산손잡이 안쪽 시트(13)을 가지며, 우산손잡이 안쪽 시트(13)은 양측에 분포한 돌기(131)와 우산손잡이(10)의 결합홀(101)을 통하여 결합되어 양자의 연결고정을 실현한다.
우산손잡이(10)의 외부에는 우산손잡이 연장건(11)이 있으며 부분적으로 우산손잡이(10)를 감싸는 것이 가능하여 우산손잡이(10)에 대한 보호를 형성하는 동시에 제어단추(12)를 작동하여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조 및 조립 편의를 위해 우산손잡이 연장건(11)은 밑면 덮개(113)를 포함하며 상기 밑면 덮개(113)는 우산손잡이 연장건(11)의 아래에 고정되며 양측에는 위로 연장한 돌출부(114)가 있고 이 돌출부(114)에는 상하 2개의 위치결정홀(112)을 설치하여 우산손잡이 연장건(11)의 위치를 확인하는 작용을 한다.
우산손잡이(10)의 양측에는 2개의 스프링구멍(102)이 설치되고, 그 내부에 스프링(103)을 설치하여, 상기 스프링(103)은 스프링구슬(104)을 받쳐주고 우산손잡이 연장건(11)이 상하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스프링구슬(104)은 스프링(103)의 받침 하에 돌출부(114)를 따라 상하로 미끄럼 운동하며 적당한 위치에 도달한 후 위치결정홀(112)에 삽입할 수 있어 우산손잡이 연장건(11)의 위치확인을 구현한다.
제어단추(12)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우산손잡이 연장건(11)의 상부에는 위로 돌출한 노리쇠(111)가 설치되고, 이 노리쇠(111)는 우산손잡이 연장건(11)의 내벽을 따라 위로 뻗으며 제어단추(12) 아래쪽의 노리쇠구멍(121)에 삽입할 수 있어 제어단추(12)가 조작될 때, 제어단추(12)에 대한 노리쇠(111)의 제한이 우선적으로 해제됨으로써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1의 작용과정 설명도로, 우산손잡이 연장건(11)이 모아진 후 우산손잡이 연장건(11)은 우산손잡이에 대해 보호작용을 하는 동시에 노리쇠(111)가 노리쇠구멍(121)으로 삽입되어 제어단추(12)의 오류조작을 방지한다.
이때 스프링구슬(104)는 돌출부(114) 아래 부분의 위치결정홀(112)에 삽입되어 위치결정을 형성한다.
우산손잡이 연장건(11)을 잡아당긴 후 우산손잡이의 쥘 수 있는 길이를 증가할수 있어 사람들이 쥐는데 편리한 동시에 노리쇠(111)는 우산손잡이 연장건(11)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여 노리쇠구멍(121)을 이탈함으로써 제어단추(12)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우산손잡이 연장건(11)을 아래로 당기는 과정에서 밑면 덮개(113)는 아래로 운동하고, 스프링구슬(104)이 돌출부(114) 아래 부분의 위치결정홀(112)을 이탈하여 위로 상대적으로 이동하며 적당한 위치에 도달한 후 돌출부(114) 윗부분의 위치결정홀(112)에 삽입되어 우산손잡이(11)의 위치를 확정하도록 하며 계속 아래로 운동하지 않고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2의 구조설명도이다.
실시예2에서 우산손잡이(20)의 외벽에는 돌기(201)가 설치되며 돌기(201)는 우산손잡이(20)의 외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설치된 것으로 제어단추(22)의 설치부위로 부터 우산손잡이(20)의 아래부분까지 연장된다.
동시에 우산손잡이 연장건(21)의 내벽에는 나선형의 오목홈(211)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오목홈(211)은 우산손잡이 연장건(21)의 내벽을 관통하며 오목홈(211)의 양단은 우산손잡이 연장건(21)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우산손잡이 연장건(21)에 대한 정위치를 형성할 수 있으며 우산손잡이(2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어단추(22)를 조작하지 않을 때 우산손잡이 연장건(21)은 우산손잡이(20)의 위까지 돌려 제어단추(22)에 대한 보호작용을 한다.
반대로 제어단추(22)를 조작할 때 우산손잡이 연장건(21)을 우산손잡이(20)의 하단으로 돌려 제어단추를 조작하는 동시에 우산손잡이의 길이를 늘여 사람들이 쥐기 편하게 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3의 구조설명도 이다.
실시예3에서는 우산손잡이 안쪽 시트(33)를 우산손잡이(30)에 삽입되어 있다. 우산손잡이(30)의 외부에는 우산손잡이 연장건(31)이 있어 우산손잡이(30)를 완전히 감싸 우산손잡이(30)에 대한 보호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제조 및 조립 편의를 위해 우산손잡이 연장건(31)에는 밑면 덮개(313)를 포함하며, 밑면 덮개(313)는 우산손잡이(30)의 하부에 고정하며 중간의 양측에는 위로 연장된 돌출부(314)가 있고, 이 돌출부(314)에는 상하 2개의 위치결정홀(312)이 설치되어 우산손잡이 연장건(31)의 위치에 대응하여 스프링구슬(304)과 결합하여 위치결정 작용을 형성한다.
우산손잡이(30)의 양측에는 대응하는 2개의 스프링홀(305)이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스프링(303)을 설치되고, 스프링(303)은 스프링구슬(304)을 받쳐주며 우산손잡이 연장건(31)이 상하로 운동하는 과정에서 스프링구슬(304)은 스프링(303)의 받침 하에 돌출부(314)를 따라 상하로 미끄럼하며 적당한 위치에 도달한 후 위치결정홀(312)에 삽입하여 우산손잡이 연장건(31)의 정위치를 구현한다.
우산손잡이(30) 양측에는 아래로 향한 2개의 연장홈(301)이 있고 2개의 연장홈(301)은 대칭으로 분포하는 동시에 연장홈(301)의 밑면에는 플랜지(302)가 있어 우산손잡이 연장건(31) 내벽의 볼록한 블록(311)과 맞물린다.
우산손잡이(31) 내벽에 설치된 볼록한 블록(311)은 연장홈(301)의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연장홈(301) 위의 플랜지(302)와 결합되도록 한다.
우산손잡이 연장건(31)을 접은 후 우산손잡이 연장건(31)은 우산손잡이(30)을 완전히 감싸 우산손잡이에 대한 보호작용을 형성하여 오조작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이때 스프링구슬(304)은 돌출부(314) 하부의 위치결정홀(312)에 삽입되어 위치결정을 한다. 이를 통해 우산손잡이 연장건(31)을 당긴 후 우산손잡이의 길이가 증가하여 사람들이 쥐기에 편한 동시에 스프링구슬(304)도 이동하여 돌출부(314) 윗부분의 위치결정홀(312)에 삽입되어 제어단추(32)를 통해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위에서 서술한 부분은 본 고안의 몇 가지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것으로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해서는 아니 되는 바 무릇 구조가 본 고안의 목적 및 실시예와 유사 한 경우는 모두 본 고안 청구범위 보호범위 내에 속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1의 구조분해설명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1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1의 인장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2의 구조분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2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3의 구조분해설명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3의 우산손잡이 연장건의 돌기 분포 구조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30:우산손잡이 11,21,31:연장건
12,22,32:제어단추 101:결합홀
102.302:스프링구멍 103.303:스프링
104.304:스프링구슬 111:노리쇠
114.314:돌출부

Claims (10)

  1. 내부에 우산 손잡이 안쪽 시트가 설치되어 있고, 제어단추의 조작에 의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우산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는 손잡이 연장건이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 연장건이 상기 손잡이에 맞추어져 상기 손잡이를 감싸고,
    상기 손잡이 연장건과 상기 손잡이 사이에는 연결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우산 손잡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구에는 돌기 및 상기 돌기에 결합되는 홈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돌기는 상기 손잡이 외벽에 또는 상기 손잡이 연장건 내벽에 상기 손잡이의 세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홈은 상기 손잡이 연장건 내벽에 또는 상기 손잡이 외벽에 설치되어 상기 돌기와 상기 홈이 끼워 맞춤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우산손잡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손잡이 연장건 내벽에 설치된 볼록한 블록이며, 상기 홈은 상기 손잡이 외벽에 설치된 연장 홈 부재이며, 상기 연장 홈 부재의 말단에는 플랜지가 있고 상기 플랜지는 상기 볼록한 블록의 아래까지 연장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우산손잡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홈 부재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우산손잡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한 블록 및 연장 홈 부재는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 연장건 및 상기 손잡이의 축 선 상에 대칭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우산손잡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외벽에는 탄성 받침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의 연장건에는 상기 탄성 받침기구에 의해 받쳐지는 피 받침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우산손잡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받침기구는 스프링 및 스프링 구슬이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손잡이의 스프링 구멍 안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 구슬을 받쳐주고, 상기 손잡이 연장건에 위치결정레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위치결정레버는 상기 손잡이 연장건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의 내벽을 따라 뻗을 수 있고, 그 위에는 최소한 한 개의 위치결정 홀이, 상기 위치결정 레버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우산손잡이.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분은 상기 손잡이의 외벽을 에워 쌓는 나선형구조이며, 상기 손잡이 연장건의 내벽에는 나선형 홈을 설치하여 상기 나선형 구조의 돌기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우산손잡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형 돌기는 상기 손잡이 외벽 위에 부분적으로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우산손잡이.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손잡이 연장건의 내벽에도 설치되며, 상기 돌기와 결합되는 상기 홈은 상기 손잡이의 외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우산손잡이.
KR2020070015452U 2006-12-26 2007-09-17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우산손잡이 KR2004452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452U KR200445241Y1 (ko) 2006-12-26 2007-09-17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우산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620145323.0 2006-12-26
KR2020070015452U KR200445241Y1 (ko) 2006-12-26 2007-09-17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우산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281U KR20080002281U (ko) 2008-07-01
KR200445241Y1 true KR200445241Y1 (ko) 2009-07-10

Family

ID=41324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452U KR200445241Y1 (ko) 2006-12-26 2007-09-17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우산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52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111Y1 (ko) * 2022-11-15 2023-07-28 쏙인터내셔날 주식회사 휴대 편리성 향상 구조를 포함하는 우산 손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277B1 (ko) * 2010-12-31 2011-08-09 이정섭 등산용 스틱 손잡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6197A (en) * 1992-07-06 1993-02-16 Lavine Edward L Collapsible umbrella handle
KR950000210U (ko) * 1993-06-24 1995-01-03 조절식 우산손잡이
US5458144A (en) * 1993-10-21 1995-10-17 Lavine; Edward L. Extendible umbrella hand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6197A (en) * 1992-07-06 1993-02-16 Lavine Edward L Collapsible umbrella handle
KR950000210U (ko) * 1993-06-24 1995-01-03 조절식 우산손잡이
US5458144A (en) * 1993-10-21 1995-10-17 Lavine; Edward L. Extendible umbrella hand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111Y1 (ko) * 2022-11-15 2023-07-28 쏙인터내셔날 주식회사 휴대 편리성 향상 구조를 포함하는 우산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2281U (ko) 2008-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25071B1 (en) Automatic umbrella
US5178174A (en) Silently smoothly operating automatic umbrella controlled by single push button
US5740823A (en) Lightening safety automatic umbrella
EP2327324B1 (en) Automatic open-close umbrella
US3658077A (en) Automatically openable and closable umbrella
US2906277A (en) Self-opening umbrellas
KR200445241Y1 (ko)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우산손잡이
TWM491361U (zh) umbrella
US4936332A (en) Simply-constructed automatic umbrella for preventing false operation
JP3136116U (ja) 長さを増加させることが可能な傘のハンドル部
KR200448498Y1 (ko) 우산
EP0498986B1 (en) Automatic umbrella opened and closed by a straightforward push button
US7311110B2 (en) Automatic close umbrella with automatic resetting feature
US5060684A (en) Automatic umbrella foldably retained by tip cap
CN105221063B (zh) 一种组合梯的新型锁定装置
US20030131875A1 (en) Automatic close umbrella with automatic resetting feature
JP4768959B2 (ja) 自立可能なステッキ
JPH0767405B2 (ja) 自動開閉傘
JP2008188325A (ja) 自立可能な杖体
JPH0690810A (ja) 自動開閉洋傘
CN202218666U (zh) 具有安全装置的自动多折伞
CN218571606U (zh) 伞具的推移式按钮装置
GB2253784A (en) Automatic umbrella safety catch system
CN212816103U (zh) 伸缩管及吸尘器
US20230182800A1 (en) Stroller frame and st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